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품질경영을 위한 6시그마와 소집단 활동 적용사례 연구

        황정하 한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기존의 소집단 개선 활동과 6시그마 품질경영기법을 이용한 기업에의 적용사례 연구를 통하여 사이클 타임 개선 및 생산성 향상으로 대외적으로는 기업의 경쟁력 향상, 그리고 대내적으로는 그룹간 시너지 효과의 증대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6시그마 경영은 세계에서 앞서나가는 기업들이 그들의 고객 만족 및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방법 중 가장 좋은 품질경영 시스템이다. 많은 기업들은 그들의 품질 개선 및 향상을 위해 품질관리 및 TPM을 지속적으로 실행해오고 있지만 아직 도입하지 않은 회사들이 아직도 현존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6시그마 경영 도입단계에 있는 회사에서 기존 품질개선 기법과의 접목을 통한 테마개선활동 추진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suggests a successful case which contains how to unite six sigma and conventional Small-group activities to make a synergy effect for the improvement of cycle time and increasing the productivity. It can be improved the company competitiveness to outside through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to one company. Six sigma management is the excellent quality management system that has helped the world's leading companies for saving millions dollars, and keep their customer' satisfaction. Many companies have practiced to the QC(Quality Control) and the TPM(Total Productive Maintenance) activit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products. We think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company with good influnces which one has schedule for introduction that to their quality management of Six Sigma.

      • 참여적 의사결정이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리더십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황정하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종사자의 의사결정 참여의 문제는 이념적인 근거와 실용주의적 근거 등으로 그 활용이 제기되고 있다. 즉, 이념적인 근거는 그 동안 종사자의 경영참여와 같은 조직의 민주적인 운영을 위해서 제기 되었으며, 실용적인 근거는 종사자의 의사결정 참여가 실질적으로 현장에 적용되기에 앞서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현실적인 증거에 토대를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실용적인 근거를 위한 실증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조직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참여적 의사결정의 수준과 자신들이 지각한 직무성과의 수준을 파악하고, 참여적 의사결정이 직무성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총 92개의 사회복지관 중에서 33개의 복지관을 대상으로 230명의 사회복지사들에게 우편을 통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 및 회수하였다. 그 결과 20개의 복지관, 총 142명의 사회복지사로부터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사회복지사가 지각하는 참여적 의사결정의 수준은 총 5점 기준에서 평균 3.58점으로 보통 수준(3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응답자의 사회적 바람직성(social desirability)으로 인해 실제보다 높게 측정을 했을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수준이 높다고 판단할 수는 없다. 따라서, 동일한 측정을 다른 업무조직에 종사자들에게도 동시에 실시한 후, 그 측정된 평균치와 비교하는 등의 판단을 위한 준거기준이 요구된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측정한 실제적 참여의 수준과 기대하는 참여의 수준간의 차이가 .4773으로 나타나, 표준편차 .6644의 2/3(67%)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아 전체 의사결정과 관련한 사회복지사의 만족도가 비교적 높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의 수준은 평균 3.59점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각 차원별 직무성과의 수준을 살펴보면, 클라이언트와의 관계형성 3.65점, 업무수행 및 업무량관리 3.58점, 그리고 전문가적 지식, 기술 및 태도 3.55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참여적 의사결정의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응답자의 직위 이외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성과의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응답자의 학력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즉, 응답자의 성별, 연령, 직위, 총 근무년수 등에 따라 직무성과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다섯째, 참여적 의사결정의 수준이 절대적으로 종사자의 직무성과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입증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여섯째, 변혁적 리더십유형은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관장의 거래적 리더십유형은 직무성과에 조절적 효과를 발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관의 관리개선을 위해 사회복지사의 참여적 의사결정을 제고하는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하고자 한다. 첫째, 의사결정 통제수준이 참여적 의사결정에 있어서 본질적인 요인으로써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다양한 의사결정과정에서 구성원의 참여를 제도화하고 강화하기 위한 전제로써 조직구성원 자신의 의지와 수행능력 대한 확신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사회복지기관의 종사자인 사회복지사는 리더와의 관계가 물질적 보상들을 통한 교환적 관계라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조직과 종사자들간 심리적인 결속(psychological bond)을 강화하는 변혁적 리더십유형이 직무성과를 제고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된다. 셋째, 사회복지사들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특히 고려되어져야 할 구체적인 내용은 업무의 할당과정이나 교육훈련을 계획하는 과정에 사회복지사의 실질적인 참여를 확대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 조직 내 참여적 의사결정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문제는 참여가 제대로 이뤄지는가 아니라 그것을 어떻게 작동하게 하느냐이다. 다섯째, 조직의 리더와 사회복지사들간의 협조적인 파트너십의 형성이 요구된다. 이것은 성공적인 PDM 프로그램이 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전제조건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양자간의 기본적인 신뢰관계와 상호존중이 이들 간에 존재해야만 한다. Recently, the issue of workers'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PDM) is discussed by two major reasons. First, as the "ideological" reason, the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PDM) is supported by the advocators that value freedom in work places. Second, many intellectuals advocating PDM as the "practical" reason have been testifying the assumption that PDM can really improve the worker's performance before being applied. And, it is argued that the ideological reason for PDM is not proper as a practical issue. Therefore, this study is initiated by the practical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gree of PDM of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Center's(SWC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PDM and job performance among the social workers, and the influence of PDM on the social worker's job performance, and to provide the implication for the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purposes, samples of 230 social workers were selected from 33 SWCs(seven worker per center) out of total 92 SWCs in Seoul. The survey was conducted by mail. A total of 142 questionnaires from 20 SWCs were collected and finally used for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degree of social workers' perception of PDM was 3.58 out of 5.00 point. But, Due to respondents' social desirability, the finding cannot be judged as a high level. Nevertheless, the difference(0.477) between the actual level and the desired level of PDM was within the Standard Deviation(0.66). Therefore, the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on general decision-making in organizations was relatively high. Second, the average level of social workers' job performance was 3.59. This result showed within the standard deviation(0.46). When workers' job performance can be showed according to the specific dimensions(the relationship of clients, performance and work management, professional knowledge, skill, and attitudes), they were 3.65, 3.58, 3.55 respectively. Third, regarding the PDM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worker's perception except for their organizational level. Fourth, regarding the job performanc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worker's perception except for their educational level. Also, there was difference by their gender, age, organizational level, the total span of work in social service organization. Fifth, the effect of PDM on social workers' job performance was significant, especially the level of control on decision-making among the dimensions of PDM was showed significantly(p< .01). but, the actual and desired level of PDM was not significant in other dimensions of PDM. Therefore, the assumption that the high level of PDM would lead to high level of performance could not be always accepted. Finally, the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op executives' leadership styles in SWCs was showed as a significant variable only their transformational style. Specially, interactional factors between the desired level of PDM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 influenced significantly on social workers' job performance(p< .05).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 to increase PDM of social workers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work organizations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ontrol on decision-making is the strongest factor in the dimensions of PDM, which is not surprising because this factor gets at the essence of worker's involvement.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PDM can be needed their willingness and ability to conduct as the precondition making worker's participation formal in a variety of decision-making. Secon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at strengthens a psychological bond between social workers and leaders can be a useful means to increase the workers' performance because their relationship is not considered as the transactional relation such as a physical compensation. Third, it can be the most effective one to expand the scope of social workers' actual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assigning work and planning a job training. Fourth,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 decision-making system in organization. Namely, the issue is not what it works but how it works. Fifth, a basic level of trust and mutual respect must exist between social workers and leaders in social organizations. Ther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ir willingness and ability to conduct PDM shoud be needed to set up PDM in a viriety of decision-making in social work organizations.

      • 공동주택의 세대특성에 따른 노인복지시설 인식차이

        황정하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세계적으로 의학의 발달과 함께 생활수준 향상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국내의 경우도 노인 인구는 세계적으로도 그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국민연금 자료에 따르면, 2000년 노인구성비가 7.2%로 노령화 사회에 진입한 이후 2019년까지 고령사회(UN기준 14%)에 진입, 2026년까지는 초고령화 사회(UN기준 20% 이상)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국민연금 2001 ; 보건복지부 2005). 또한 이러한 추세는 향후 2020년에 21.8%, 2030년에는 37.3%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노령인구의 증가전망에 따라 국내의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수요 또한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므로, 노인요양시설 뿐만 아니라 공동주택에서 노인복지시설의 확충에 대한 욕구(Needs)가 증가추세에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에 노인복지시설들이 대거 확충되어 기존의 편의시설을 대체하거나 추가됨으로써 노령층의 삶을 지원해주게 된다면, 편의성 향상 및 주거만족도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세대특성별로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해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공동주택 거주자를 대상으로 기존 노인복지시설의 다양성 및 편의성에 대한 만족도, 노인복지시설의 확충 필요성, 노인복지시설 확충시 주거만족도 향상정도에 대해 조사분석함으로써 공동주택의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욕구(Needs)의 강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노령층증가에 대응하여 공동주택 고객만족도의 향상이 반영된 건설산업분야의 미래과제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실버타운에 대한 기존 연구논문을 통해 노인편의를 위한 시설물들의 사용자 특성을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하였다. 이에 대한 실증연구를 위하여 공동주택의 거주자를 대상으로 노인복지시설의 만족도 및 필요성 등에 대한 인식을 설문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세대특성별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연구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 거주하고 있는 공동주택 내 노인복지시설의 다양성에 대한 만족도 조사결과 53.4점이 산출되어 낮은 수준의 만족도 현황을 보여주었다. 노인복지시설에 대해 불만족하는 비율이 21% 수준으로 이에 대한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현 거주하고 있는 공동주택 내 노인복지시설의 편의성에 대한 만족도 조사결과 53.1점을 획득하여 낮은 수준의 만족도 값을 나타내었다. 노인복지시설에 대해 불만족하는 비율이 33% 수준으로 이에 대한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향후 새로운 아파트로 이사하거나 분양을 받는 경우에 아파트 내 노인복지시설이 다른 생활서비스시설에 대비하여 어느정도 필요성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77.4점이 측정되었다. 노인복지시설의 필요성에 대해 필요하다로 답변하는 비율 또한 75% 수준으로 노령인구의 증가추세에 따라 아파트내 시설물의 변화도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향후 새로운 아파트로 이사하거나 분양을 받는 경우에 아파트 내 노인복지시설을 추가하여 설치하거나 확충되는 경우 주거만족도 증진에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질문에 74.7점이 측정되었다. 노인복지시설의 확충이 주거만족도 증진에 영향을 미친다고 긍정적으로 답변하는 비율 또한 70% 수준으로 조사되어, 주거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노령인구를 배려한 시설물들의 확충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섯째, 세대특성이 노인복지시설의 다양성 및 편의성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다중회귀분석시 설명력이 각각 1.62%, 2.87%로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여섯째, 세대특성(성별, 연령, 평형, 존속동거)이 노인복지시설 필요성 및 확충시 주거만족도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다중회귀분석시 설명력이 각각 10.47%, 8.37%로서 해석상의 주의를 요구하는 수준이었다. 일곱째, 세대특성(성별, 연령, 평형, 존속동거)이 현 거주 공동주택에 설치된 노인복지시설의 다양성 및 편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다양성 측면에서는 존속과 동거하는 경우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성별/연령/평형은 신뢰도 95% 수준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편의성 측면에서는 존속과 동거하는 경우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6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성별, 평형은 신뢰도 95% 수준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여덟째, 세대특성(성별, 연령, 평형, 존속동거)이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연령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성별, 평형, 존속동거)는 신뢰도 95%수준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6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필요성이 가장 높으며 50세이상~60세미만의 연령구간에서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필요성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아홉째, 세대특성(성별, 연령, 평형, 존속동거)이 노인복지시설 확충시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연령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성별, 평형, 존속동거)는 신뢰도 95%수준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6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 노인복지시설 확충시 주거만족도 증진이 가장 크며, 50세이상~60세미만의 연령구간에서 노인복지시설 확충시 주거만족도 증진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① 아파트 내 노인복지시설의 편의성 및 다양성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낮은 수준이고, 다만, ②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확충필요성은 매우 높은 수준이였다. 이는 향후 건설산업분야에서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관심을 높여 고객지향적인 방향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이 국내 P건설사에서 공급한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입주민으로 국한되어 우리나라의 전체 아파트거주자에 대한 조사결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설문응답자 중 60대 이상의 경우 존속동거여부보다는 비속동거여부에 대한 질의를 하는 것이 더욱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이나 이를 간과한 점도 있으며, 셋째, 노인복지시설과 생활서비스시설간의 명확한 구분을 설문응답자에게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한계점을 고려하여 이 연구를 해석할 필요가 있고, 향후 이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 문제 만들기를 활용한 오답노트 작성의 수학 학습 효과

        황정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 만들기를 활용한 오답노트 작성 방법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해 봄으로써 학생들이 학습 후 오류를 교정하여 학습결손을 줄이고 스스로 학습하는 태도를 기르는 실질적인 학습 방법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문제 만들기 오답노트 작성 집단과 유사 문제 오답노트 작성 집단은 학습능력수준(상․중․하위 집단)에 따라 수학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2. 문제 만들기 오답노트 작성 집단과 유사 문제 오답노트 작성 집단은 학습능력수준(상․중․하위 집단)에 따라 수학적 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시 S중학교 3학년 두 학급을 임의로 표집하여 64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한 학급은 문제 만들기를 활용한 오답노트 작성을 하는 실험 집단으로, 다른 한 학급은 교사가 제시하는 유사 문제를 활용한 오답노트 작성을 하는 비교 집단으로 하였다. 또한, 학습능력수준에 따른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전 수학 학업성취도 검사 결과의 평균과 표준편차로 상․중․하위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절차는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이 수학 학업성취도에서 동질집단인지를 가리기 위해 사전 수학 학업성취도 검사를 본 연구자가 제작하여 전문가로부터 검토를 받아 수정․보완하여 실시하고, 수학적 태도에서 동질집단인지를 가리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수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에게 동일한 수업을 한 후 정리 단계에서 형성평가를 실시하여 실험 집단은 문제 만들기를 활용한 오답노트를 작성하도록 하고, 비교 집단은 교사가 제시하는 유사 문제를 활용한 오답노트를 작성하는 실험처치를 6주간 진행하였다. 실험처치 후 사후 수학 학업성취도 검사와 수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SPSS 12.0을 이용한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문제 만들기 오답노트 작성 실험 집단과 유사 문제 오답노트 작성 비교 집단은 학습능력수준 상․중․하위 집단에 따라 상위 집단은 수학 학업성취도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중위 집단과 하위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문제 만들기를 활용하여 오답노트를 작성한 실험 집단의 수학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다. 둘째, 문제 만들기 오답노트 작성 실험 집단과 유사 문제 오답노트 작성 비교 집단은 학습능력수준 상․중․하위 집단에 따라 수학적 태도의 자아개념과 태도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습관 영역에서는 중위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문제 만들기를 활용하여 오답노트를 작성한 실험 집단의 학습습관이 향상되었다. 문제 만들기를 활용한 오답노트 작성은 중․하위 집단의 수학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 중위 집단의 수학적 태도의 학습습관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오답노트 작성 시 상위 집단은 기존의 틀린 문제만 작성하는 오답노트 방법이나 다른 오답노트 작성 방법을 찾아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기초 학력이 부족한 하위 집단에게 교사의 부가적인 지도가 행해진다면 중․하위 집단은 문제 만들기를 활용한 방법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 학교공간혁신 AHP 기반의 공간특성 중요도에 대한 연구 : 청원초등학교 중심으로

        황정하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asons of various innovations in the school space are low birth rate and educational fever. Due to these, the unused spaces occur in the schools and the variety is requested in the space due to IT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various and flexible spacial characteristics when the reconstruction is adopted for the school space innovation. Tiered pairwise comparison survey is conducted for 20 experts such as architects and facilitator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As a procedure of AHP analysis, when the expert answer consistency criteria (C.I) is not achieved with pairwise comparison and metrics of each hierarchy, it is performed again with matrix phase and derived the integrated ranking across the hierarchy as the final step. Next, the users participation is conducted with experts based on the significance of school spacial characteristics. The concret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penness criteria of evaluation factors (higher class) consists of openness of space and architectural factors dumping through expert's AHP hierarchy analysis. Considering the factors of sub alternative of evaluation factors, it identifies the spacial characteristics such as interchangeability, subjectivity, sociality, autonomy Playfulness evaluation criteria consists of visual factors such as rich colors, lighting, exaggerated shape which is unlimited shape. Considering the sub alternative factors of evaluation factors, it identifies the spacial characteristics such as connectivity, activity, territory, complexity Deborder evaluation criteria means the method which makes the boundary of space vague by utilizing the opening and close level of structure factors such as wall or floor in terms of physical aspect. Considering the sub alternative factors of evaluation factors, it identifies spacial characteristics such as variability, fluidity, intimacy and flexibility. Considering the nature friendly evaluation criteria, the nature friendly materials can be adapted for the configuration of space and energy saving by using the shape, color and texture. Considering the sub alternative factors of evaluation factors, it identities the spacial characteristics such as safety, comfort, aesthetics and identity. Diversity evaluation criteria were identified as spatial composition by conside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versity. Considering the sub-alternative factors of the evaluation factors, it identifies spatial characteristics such as interaction, convenience, mobility, and intimacy. Second, the survey shows safe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considering nature-friendly materials as evaluation criteria in analysis of importance of spatial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ranking by teachers and school members. Third, the students show the satisfication in the spaces such as I like the changed classroom which was the highest surveyed, and followed by the opinions, I can see outside the window, and the lockers in the classroom are good to use.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ly within the budget determined during the school space innovation process, there were limitations in designing various spaces. In addition, future research can derive various characteristics for spatial innovation if research is conducted to secure the validity of spatial characteristics through expert Delphi analysis. 학교공간혁신이 다양하게 일어나는 원인은 저 출산과 교육열이다. 이로 인해 학교공간의 유휴공간 발생과 IT의 발달로 장소에 다양성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공간혁신 재구조화 도입 시 다양하고 유연한 공간특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건축가 및 퍼실리데이터(Facilitor) 전문가(20명)를 대상으로 계층화된 쌍대비교 설문을 조사하였다. AHP분석 절차로 각 계층의 평가요소 쌍대비교와 매트릭스로 전문가 응답일관성 기준(C.I)에 도달하지 못할 때 행렬단계로 재 수행하고, 마지막단계로 계층 전체의 통합순위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학교공간혁신의 공간특성 중요도를 기반하여 전문가와 함께 사용자 참여설계를 진행하였다. 구체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 AHP 계층분석을 통해 평가요소의 개방성(상위계층) 평가 기준은 공간의 개방성은 공간의 열림과 건축 요소의 비움으로 구성되었다. 평가요소의 하위대안 요소를 고려해보면 교류성, 주체성, 사회성, 자율성 등의 공간특성이 확인되었다. 유희성 평가 기준은 “시각적 요소로 풍부한 색채와 조명, 과장된 형태, 등” 무한한 형태로 구성되었다. 평가요소의 하위대안 요소를 고려해보면 연계성, 활동성, 영역성, 복합성 등의 공간특성이 확인되었다. 탈경계성 평가 기준은 물리적 측면에서 “바닥이나 벽 등과 같은 구조적 요소의 열림과 닫힘 정도 또는 투명성을 활용, 공간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는 방법을 의미 한다”. 평가요소의 하위대안 요소를 고려해보면 가변성, 유동성, 친밀성, 융통성 등의 공간특성이 확인되었다. 자연친화성 평가 기준을 고려할 때 자연친화적 소재를 도입하여 형태, 색채나 질감을 사용하며 공간의 구성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평가요소의 하위대안 요소를 고려해보면 안전성, 쾌적성, 심미성, 정체성 등의 공간특성이 확인되었다. 다양성 평가 기준은 개개인의 특성과 공간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공간구성으로 확인되었다. 평가요소의 하위대안 요소를 고려해보면 상호작용성, 편리성, 이동성, 친밀성 등의 공간특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학교공간혁신의 사후평가로 선생님과 학교구성원 공간특성중요도와 만족도 순위 분석에서 자연친화적 소재를 평가 기준으로 볼 때 안전성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학생들의 만족도에서는 바뀐 교실이 마음에 들어요.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교실에 창밖의 모습이 잘 보여요, 교실의 사물함이 사용하기 좋아요. 등 공간의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공간혁신 과정 중 결정된 예산 내에서만 이루어짐으로 다양한 공간을 디자인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 한 차후 연구자는 전문가 델파이 분석을 통해서 공간특성의 타당도를 확보하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공간혁신에 대한 다양한 특성을 도출할 수 있다.

      • 쇼스타코비치의 피아노 작품에 나타난 소비에트 러시아 음악정책의 영향

        황정하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쇼스타코비치는 20세기 소비에트 러시아의 대표적인 작곡가이다. 볼셰비키 혁명에 이은 소비에트 러시아의 성립으로 인해 예술가들은 자신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정치적 상황에 큰 영향을 받았다. 쇼스타코비치도 이러한 정치적 상황이 음악에 끼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 지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작곡가이다. 쇼스타코비치는 소비에트 러시아의 성립과 해체라는 정치적 변동에 따라 매우 다른 음악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의 작품을 정치적 상황과 작품 양식 변화의 연관성 속에서 고찰한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1기에 작곡된 ?피아노 소나타 제1번?은 실험적ㆍ혁신적 기법으로 특징지어지는 작품이다. 소나타 형식으로 된 단악장의 곡으로 잦은 박자 변화와 빠르기 변화, 복잡하고 다양한 리듬을 특징으로 타악기적 효과가 극대화 되어 표현되었다. 스탈린 정권의 수립 전, 서유럽과의 교류를 통해 실험적이고 현대적인 기법들을 수용했던 쇼스타코비치의 작품적 특성을 이 작품을 통해 알 수 있다. 둘째, 제2기 전반에 작곡된 ?피아노 소나타 제2번?은 고전적 형식으로의 회귀와 단순함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작품은 1930년대부터 진행된 스탈린의 독재정치로 쇼스타코비치가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적합한 작품을 작곡하던 시기의 곡이다. 고전적 형식을 바탕으로 이해하기 쉬운 낭만적 선율을 사용하여 대중들과의 소통을 중시했던 소비에트 러시아의 예술정책을 반영하고 있다. 셋째, 제2기 후반에 작곡된 ?피아노 협주곡 제2번?은 작곡가의 내면세계를 자유롭게 반영한 특징을 가진다. 이 곡은 1957년, 스탈린이 사망한 후 4년이 지난 ‘탈스탈린주의화’ 시기에 작곡되었다. 따라서 같은 제2기의 작품이지만 ?피아노 소나타 제2번?이 엄격한 통제 밑에서 작곡되었던 것과는 다르게 이 곡은 쇼스타코비치가 자신의 어린 시절을 묘사하면서 자유롭게 작곡한 곡이다. 3악장 구성으로 매우 간결하고 단조로우며 악장과 악장 사이가 중단되지 않고 이어서 연주 된다. 사라반드 주제와 녹턴 주제가 반복 교차되는 것과 러시아 민속 무곡의 형태가 사용되는 것 또한 이 곡의 특징이다. 쇼스타코비치의 작품을 보다 깊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가 살았던 시대의 정치적ㆍ사회적 배경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의 작품 하나하나가 급변했던 러시아의 정치적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기 때문이다. 작곡을 함에 있어 쇼스타코비치의 개인적 취향이 정치적 억압의 정도에 따라 때로는 억눌리고 때로는 발현되기도 했다. 따라서 쇼스타코비치의 개별 작품들이 작곡된 당시의 시대적 배경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될 때 그의 작품에 대한 이해가 보다 심도 있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이중과제 적용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균형과 뇌파에 미치는 영향

        황정하 대구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이중과제 적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실시하여 인지기능, 균형능력과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2017년 6월부터 8월까지 G군과 M시에 위치한 복지관과 보건소를 이용하고 있는 노인 중 경도인지장애 군에 해당하는 노인을 선별하였다. 본 연구는 외생변수의 영향을 배제하고 내·외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솔로몬 4집단 설계를 적용하였다. 대상자는 10명씩, 4그룹으로 나누었고, 이중과제 적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중재한 실험군 집단 Ⅰ과 Ⅱ,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중재한 대조군 집단 Ⅰ과 Ⅱ는 1회 30분, 1주일에 5회, 총 6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중재 전과 후는 인지기능, 균형능력과 뇌파를 비교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이중과제 적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이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에 비해 인지기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이중과제 적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이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에 비해 균형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이중과제 적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이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에 비해 β파와 SMR파의 세기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본 결과, 이중과제 적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균형과 뇌파 중 β파와 SMR파의 세기(power)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이중과제 적용 가상현실 프로그램에 대한 더 많은 연구와 보완을 통하여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비롯한 다양한 질환을 갖고 있는 대상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의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ual-task virtual reality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balance ability and EEG for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welfare centers in G and M cities from June to August 2017 were selected from the mild cognitive impairment. Solomon 4 groups design was applied to this study considering the reasons to minimize the exogenous variables and maximize the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Each group has 10 patients. A dual task-virtual reality program was perform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I and II while the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was carried out in the control group I and II for 30 minutes per session that was done five days in a week and lasted 6 weeks. The results of cognitive function, balance ability and EEG were compared and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cognitive func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Ⅰand Ⅱ with the dual task-virtual reality program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Ⅰand Ⅱ with the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Secondly balance ability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Ⅰ and Ⅱ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Ⅰ and 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