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안산에 의한 조골세포의 자멸사

        황은아 계명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1855

        Renal osteodystrophy (ROD) contributes as a major long-term complication which is associated with high rate of morbidity. The factors contributing to ROD are still incompletely characterized. Cyanate, known as one of the uremic toxins, is derived spontaneously from urea. However, the apoptosis-inducing activity of cyanate has remained undefin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cyanate-induced apoptosis in ROS 17/2.8 osteoblastic cells, ROS 17/2.8 cells were treated with 1―40 mmol/L cyanate. Hydrogen peroxide, malondialdehyde and several factors which is related to cell apoptosis were investigated after cyanate treatment. There was a dose-dependent decrease in cell viability by cyanate. Substantial morph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in ROS 17/2.8 cells when they were treated with cyanate. Cells were detached and floated to the top of the culture dish, and a monolayer was not formed. Treatment with cyanate induced elevation of hydrogen peroxide and malondialdehyde. Furthermore, cyanate induced DNA fragmentation, release of mitochondrial cytochrome c into the cytosol, activation of caspase-3 and caspase-8, cleavage of caspase-3 substrates, and decrease of NF-κB 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yanate can induce oxidant stress which appears to trigger apoptosis by activating proapoptotic signals. Apoptosis in osteoblast induced by cyantate may play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ROD.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흔히 관찰되는 골격계 합병증인 신성 골이영양증의 병인은 매우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증가된 시안산에 의한 골의 중요 구성 세포인 조골세포의 세포자멸사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조골세포인 ROS 17/2.8 세포에 0, 0.1, 1, 5, 10, 20 및 40 mmol/L 농도의 시안산을 처리하여 세포독성과 세포의 형태학적인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시안산에 의한 MDA와 과산화수소의 생성을 TBA법과 xylenol orange 과산화수소법으로 조사하였다. 뿐만 아니라, 시안산에 의해 발현되는 세포자멸사 관련 인자의 발현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ROS 17/2.8 세포에 대한 시안산의 세포독성을 MTT법으로 측정한 결과, 시안산의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독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시안산에 의한 ROS 17/2.8 세포의 형태학적인 변화를 관찰한 결과, 20 mmol/L의 시안산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는 배양 플라스크에 부착되지 않은 부유상태로 존재하며, 단층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활성산소의 일종인 과산화수소는 시안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생성되는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지질 과산화의 최종 산물인 MDA 생성도 시안산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다. 시안산에 의한 ROS 17/2.8 세포의 세포자멸사 관련 인자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시안산의 농도에 따라 DNA 단편화가 증가하였다. 시안산의 처리에 의해 세포자멸사의 주범인 caspase-3과 caspase-8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caspase-3의 활성 증가를 확인하였다. Caspase-3의 기질인 Rb와 PARP는 시안산의 처리에 의해 절단되는 양이 증가하였으며, cytochrome c의 발현도 증가하였다. 세포자멸사를 억제하는 전사인자인 NF-κB의 발현은 시안산의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시안산은 조골세포 내에 과잉의 활성산소를 발생시키며, 생성된 활성산소에 의해 caspase cascade를 통한 세포자멸사가 유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는 체내 증가된 시안산이 조골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하여 신성 골이영양증과 같은 골질환을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그룹게임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구성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황은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그룹게임의 교육적 가치와 그룹게임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규칙, 경쟁, 교사의 개입과 역할 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그룹게임에 대한 교사의 올바른 역할에 대해 재조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그룹게임의 교육적 가치인식은 어떠하며, 교사의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그룹게임의 선정기준은 어떠하며, 교사의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규칙에 관한 인식은 어떠하며, 교사의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경쟁에 관한 인식은 어떠하며, 교사의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5. 평가에 관한 인식은 어떠하며, 교사의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6. 교사의 개입 및 역할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교사의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공·사립유치원의 만4, 5세반 교사 110명이다. 연구대상의 표집은 서울시내 공립유치원에 각 유치원별로 2부씩 모두 180부를 배포하였고, 서울시내 사립유치원은 인터넷을 통한 주소에 준해 각 구별로 2 기관씩 무선 표집을 하여 각 기관별로 2부씩 모두 100부를 배포하였다. 총 배포된 질문지 280부 중, 회수된 질문지는 113부였으며 이 중 110부가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 도구로는 그룹게임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각 문항별 반응을 백분율로 환산해서 비교하였으며, 교사의 경력·학력별에 따라 X^(2)로 유의도를 검증하였고, 중요도에 따라 순위를 나타내는 문항은 순위에 따라 점수를 주어 이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비교하였으며,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X^(2)으로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사가 그룹게임에서 교육적으로 가장 중요한 가치라고 인식하는 것은 유아의 지적, 도덕적 자율성이 발달되기 때문으로 보았고 이는 학력과 경력이 높을수록 더 큰 가치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그룹게임을 실시할 때 선정기준은 경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유아의 발달수준에 적합한가의 여부에 따라 그룹게임을 선택하였으며, 교사들이 자주 실시하는 그룹게임의 유형은 판게임, 경주게임, 언어적 지시게임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특정 그룹게임 유형을 실시하는 이유로 경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유아들이 주로 흥미, 관심을 보이는 유형이기 때문에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교사들은 유아들이 또래와의 합의에 의해 새로운 규칙 만들기 기회를 가짐으로써 자기조절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규칙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규칙을 소개할 때 교사들은 주로 게임규칙을 모든 유아에게 간단하게 설명해주고 모르는 부분에 대해 질문하도록 하거나, 또는 많은 유아 앞에서 몇 유아와 함께 시범을 보임으로써 방법을 알려주는 방법을 실시하고 있었다. 또한 규칙이나 방법에 의해 갈등이 생겼을 때 학력과 경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유아들 스스로 토론하여 결정할 수 있도록 교사가 유도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게임이 다른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을 때 학력과 경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갈등 없이 유아들끼리 계속 놀이를 한다면, 굳이 개입하지 않는다고 인식함으로써 교사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교사들은 경쟁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었으며, 그 이유는 그룹게임을 통해 유아의 사고가 탈중심화 되고, 유아의 관점이 통합될 수 있는 능력이 길러질 수 있기 때문으로 보고 있었으며,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로는 사회성 발달에 있어 경쟁이 협동성을 저해하는 이기적인 행동이기 때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경쟁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한 적절한 교수방법으로 학력이 높은 집단은 게임 시작부터 승리의 중요성을 극소화시키거나, 또는 유아가 원할 경우 경쟁적 요소를 수정하여 게임을 진행시킴으로써 부정적인 요소를 최소화함을 알 수 있었다. 5. 그룹게임 실시 후에 유아들과의 평가에서 교사가 가치를 두고 있는 평가내용은 경력이 높을수록 유아들과 그룹게임에서 즐거웠던 점과 느낀 점 그 자체로 나타났다. 6. 그룹게임 진행시 교사가 개입하는 적절한 시기로 유아들이 지나친 경쟁적 태도를 보일 때, 유아들이 서로 갈등을 일으킬 때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사가 다른 유아와 동등한 놀이자의 자격으로 놀이에 참여하는 방법이 적절하다고 보았으며 , 교사가 개입을 원하지 않을 때 그 이유에 대해서는 교사개입이 유아들의 자율성 발달에 저해요소가 되기 때문으로 보았다. 또한 그룹게임에 참여하기를 원하지 않는 유아가 있을 경우, 학력이 낮은 교사집단은 유아들에게 잘 이야기하거나 격려하여 참여시키는 반면 학력이 높은 교사집단은 한쪽에서 구경하다가 유아가 원할 때 언제든지 다시 참여하도록 하는 반응을 보였다. 또한 선택상황에서 유아가 교사에게 해답을 원할 경우, 교사가 직접 해답을 말해주기 보다는 다른 유아들에게 질문하게 함으로써, 해결책을 유아들과 같이 찾아보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clearing up the teachers' right role with inquiring into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rules, competitions, the teacher's roles and interventions in group games. This research question is as below. 1. How is the teachers' valuation on the group games? Is it depends on the teachers' career and scholarship? 2. What is the standard selection of group games? Is it depends on the teachers' career and scholarship? 3. How is the understanding of the rules in group games? Is it depends on the teachers' career and scholarship? 4. How is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etitions in group games? Is it depends on the teachers' career and scholarship? 5. How is the understanding of the evaluations on group games? Is it depends on the teachers' career and scholarship? 6. How is the understanding of teachers' intervention and roles in group games? Is it depends on the teachers' career and scholarship? The subjects were 110 teachers who is teaching for full 4, 5 years old at kindergarten in Seoul Korea. Research sample was distributed 180 volume for public kindergarten, 100 volume for private kindergarten in seoul Korea. 110 out of 280 volume of questionnaire was used for source of research. The data of research was the questionnaire on teachers' understanding of group game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below. 1. What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group games by teachers is children's intelligent and moral development as the group of high career and scholarship estimate intelligent and moral development. 2. The group of high career and scholarship selects group game depend on children's level of development, and practice board game and racing games occasionally as those are type of interesting by children. 3. Teachers' understanding that the rule is very important because children were developed the ability of self-control by creation of the rule. When teacher express the rule, they explain the rule to children from time to time, and they used to the way of be questioned on the part of doesn't make sense. When children had trouble about the rule, the group of high career and scholarship lead that children discuss and decide themselves. When another game processing, the group of high career and scholarship understanding that never intervention when children well processing about group game. 4. The teachers consider the competitions in the games affirmatively, because children can get out of egotism. But some of teachers consider the competitions in group games negatively, because the exceeding competition hinder the cooperation each other. The group of high career and scholarship consider the right teaching method as minimize the importance of win. 5. The evaluation item of the group of high career and scholarship's importance is the funny things and feeling with children through the group game. 6. Teachers consider that good time to in the group games are when children for compete excessively or when children are in conflict each other. When there is a child doesn't want to play together, The group of low career and scholarship try to persuade the child to join the games, but the group of high career and scholarship let the child watch the games till he (or she) want to join the game himself (or herself).

      • 유아 언어발달 및 유아지능과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관계

        황은아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유아 언어발달 및 유아지능과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 32명과 그들의 어머니로 간식시간 및 이야기 시간에서 어머니와 유아의 자발발화를 촬영하였다. 이러한 발화 자료를 전사한 후 총발화수를 산출하고, UTagger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형태소를 분석한 후 평균발화길이, 어휘다양도(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 어휘다양비)를 산출하였다. 또한 유아를 대상으로 한국 웩슬러 지능검사 4판(K-WPPSI-Ⅳ)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 월령과 성별에 따른 언어발달 및 지능, 어머니 언어입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유아 언어발달, 유아지능,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어머니 언어입력이 유아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에 기초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언어발달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 월령과 관련하여 다른낱말수는 36~51개월 유아보다 52~71개월 유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분석에서 평균발화길이는 남아보다 여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아 언어발달 측정치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총발화수는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평균발화길이는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다른낱말수는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전체낱말수는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지능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 월령에 따른 유아지능 소검사 수행 차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지표 및 전체 IQ 수행에서 유동추론지표는 36~51개월 유아보다 52~71개월 유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유아지능 소검사 수행과 지표 및 전체 IQ수행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 언어입력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 월령에 따른 어머니 언어입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아 성별에 따른 어머니 언어입력은 총발화수,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에서 여아의 어머니 보다 남아의 어머니가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어머니 언어입력 측정치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총발화수는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평균발화길이는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다른낱말수는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전체낱말수는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넷째, 유아 언어발달과 유아지능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유아 언어발달과 유아지능 소검사 수행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총발화수,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가 동형찾기 수행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휘다양비는 동형찾기 수행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유아 언어발달과 유아지능 지표 및 전체 IQ 수행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총발화수,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가 처리속도지표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휘다양비는 처리속도지표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디섯째, 유아 언어발달과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유아 총발화수는 어머니 다른낱말수, 어머니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유아 다른낱말수는 어머니 총발화수, 어머니 다른낱말수, 어머니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유아 전체낱말수는 어머니 총발화수, 어머니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여섯째, 유아지능과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유아지능 소검사, 지표 및 전체 IQ 수행과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상관이 보이지 않았다. 일곱째, 유아 언어발달에 대한 어머니 언어입력이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 총발화수는 어머니 총발화수에 의해 60%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다른낱말수는 어머니 전체낱말수에 의해 16%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 전체낱말수는 어머니 총발화수에 의해 17%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컨대 유아의 언어발달 측정치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연령과 성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유아 언어발달 측정치와 유아 지능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처리속도지표만 상관을 보였으며 유아 언어발달 측정치와 처리속도지표가 가장 밀접한 것으로 사료된다. 어머니의 언어입력은 유아의 언어발달과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지만 지능과는 상관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 언어입력은 유아 지능보다 유아 언어발달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여준다.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 32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표집, 전사 및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적 부담이 크다고 알려진 자발화 분석을 통한 언어발달 평가를 통해 어머니와 유아의 자연스러운 발화자료 분석을 통해 언어자료를 수집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유아 언어발달과 어머니 언어입력간의 관계를 알아본 다수의 연구들과 달리 유아지능 검사를 실시하여 유아 언어발달 및 유아지능, 어머니 언어입력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한 유아국악 교수-학습 지도안 연구

        황은아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55

        국악교육의 가치가 새로이 인식되면서 유,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전통예술 교육이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국악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데 비해 유아의 국악교육을 담당해야 할 교사에 대한 국악교육은 체계와 심도에 있어 부족한 실정이다. 국악교육 관련 논문 역시 유아 국악 교육의 방법론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것은 충분치가 않다. 이 연구는 유아의 국악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를 위한 학습지도안을 제시하여 앞으로의 국악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활동 영역을 살펴보고 이 안에서 국악교육이 어떻게 적용되는가에 대해 살펴본다.이를 통해 유아에게 국악교육을 하는 것은 표현 생활 영역에서 유아의 표현능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건강,사회,언어,탐구 생활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치원 교육과정의 학습 계획은 통합의 원칙 아래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국악영역 내에서의 통합, 음악 영역 내에서의 통합, 다른 예술영역과의 통합, 비예술영역과의 통합을 통한 수업은 유아의 생각의 틀을 넓혀 자유롭고 창의적인 유연한 사고방식을 갖게 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의 원칙을 염두에 두고 생활 주제를 이용해 유아국악교육의 연간계획안을 작성하고 이를 구체화한 학습지도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교수-학습 지도안은 유치원의 생활주제와 내용적인 연관성을 가지는 제재곡을 활용한 만 5세 유아 대상의 1차시 분 수업에 해당하는 지도안으로 구성하였다. 각 수업의 활동은 노래 부르기, 국악 감상하기, 전래놀이와 동작 표현, 악기 다루기의 네 가지 내용으로 진행하며 수업의 활동목표와 주요 활동과정, 지도시 유의점을 기술하였다. 제재곡은 전래동요, 창작 국악동요, 민요를 다양하게 포함시키고 이야기 나누기, 동화 들려주기 등의 활동으로 유아의 주의를 집중시키며, 제재곡을 익힌 후에는 놀이,악기 연주,율동,창작 등의 과정을 진행하여 활동을 확장시킨다. 연구자는 본 지도안을 통해 국악교육 중심의 유치원 생활주제의 반복, 심화, 통합의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As the value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became newly recognized, the traditionalart education in the education course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has been reinforced. However, while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Korean traditionalmusicisbeing raise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teachers who are going to be in charge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infants are actually insufficient in the aspects of system and depth. Theses related to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re also insufficient for methodologies or program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infants.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help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by suggesting a teaching guidance plan for teachers in charge of the education for infa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first of all, it is going to examine the activity areas of the 6th Kindergarten Educational Course and the application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ithin it. Through this, it could be found that educ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to infants help not only raise the infant's expression ability in the expression living area but also have an positive influence on health, society, language and inquiry life. The teaching plan of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course should be progressed under the principle of consolidation. Teaching through consolidation with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rea, music area, with other art areas and non-art areas makes the infant's thinking frame widen to have a free, creative and flexible thinking method. In this study, the principle of consolidation will be considered and an annual plan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infants by using subjects in life will be prepared and a teaching guidance plan that concretes them will be suggested. The teaching guidance plan of this study is composed of tha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inute teaching for infants atthe age of 5 utilizing subject songs that has connection of contents with subjects in life of kindergartens. The activities of each teaching are progressed with four items such as singing songs, appreci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plays handed down and movement expression and performance of the musical instruments and the goals, main activity courses and matters to be attended to in teaching are described. Subject songs include child verses handed down, creative child vers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folk songs variously and draw infant's attention to activities such as talking each other and telling children's stories and after learning subject songs, extend activities by progressing the courses of plays, performance of musical instruments, rhythmic movementand creation. The researcheris going to suggest the courses of repetition, deepening and consolidation of subjects in life of kindergarten focused o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rough this guidance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