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문직 남성은퇴자와 은퇴예정자의 자원봉사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관계망, 자원봉사활동의 매개효과 검증

        황치정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사회의 전문직 은퇴자와 은퇴예정자를 대상으로 그들이 수행하는 자원봉사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관계망과 자원봉사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에 거주하고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55세~69세의 고졸이상 전문직 은퇴자와 은퇴를 5년 이하 남겨둔 남성들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여 286건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관계망과 자원봉사활동이 자원봉사몰입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는 매개모형을 수립한 후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자원봉사몰입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 영향관계 뿐만 아니라 사회관계망과 자원봉사활동이 이 둘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해 Baron and Kenny(1986)의 간접적인 방법과 MacKinnon et al(2002)의 직접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몰입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사회관계망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매개변인인 사회관계망은 자원봉사몰입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은퇴자와 은퇴예정자 모두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는 가족이나 친구들과 같은 사회관계망이 자원봉사몰입과 관계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김동현·윤복만(2010), 홍은진(2008), Finegan(2000), Snyder(1999) & Crain(1999), Wilson(2000) 등과도 일치하는 결과였다. 둘째, 자원봉사몰입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자원봉사활동기간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매개변인인 자원봉사활동기간은 자원봉사몰입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은퇴자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은퇴예정자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은퇴자에 대해서는 Freudenberg(1974), Wilson(2000)의 자원봉사의 소진(burnout)은 자원봉사 일이 비용과 위험적인 측면에서 중도에 그만두는(drop out) 비율이 높다는 것과 일치했다. 셋째, 자원봉사몰입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자원봉사 1회 시간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매개변인인 자원봉사 1회 시간은 자원봉사몰입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은퇴자와 은퇴예정자 모두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은퇴자와 은퇴예정자의 가족이나 친구 그리고 이웃 간 접촉과 모임이 사회관계망의 역할로서 자원봉사몰입은 심리적 안녕감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자원봉사를 수행하는 전문직 은퇴자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은퇴 전후에 자녀, 형제, 친구, 이웃 등과의 연락이나 접촉을 할 수 있는 비공식적 친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자원봉사기관이나 복지기관에서 이를 실천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입이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더불어 그들을 만족스럽고 자발적으로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은퇴를 두려워하거나 대인관계의 단절을 걱정하지 않도록 지지하고 격려하여 심리적인 문제를 대처할 수 있는 방안과 정책이 요구된다. 둘째, 전문직 은퇴자의 자원봉사몰입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원봉사활동기간은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Freudenberg(1974)와 Wilson(2000)이 주장한 자원봉사의 소진에 의해 자원봉사를 중간에 그만둔다는 관점보다는 Wilson & Musick(1997)의 생산적 활동이라는 관점의 부각을 통해, 자원봉사자의 기여가 가치와 동기부여라는 인식을 강화시켜 주거나 증대시켜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자원봉사활동을 중도에 포기하는 원인을 분석하여 소진을 줄이고 자원봉사활동에 몰입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들이 제공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으로는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이 서울, 경기에 거주하는 만 55세 이상 69세의 자원봉사를 수행하는 전문직 남성은퇴자와 은퇴예정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를 전체 남성, 특히 비전문직 남성에게까지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원봉사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검증에 있어서 횡단적 조사 설계를 활용함으로 인해 다양한 요인변화에 따른 추이검정에 한계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은퇴자나 은퇴를 준비하는 전문직 자원봉사자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사회관계망과 자원봉사활동기간의 중요성을 매개효과의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는 비자발성, 무보수성인 자원봉사활동을 수행하면서도 개인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개입 방안으로 사회관계망과 자원봉사활동기간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network and volunteer work activities with respect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ospective and retired male professionals who are committed to volunteer work activitie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setup in this study, a survey was performed among 286 retired and prospective male professionals residing in Seoul and Gyeong Gi-do whose age ranging between 55 and 69. Survey result was analyzed and applied to the study. SPSS 18.0 was utilized for the analysis. In this study, a mediation model was established on an assumption that commitment to social network and volunteer activity will have mediation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ubjects. Then,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prove that commitment to volunteer work activities promot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lso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network on volunteer activities. In this proces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s, the indirect method of Baron and Kenny(1986) and the direct method of MacKinnon et al(2002) were utilized.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the commitment to volunteer work activities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network were verified and found to be partially apparent among the retirees and the prospective retirees. The study result of Kim Dong Hyun  Yoon Bok Man(2010), Hong Eun Jin(2008), Finegan(2000), Snyder(1999) & Crain(1999), and Wilson(2000) states that the social networks, such as family members or friends will have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with respect to commitment to volunteer work, and this study result is in agreement with the studies mentioned above. Second, With respect to the commitment to volunteer work activities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length of volunteer work and its mediation effects on the commitment to volunteer work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as tested and found to be apparent among the retirees. However, it shows no effect among the prospective retirees. This finding is in agreement with the findings of Freudenberg(1971) and Wilson(2000). They have found that the expenses and the dangers of volunteer work is the cause of “burnouts” and “drop outs”. Third, With respect to the commitment to volunteer work activities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ediation effect of one-time volunteer work was tested and found no effect. On the basi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Among the retirees and the prospective retirees, contacts and meetings of family members and neighbors are very important for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fore, it will be beneficial if the volunteer service organizations and or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can develop friendly and informal program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nd contacts among the children, siblings, friends and neighbors before and after their retirement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hen they get involved in volunteer work activities. It also seems necessary to develop plans and policies to help them get involved in the society and be content in doing so without fearing about retirement or isolation from human contacts. Second, With respect to the commitment to volunteer work activities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retired professionals, it was found that the length of volunteer work has a negative mediation effects. This suggests that rather than settling with the view that people drop out of the volunteer work because they are burned out as the findings of Freudenberg(1974) and Wilson(2000), it would be necessary to intervene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the volunteer work, and to motivate and show them that it is a productive activity as the findings of Wilson & Musick(1997). Also, finding and analyzing the causes of drop out in volunteer work to reduce the “burnout”, and developing programs to promote commitment in volunteer work is a very important task. The limit of this study was that the collection of the data was done only among the prospective and retired male professionals, age group between 55 and 69 who are residing in Seoul and Gyeong Gi-do and currently in volvedin volunteer work. Because of this aspect, applying the result generally to all male, especially all non-professional male would be some what in appropriate. Also, applying the hypothesis with respect to the commitment to volunteer work activities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cross the board has a limitation in proving all the variables.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had verified, by proving the mediation effects,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network and the length of volunteer work for improv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prospective and retired professionals of our society. Notwithstanding the aspect of the volunteer work that it is involuntary and unpaid, this study had provided a valid point in practicing social welfare to improve the social network and the length of volunteer work as a means of increas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individuals who are involved in.

      • Aspects of the analytical formulation and applicability of a three-dimensional shape descriptor function

        황치정 University of Conneticut 1987 해외박사

        RANK : 248623

        본 논문은 삼차공간 물체의 shape(surface 형태)를 물체의 global function을 nume rical value로 표현하여 다음과 같은 성질을 만족시키는 spherical shape descriptor 를 개발하여 물체의 shape를 자동분석 인식하는데 있다. (1)shape Descriptor가 물체 의 표면에서 연속 (2)shape descriptor가 삼차원에서의 회전그룹 SO (3)의 action에서 불변 (3)shape Descriptor를 compact form 으로 나타내어 물체의 인식을 쉽게 할 수 있으며 compact form하에서도 orientation, rotation, translation 또는 change of pa rameter에 관계없이 결과적으로 물체를 자동 분석, 인식, 표현가능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