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각-언어 이동을 위한 다중 모달 공동 임베딩과 역추적 탐색

        황지수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시각-언어 이동 작업(Vision-and-Language Navigation, VLN) 작업을 위한 새로운 심층 신경망 모델(deep neural network model) JMEBS(Joint Multimodal Embedding and Backtracking Search model)를 제안한다. 시각-언어 이동 작업들은 자연어 지시와 파노라마 영상으로부터 실시간적으로 작업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멀티 모달 입력 데이터 간의 상호 정렬(alignment)과 접지(grounding)를 요구한다. 따라서 제안 모델인 JMEBS에서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 기반의 멀티 모달 공동 임베딩(joint multimodal embedding) 모듈을 이용한다. JMEBS 모델은 매 시간(time-step)마다 현재의 입력 영상과 자연어 지시를 결합한 멀티 모달 맥락 정보(multi-modal context) 뿐만 아니라, 과거의 상태와 행동들을 포함하는 시간적 맥락 정보(temporal context)도 함께 활용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제안 모델 JMEBS는 작업 성공률(task success rate)의 향상과 이동 경로(navigation path)의 최적화를 위해, 후보 행동들(candidate actions)에 관한 지역 및 전역적 평가 점수(local and global scores)를 토대로 역추적이 가능한 지역 탐색 알고리즘(backtracking-enabled local search)을 포함하고 있다. 또 제안 모델 JMEBS에서는 현재까지 탐색한 부분 경로를 복수의 자연어 지시들과 비교하는 새로운 전역적 평가 방법도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atterport3D 시뮬레이터와 R2R 벤치마크 데이터 집합을 사용한 다양한 실험들을 통해, 제안 모델 JMEBS의 높은 성능을 입증한다. This paper proposes Joint Multimodal Embedding and Backtracking Search (JMEBS), a novel deep neural network model for vision-and-language navigation(VLN) tasks. VLN tasks require the alignment and grounding between multimodal input data to enable real-time perception of the task status on panoramic image and natural language instruction. To this end, the proposed model JMEBS uses a transformer-based joint multimodal embedding module. JMEBS uses both multimodal context, which connects the current input image to the corresponding natural language instructions, and temporal context, which contains the agent’s past statuses and actions, at each time step. It also employs Backtracking-enabled Greedy Local Search(BGLS), a novel algorithm with a backtracking feature, designed to improve the task success rate and optimize the navigation path, based on the local and global scores related to candidate actions. A novel global scoring method is also used for performance improvement by comparing the partial trajectories searched thus far with a plurality of natural language instruction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is then experimentally demonstrated using various methods using the Matterport3D Simulator and room-to-room(R2R) benchmark datasets.

      • Arts PROPEL을 적용한 중학생 오케스트라 합주를 위한 학습지도안

        황지수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0년 7월, 교육부와 문화체육관광부는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초, 중등 예술교육 기본방안’을 공동으로 발표했다. 2011년에는 예술교육의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음악 활동을 통한 인성 함양 및 학교폭력 예방 등의 목표하에 학생 오케스트라 사업을 시행했다. 이 사업은 학생들의 인성 변화, 교육적 효과 등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며 성공적인 결과를 냈고, 현재까지도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오케스트라 교육에 있어 교사의 역량 부족, 부실한 학습 내용 및 구체적 지도방안의 부재와 같은 아쉬움이 꾸준히 제기되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학생 오케스트라 수업을 위한 유익한 학습 내용 구성 및 구체적 지도방안 마련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교육부에서 제시한 창의융합형 인재상과 핵심역량을 중시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기조에 따라 음악 교육 분야에서도 교육학 흐름이 변화하고 있다. 이는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다양한 지식을 통합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 할 수 있는 역량 함양을 목표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rts PROPEL을 적용하여 중학교 오케스트라 수업에서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를 기르며 자기 주도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포함하는 학습지도안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Arts PROPEL의 ‘작품(연주, 감상), 지각, 반성(평가, 계획)’ 요소가 통합되어 모든 수업에 적용되며, 연주 도메인 프로젝트의 단계를 재구성하여 차시별 학습 목표와 내용에 적절하게 사용한 학습지도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불어, 매 수업마다 프로세스-폴리오를 사용하여 학생들의 반성적 사고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포함한다.

      • 그림과 작업기억력이 구체명사 및 추상명사의 단기 및 장기 습득에 미치는 영향

        황지수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pictures and working memory affect short- and long-term retention of concrete and abstract nouns. To this end, 108 sixth grad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 an experimental group (N = 54) was instructed to learn target words (10 concrete and 10 abstract nouns) with corresponding pictures and (b) a control group (N = 54) was asked to learn the same words without picture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spond to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tests immediately after and two weeks after the treatment.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ictures had the more significant effect on long-term receptive knowledge of concrete nouns than abstract ones. Second, working memory capac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ceptive knowledge of the concrete nouns in terms of both short- and long-term retention. Coll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 of pictures depends on word type and learners' working memory capa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Korean EFL learners' intentional vocabulary learning and instruction.

      • 바르톡(Bela Bartok)의 Improvisations on hungarian peasant songs op.20에 관한 연구

        황지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필자의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연주회 곡목 중 하나인 바르톡(Bela Bartok 1881-1945)의 Improvisations on Hungarian Peasant Songs Op.20에 관하여 연구한 것이다. 20세기 초반은 새로운 실험적인 음악 양식이 다양하게 탄생되었던 시기이다. 이러한 20세기의 대표적 작곡가의 한 사람인 바르톡은 뛰어난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이며 민속음악학자이기도 했다. 바르톡의 음악에 큰 영향을 끼친 헝가리 민속음악의 특징을 헝가리 민요의 초기 형태에서 이어져 온 옛 양식과 19세기 이후에 대중 예술곡으로 유형화된 새 양식의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바르톡은 이 중에서 옛 양식이 토착화한 것이므로 선호하였다. 이러한 민속적 요소를 기본으로 한 바르톡의 일반적인 음악 특징을 여러 다른 작품의 예를 가지고 음계, 선율, 리듬, 화성의 요소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주로 5음음계와 선법을 비롯, 반음계와 온음음계를 사용하였고 선율 역시 이러한 음계에 기초한 유형이다. 리듬은 바르톡 음악의 중요한 부분이며 새로운 음악 자원을 개발한 것이라 하겠다. 화성은 부분적으로 대위법적 진행의 우연한 결과이며 그가 주로 사용한 음계와 관련이 있다. Improvisations on Hungarian Peasant Songs Op.20은 8개의 헝가리 민요를 바탕으로 작곡된 것이다. 원래의 민요 선율에 민속적 소재를 새로운 음악 어법에 맞게 구성해 나간 곡이다. 8개의 민속 선율은 모두 선율과 화성, 리듬 등에 서로 공통점을 지니며 곡 전체의 통일성을 만든다. 또 곡의 구성은 8개로 되어 있지만 바르톡 자신이 붙인 아타카(attaca)에 의해 제 1-2곡, 제 3-4-5곡, 제 6곡, 제 7-8곡의 네 그룹으로 나누어 생각할수도 있다. 곡이 전개됨에 따라 주제 선율은 자유로운 템포와 박자, 다이나믹 등을 통해 즉흥적이고 자유로운 흐름을 보여 준다. 바르톡은 민속적 음악 요소를 연구하여 참된 의미에서의 농민 음악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20세기의 새로운 음악 어법을 통하여 훌륭히 표출하였다. 또 바르톡의 음악은 고유의 민속적 어법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보여 주고 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Be´la Barto´k‘s "Improvisations on Hungarian Peasant Songs op.20". Barto´k is Hungary’s most renounced composer as well as an ethnomusicologist of the twentieth century. He defined the meaning of Hungarian folk song classified it. The character of Hungarian folk music which influenced Barto´k‘s music is divided into two styles. One is an old style which has been maintained since early times. The other is a new style which materialized as a popular art song after the nineteenth century. Barto´k considered the former the more valuable owing to its aboriginal sources. Barto´k’s folk musical features such as scale, melody, rhythm and harmony were studied through various other works. Barto´k used mainly the pentatonic scale, modes, chromaticism, and the whole-tone scales. Rhythm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Barto´k's music, and it developed as one of the new musical resources. Harmony is partially the incidental result of contrapuntal melodic motion as well as being related to the scales used by him. This work, the "Improvisations on Hungarian Peasant Songs op. 20" is composed on the basis of eight Hungarian folk songs. To each melody, Barto´k added other ethnic his materials and presented this work according to his new musical language. These eight folk melodies have much in common as to melodic structure, harmony and rhythm, and together make a unified whole. But this work may be divided into four groups, Ⅰ-Ⅱ, Ⅲ-Ⅳ-Ⅴ, Ⅵ, and Ⅶ-Ⅷ, according to Barto´k's own indication by use of the word "attaca". This work is made up of free tempo, beat, and dynamics by improvisation of thematic melody. Bartok discovered peasant music in its real sense through scientific research. The peasant music of Hungary with the use of the new music phraseology of twentieth century, led to a completely new style instituted by Barto´k.

      • 식품첨가물 이산화티타늄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안전성 연구

        황지수 서울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itanium dioxide (TiO2) is a naturally occurring oxide of titanium. TiO2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cosmetics, tablets, germicides, and also used in photocatalyst due to its high oxidizing power. In particular, TiO2 is used as a food additive in diverse commercial foods including candy, chocolate, jelly, and sauces to improve functionality as a coloring agent. Food additive TiO2 is labeled as E171 in Europe and INS171 in the USA. Recent advances in nanotechnology lead to the production of nano-sized TiO2, which may increase the potential toxicity of TiO2 as food additive E171. However, the current specification of food additive TiO2 dose not include characterization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this study, five food additive TiO2 were used as test materials, and compared with general-grade nano and bulk sized TiO2.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primary particle size, morphology, chemical characterization, hydrodynamic radii, and zeta potentials of food additive TiO2 particles were characterized by SEM and Zeta-sizer Nano System.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iO2 was performed by optimizing the pretreatment method in simulated foods and the accuracy of the analysis was verified through calibration curves. In addition, 13 commercial products containing TiO2 (chewing gum, candy, chocolate, jelly, sauces, and snacks) were purchased on the market, and acid digestion was performed followed by physicochemical and quantitative analysis. The toxicity of food additive TiO2 was confirmed in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aco-2 cells, and intestinal transport mechanism was evaluated using 2D and 3D models of intestinal epithelial barriers. As a result, The SEM and DLS results confirmed that food additive TiO2 was a material mainly consisting of larger than 100 nm.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found between food additive TiO2 and general-grade bulk sized TiO2. Furthermore, the particle sizes of TiO2 recovered from commercial foods were larger than 100 nm as observed in pristine food additive TiO2. Overall, it is confirmed that commercially available food additive TiO2 is not a nanostructured material according to the EU recommendation. Quantitative analysis of TiO2 in the commercial foods contained less than 1% TiO2. The cytotoxicity of TiO2 in Caco-2 was mainly associated with ROS generation, long-term inhibition of colony-forming ability, and apoptosis induction only at high concentration. However, these results were not affected by TiO2 type and size. The evaluation of intestinal transport mechanism showed extremely low transport amount (0.12-0.14%) of TiO2 particles regardless of particle type and size2, which is consistent with in vivo oral absorption obtained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TiO2 particles to rats. These findings will be useful for the application of TiO2 in the food industry and for predicting potential toxicity. Moreover, these results will be served as fundamental data for further safety studies.

      • 蔚山中山洞墳墓硏究

        황지수 동국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ite in Jungsan-dong, Ulsan, is a major transportation hub as it has Ulsan port among the three transportation routes that can reach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from the Gyeongju Basin, the center of the Silla sphere of influence. In addition, ancient tombs, living sites, and production sites of Silla were all identified over the 2nd to 7th centuries.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unit site to look at the occurrence, change, and extinction process of the Jungsan-dong group.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cords, the ruins of Jungsan-dong belong to the Silla area. So, the site in Jungsan-dong is an important site to identify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illa. However, the report has not been published and excavation survey has been carried out within a limited range, so the research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the remains. Therefore, I aim to reach the overall changes in the Jungsan-dong ruins so that we could grasp them at a glance, and examined the changes in the Jungsan-dong group. First, I produced the relatively chronology to the earthenware excavated from the tombs in Jungsan-dong. As a result, the tombs in Jungsan-dong was changed to 10 stages. Next, we looked at the changes in the tombs in Jungsan-dong at each stage, and looked at the distribution of large-scale tombs and how new tombs began to be constructed.

      • Phase noise 이론을 적용한 VCO의 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 특성 분석

        황지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위상 잡음 이론을 적용하여 대표적인 VCO인 ring VCO와 LC VCO의 EMS 특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모바일 DDI의 구성과 해당 회로에서 발생하는 EMS 문제의 원인을 살펴봄으로써, 모바일 DDI 내에서 클락 발생기 역할을 담당하는 RC 발진기 회로가 외부에서 가해진 전원 전압의 잡음에 특히 취약하며, 이로 인해 다른 회로에도 EMS 문제를 야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상 잡음 이론을 적용하여 전원 잡음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1.2 GHz 기준 발진 주파수를 갖는 LC VCO 와 ring VCO 의 EMS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간 영역 시뮬레이션 결과로, 위상 잡음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임펄스 감도 함수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여러 종류의 전원 잡음의 인가에 따른 VCO의 전자파 내성을 분석한 결과 LC VCO 의 EMS 특성이 ring VCO 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트랜지스터 레벨의 분석을 통해 전원 잡음으로 인해 발생한 기생 전류가 위상 잡음으로 변화하는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전원 잡음의 인가에 따른 임펄스 감도 함수를 추출ㆍ비교하고 지터를 비교함으로써 전원 잡음에 취약한 VCO를 찾고 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 실재의 비가시적 이면에 관한 작업 연구

        황지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작업 연구에서는 ‘실재’와 그것을 지각하는 주체의 ‘의식’이 관계를 맺는 방식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지각된 대상’이 ‘대상 자체’와 완벽히 일치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으며, ‘시간’을 수단으로 ‘존재’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객관화 자기에게 직접 관련되는 사항을 제삼자의 측면에서 보거나 생각하는 일. 하려고 시도하였다. 본인은 ‘실재’를 가시적인 부분(물질, 신체)과 비가시적인 부분(의식, 혼)이 서로 얽혀 있는 것으로 파악한다. 여기에서의 비가시적인 부분은 물리적으로 실재하는 것은 아니나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도 아니다. 그래서 본인은 ‘실재’의 보이지 않는 것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실재’와 ‘인식하는 것’의 사이에서 ‘보는 행위’에 더 집중하여 그 ‘간극’ 자체를 관찰하는 것으로 작업은 전개되었다. 작업들은 객관화시킬 수 없는 인간의 의식을 은유하였고(작품 1), ‘실재’의 비가시적인 부분을 시간 속에서 가시화하였다. (작품 2, 작품 3, 작품 4, 작품 5) 그리고 ‘실재’와 ‘보는 것’ 사이의 관계를 관찰하여 지각의 불완전함을 보여주려 하였다. (작품 6, 작품 7) 이러한 작업들의 모티프는 본인의 경험 속에서 찾았다. 본 작업 연구를 통하여 우리가 대상을 볼 때 ‘보이지 않은 부분’들이 함께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이지 않는 부분’들은 대상의 일부로서 ‘보이는 부분’과 항상 얽혀있는 것이다. 실재하는 것은 하나의 언어로 정의될 수 없으며, 다양한 시공간의 관념이 내재하여 겉으로 드러나는 것이다. 본인의 작품 역시 이러한 관념을 반영한 결과물로서 그것이 갖는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 불안: 인간의 원죄에 관하여 : 키에르케고르를 중심으로

        황지수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키에르케고르는 자신에게 존재하는 불안의 감정에 대한 깊은 고찰을 통해 불 안과 원죄의 관계를 생각하게 되었고, 불안을 통해 원죄를 설명할 수 있다고 보 았다. 키에르케고르는 원죄는 아담의 죄가 우리에게 유전된 것을 말하는 것이 아 니라, 개인이 아담과 같이 스스로 범죄함으로 생겨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키에 르케고르는 죄가 불안으로부터 발생한다고 보았는데, 불안은 자유의 현기증으로 서, 불안한 인간에게서 질적비약인 죄가 일어난다고 보았다. 키에르케고르는 불안이 인간의 최초의 죄를 일으키는 한편 죄로 인해 인간이 불안에 빠진다고 보았다. 따라서 실존에서 불안과 죄는 반복되는 굴레와 같은 것 으로 생각하였다. 그러나 키에르케고르는 원죄를 설명하기 위한 도구로서 불안 사용하는 한편, 불안이 구원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 길로, 구원을 지향하는 첫 걸음으로 바라보았다. 키에르케고르의 원죄론은 불안이라는 인간의 실존적인 문제를 교회의 가르침 인 교리를 통하여 해석해내는데, 이는 교리를 실존과 더불어 연구할 수 있게 하 는 시도로서, 교리를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교회의 가르침과 삶의 실존적인 문제의 괴리로 인해 교리의 중요성이 상실되는 현 시대 의 교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주제어 : 키에르케고르, 원죄, 불안, 구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