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有部 十大地法과 唯識 五遍行·別境에 대한 硏究 : 十大地法이 五遍行·別境으로 나누어진 根據를 중심으로

        황정일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paper examined the establishment and the process of Dae-ji-bub(maha ̄bhu ̄mika), which is one of the most basic actions of the Mind in the Shim-so-ron(caitta-va ̄da) in Buddhism, using Yu-bu´s Shib-dae-ji-bup(Sarva ̄stiva ̄da-das´a-maha ̄bhu ̄mika) and the school of vijnaptimatrara´s O-p´yun-haeng(pan~ca-sarvatraga-caitta) and Byul-kyung (viniyata). In the first chapter of this paper, the defini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Shib-dae-ji-bup was mostly examined. In term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hib-ji-dae-bup, there involves the theory of the twelve pratitya-samutpada and the theory of the psychological process, which is the basis of Kun-kyun-shik-sam-sa-hwa-hab-ch´ok-su-sang -sa(根境識三事和合-觸-受-想-思). These two show the early Shim-so-ron of Buddhism, and in the later years, the latter is taken in as the basis. In the second chapter of this paper, the critical literature concerning the Shib-dae-ji-bup was examined. Here the Shim-so-pu-jung-sol(心所否定說), which rejects the shim-so(actions of the Mind) itself and the Theravada sect, which asserts the Sun-jung-i-ron(theory of Sun-jung), which contains three elements through the Dae-ji-bup. Generally speaking, according to the early Kyung-yang-bu(Sautra ̄ntika), the Shim-so-bu-jung-sol(theory of rejecting the actions of the Mind) does not divide the Shim-so into separate parts but sees the various different phases of the Mind as Shim-so. Here the metaphor-users, Kak-ch´un(Buddha-deva) and the writer of Sung-shil-ron(Satyasiddi-s´a ̄stra) were mostly examined. On the other hand, although it is looked at as the lineage of the Kyung-yang-bu, in contrast to the early Kyung-yang-bu school, the theravadan school accepted only three of the shim-so´s, that is, they asserted Sam-dae-ji-bup(tri-maha ̄bhu ̄mika-va ̄da) and this was discussed. However, as mentioned in the paper, although scholars in general say that Sun-jung-i-ron´s(Nya ̄ya ̄nusa ̄ra) theravadan school was the later Kyung-yang-bu school and claim that the early Kyung-yang-bu school of thought went through a change, there is still room for discussion here. Therefore in this paper, various opinions of scholars on this topic were looked at without the writer´s opinion and without any extensive debating. In the third chapter of this paper, vijnaptimatrara´s p´yun-haeng(sarvatraga) and Byul-kyung-shim-so(viniyata-caitta) were mostly examined. Due to the appearance of the P´yun-haeng and byul-kyung-shim-so, the importance of the transition process from the Yu-ka-sa-ji-ron´s(Yoga ̄ca ̄ra-bhu ̄mi) Bon-ji-bun(本地分) to the Sub-kyul-t´aek-bun(攝決擇分) can be clearly known. Especially, if one looks at the topic of this paper, the Yu-ka-sa-ji-ron uses the Sa-jong-il-ch´ae-sol(四種一切說) as its basis and the P'yun-haeng-shim-so contains these four inherent natures. Of these four inherent natures, the Byul-kyung-shim-so is missing at least two of them, hence differing from the P'yun-haeng-shim-so. This serves a significant purpose as it was the first scripture to contain evidence of the reason why the vijnaptimatrara school, through the Yu-ka-sa-ji-ron, directly divided the Yu-bu Shib-dae-ji-bup into P'yun-haeng and byul-kyung. In the fourth chapter of this paper, books 3, 4 and 5 of Sung-yu-shik-ron(Vijn~aptima ̄trata ̄siddhi-s´a ̄stra) were mostly examined for the differences between Shib-dae-ji-bup and pyun-haeng and byul-kyung-shim-so. And by researching, in books 3 and 4, with which shim-so does the A-rwae-ya-shik(Alaya-Vijn~a ̄na) and the Mal-la-shik(manas) have a relationship, the differences in the Shim-shik-sol(心識說) showed the differences in the Shim-so-ron. In book 5, using books 3 and 4 as the basis,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s in the Shim-shik-sol,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the definitions of each shim-so. Therefore, in light of what has been written thus far, the writer will attempt to put a proper perspective on the ultimate difference of Yu-bu's Shib-dae-ji-bup being divided into the vijnaptimatrara school's p'yun-haeng and byul-kyung-shim-so; The most basic problem in the Yu-bu's Shib-dae-ji-bup being divided into vijnaptimatrara's p'yun-haeng and byul-kyung-shim-so begins in the differences in the shim-shik-sol. The Yu-bu school views consciousness(shik) as myung-sam-ch´ae-il(名三體一) and although the name for each differ, the ch'ae(體) is seen as one. In contrast, the vijnaptimatrara school views shik as ch'ae-sam-myung-sam(體三名三) and this is because they assert that outside of the six levels of consciousness, two more exist - the A-rwoe-ya-shik and the Mal-la-shik. Therefore, as explained in chapter 3-2·3 of this paper, the vijnaptimatrara school restricts the shim-so, which corresponds with the A-rwoe-ya-shik, to five kinds of P'yun-haeng. They also assert that eighteen different kinds of shim-so, including the five kinds of P'yun-haeng-shim-so, the Hye(prajn~a ̄) of the byul-kyung-shim-so, the Bun-nwoe-shim-so(kles´a-caitta) and Su-bun-nwoe-shim-so(upakles´a-caitta) correspond to the Mal-la-shik. The writer then attempts to bring light on exactly which characteristic of the A-rwoe-ya-shik this difference in the shim-shik-sol forms its foundation by focussing on the bija-samtana,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A-rwoe-ya-shik. In the vijnaptimatrara school, bija, as a thing which preserves the karma of sun(kus´ala)·ak(a-kus´ala)·muki(a-vya ̄kr.ta) born from our cognizant actions, has no inherent karmic power in itself. Therefore the special characteristic of bija is mu-bu-mu-ki(anivr.ta-avya ̄kr.ta). However, the vijnaptimatrara school claims that, because the biji is one type of shik, it helps establish the cognizant actions and therefore its corresponding shim-so must be mu-bok-mu-ki-sung(性). Therefore in the vijnaptimatrara school, byul-kyung-shim-so such as yok(chanda) is understood to be the shim-so which formulates specific karma, and the P'yun-haeng-shim-so is defined as a pure shim-so(caitta) which, although giving rise to cognizant actions, does not formulate specific karma. As we can see in chapter 3-2 of this paper, which states that "while the shim-so of greed develops through its aspirations to engage in pleasurable actions, this shik(A-rwoe-ya-shik) is directed by karma and has no aspirations," the A-rwoe-ya-shik, because it is mu-bok-mu-ki-saeng,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byul-kyung-shim-so, which holds karmic power of sun(kus´ala) yum-o(klis.t.a) etc. Therefore, because the vijnaptimatrara school proposed that the A-rwoe-ya-shik be the basic consciousness outside of the six forms of consciousness, there is a need to separately establish a shim-so that matche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is form of consciousness. It is the writer's opinion that this is the basic reason for the Yu-bu's Shib-dae-ji-bup being divided into P'yun-haeng and byul-kyung-shim-so in the vijnaptimatrara school. In the U-ka-sa-ji-ron, this basic difference was addressed using mainly´ the Sa-jong-il-ch'ae-sol(四種一切說). It is also the writer's opinion that, in sung-u-shik-ron, this problem was explained by showing the shim-so that corresponded to the A-rwoe-ya-shik and mal-la-shik, and consequently by revealing the differences in the definitions on these shim-so's.

      • 중등학교에서 여학생들의 이공계 진로 선택을 위한 정의적 특성 연구

        황정일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여성의 능력이 부각되는 요즘, 다른 분야에 비해 이공계 관련 분야에서는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남성보다 현저히 낮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여성의 이공계 기피 현상이다. 따라서 여학생들의 이과 계열 선택과 이공계 진로 선택 유도를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계열에 따른 진로 및 교과 관련 특성과 정의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첫째, 진로 및 교과 관련 특성으로 계열선택, 교과중요도, 난이도 등을 조사하였고, 두 번째, 정의적 특성으로 과학적 태도와 과학학습, 과학실험, 과학직업, 취미활동에 대한 태도, 행동의도, 인식을 조사하였다.

      • 가출 청소년의 성공적 귀가에 관한 연구 : Y청소년쉼터, S재활원 가출 청소년 귀가에 관한 연구

        황정일 상명대학교 정치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가출청소년의 성공적 귀가와 재가출의 차이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현장에서 가출청소년을 지도함에 있어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가출을 경험한 청소년을 성공적 귀가와 재가출로 구분하여 연구1에서는 이들의 가출행동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주는 개인, 가정, 학교, 또래, 사회 환경요인을 살펴보았고, 연구2에서는 인터뷰를 통해 귀가 후 생활과정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으로서 자료의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병행했으며, 설문지 조사를 통한 양적 분석을 이용한 연구를 연구1로, 심층 면접을 통한 질적 분석을 이용한 연구를 연구2로 실시하였다. 연구1의 대상은 귀가하거나 보호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가출을 경험한 121명의 청소년이었으며, 연구2의 대상은 서울YMCA청소년 쉼터에 입소하여 가출을 경험한 9명의 청소년이었다. 자료 분석은 내용 분석에 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1에서는 첫째, 성공적 귀가 집단과 재가출 집단에서 개인요인과 또래 요인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가족요인, 학교요인, 사회 환경요인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성공적귀가 집단과 재가출 집단을 변별하는 요인으로 부모와의 관계, 상담자의 정보적 지지, 교사에 대한 적응 순이었다.

      • 韓·中 修交以後 中國의 對北韓 外交政策

        황정일 延世大學校 行政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을 불과 보름정도 앞둔 시점인 2000년 5월말 이루어진 김정일 위원장의 전격적인 중국방문은 한·중 수교이후 냉각되었던 중·북한관계의 복원이 시작됨을 알리는 동시에 북한에 대한 중국의 중요성과 영향력을 새삼 일깨워준 사건이었는 바, 본 연구는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중국의 대북한 외교정책의 변화추세와 새로 복원된 중 북한관계의 특징 및 향후 발전 전망에 대해 살펴보려고 하였다. 중국은 1970년대말이후 지난 20여 년간 연평균 9.8%라는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룩하였을 뿐만 아니라 2008년 북경올림픽 유치 및 WTO 가입실현 등으로 국제적 위상이 크게 제고되었는 바, 냉전종식후 미국을 유일한 초강대국으로 하는 다극화된 국제질서 하에서 중국이 유일 초강대국인 미국에 필적하는 잠재적인 경쟁국가로 부상하고 있다. 따라서 한반도 문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개혁·개방정책을 통한 현대화 건설을 기본 국가정책 목표로 설정하여 이의 달성에 필요한 평화로운 국제환경 확보를 대외정책의 기조로 변함없이 유지해오고 있으며, 따라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유지를 추구하는 현상유지 정책이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의 기조가 되어오고 있다. 중국의 세계인식 변화 및 실용주의 노선 채택에 따른 개혁·개방정책으로의 방향 전환은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에도 변화를 초래하였으며 이는 결국 1992년8월24일 역사적인 한·중 수교로 이어졌다. 한·중 수교 이후 중·북한관계의 일시적 냉각, 한·중 관계의 제 분야에서의 괄목할만한 발전 이어서 중·북한 관계의 복원 등으로 이어지는 동안 한국의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중국의 남북한에 대한 태도는 미묘한 변화추세를 보여주었다. 한·중 수교이후 중·북한간 대외인식 및 발전전략의 차이가 증대하고 있음에 따라 양국 입장과 이해가 충돌하는 경우도 있으나, 중국을 체제생존의 마지막 안전판으로 여기는 북한의 이해와 북한의 동요를 막고 미국을 견제할 필요성이 있는 중국의 이해관계가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중·북한관계는 과거 혈맹이나 동맹관계에서 벗어나 새로운 전략적 협력관계로 전환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중국-북한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국내 정치·경제·사회적 요인 및 국제환경적 요인을 들 수 있다. 중국은 21세기 중엽까지 사회주의 현대화를 실현한다는 국가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개혁·개방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임을 천명하고 있어 향후 상당기간 평화로운 국제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현행 대외정책 기조를 계속 견지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단기적으로는 북한과의 전략적 협력관계를 유지·발전시켜 나간다는 대북한 정책기조에도 별다른 변화는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는 한반도를 위요한 주요 관련국가간 관계진전 여부 등 국제적 요인과 중국, 북한의 자체변화 여부 등 국내적 요인이 향후 중 북한관계 진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국제적 요인을 살펴보면, 첫째, 한·중 관계의 "전면적 협력 동반자관계"로의 급속한 진전은 중·북한관계를 상당한 정도로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둘째, 중국은 현재 미·북한수교를 지지하는 입장이나, 미·북한관계가 중국 측이 용인할 수 있는 정도를 넘어설 경우 중국은 이를 견제하려 할 것이다. 셋째, 21세기의 향후 수십 년간 국제질서의 전반적인 흐름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미·중 관계에는 갈등과 협력의 요소가 혼재하고 있는데, 미·중 관계가 개선될 경우에는 미·북한관계에 대한 관용도가 증가할 것이나 미·중 관계가 갈등을 빚을 경우 중국에 대한 북한의 중요성이 증대할 것이다. 한편, 국내적 요인과 관련, 첫째, 중국의 개혁·개방이 진전될수록 중·북한간 정책적·이념적 차이가 확대됨으로써 결속력이 점차 약화될 것이다. 둘째, 북한의 개혁·개방속도 및 정도문제와 관련, 소규모경제, 외국투자유치의 불리한 환경 및 이념적 경직성 등 북한이 처한 여러 제약요인을 감안할 때 체제안전에 위협이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점진적이고 신중하게 추진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증대되는 한편 양국간 경제관계의 중요성은 더욱 감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결론적으로 향후 중·북한관계는, 단기적으로는 중국의 사회주의이념 및 공산당 일당체제 유지필요성과 시장경제 체제로의 이행에 어느 정도 시일이 소요될 것이기 때문에 동맹적 관성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중·장기적으로는 새로운 국내·국제환경적 요인과 기존의 새로운 전략적 이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전개되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The unexpected visit of late May in 2000 by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which took place just two weeks ahead of the first historic Inter-Korean Summit, once again reminded us of the significant influence China has on North Korea, while signaling recovery of China-North Korean traditional ties temporarily frozen due to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n this context, this study seeks to analyze and forecast China'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 following the normalization of relations between ROK and PRC in 1992. China's rapid economic development with annual growth rate of as high as 9.8% in the past two decades, together with it's successful bid for the 2008 Olympic Games and long-cherished accession to WTO, has greatly raised it's international status, thus rising as the most potentially strong competitor for the United States, the sole remaining superpower in multipolar international order in the post-Cold War era. Needless to say, the enhancement of China's international status and prestige will result in strengthening it's influence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1980's, China has made strenuous efforts to carry out the policy of reform and opening to the out side world to attain the goal of national moderniza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to secure peaceful international environment favorable to economic development has formed the firm basis of China's foreign policy, which is naturally reflected in it s policy to secure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The shift in Chinese leader's perception of world affairs and it s subsequent decision to pursue the reform and open-door policy has brought about drastic changes in its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which finally led to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ties with South Korea in 1992. Since then, China has managed to keep neutral and balanced approach to North and South Korea. However, fast-growing bilateral relations in all field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has led to subtle changes in China's attitude in favor of South Korea. Despite increasing differences in terms of both their perception of world affairs and national development policy, basic interests of China and North Korea coincide with each other; China is regarded as the last safety valve for survival of North Korean regime, while North Korea's stability is considered essential to China in order to avoid its border unrest and check the spread of the US influen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regard, China-North Korea relationship has gradually been transformed from that of blood-tied alliance to that of strategic cooperation since 1992. There are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tors affecting the futur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As China has repeatedly proclaimed it s firm resolve to continue the reform and open-door policy aimed at fulfilling national modernization by the mid-21st century, it's basic foreign policy to secure peaceful international environment will remain unchanged for a considerably long period of time. In the short term, no fundamental changes in Chinese leader's perception of world affairs are expected to occur since they are firmly determined to stick to and carry out their current socialist market economy. Accordingly, China's current policy to pursue the relationship of strategic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will be maint ained too. In the mid and long term, however, relations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will be affected by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tors in both direct and indirect ways; First, in view of the fact that economic factor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bilateral relations, China-North Korea relations will be, to a consider able degree, affected and weakened by the fast-development of China-South Korea relations. Second, China, for the time being, is in favor of normalization of US-North Korea relations. However, it will certainly seek to intervene and check them in case that the degree and scope of development of their ties exceeds the limits where it can tolerate. Third, there exist mixed factors of conflict and cooperation in the US-China relations dominating the formation of new international order in the first decades of the 21st century. China's tolerance of better US-North Korea relations will be increased if US-China relations is improved, while North Korea will stratigically be more important to China in case that the US and China is in conflict. Fourth, further intensifying of reform and open-door policy will certainly bring about enormous changes in China's political and social system, which will result in widening differences in both development policy and ideology, and weakening the very basis of China-North Korea relations. Fifth, though there are conflicting views about the pace and degree with which North Korea will pursue it's reform and open-door policy in the future, North Korea is certain to be extremely cautious in carrying out the reform and open-door policy, in the light of several factors such as it's relatively-small-size economy, unfavorable environment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ideological rigidity. Therefore, the more dependent North Korea is getting on China's aid, the less import ant China-North Korea economic relations will become. In conclusion, China-North Korea relationship has undergone tremendous changes as a consequence of historic events such as the collapse of socialist camp and the end of the Cold War in the last decade. In this context, their future relations will develop under the combined influence of sever al factors such as changes in international environment, an existing inertial force of alignment between them and their own new strategic interests.

      • 건축물의 구조적 조형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황정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예술은 사물을 재생하거나 형식을 조성하며 경험을 표현하는 의도적인 인간 활동” W. 타타르키비츠 지음, 김채현 옮김 [예술 개념의 역사] , 열화당, 1987 p.72 이다. 즉 예술가는 대상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본질을 적절한 매개를 통해 그것을 새롭게 시각화한다. 다시 말해 예술가는 자신의 일상 속에서 경험되어 지는 현상을 설명이나 묘사가 아닌 새롭고 ‘독특한’ 형태로 재구성해서 새롭게 재창출(再創出)하는 것이다. 예술은 그 시대 상황이나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예술가는 이미 그 자신이 한 사회의 구성이므로, 그가 속한 사회의 맥락이나 영향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 본인도 이러한 상황에서 자유로울 없으며, 나 자신의 작품 소재를 삶의 공간인 도시를 중심으로 표현하였다. 본인은 개인적 삶을 통해 얻어진 다양한 이미지들을 새롭게 재구성하고, 일상의 삶 속에서 얻어지는 시각적 요소들을 재해석 하였다. 현대의 도시는 산업화와 정보화로 인해 급격한 사회 변동을 겪고 있다. 도시라는 틀 속에 속해있는 사회 구성원들은 급격한 사회변동으로 인해 신념이나 가치관의 혼란을 겪고 있다. 고속 성장의 상징처럼 느껴지는 현대 도시의 건축물은 비인간적으로 보일만큼 빌딩의 모습들은 현시대의 모습을 대변하고 있다. 또 건축물들을 보고 있노라면 쉽게 다가갈 수 없는 위압(威壓)감이 느껴지며, 그 속에는 마치 소외된 인간의 모습을 엿볼 수 있게 한다. 본인은 도시속의 건축물들이 마치 군상처럼 느껴졌으며, 그것의 외적인 모습들을 조형적으로 재해석함으로서 도시인들의 고독감, 방황감 그리고 획일화된 교육 속에 비개성화 되는 인간의 심리를 작품 속에 표현하고자 하였다. 도시속의 건축물은 일상적으로 흔히 접하는 공간중의 하나로 사실적 이미지로서 재현(再現)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 상황들에 대한 새로운 관계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작업의 모티브가 되는 도시 구조물은 반복되는 선으로, 면으로 화면을 형성하였으며 규격화된 삶과 평범한 대상의 새로운 관계로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 현대의 실상을 작품에 반영하고자 한다. 화면의 조형적 측면에서는 반복되어 쌓여진 선들과 균일하게 나열된 면들이 도시 건축물의 이미지를 한층 더 강하게 화면에 재구성 되여 현대 도시의 메마름과 고립된 심리를 작품에 반영하였다. 본인의 작품에 드러난 현대 도시는 현대인들에게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하는 공간인 동시에 현대인들이 마주해야하는 필연적 공간의 한 단면이다. 이와 같은 불가분의 관계 속에 도시 구조물의 외적인 모습들은 나 자신의 작품세계에 또 다른 의미로서 작용할 것이다. "Art is the intended human activity to reproduce the things, to build a form and to express the experience.”W.Tatarkiewicz, trans. by Kim, Chaeyeon [History of Aesthetics], Yeolhwadang, 1987 p.72 In other words, artist visualizes the original nature of an object via proper means newly. This means, artist does not illustrate or describe, but recomposes and recreates the undergoing phenomena in daily life in new and 'unique' form. Art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circumstance and environment of the times. Artist can not completely be free from the social trends or influences as far as he/she is a member of the society. I am not exceptional as well. So I chose a city of living space as my work's topic and focused on its expression. I rebuilt various images captured through individual life and reinterpreted the visual factors in daily life. Present cities have experienced rapid social change in line with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informatization. Social members in the frame of city have to suffer from confusions in views and belief caused by rapid social transformation. The architectures of the modern cities regarded as a symbol of speedy growth represent the inhumane appearance of these days. A sense of overpowering is emitted by them, and alienated human beings can be identified if we look it up. I have felt as if the urban architecture were a group of sculptures and tried to express the urbanite's loneliness and wandering and impersonalized human psychology with uniformed education in my works, by reinterpreting its external appearance in formative way. The urban architecture in my works is purposed not only to reproduce the common place of daily life as a realistic image, but also to establish a new relation in complex situation. The urban structure which is a motive for my works is composed of repeated lines and planes. I would like to mirror the current situation dominating our life as a new paradigm of standardized life and mediocre objects in my works. From the formative respect of screen, the repeated cumulative lines and evenly arranged planes regenerate the image of urban architecture much stronger on the screen and reflect the present city's dryness and the isolated emotions. The modern city in my works is a space to mak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ntemporaries as well as a section of space the contemporaries inevitably encounter. In this inseparable relation, the appearance of urban structures will exert another meaning to my own works.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성향 아동의 생태교육에 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황정일 대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the program to help children harmonize with nature, treasure the life and live within community happily. This education is the environmental friendly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the aim of mutual symbiosis between human and nature through the physical and mental interaction with nature. The purpose of this program is aimed at helping children recover childishness and play with nature since they are gradually losing these pleasures in the industrialized and urbanized living area. Based on this purpo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n arbitrational way to improve the trouble behaviors of the children with ADHD, this study reviewed the degree of attention for the children with ADHD through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rder to implement this study, the feedback from 149 people of kindergarten and nursery teachers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below. 1. early childhood education influenced the children with ADHD favorably and for this effect,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education system and surroundings,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ositive participation would be required. 2. The biggest potential problem with the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for the children with ADHD was the lack of sufficient information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resolve this issue, active promotion of this program would be needed. 3. To apply the effici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children with ADHD, the recognition that 'more diverse and concrete program development was needed' was highly noted. 4. Regarding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effect, the recognition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ld mitigate the tension and need conflict of the children with ADHD' was highly noted. Through this education program, the children with ADHD might be able to reduce the stress coming from school, home and social life and the program would enable them to resolve the trouble behaviors and to improve the degree of attention to a large extent.

      • 마태복음서의 거짓 예언자와 세례 요한 제자

        황정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마태복음서에 등장하는 거짓 예언자들과 세례 요한 제자들의 관계를 주목함으로써 거짓 예언자들의 정체를 밝히는 동시에 세례 요한과 세례 요한 제자들의 관계가 마태에 의해 어떻게 설정되고 있는지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세례 요한과 세례 요한 제자들에 대한 마태의 태도가 동일하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마태가 이들을 비판적으로 혹은 긍정적으로 묘사하고자 했다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마태의 본문은 세례 요한과 세례 요한의 제자들을 마태가 서로 다른 입장에서 처리하고 있다는 해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충분한 근거를 가지고 있다. 마태는 마가와 누가에 비해 세례 요한과 예수의 관계를 친밀하게 묘사한다. 마태는 세례 요한이 도래한 엘리야임을 명시하고 있으며, 세례 요한은 예수의 메시아 됨을 변호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세례 요한에 대한 긍정적인 묘사와는 달리 마태는 세례 요한의 제자들이 세례 요한의 선포 내용을 올바로 이해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이들이 세례 요한에게서 세례를 받은 세례 요한의 추종자들과 분리되고 있다는 것을 암묵적으로 드러낸다. 또한 마태는 세례 요한의 제자들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바리새인들에게 직접적인 비판을 가하는 한편, 이들을 거짓 예언자들로 묘사함으로써 바리새인들에 대한 세례 요한의 비판이 예수를 통해 지속되도록 복음서를 구성한다. 마태는 세례 요한 제자들을 카리스마적 예언 활동을 하는 불법 수행자들로 묘사함으로써 이들이 바리새인들과 함께 거짓 예언자들의 범주에 포함되고 있음을 강조한다. 마태가 바리새인들과 세례 요한의 제자들을 유사한 정체성을 가진 거짓 예언자들로 묘사하고 있는 것은 마태공동체 내부에서 카리스마적 활동을 근거로 잘못된 메시아 인식을 제기하고 있는 세례 요한 제자 그룹과, 마태공동체 외부 집단으로서 마태공동체의 메시아 이해를 비판하고, 활발한 선교 활동을 통해 마태공동체의 선교 입지를 잠식해 가고 있는 바리새적 유대공동체의 위협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마태는 내․외적인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세례 요한을 세례 요한 제자들과 분리시키고 세례 요한을 통해 예수의 메시아적 권위를 확보하는 한편, 예수를 카리스마적 예언자의 원형으로 묘사함으로써 잘못된 예언 활동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