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체로서의 몸 살리기

        황정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주체로서의 몸'을 고찰하여 우리 사회의 반생명적인 문화로 인해 나타나는 몸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스스로 자신의 몸을 살릴 수 있는 '몸 살리기'를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대사회의 몸의 문제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몸 살림'의 의미, 동서양의 신체관(身體觀)을 살펴 '주체(主體)로서의 몸'과 '심신일여(心身一如)로서의 몸'의 의미를 알아보고 몸 살리기 수련을 제안하였다.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인들의 몸의 문제는 주체로서의 몸을 인식하지 않고 몸 위에 군림하는 형이상학적 사고, 몸의 실천지(實踐知)를 무시한 학교교육, 몸을 대상화한 의료체제, 사회적 이상미(理想美), 비주체적(非主體的)인 생활, 심신의 부조화 등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몸 살림'이란 이러한 총체적 문제의 해결주체로서, 몸의 각성을 의미한다. 둘째, 이원론적 일방우선(一方優先)의 세계관은 몸의 자연성을 잃게 하고 주객(主客)을 분리하는 상하서열적인 사회와 자신의 몸을 스스로 억압하는 자기 권력을 낳았다. 이렇게 권력화 된 절대주체, 일방우선의 주체는 해체되어야 하며 관계성을 중시하는 평등한 상호주체가 요구된다. 셋째, 몸은 생명의 물질적 힘인 정과 마음의 기, 의식의 신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이는 일체로서의 성질을 갖는다. 넷째, 몸 살리기 과정에서의 이완하기, 숨 깨닫기, 감각 깨우기 등은 깨어있는 의식, 마음의 평화와 충만, 살림과 치유의 감각 등을 깨우는 자기수련으로, 주체로서의 몸을 통한 자기다움의 삶을 의미한다. 주체로서의 몸 살리기의 사회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몸의 움직임을 통한 실천지의 의미'가 간과되어 있는 학교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색으로, 주체로서의 몸 살리기는 학생 스스로가 주체로서의 몸을 인식하고 깨칠 수 있는 전인교육의 성격을 갖는다. 둘째로 이 사회의 반생명적인 현상으로 나타나는 몸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몸 살림 실천의 성격을 갖는다. 작금의 몸 문제는 '주체로서의 몸'이 '살림의 주체'로서 그 역량을 발휘할 때 해결의 길을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주체로서의 몸 살리기는 각자 스스로 자신의 몸을 살리는 자기 수련이다.

      • 초등교사의 행정업무 부담이 교사 헌신을 매개로 학생 이해 수준에 미치는 영향

        황정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행정업무 부담과 학생에 대한 교사 헌신, 교사의 학생이해 수준의 관계를 분석하여 교사의 학생 이해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 마련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초등교사의 행정업무 부담, 학생에 대한 헌신, 학생이해 수준은 어떠한가? 나. 초등교사의 행정업무 부담이 교사의 학생이해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헌신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나-1. 초등교사의 행정업무 부담이 교사의 학생 이해 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나-2. 초등교사의 행정업무 부담이 학생에 대한 교사 헌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나-3. 초등교사의 행정업무 부담이 교사헌신을 매개로 학생이해 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교장, 교감, 영양교사, 보건교사, 교과전담교사를 제외한 담임교사만을 대상으로 30개의 학교에 10∼20부씩 총 38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된 345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담임교사가 지각한 행정업무 부담 수준 측정은 김선미(2011)의 설문지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학생에 대한 교사헌신은 노종희(2004)와 홍창남(2005)의 연구를 토대로 설문문항을 구성하였다. 교사의 학생이해 수준은 김정원(2013)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배경변인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성별, 보직여부, 경력, 담당학년, 학급당 학생수, 학교규모로 설정하였다. 배경변인별 각 변인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F 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헹정업무 부담, 교사헌신, 학생이해 세 변인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 변인별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지각한 행정업무 부담 수준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 봤을 때 양적부담보다 심리적부담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에 대한 교사 헌신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는 동일시 영역이 가장 높았으며, 관여, 가치인식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학생에 대한 이해수준은 비교적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는 공감적이해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학습영역에 대한 이해, 비학습 영역에 대한 이해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관관계 분석결과 행정업무 부담과 학생이해 수준은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학생에 대한 교사헌신과 학생 이해 수준은 정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 보직여부, 경력, 학생연령, 학급당 학생수, 학교규모를 통제변인으로 설정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가 지각한 행정업무 부담은 교사의 학생이해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으며 학생에 대한 교사 헌신에 영향을 미쳤다. 교사의 행정업무 부담, 학생에 대한 교사헌신, 교사의 학생이해를 하위 요인별로 세분화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생에 대한 교사 헌신은 교사의 행정업무 부담과 학생이해 수준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내린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업무부담 수준이 보통으로 인식되고 있다.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했을 때 업무부담 수준이 비교적 낮게 인식되고 있으나 여전히 업무부담을 느끼는 교사가 많고, 성별과 보직여부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아 행정업무경감을 위한 방안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둘째, 학생에 대한 교사 헌신 수준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본적으로 교사는 학생에게 느끼는 정서적 호감도나 학생의 교육적 성장을 위해 기꺼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사의 행정업무 부담이 교사헌신을 매개로 하여 학생이해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교사의 학생 이해수준에 행정업무 부담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보다 교사의 헌신을 매개로 했을 때 더욱 영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결론을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사의 학생 이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학생에 대한 교사헌신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교사의 행정업무 부담과 교사의 학생이해 수준에 학생에 대한 교사헌신의 매개 효과는 밝혀졌지만 이 변인들 간의 구체적인 영향 정도와 매개수준을 세밀하게 측정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 대상을 학교 유형이나 급별로 확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주제어 : 업무부담, 교사헌신, 학생이해, 매개효과 * 본 논문은 2015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ive implication for having improved plans which help teachers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towards students by analyzing teachers’ administrative burden and understanding students through teacher commitment. Focusing Questions; A. How to understand teachers’ administrative burden, teacher commitment, understanding student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B. How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commitment works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level for students with administrative burden. B-1. How does teachers’ administrative burden affect to understand students? B-2. How does teachers’ administrative burden affect to commitment to students? B-3. How does teachers’ administrative burden affect to understand students through teachers commit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preceding research analysis, theoretical background to solve above focusing questions. Utilizing the result of 345 recovered questionnaires out of 380 ones, which were handed out 30 elementary schools; 10~20 quantifies for each school, for Homeroom teachers except Principle, Vice Principle, Nutrition teacher, Nurse teacher and Subject teacher. Recomposition of Kim Sun Mi(2011)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the administrative burden levels being perceived by homeroom teachers, and questionnaire about Teachers' devotion to students was based on No Jong Hee(2004) & Hong Chang Nam(2005)' studies. Teachers' understanding level to students was based on Kim Jung Won(2013)'s questionnaire. Background parameters were set as gender, job assignment, career, teaching grade, number of students in class, school scale by analyzing advanced research. To analyze differences of factors, t/F method was employe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administrative burden, teachers' devotion was accomplis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below. First, the administrative burden level being perceived by homeroom teachers was average level, and as a sub factor, psychological pressure was higher than quantitative one in terms of administrative burden. The level of teachers' devotion to students appeared to high. As sub factors, identification scope was the highest, participation and recognition of value were follow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gnized their understanding level of students was relatively high. As sub factors, empathic understanding level was the highest and understanding of studying area, and understanding non-learning area came after. Second, upon the result of mutual relation analyzing, administrative burden and level of understanding students had meaningful correlation, and the teachers commitment and level of understanding students had statically meaningful difference(or gap). Regression of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setting gender, job assignment, career, teaching grade, number of students in class, school scale as control variable. In consequence, administrative burden levels being perceived by homeroom teachers had influence on understanding students also affected teachers commitment to students. As a result of regression of analysis which was break down into teachers' administrative burden, teachers commitment, understanding level of students as sub-factors, teachers commitment mediated relation between administrative burden and understanding level of students. After synthesizing all results of stud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the level of administrative burden was recognized as average(or normal). Comparing the results of advanced researches, even though administrative burden was not too high but still teachers felt pressure about their administrative work, moreover, the pressure was related to gender and job assig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administrative works for teachers. Second, the level of commitment to students resulted in very high. This shows that teachers fundamentally make great efforts to build commitment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and to assist students' academical growth. Third, teachers' administrative burden affects the understanding level of students on the ground of teacher commitment as mediation. Teachers' understanding level of students was more affected rather administrative burden directly than teacher commitment to students. Here are proposals for follow-up studie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more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teachers commitment which was important matter to understand students. Second, even the mediation effect of teacher commitment upon administrative burden and understanding level of students, there is a necessity to map out a relative influence specifically between above factors. Third, it is necessary that subject of study is need to be expanded for school type or class. Keywords: administrative burden, understand students, teacher commitment * The dissertation was submitted as a partial fulfillment for a Master's Degree in Elementary Education Administration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August 2015.

      •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또래관계 특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황정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또래관계 특성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역할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검증을 통해 상담이나 교육 장면에서 내현적 자기애 성향으로 또래관계에 어려움이 있는 청소년들에게 자아존중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거나,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또래관계에 효과적인 개입을 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은 또래관계 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또래관계 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가 또래관계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역할을 하는가 이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에 소재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청소년 6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자료를 수집하였고, 통계프로그램 SPSS 18.0, AMOS 18.0, Mplus 7.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래관계의 하위변인들에 대해 주성분 방법을 통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긍정적 또래관계’,’부정적 또래관계‘를 생성하였다. 다음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또래관계 특성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연구모형의 직접 효과와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자아존중감, 또래관계 특성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또래관계 특성,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는 자아존중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는 긍정적 또래관계와 유의미하지 않은 반면 부정적 또래관계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긍정적 또래관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부정적 또래관계에는 매개효과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또래관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내현적 자기애와 긍정적 또래관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긍정적, 부정적 또래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할 수 있었고, 청소년의 또래관계를 긍정적, 부정적 관계로 새로운 요인으로 나누어 확인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및 실제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self-esteem respect as the mediated effect between the natural tendency of covert narcissism and peer relationships. It is hoped that the study will suggest specific solutions for adolescents who have difficulties with peer relationships by improving their self-esteem and understanding themselves better through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the study, a survey was carried out to target 688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enagers in Seoul and Gyunggi-do and was analyzed by SPSS 18.0 and AM0S 18.0, Mplus 7.2.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divided peer relationships into two categories: positive peer relationships and negative peer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had not effect on students' positive peer relationships directly. Their self-esteem ha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positive peer relationships. but Their self-esteem had not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negative peer relationships. Second, covert narcissism is in negative correlation to students' self-esteem. The study shows covert narcissism is not related with positive peer relationships but, is in positive correlation to negative peer relationships. Also, self-esteem is in positive correlation to students' positive peer relationships but, their self-esteem had not a mediation effect on negative peer relationships.

      •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 심리적 안녕감과 회복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

        황정희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activity assistants for the disabled.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offline questionnaire survey on activity assistants for the disabled at rehabilitation centers, Parents’ Network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cross Korea and 502 fully completed responses were ultimately selected and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which were perform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PSS 21.0 and R 4.2.2 Lavaan Pacakage foranalysis included a frequency analysis,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omega calculation, and confirm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dual mediating effect with bootstrapp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First, the job stress of Activity Assistant for the Disabled was found to have negative impact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job stress of Activity Assistant for the Disabled affects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f they experience incongruity during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ir jobs. Even if a Activity Assistant for the Disabled experiences stress in her job, she can maintain a relationship that positively affect service users by providing the services with a positive perspective. Seco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ctivity Assistant for the Disabled was found to have positive impact on their resilience. A Activity Assistant for the Disabled with positive psychological well-being can overcome various difficulties and stress that accompany her job, there by Resilience serving as a protective factor has psychological well-being has positive impact on Activity Assistant for the Disabled as they deal with the stress experienced during their job performance. It can be interpreted that Activity Assistant for the Disabled with positive psychological well-being use resilience as a protective factor to overcome various difficulties and stress experienced while performing their duties and positively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the resilience of Activity Assistant for the Disabled exert positive impact on their job satisfaction. For Activity Assistant for the Disabled under stress caused by conflict of roles and excessive workload, resilience can work as a protective factor and affect their job satisfaction. The findings seem to indicate that a Activity Assistant for the Disabled with high resilience can control their emotions and understand others’ emotions even under stress, thereby maintaining relationships and performing their job in a positive manner, which ultimately affects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job. Fourth, the findings confirmed the double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in which they subsequently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of Activity Assistant for the Disabled. Among the paths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job stress → psychological well-being → resilience →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e findings seem to indicate that, with regard to the job stress of Activity Assistant for the Disable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work as protective factors with positive affect on their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 abov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or future studies. First,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at the same time, bu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it is the result of companies that Activity Assistant for the Disabled for the disabled in each region of the country because it was centered on companies that Activity Assistant for the Disabled for the disabled in some areas. Since the research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samples and regional allocation methods of applicants for activities for the disabled, it is proposed to expand the sampling target nationwide to conduct follow-up studies. Second, the tool for measuring job stress emphasizes using a tool suitable for the study subject rather than using a general level of measurement tool. The measurement tool used in this study was select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but it seems insufficient to regard it as a measurement tool considering the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disabled Activity Assistant for the Disabled. There 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that can measure job stress in a specific field called activity support service for the disabled.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group program for Activity Assistant for the Disabled in order to increas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Since the Activity Assistant for the Disabledy is a professional human resource that supports the independence of the disabled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it can be said that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is 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user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epare programs and systems to increas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of Activity Assistant for the Disabled.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과 회복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전국 자활센터와 장애인부모연대 및 장애인복지관에 소속되어 있는 장애인 활동지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최종적으로 완성된 총 502부가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통계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과 R 4.2.2 Lavaan Package 구조방정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를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이중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과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 중 부조화를 경험하게 되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심리적 안녕감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장애인 활동지원사가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더라도 긍정적인 시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심리적 안녕감은 회복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긍정적인 심리적 안녕감을 가진 장애인 활동지원사는 직무를 수행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보호요인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사용하게 되고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회복탄력성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역할갈등과 역할과다로 인한 직무스트레스 상황에서 회복탄력성이 보호요인으로 작용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장애인 활동지원사는 직무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역량을 발휘함으로써 긍정적으로 직무를 수행하여 직무만족을 높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과 회복탄력성이 이중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이르는 경로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회복탄력성 →직무만족’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적 안녕감과 회복탄력성인 개인적 특성이 보호요인으로 작용하여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 활동지원사가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더라도 심리적 안녕감과 회복탄력성이 긍정적인 보호요인으로 작용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오프라인 동시에 설문을 진행하였으나 일부 지역에서 활동하는 장애인 활동지원사를 중심으로 진행하였기에 전국 각 지역의 장애인 활동지원사를 대상으로 한 결과라고 보기에 어려움이 있다.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표본 수와 지역할당 방식에 따라 연구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표집 대상을 전국으로 확대하여 후속연구가 진행되기를 제언한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의 측정도구는 일반적 수준의 측정도구를 사용하기 보다는 연구대상자에 맞는 도구를 사용할 것을 강조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선정하였지만,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직업적 특성을 고려한 측정도구라고 보기에는 부족해 보인다. 따라서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라는 특정 분야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심리적 안녕감과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장애인 활동지원사를 위한 집단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장애인 활동지원사는 장애인의 자립과 사회활동 참여를 위해 지원하는 전문인력이기 때문에 서비스 질 향상은 이용자의 만족도와 연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제도들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 실용음악 교육에 관한 연구 : 입시경쟁률이 높은 대학을 중심으로

        황정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designed to suggest a course of development in the next applied music education. In this study, it was observed the present address of the korean applied music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college had the problem of applied music education. And it was groped for the improvement program by investigat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pplied music educational program. The method of the dissertation was literature investigation, interviews and questions. This study presen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necessity of applied music education in literature investigation.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a training goal and a curriculum in three colleges ( Seoul institute of the arts, Dongduk women's university, Howon university) where the entrance examination competition rate is high. After trying to observe the instances of the foreign countries' applied music educational program , it was observed the problem point and improvement of the process of applied music education in conversations with each college students and quest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dissertation, the faculties equipped with the qualification were insufficient in spite of a tendency to increase in the number of applied music relation schools. Because of operating by the faculties which do not properly arranged in applied music relation subject, many problem have been done. And the pop music's diffusion is being already in high school process, but it was insufficient that the specialty which equips the qualification for educating these people. To the sufficient training of applied music education, enough facilities is needed. But the majority of school don't have corresponding facilities. This followed the result that there was not sufficient educating in curriculum . The curriculum of applied music education must be improved in order to teach applied music specialists which keeps the ability it will be able to dispose spontaneously in the social phenomenon which changes quickly. After establishing an applied music relation specialty or a subject from the music department of the teachers' college, The place will have to produce the specialty teachers who equip a qualification. With this, it must be improved the curriculum for the applied music specialists of the field which is various. And it must be urgently developed the relation teaching materials which adjust to our actual condition in order that the training on each level education will be accomplished well.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실용음악교육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실용음악 교육프로그램 등의 실태조사를 통해 대학의 실용음악교육의 문제점과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앞으로의 실용음악교육에 발전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하는데 있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이론적 배경, 실용음악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입시경쟁률이 높은 상위 3개 대학을( 서울예술대학 실용음악과, 동덕여자대학교 실용음악과, 호원대학교 실용음악학부 이상 3개 대학)중심으로 교육목표,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외국의 사례를 살펴본 다음, 각 대학 재학생들과 면담과 설문지 작성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논문의 연구 결과를 보면 실용음악 관련학과들의 증가추세에 비해 이에 따른 자격을 갖춘 교수진들은 아직까지 많이 부족한 현실이었다. 일부대학들을 보면 해당전공분야와 맞지 않는 교수진들이 실용음악 관련학과에 배치되어 과를 운영함으로써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낳고 있기도 했다. 그리고 대중음악이 고등학교 과정에도 이미 확산되어가고 있지만 이들을 교육시킬만한 자격을 갖춘 전문 인력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었다. 충실한 실용음악교육을 위해서는 시설적인 면을 충분히 갖추고 있어야 하지만 해당시설을 갖추고 있는 학교는 몇 안 되는 실정이었다. 이것은 교과과정에 따른 충실한 교육을 할 수 없다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었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사회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실용음악 전문인들을 학교 교육에서부터 체계적으로 가르치고 길러내기 위해서는 지금의 교육과정도 이러한 현실에 맞도록 개선이 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의 교육대학이나 교육대학원에서 개설되어 있는 음악교육과에서도 실용음악관련전공이나 교과목을 신설하여 자격을 갖춘 전문적인 교사들을 배출해 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분야의 실용음악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으로 개선되어야 하고, 우리나라의 실용음악 교육실정에 맞는 관련 교재들이 시급히 개발되어 수준별 교육 또한 제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지속가능한 이천 도자기축제 운영방안 연구 : 아리타 도자기축제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황정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이천 도자기축제와 아리타 도자기축제의 성공요인과 개선점을 비교분석하여, 지속가능한 이천 도자기축제의 운영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선행 연구 등의 문헌을 토대로 연구를 전개하였으며, 부족한 자료는 이천 도자기축제의 주요 행사장인 예스파크 입주 공방 작가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연구에 반영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이천 도자기축제가 한국을 대표하는 지역축제로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아가기 위해 도출된 운영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이천 도자기 축제는 이천 도자기의 역사적·문화적 자산을 활용한 지역 마케팅 전략 구축하여야 한다. 이천 지역은 대한민국 도자기의 태동이 시작된 훌륭한 역사적·문화적 자산이 있는 곳으로, 이천 도자기의 뿌리에 깊은 영향을 준 역사적 인물들에 대한 재조명과 함께 청자, 백자, 그리고 분청자기 등 한국 도자기의 핵심이 되는 전통 도자의 맥을 고스란히 이은 기법을 구현한 이천 전승도자의 작품세계와 역사적·문화적 자산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이 유효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폐도자기를 활용한 거리와 조형물 조성 등 예스파크의 정체성 확립으로 축제 방문객에게 지역적 특색이 있는 도자기 문화 공간이라는 이미지를 형성하게 하여야 할 것이다. 두 번째, 월별 이천도자기 관련 이벤트를 진행하여 방문객이 연중 상시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천 지역은 축제에 따른 매출 의존도가 높은 특징으로 인해, 이천 도자기축제 기간에는 축제가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지만, 축제가 끝난 이후에는 예스파크를 방문하는 방문객수가 현격하게 줄어들고, 이에 따른 이천 도자기 판매 저조로 야기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축제 기간이 끝난 이후에도 이천 도자기와 관련한 주제로 계절에 맞는 이벤트를 월별로 기획하고 운영하여 꾸준히 방문객 유입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세 번째, 온라인 축제 시스템을 겸한 ‘에스파크 사이버 갤러리’를 구축해야 한다. 비대면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예스파크 사이버 갤러리’라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여 온택트 마케팅에 주력해야한다. 구체적인 플랫폼 내부 기능으로는 ①예스파크 마을 전반적인 안내 및 내 입주 공방 소개, ②전자상거래 기능, ③입주 작가 커뮤니티, ④마을별 이벤트 공지, ⑤이천 지역 문화관광지 및 숙박 시설 홈페이지 링크 등을 구축 등이 있다. 이러한 플랫폼은 2020년 코로나19 사태와 같은 오프라인 축제 취소라는 초유의 상황에서도 온라인상의 축제가 가능하게 하는 대비책으로서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네 번째,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먹거리와 도자기의 콜라보 이벤트 구성이 필요하다. 이천의 지역적 특성을 활용하면서 전 연령대가 함께 할 수 있는, 이천 지역 도자기의 역사를 바탕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로 가족 단위의 참가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또 이천특산물 등의 먹거리를 이천 도자기에 담아 판매하고, 음식을 먹고 난 후 도자기를 직접 가져갈 수 있는 먹거리와 도자기의 콜라보 이벤트 구성이 필요하다. 다섯 번째, 주변 문화관광지와의 연계와 야간 프로그램 개발로 체류형 관광객 유치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 축제 장소를 예스파크에 국한하지 않고 주변 지역의 문화관광지로의 ‘공간적 확장’과 야간 프로그램 개발로 인한 ‘시간적 확장’이라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예스파크를 거점으로 하여 주변 도자문화관광지와 연결한 종합적인 ‘도자 문화관광클러스터’ 구축으로, 체류형 관광객을 증가시켜 이천 도자기축제가 이천 지역의 경제에 보다 더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은 물론 결과적으로 한층 발전되고 지속 가능한 이천 도자기축제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지속가능한 이천 도자기축제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시사점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on analysis comparing success factors and improving points between Icheon ceramics festival and Arita ceramics festival in order to draw the sustainable Icheon ceramics festival operation plan. To achieve the purpose,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including articles and books. When there was not enough materials for this research, intensiv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workshop artists in Icheon ceramics festival’s main event place, Yespark. The operation plan derived from this research for developing Icheon ceramics festival as a representative Korean local festival in a sustainable way is as follows. Firstly, the festival should be based on local marketing strategies using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of Icheon ceramics. Icheon is a great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where the beginning of making ceramics occurred, and it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to develop contents using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with the artistic world of Icheon ceramics transmitted through history, which realized the technique that succeeds the vein of the core traditional ceramics including Cheongja, Baekja, and Buncheongjagi, and highlight historical people who influenced the root of Icheon ceramics deeply. It should be encouraged that the festival is imaged as a cultural ceramic place which has local features to festival visitors by establishing Yespark’s identity through building sculptures and decorating streets with abandoned ceramics. Secondly, the festival should be visited by people continuously by holding events relevant to Icheon ceramics. Due to the feature of the high sales dependence of the festival, the festival period influence the local economy strongly. However, after the festival, the number of visitors to Yespark plumbs, and it leads to the low sales of Icheon ceramics, which was pointed out as a problem. Thus, it is needed to contrive some measurements to make visitors come to the place even after the festival period by holding seasonal events relevant to Ichon ceramics planned monthly. Thirdly, ‘Yespark cyber gallery’ with an online festival system should be built. Untact marketing should be pursued by making the online platform ‘Yespark Cyber Gallery’ , follwing the era of untact. Concrete platform inner functions are ①Introducing Yespark village and workshops in it in general, ②E-commerce function, ③Residential artists community, ④Notice on each village’s event, ⑤Icheon area cultural sightseeing places and staying places’ homepage links and etc. Such a platform could be expected to be an effect as an alternative by enabling the online festival when the offline festival was cancelled in the first time due to COVID-19 in 2020. Fourthly, a composition of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and the foods and ceramics collaboration event is needed. Visit as a family unit should be encouraged by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history of ceramics in Icheon, so that people in each generation participating together. Also, the collaboration of foods and Icheon ceramics is needed in a way that people can take a ceramics with foods after they finish eating them. Fifthly, maintaining staying visitors should be pursued by collaborating with other cultural sightseeing places and developing night time programs. Shifting a view point is required by employing the concept of the ‘expansion of a place’ through considering that the festival place is not limited in Yespark, but can be extended to other local cultural sightseeing places and the ‘expansion of time’ through developing night time program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taying visitors with forming comprehensive ‘ceramics cultural sightseeing clusters’ ,connecting other ceramics cultural sightseeing places with Yespark, the central place, Icheon ceramics festival not only provides a chance to contribute to the local economy, but also will be developed one step more as a sustainable festival. Such research results can be said to provide significant points by providing an operation plan as a basic material for the sustainable Icheon ceramics festiv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