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왜상적 시선을 통한 중국 6세대 영화 연구 : 부산 국제영화제에 출품된 영화를 중심으로

        황효흔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6세대’ 영화인은 중국 영화계에서 아카데미즘 감독세대와 구분되어 새롭게 등장한 집단을 일컫는다. 대다수가 1980년대 북경영화학원 연출전공 졸업생인 6세대 감독들은 영화예술과 관련된 교육을 받고 1990년대 중국영화 무대에 등장한 젊은 감독들이다. 그들의 초기 작품들은 다양하고 자유로운 형식으로 사고의 차이를 드러내거나 포용하면서 심리 상태의 실제 상황들을 기록하는 것을 추구하였다. 6세대 영화감독은 독특한 방식으로 객관적인 현실을 그대로 드러내면서 사회의 하류층의 침묵을 기록한다. 그들은 ‘5세대’ 감독의 영화에 나타나는 민족주의적인 서사구조에서 벗어나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생활, 개인의 사랑과 증오, 반역사적인 인물들의 행위 등에 주목하고 있다. 본 논문은 프로이트와 라캉의 왜상적 시선이론을 통하여 6세대 감독의 작품에 대해 설명을 하려고 한다. 우선은 프로이트와 라캉의 이론에 정리 분석을 한다. 라캉의 왜상적 시선이론을 포함하여 지젝은 라캉 이론을 계승 발전하였다. 구조주의에 나타난 탈중심화와 관련된 이론을 다뤄보도록 하겠다. 다음으로는 연구대상인 중국 6세대 영화의 흐름을 간략히 서술하고 백년의 역사를 지닌 중국영화를 세대로 구분하여 5세대, 6세대의 영화의 차이를 언급할 것이다. 또한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6편의 영화들과 선정 이유에 대해 6세대 영화가 국내 국외영화제에서 상을 받은 상황과 관련하여 정리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전통 이데올로기가 강조된 주선율 영화와 오늘날까지 여전히 활약하고 있는 5세대 감독에 대해 연대기적으로 정리하고 분석을 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탈중심적 6세대 영화가 어떤 방식으로 등장을 하였는지 구체적인 영화의 인물을 다루면서 분석을 할 것이다. 마지만 부분에서는 부산국제영화제에 출품된 6편의 중국 영화를 두 편씩 묶어서 라캉의 이론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비교해서 분석하고 논술할 것이다. 작품의 분석을 통하여 서로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더욱 잘 찾을 수 있고 도움이 되는 결론을 찾을 것이다. 최근 몇 년간 6세대 감독의 영화 연구는 보다 더 많아지고 있지만 라캉이론을 연구에 적용시킨 예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왜상적 시선’이라는 새로운 시점을 적용하여 6세대 감독과 그들의 작품에 대하여 더욱 잘 알 수 있고 깊게 이해하게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