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규모 체육시설의 외부공간 활용방안 연구 : 광명스피돔을 중심으로

        황호준 가천대학교 환경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즘같은 웰빙시대에 도심속에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마땅한 장소를 찾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넓고 쾌적한 곳에서 쉬고 싶은 욕망은 누구나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런 친환경적인 공간에서 정신적·육체적 건강과 자기개발을 추구하려는 도시민들의 욕구를 충족해줄만한 장소가 많아져야할 것은 지극히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규모 체육시설의 외부공간이 가지는 이용가치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발전적인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대상지를 광명스피돔 부지를 대상으로 하여 외부공간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수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문헌연구를 통하여 대규모 체육시설의 개념과 유형을 고찰하였으며 이와 함께 체육시설 외부공간이 어떻게 이용되어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둘째, 대상지인 광명스피돔 외부공간의 이용자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용자 인식을 분석하였다. 셋째, 국내외 체육시설의 외부공간 활용도를 높인 곳을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하였다. 넷째, 광명스피돔의 현황과 외부공간 이용가치를 분석하여 향후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대규모 체육시설의 외부공간에 대한 효율적인 이용을 목적으로 다변화 시키고 공원화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지만 광명스피돔만을 적용한 것은 한계점이라 하겠다. 따라서 향후 다른 대규모 체육시설에서의 연구도 포함된다면 더욱 다양한외부공간 효율화 개선에 도움이 되리라 확신한다.

      • 만성 뇌졸중 환자의 비마비측 하지 근피로가 좌석 높이에 따른 일어서기 동작 시 생체역학 및 낙상 발생 요인에 미치는 영향

        황호준 경운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비마비측 하지 근피로가 좌석 높이에 따른 일어서기 동작 시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의 관절 가동범위(ROM)와 낙상 발생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대구 ○병원에 입원한 15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로 80% 좌석 높이 그룹(n=5), 100% 좌석 높이 그룹(n=5), 115% 좌석 높이 그룹(n=5)으로 선정편견을 최소화하기 위해 무작위로 분류하였다. 하지 근피로 유발을 위해 80% 좌석 높이에서 앉은 자세로 근피로를 유발하여 관성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엉덩관절과 무릎관절 ROM 측정은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시 엉덩이가 떨어지는 시점에 측정하였으며 하지 근피로 적용 전 3회, 적용 후 3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낙상 발생 요인은 FTSST, BBS, FRT를 평가하였다. 통계분석은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기술통계 및 카이 제곱 검정(Chi-Squre test, χ²)을 이용하였다. 정규성 검정을 위하여 샤피로-윌크(Shapiro-Wilk)검정을 이용하였다. 그룹 내 비교는 대응 표본 t-검정(Paired t-test), 세 그룹 간 비교는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 최소 유의차 검정(Least significant difference, LSD)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그룹 내 하지 근피로에 따른 비마비측 엉덩관절의 ROM 변화에서 80 SHG에서 유의한 전-후 차이를 보였으며(p<.05), 세 그룹 간의 비마비측 엉덩관절 ROM 변화량 비교에서는 115SHG와 비교하여 100SHG와 80SHG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그룹 내 하지 근피로에 따른 비마비측 무릎관절의 ROM 변화에서는 80SHG, 100SHG, 115SHG에서 유의한 전-후 차이를 보였다(p<.05). 그룹 내 하지 근피로에 따른 FTSST에서는 80SHG, 100SHG, 115SHG에서 유의한 전-후 차이를 보였다(p<.05). 그룹 내 하지 근피로에 따른 BBS에서는 80SHG, 100SHG, 115SHG에서 유의한 전-후 차이를 보였다(p<.05). 그룹 내 하지 근피로에 따른 FRT에서는 80SHG, 100SHG, 115SHG에서 유의한 전-후 차이를 보였다(p<.05).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볼 때, 만성 뇌졸중 환자의 비마비측 근피로의 발생은 고유감각에 대한 능력의 감소, 생체역학적 측면의 기능 저하로 동적 균형 능력의 감소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낙상 발생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만성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인 이동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 하지 근력과 지구력을 강화하여 근피로 유발을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낙상 위험이 높은 뇌졸중 환자 및 노인, 균형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을 가진 환자에 대해 일어서기 동작에 따른 생체역학 및 낙상 발생 요인을 평가하여 낙상 위험을 미리 확인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 시킬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만성 뇌졸중 환자의 기능 및 재활 훈련 시 좌석 높이에 따른 낙상 발생 요인에 대해 사전에 확인 함으로써 안전한 재활 훈련을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어서기 및 보행 훈련 시 낙상 예방 및 근피로 유발을 낮추기 위한 재활 프로그램을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 양극산화법을 이용한 Ni 나노와이어 및 박막 제조와 자기적 특성 연구

        황호준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studies of nanostructures have become more active because of many applications of nanosturctures. Periodic pore arrangement in anodized aluminum oxide (AAO) can be used as a template to produce self-ordered one-dimensional nanowires. Using electrodeposition method has been a low-cost and high-yield technique for producing large array of nanowires in AAO, but the electrodeposition by using DC voltage is very unstable and uniform filling of the pores cannot be achieved. Therefore, we have fabricated Ni nanowires in AAO templates by using pulse and AC electrodeposition methods and studied their ferromagnetic properties. To investigate the role of antiferromagnetic NiO, we annealed Ni nanowires at 600 ℃ in air and examined the change of magnetic properties. In addition, we also deposited Ni thin films by using RF magnetron sputtering method and studied early growth mechanisms on honeycomb templates made by etching of AAO substrates and subsequently annealed AAO substrates.

      • 대안공정과 부하 평준화를 고려한 제조 셀 형성

        황호준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Cellular manufacturing is an application of Group Technology in manufacturing in which all systems has been converted into cells. A manufacturing cell is a cluster of machines or processes located in closed proximity and dedicated to the manufacturing of a family of parts. This paper deals with manufacturing cell formation for the design of cellular manufacturing systems considering alternative process plans and inter-cell load balancing. A hybrid algorithm for cell formation consisting of genetic algorithm and tabu search is developed for maximizing grouping efficiency and minimizing inter-cell load imbalance. Input data such is production volume, machine capacity and processing times are used and the algorithm determines machine cell, part family and process plan for each part simultaneously. Experiments on several numerical examples for cell formation is performed and results are analyzed to validate the proposed algorithm.

      • 얼후 협주곡 향(香) 분석 연구

        황호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악관현악에 중국의 전통악기인 얼후가 협연하는 형태는 창작국악관현악의 역사에서 최초로 시도되는 것으로 매우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는 국악관현악이 한국 전통음악의 한 갈래로서의 의미를 뛰어 넘어 아시아 음악으로서의 확장과 더 나아가 세계음악으로서의 가능성을 엿볼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제1부분은 주제 선율이 제시되어 국악관현악과 얼후가 주제 선율을 다양하게 변주하다가 작곡가 박범훈 특유의 극적 요소가 가미된 악구로 마무리 한다. 제2부분은 5/8박자와 6/8박자가 빠른 템포로 교차 전환되며 동시에 관현악과 얼후가 짧은 악구를 쉼 없이 주고 받는다. 변박이 단순히 반복된 패턴을 유지하지 않고 불규칙적으로 바뀌지만 관현악과 얼후가 같은 선율을 주고 받으며 자연스러운 호흡을 만들어 낸다. 제1부분에 제시되었던 주제 선율이 그대로 재현되면서 마무리 한다. 제3부분은 빠른 휘모리 장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간에 카덴차가 포함되어 있는데, 악상이 매우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는 것을 볼 때 카덴차 부분을 연주자의 즉흥연주에 의존하지 않고 철저하게 제어하려는 작곡가의 의지가 엿보인다. 제3부분은 박범훈의 다른 작품에도 많이 등장하는 관현악 기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종지 역시 특유의 극적인 호흡으로 마무리 된다.

      •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이중창 유리에서의 복합 열전달 해석

        황호준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Double pane window system, in which an air layer with a finite width is filled between glasses, in order to increase the is used insulation efficiency. In the present study, conjugate heat transfer in a double pane window system has been studied numericall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double pane window on the heat transmittance using a finite element method based on PPP basis function. From the present numerical study on the conjugate heat transfer of a double pane window system, it has been shown that a single/double pane window has a lower heat transmittance than a single pane window and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Nucleate number has been made and numerically predicted Nucleate numbers with or without conjugate heat transfer effect have been compared with an available existing empirical formula. It has been found that a Nusselt number from an existing formula of an enclosed space is different than that obtained from the present conjugate heat transfer analysis mainly due to the effects of a very high aspect ratio and conjugate heat transfer mechanism. Furthermore, it has been shown that the numerically estimated optimal air thickness of the double pane window system with conjugate heat transfer effect is a little bit longer than that obtained without considering conjugate heat transfer effect. 단일창과 이중창의 복합열전달 특성을 고찰하고 Rayleigh 수의 변화에 대한 열관류율값과 이중창에서 복합열전달 특성을 고찰하고, 공기층 두께의 증가에 대한 열관류율 값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단일창과 이중창의 열관류율을 비교해보면 저 Rayleigh 수에서는 각각의 실내외 열전달계수가 작은 값을 갖기 때문에 단일창과 이중창의 열관류율의 차이는 비교적 작게 나타난다. 2) 단일창과 이중창의 유리창 표면의 온도 분포를 살펴본 결과, 이중창에서의 열전달율은 단일창에 비해 약 10% 더 단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3) 경험식과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이중창에서 전도를 무시한 경우와 전도를 고려한 경우의 열전달율을 비교해보면 약 4~5 %의 차이를 보인다. 4) 기존 문헌에 존재하는 밀폐 공간 내에서의 자연 대류에 의한 열전달 관계식은 두개의 수식 벽이 각각 다른 일정 온도로 유지되는 조건에서 유지하였다. 실제 이중창의 열전달 조건(H/δ>> 100, Ra<10^(5))에 적용한 경우와 비교한 결과 상당한 차이를 보이므로 실제 이중창의 열전달 조건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며, 적합한 상관 관계식의 유도가 필요하다. (3) 이중창에서 공기층 두께의 증가에 따른 열전달율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공기층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열전달율은 계속 감소하다가 어떤 최적의 공기층 두께에서 최소가 됨을 확인하였고, 그 이상의 두께에서 열전달율은 크게 증가하지 않음ㅇ르 확인하였다. (4) 실내외 온도차가 34℃인 경우에서, 열전달율이 최소가 되는 공기층의 최적두께를 살펴보면, 전도를 무시하였을 경우는 약 δ=15∼18mm이고, 전도를 고려한 경우는 이보다 약간 증가하여 약 δ=18∼21mm임을 확인하였다.

      • 추가증정과 시간차이가 소비경험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황호준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판매촉진 전략의 수량할인 방법 중 하나인 추가 증정, 즉 Buy-one-get-one-free (BOGO)가 소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증명하는 한편, 소비 즐거움을 매개하는  정서와 인지적 판단이 조절초점에 의해서 어떻게 조절 되는가인 조절된 매개 효과도 함께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큰 맥락에서 다음 세 가지를 밝히고자 탐구되었다. 첫째로 추가 증정 프로모션이 소비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으며 둘째로 조절초점(regulatory focus)에 따라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절초점(regulatory focus)에 따라 인지적 평가가 어떻게 이뤄지는가 보았다. 제품을 추가로 증정해주는 수량할인 방식은 구매 시점에서 소비자에게 긍정적 감정을 갖게 해주기 때문에 소비 경험에 감정의 파급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하지만 소비 시점이 지연되면 감정적 영향은 줄어들고 인지 과정의 영향이 커져 인지적 평가가 소비 경험을 결정 짓는다. 추가 증정의 여부에 의한 소비 경험에 있어 감정과 이성의 이중정보처리 경로의 영향이 바뀜에 있어 조절초점의 영향을 보았다.

      • 헤더변환 방식을 이용한 IPv4/IPv6 변환의 보안성 향상 관한 연구

        황호준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1980년대에 컴퓨터 통신의 표준으로 널리 사용되었던 IPv4는 이제 한계점에 도달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런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새로운 버전의 IPv6(IP Version 6)의 도입을 준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IPv6의 제일 큰 문제는 IPv4와의 호환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Dual Stack 방식, Tunneling 방식, Header변환 방식이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Dual stack 방식은 IP 계층에 IPv4와 IPv6 기능을 모두 설치해서 기능을 분할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인데, IP 계층의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에 대한 수정이 불가피하므로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Tunneling 방식은 IPv4 네트워크 환경에서 IPv6 호스트간의 통신을 위해서 고안된 방식으로 IPv6 패킷을 IPv4 네트원크 망을 통과할 수 있도록 IPv6 패킷을 IPv4 패킷에 삽입하여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모든 IPv4 라우팅 하부구조상에 IPv6 패킷의 Tunneling 기법을 추가해야 하므로 구현이 쉽지 않고 동작 과정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Header 변환 방식은 IPv4 네트워크 망과 IPv6의 네트워크 망을 변환기를 통해서 IP Header를 변환 시켜주는 방식으로 구현이 용이하고 구현 절차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기존의 IPv4에서 가지고 있는 취약성을 내포할 수 있다 하겠다. 본 논문에서 제기되어온 3가지 변환 방법 중에서 Header변환 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시도 되었다. Header 변환 방식의 취약성인 종단간 보안의 위약함을 개선하기 위해서 IP Header의 필드 값들을 각에 대응하는 필드값으로 변환 시킨 후에 IPSec(IP Security)의 ESP(Encapsulation Security Payload)를 적용시켜 패킷 단위의 "암호화된 Header 변환 방식"을 제안하여 Header 변환 방식이 가진고 있던 기존의 취약성을 해결하였다. The IPv4 that used to be generally used as a medium of computer communications in 1980s has reached its limits now. IPv6 (IP Version 6) is being prepared to solve the limitations of the IPv4. However, the biggest problem of IPv6 is that it is not compatible with the IPv4. To resolve the compatibility issue, Dual Stack, Tunneling and Header Converting methods have been proposed. However, with the Dual stack method, all of IPv4 and IPv6 functions have to be installed in the IP layer, since it is impossible to edit the Protocol Stack in the IP layer, it becomes too expensive. Tunneling method is made for communications between the IPv4 and IPv6 in the network environment. With the Tunneling method, the IPv6 packet is insulted in the IPv4 packet and transmitted. Since this method requires an addition of IPv6 packet Tunneling method under the IPv4 routing structure, the embodiment is hard and the operation becomes complicated. The Header Converting method allows communications between the IPv4 and IPv6 networks with the converter. This method’s strength is that it is easy to embody and the procedures for embodiment is simple. However, this method still contains the weaknesses that the existing IPv4 has. On the current document, the Header Converting method among the three methods is discussed to resolve the problems this method has. To solve the Header Converting method’s weakness, the security problem between sections, the IP Header field values are converted to the relative field values and IPSec (IP Security) and ESP (Encapsulation Security Payload) are applied. The proposed “Encrypted Header Converting Method” that is encrypted in packet units has solved the weakness that the pre-existing Header Converting method used to have.

      • 마찰교반용접에서 공구의 회전방향에 따른 Al합금의 파괴특성에 관한 연구

        황호준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search is about the weight lightening materials, which can substitute the existing materials has actively proceeded to improve fuel efficiency and reduce the carbon dioxide emission in the industry field. As alternative materials aluminum alloys attract particulaly attentions in the industry of shipbuilding, vehicle and aerospace. The strength of weight ratio, corrsion resistence, fracture toughness, low temperature property and machinability of aluminum alloys are excellent in comparison of other materials properties. For these reason, aluminum alloys have achieved recognition as lightening materials for various field. Meanwhile, fusion welding, which uses the inactive gas have been applied on welding Aluminum alloys, but the defects from thermal, such as crack, deformation, can easily occur for fusion welding process as well as the strength of welding zone can decline. In case of the dissimilar welding proces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welding zone were declined due to the defects, which were occurred by disti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characterization as existing fusion welding process. Therefore, the Friction Stir Welding(FSW) was developed to solve these problems, and researches have been actively proceeded in various part of the world. Friction Stir Welding process applies a rotating tool consisting of a threaded pin and tool shoulder to generate severe plastic deformation and frictional heating to the base material to produce a strong metallurgical joining. The cross section, which is occurred by FSW process can be divided into four section, stir zone(SZ), thermal mechanical affect zone(TMAZ), heat affect zone(HAZ), base material(BM). Firstly, dynamic recrystallization is generated by the welding pin in the Stir Zone, the thermal mechanical affect zone is closed to SZ and the serious plastic deformation occures in TMAZ, HAZ indicats Heat affect Zone and the part of the BS is not non-affected as welding process. The dissimilar welding process need to be studied more and developed to be able to apply in various field as well as same kind materials welding, therefore, the joint process of multiple structure materials are essential in case to manufacture the products in the industrial fields. To apply the Friction Stir Welding on the materials that have different machanical properties, the parameters that was used in same kind welding, such as tool shape, rotating speed, welding speed and weight, is not only important on dissimilar welding process, but other conditions are also considered. In the FSW process, the advancing side(AS) and retreating side(RS)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ool. In addition, the different properties of joint section indicate by the placement method of materials and insertion position of the tool from center of joint. In this research, the friction stir welding was conducted on Al 2024-T3 and Al 7075-T6. It is investigated whether the friction stir welded materials can be applied on actual structure, so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welded materials were investigated and the friction stir welding was conducted with different rotating direction of tool, and then influence of rotating direction in the friction stir welding process is investigated. In the hardness test, the value of hardness is much lower at the heat affect zone, the hardness values were distinguished with rotating direction and the results of tensile test were almost the same, but the surface of cleavage fracture and ductile fracture indicated with rotating direction of the tool in the tensile test as well as the fatigue life and fatigue fracture surface were also different with welding condition in fatigue 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