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 요인 연구 : Hirschi의 사회유대이론을 중심으로

        황영애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based upon Travis Hirschi’s Social Bonding Theor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youth’s social bond upon their smartphone addic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 of smartphone addiction from four aspects: difficulty of daily life, pursuit of virtual world, withdrawal, and tolerance. To explain such addiction, this study investigated youth’s attachment, commitment and involvement, presented as elements of the bond with society by Hirschi, and analyzed to what degree they affected juvenile addiction to smartphone. The 268 students attending mixed middle schools in Busan responded to the given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final 262 subjects were analyzed. For statistic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SPSS 20.0 was us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youth whose attachment was stronger were less likely to show smartphone addiction. The higher scores on emotional bond with parents, communication with parents, parental supervision, and parental understanding of use of smartphone were achieved, the lower intensity of difficulty of daily life, pursuit of virtual world, withdrawal, and tolerance were shown. Second, the youth whose commitment was more serious were less likely to show smartphone addiction. The harder the endeavors after education, future vocation and goal achievement, the lower the degree of difficulty of daily life and tolerance. Third, the amount of involvement with various activities such as schoolwork, afterschool leisure, trainings, clubs and voluntary service was examine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s upon any aspects of the smartphone addiction. These study results show the following points: First of all, to prevent juvenile smartphone addiction, parents should communicate openly and effectively with their children and supervise their smartphone use with interest offering them emotional stability, and they should also experience juvenile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s for parents. In addition, a variety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youth are necessary at family, school and community levels in order that youth can devote their time and effort to their academic/vocational achievement with their own dreams. To summariz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prevent and overcome youth smartphone addiction is to strengthen the bond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e next thing is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school and social activities and to implement those program constantly with government support and intervention.

      • 한국어 쓰기의 오류 분석 및 교육 방안 연구 : 문장 성분의 호응 관계를 중심으로

        황영애 건양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an appropriate sentence writing education plan by analyzing and identifying Korean sentence writing errors of students focusing on the agreement relation between sentence constituents. Chapter 2 examines the status of writing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al environments, identifies problems,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writing education and sentence structure and discusses sentence structure forms and agreement relations. In chapter 3, we discuss surveys that were done to understand sentence writing abilities of beginner level to ‘phase 2’ students of Korean at a university. Results show that there are many errors that do not meet agreement relations with predicate words due to errors in case marker of each sentence constituents and that students’ knowledge of subjective postposition, objective proposition and adverbial case markers were not concrete. Also, of the agreement relation between subject-predicate, objective proposition-predicate, object-predicate, and adverbial phrase-predicate, there were many errors in adverbial phrase-predicate agreement relation and there were most errors related to adverbial case markers-restriction case markers and predicate. Based on this, in chapter 4, we attempt to provide direction on the agreement relation of adverbial phrase and predicate which had the most errors. We first examined restriction case markers which have agreement relation with predicate in a sentence with adverbial case markers as shown in beginners’ textbooks. On this we proposed a plan focusing on input strengthening method of sentence structure awareness, rearrangement of sentences from use and change of dictogloss and context based vocabulary professor plan, a study method through sentences. Currently, for precise and proper sentence writing in Korean education classes on structure and constituents and their agreement relation must be enhanced and alternated and along with appropriate reflection on weakness in sentence writing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we anticipate further research with various points of view. 쓰기는 단순히 말을 글자로 옮기는 과정이 아니라 문자 기호를 사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독자에게 전달하는 의사소통 과정 중의 하나이다. 다른 의사소통 상황에서처럼 글을 쓰는 경우에도 목적이 있고 글을 읽는 대상이 존재한다. 보통 말을 할 때에는 상대방의 표정, 억양, 몸짓과 함께 상대방의 생각을 전달 받을 수 있고 제대로 이해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하지만 쓰기의 경우 독자가 함께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독자가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완전한 구조의 문장으로 의사를 전달해야 한다. 완전하고 바른 문장을 쓰기 위해서는 문장 쓰기부터 올바르게 써야 한다고 주장하는 바이며 바른 문장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 문장 구조 중심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는 바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제적인 문제점을 점검해 보고 글과 단락 구성 중심의 쓰기 교육을 위해서는 글의 기본 단위인 문장부터 바르게 써야 한다는 것에 중심을 두고 바른 문장을 쓰기 위해서는 문장을 이루고 있는 성분들 간의 구조와 호응 관계를 학습자 스스로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초급 과정부터 문장 구조 중심의 교육에서 문장 성분 간의 호응 관계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바이며 이 논문에서는 문장의 호응 관계를 주어와 서술어 호응 관계, 목적어와 서술어 호응 관계, 부사어와 서술어 호응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대학 기관에서 한국어 초급 과정 2단계의 학습자 82명을 대상으로 문장 쓰기 능력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조사는 주어진 문장에 알맞은 주어, 목적어, 부사어의 격조사와 서술어와 함께 호응 관계를 맺는 부사어를 쓰는 빈칸 채우기, 어휘를 제시하고 이를 사용하여 문장을 만드는 문장 완성하기였다. 그 결과 빈칸 채우기의 평균 정답 개수는 10개 중 5.6개 정도였으며 정답률은 57.9%였다. 10문제의 문장 완성하기의 평균 정답 개수는 3.6개로 34.6%에 달하는 저조한 정답률을 보였다. 문장 완성하기에서는 각 문항의 어절을 설문 조사 대상 수만큼 통계를 낸 결과 문장 완성하기의 전체 어절은 3,772어절로 이 중에서 전체 오류 어절 수는 655어절이었다. 이를 다시 전체 오류 어절에서 각 성분의 오류 어절을 분석하고 조사하였다. 각 문장 성분의 격조사에 대한 오류로 인해 서술어와의 호응 관계가 이루어지 않아 학습자들이 주격 조사와 목적격 조사, 그리고 부사격 조사에 대한 오류가 상당 부분 나타났는데 특히 주격 조사 ‘이/가’와 목적격 조사 ‘을/를’의 사용에 대해 혼돈하여 잘못 사용하는 경우를 볼 수 있었고 그와 더불어 부사격 조사에서 장소를 나타내는 ‘~에’와 ‘~에서’의 쓰임에 대한 오류를 많이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학습자들이 문장 성분의 격조사에 대한 정확한 지식 정보가 아직 확립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어와 서술어, 목적어와 서술어,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 중에서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에서 많은 오류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특히 빈칸 채우기 영역과 문장 완성하기 영역에서 부사격 조사 ‘~에’, ‘~에서’, ‘로’ 등과 ‘아마~ (으)ㄹ 것이다’와 같은 제약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에 대한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들이 문장 성분이 무엇과 호응 관계를 이루고 있는지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인한 것이라 보며 이에 대한 교육 방법을 고려해 봐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이를 기반으로 가장 많은 오류를 보였던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에 대한 교수 방안을 마련하였는데 먼저 초급 교재에 나타나는 부사격 조사와 문장 내에서 서술어와 호응 관계를 맺고 있는 제약 부사어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나아가 부사격 조사 그리고 부사어와 서술어가 호응 관계를 맺고 있는 부사어에 대해, 입력 강화 기법을 활용하여 수업 진행 시에 문장의 구조를 이루는 격조사나 문장의 성분을 굵은 글씨체나 이탤릭체 등을 활용하여 학습자들로 하여금 문장의 구조화를 암시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교육 방안으로 딕토글로스를 활용· 변형한 문장의 재구성을 통해 문장의 호응 관계를 인지시키도록 하였는데 이는 듣기나 읽기 등의 다른 영역과 함께 학습하면서 활용하는 있는 방안으로 요즘 통합교육을 지향하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이라고 본다. 듣기만을 위한 수업이 아니라 듣기 수업을 진행하면서 문장 쓰기를 활용하여 듣기의 내용을 재구성하고 평가할 수 있어 다양한 효과를 기대해 볼만한 교육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문맥 중심의 어휘 지도를 통해서 하나하나의 어휘보다는 문장 구조를 통해서 어휘를 익히고 그를 재생산할 수 있는 교수 방안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 연구는 초급만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하였기에 학습 단계별 분석이 함께 이루어졌다면 교육에 보다 효과적인 연구 결과를 기대할 수 있었을 텐데 그러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현재 한국어 교육은 의사소통에 중점을 두고 있으

      • 읽기ㆍ쓰기를 통한 학교부적응학생 지도방법 연구

        황영애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A Study on Method of Guidance for School-Maladjusted There are little changes in the school lives of students in today's fast-changing society, and the number of students who go astray without fitting in school is still on the rise. Every school is accountable for leading them in the right direction, and one of the ways to make it happen seems to give guidance to them in association with academic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mental training for school- maladjusted students to improve their school adjustment. The mental training referred here to reading and writing literary work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seventh graders in Y middle school in a rural community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 selected students were diagnosed as school-maladjus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12 each. An experiment was implemented during a seven-month period of time from May to November 2008 by volunteer counselors and teachers in charge of research. The experimental group was engaged in reading and writing a variety of literary work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in this study, and the control group just took typical language arts lesson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checked by looking for any possible changes in each of the two groups. In order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the findings of the study, whether this study produced any significant results in terms of reading/ writing education and school adjustment was investigated, and their interest in literature, basic academic achievement, delinquency level, self- esteem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were assessed detail.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Regarding interest in reading/writing, both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had showed little interest in reading and keeping a diary, but there was a splendid change in their interest after the experiment was complete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urvey to evaluate their interest in literature and understanding of it, they attached importance to literary education as a way of self-discovery and self-reflection. Concerning changes in language arts scores, 17 students were compared since it was not possible to compare all the students, and 12 out of 17 students made a great progress. In terms of delinquency level, self-esteem and school-life satisfac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very significant improvement as well.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eaching school-maladjusted students to read and write literary works made it possible for them to see themselves in a new light, to lead a more satisfactory life at school and not to misconduct themselves in and outside school.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The application of additional research methods such as an investigation of changes in academic standing in various subjects and observation method would produce more objective results. Existing studies have mostly centered around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and how to take advantage of the merits of language arts, which refer to stirring up the interest of learners and touching their hearts, in order to step up their ment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should be studied in the future.

      • 해금 정악 교수-학습법 연구 : 천년만세를 중심으로

        황영애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악은 과거부터 전해져 내려온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음악으로 우리 민족의 삶과 정서가 반영되어 긴 역사 속에서 정체성을 잃지 않고 지켜져 왔다. 최근에는 국악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학교 교육 현장에서 전통음악에 대한 교수-학습 연구와 교과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많은 전공자들이 예술 강사로 지원을 받아 학교 정규 수업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방과 후 특기-적성 활동으로 사물놀이나 가야금, 해금, 소금, 단소를 배우고 있다. 학교 예술 재정 지원을 받는 학교는 국악관현악단, 취타대를 운영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연주기교를 익히게 하는 실기 중심의 교육과 함께 우리나라 음악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전통음악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갖도록 하는 학습 방법도 함께 논의해야할 주제라고 생각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천년만세를 중심으로 한 해금 정악 교수-학습법을 구안하고 국립전통예술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 현장에서 적용해 보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전통음악인 풍류 음악 중 천년만세를 제재곡으로 하여 5단계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해금 연주 기법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 적용하여 전통음악에 대한 자각과 관심을 제고하며 연주 실력을 높이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해단계) 우리나라의 전통음악과 풍류 음악의 이해를 바탕으로 천년만세 연주형태와 특성을 알게 하였다. 둘째, (연주기초 습득단계) 해금의 기본 연주 자세를 확인하고 운지법과 운궁법을 알며 해금의 기본 주법과 특수 주법을 익히도록 하였다. 셋째, (연주실기 습득단계) 정간보와 오선보를 통하여 장단에 맞추어 천년만세를 익히도록 하였다. 해금 음역과 장단을 살려 잉어질과 시김새 등을 정확하게 습득하고 다른 곡에도 응용하여 연주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게 하였다. 넷째, (연주기능 숙련단계) 장단에 맞추어 강약을 지키며 천년만세의 해금 음색을 또렷이 표현하게 하였다. 또한 반복 연습과 다른 악기와의 합주를 통해 해금의 음색 표현을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다섯째, (표현능력 심화단계) 천년만세의 전체적인 악곡이해를 바탕으로 자신감 있는 연주를 함으로써 해금의 표현 능력을 높일 수 있게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와 같은 단계별 학습 방법을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에게 학습내용에 더욱 흥미를 갖게 하고 효과적인 해금 학습을 유도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나아가 이 논문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음악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전통음악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갖도록 하는 학습 방법이 더 많이 연구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構成主義 觀點에서의 道德科 敎育課程 分析 : 第7次 3~6學年 敎育課程을 中心으로

        황영애 대구가톨릭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8639

        과거 객관주의에서는 인간을 수동적인 존재로 보았으며, 지식이란 고정 불변의 것으로 학습자가 단지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만 면 디는 것으로 보았다. 구성주의 관점에서 인간은 능동적인 자기 구성을 할 수 있는 구성의 주체자로 보며, 지식이란 인간의 인지구조의 변화로 생물학적 유기체인 인간이 지식에 대해서도 일련의 지적 적응 과정, 즉, 동화, 조절, 평형화의 과정을 거쳐 일어난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도덕이란 사회 구성원끼리 언어를 매개로 한 도덕적 지식과 가치에 대한 대화의 과정과 언어적 해석, 그리고 재해석, 재구성 등의 상호 작용의 과정을 거쳐 형성되고 변화되어 가는 합의의 윤리이며 이는 그들이 속한 문화를 반영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도덕과 교육과정은 수 차례 개정되어 왔으며,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은 겉으로는 구성주의를 표방하고 있으나, 학습자관, 교육내용, 교육방법, 수행평가에 있어 아직도 구성주의적 교육과정이라고 보기에는 많은 무리가 있다고 본다. 진정한 학습자 중심의 구성주의적 도덕과 교육과정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도덕문제중심교육과정이 타당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nvestigate the 7th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from 3th grade to 6th grade in the constructive perspective. The normative proposition can be deducted through dialogical methods. The reasons why the proposition of moral class methods and moral education contents are not adequate is due to the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The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is so conventional and boring that students who have already known its pattern do not concentrate their attention on the moral class. The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should be based upon the knowing process constructively which constitutes human living, in particular, value cognition and ethics of understanding. Human being has been recognized as mechanical, passive and not positive one in the past conventional deterministic perspectives. But human being makes and constructs his own's moral knowledges and values. Human being is recognized as an active constituter of his own's knowledges in radical constructivism as like Piaget, von Glasersfeld and Gergen. In the social constructivism, they explained the products of the cultur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s. Morality is acquired at the Zone of the Proximal Development. Social constructivists argue that people's morality is based on the moral autonomy. The meaning is made of interaction of the individuals by using the language, a very important communicative instrument. In constructivism, knowledge and morality as products of conversation are adaptive, constructive, interactive and progressive things. That is, knowledge and morality can be constructing and building. The history of Korean moral education curriculum is very long and the curriculum has been reformed many times. The object of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is to breed basic life habits and manners. Also, the contents of the moral education focus on virtu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technology and process assessment of the 7th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focus on not the student, but the teacher. Also, it requests the reconstruction toward the constructive moral curriculum. The moral educational contents is requested constructive contents. What the constructive contents focus on is the learners. The learner's subject matter is very contextiv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echnology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ve methods and technology.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efficacy of moral education practices in school without the fundamental shift of our viewpoints on the goals,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in the curriculum. Far from the student-centered and consumer- based education, the curriculum can hardly be recognized successfully. The moral problem-centered curriculum is recommended as a constructive moral curriculum. We suggest the practical field inquiry and the case study of moral constructivism.

      • 현행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의 문화 내용 분석 및 지도 방안 연구

        황영애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语言是反映社会的文化, 因此学习一种语言时, 不仅要学习听,说,读,写的基本要素,更应该学习与那语言有关的文化。因为有了对文化的正确理解,才能进行沟通与流行。但是目前的中国语教学只强调中国的基本要素,在学习上忽略了文化的重要性。 本论文分析第七次教育课程的中国语Ⅰ․Ⅱ,六种教科书的文化内容,认识文化教育的重要性和必要性, 同时提出中国语教学上最好的文化教育方案。 首先,参考与文化及语言有关的各种理论,然后按照第七次教育课程提示的文化内容来分析现用高中《中国语Ⅰ․Ⅱ》的每课课文。还有文化类型的分析根据 Finocchiro&Bonomo的理论,把文化,分析物质文化,行动文化,精神文化, 作为分析中国文化․韩国文化․韩国中国文化的对照分析。 本研究的结果如下: 第一,根据Finocchiro&Bonomo提示的方法将文化类型分成物质文化,行动文化,精神文化的结果,大多数的教科书以行动文化为主编写教科书。《中国语Ⅰ․Ⅱ》六种教科书的课文里同时有编写文化介绍项目。但是每课课文的文化介绍内容是粗枝大叶的, 而大多数教科书偏重於物质文化的内容。 第二,从文化背景的角度来分析,大部分都是中国的,韩国的文化内容比较少, 因此无法对两国的文化内容做比较。 第三,分析六种教科书里的相片资料结果,大部分都是介绍中国的相片的数量不少。但是有些相片只有题目没有相片的详细解说,所以不容易了解相片的的内容。 第七次教育课程的教科书比起第六次教育课程做了许多修正,并且为了提高学生们的学习兴趣也做了一番努力。但是为了达到所谓以学生为主导的创意学习,除了多元化的教科书内容值得再加强以外,更需要老师们不断从事研究指导的方法,同时学校和国家政府应该给予妥切的帮助。

      • 초등교사 영어연수 실태와 요구 분석

        황영애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개방화와 세계화 시대를 살아가며 국제언어로써의 영어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어느 때 보다 부각되는 요즘의 세계적인 추세 속에, 우리나라도 1997년부터 연차적으로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정규교과로 가르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교사에게 시행되어 온 초등교사 영어연수 제도에 대하여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각 연수기관의 교재와 사전안내 자료를 통하여 그 실태를 알아보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연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한 후 보다 나은 연수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1.9.11.현재 대구·경북지역 초등교사 영어 연수 상황을 보면 전체 교사 13,027명 가운데 11,440명이 연수를 받아 평균 87.8%(대구 82.4%, 경북 91.9%)의 높은 이수율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연수 초창기의 연수동기는 주로 영어에 관심이 있어서 자원하여 받은 경우가 많았지만 현재는 영어를 정규교과로 가르쳐야 함으로(43.3%)에 이어 학교장의 권유에 의해서(39.2%)라는 응답도 많이 나타나 대상자 선정과정부터 재고해 야 할 부분이다. 둘째, 교육부의 계획(1996)은 영어 연수 시 의사소통 능력 배양에 70%, 지도법 개발에 28%의 시간을 배정하고 있으며, 연수 방법에 있어서도 실기와 실습위주의 참여식 수업(86.6%)을 강조하고 강의식 수업(11.7%)에는 시간을 적게 배정하도록 되어 있으나 교재 분석 결과 연수기관에 따라 의사소통 능력과 지도법 개발에 배당 된 시간이 상당히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설문 분석 결과 연수생들은 현장 문제해결 중심의 연수를 원하나 아직도 강사 위주의 강의식 수업을 하는 곳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영어지도 교사 양성 방법은 교육대학교 영어과 심화과정 졸업자를 가장 선호하며 영어지도 능력이 우수한 교사가 영어전담 교사를 희망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유인책이 강구되어져야 한다고 본다. 넷째, 연수 운영 면에 있어서 교과목을 필수와 선택으로 나누어 자기가 원하는 과목을 선택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하든지 능력별 반 편성으로 자기의 수준에 맞는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다양한 연수 모형의 개발이 요구된다. 다섯째, 평가에 대한 부담 없이 연수에 충실할 수 있도록 평가를 폐지하거나 연수과정 중 수업실습, 분임 토의 및 발표, 영어회화 등의 여러 가지 활동에 대한 과정평가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바람직한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여섯째, 강사로는 현장지도 경험이 많은 초등교사를 선호하며 이는 현 장의 문제점을 잘 아는 교사들로부터 실제 적용 가능한 교수 방법 등을 소개받고 수업시연을 볼 수 있기 때문인 것이다. 또 일부 원어민 강사들의 무성의한 강의 준비와 우리 문화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연수생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까지 있어 검증된 원어민 강사의 채용과 사전연수가 꼭 필요하다고 하겠다. 일곱째, 연수가 주로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에 실시되는 점을 감안하여 연수기관에서는 냉·난방 시설과 편의시설 등을 갖추어 연수생들의 불편함을 덜어주고, 연수 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시청각 기자재를 구비하여 효율성 높은 연수가 되도록 배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연수대상자의 선정과정을 재고하여 영어를 실제로 담당하는 교사나 희망자를 중심으로 집중적이고 심도 있는 연수를 실시하여 그 효율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둘째, 연수 교재에 대하여 계속적인 수정·보완이 필요하며 7차 교육 과정에서 영어교과서가 단일화 된 점을 감안할 때 표준 연수 교재의 제작도 고려해 볼 사항이다. 셋째, 연수 운영 면에서 교과목의 필수·선택화, 능력별 반 편성 등으로 자기에게 필요한 과목을 수강하거나 수준별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배려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우수한 자질을 갖춘 강사를 엄선하여 투입함으로써 연수를 받는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어 영어지도에 자신감을 갖도록 배려해 주어야할 것이다. These days, English is very important as the international language in globalization. So we have had regular English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since 1997.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English training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ir needs: First, whet was the real situation of English training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egu City & Kyung-Buk Province through teaching materials and orientation books? Second, what were sound ways to establish English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for teachers' needs and opin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87.8%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egu City & Kyung-Buk Province have participated in English training program. In the beginning of English training program, most trainees were gathered voluntarily to take the course. But as time goes by, most trainees were forced to take the course by their principals because they had to teach English at their schools. So it was a very important thing to choose those who will take the course. (2) The Educational board planned the training schedule with 70% for developing communication ability and 28% for teaching method. Bu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diverse training centers. Many teachers wanted to get practical teaching skills through training course but many lecturers still taught in traditional theory based teaching plans. (3) The beat way to supply good English teachers was found to have teachers who graduated from the English departments in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There was found to be needed some strong incentives for English teachers to be in elementary schools who have good English abilities. (4) It was necessary for trainees to take the required subjects and to choose among many diverse lectures that they have interests in and then, an appropriate grouping system by the trainees' levels should be developed. (5) The formal test should be abolished. It has increased stress for trainees, so the formal test should be substituted for informal tests such as observation through natural classroom activities. (6) Most trainees thought t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good careers in English teaching was more appropriate as training lecturers than the native speakers who didn't prepare well for their lectures. (7) The trainees participated in the English course wanted to make the training centers to supply good facilities for effective English training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