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야기식 독서토론이 중학생의 독서태도와 독서흥미에 미치는 영향

        황아람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studied how talk reading discussion program influences reading attitude and interest of students by applying and practicing talk reading discuss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Research targets were book club students of E Middle School located in Iksan-si, Jeollabuk-do. Preliminary inspection of book club students was done through inspection paper and reading attitude. Then, talk reading discussion program was accomplished for 16 times with selected book and post inspection was done again through inspection paper and reading attitude after the program. Research result of above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alk reading discussion positively influenced reading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meaningful transition was found through statistic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alk reading discussion positively influenced in reading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meaningful transition was found through statistics when examining whether talk reading discussion positively influenced interests in book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alk reading discussion positively influence interests in 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lso, when examining attitude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book discussion, it was found that 2009 revised education course may help realizing desired human character and education objective.

      •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전환사채 발행공시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황아람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1985년부터 국내기업의 해외전환사채가 발행 가능해지고, 해외전환사채가 90년대 이후에 해외자금조달의 대표적으로 자리잡음에 따라, 1985년 12월 삼성전자의 최초발행부터 1998년 7월까지 해외전환사채를 발행한 총 172개 상장 법인 중에서 공시일을 확인할 수 있고, 재무적, 회계적 자료에 문제가 없는 기업 119개를 최종 표본으로 하여, 우리 나라 주식시장에서 해외전환사채의 발행공시에 대한 시장반응과 이치 원인에 대하여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해외전환사채에 대한 시장반응을 관찰하기 위하여 사건일(공시일 및 분할일) 전 30일부터 사건일 후 10일까지의 기간을 사건기간으로 선정하여 시장조정 모형을 이용한 해외전환사채 발행의 주가반응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해외전환사채의 발행으로 인한 평균 비정상수익률의 값은 발행공시일 전 -10일, -2일, 공시일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정(+)의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 나라 주식시장에서 해외전환사채의 발행공시는 투자자들에게 좋은 정보로 인식되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설명한다. 다음으로는 해외전환사채에 대한 주가반응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발행공시일 전 2일부터 공시일까지의 누적비정상수익률을 종속변수로 하고,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를 고려하여 선택된 레버리지 변화, 영업위험, 부채비율, 이자율차이, 기업규모, 전환프레미엄을 독립변수로 한 다변량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영업위험, 이자율 차이, 기업규모였다. 이자율 차이 변수는 유의적인(+)의 관계를 나타냈는데, 이는 고객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업위험은 유의한 부(-)의 관계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우리 나라의 해외 전환사채 발행의 경우에 있어서의 투자자들은 이를 전액 부채의 증가분으로 인식하여 재무구조개선효과에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한다고 판단 할 수 있다. 기업규모의 경우 또한 유의적으로 부(+)의 값을 보이고 있다. 이 변수는 총발행규모(기업규모로 표준화 하지 않은)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데, 이 또한 부채 절대액의 증가분으로 해석 할 수 있어, 영업위험의 결과를 보완 설명할 수 있다. 이로 판단하건데 우리 나라의 경우 투자자들은 해외전환사채발행에 있어서 전환사채의 주식으로서의 측면을 인식하기 보다는 추가적인 부채의 발행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상대적인 이자율의 저렴함에 있어서는 긍정적으로 반응을 하지만 고곤경 기업의 경우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우리 나라 기업이 발행하는 해외전환사채의 경우 일반 투자자는 향후 이 전환사채의 주식전환 가능성을 매우 낮게 평가하고 있다고 추정된다. This Study conducted the empirical tests to analyze the capital market's reactions about Issues of foreign convertible bonds with samples of 119 listed companies among 172 listed companies which announced the issue of foreign convertible bond, as Korean companies could do issue foreign convertible bonds from 1985. First, to observe reactions of market to issues of foreign convertible bonds, this study conducted the event study by use of market adjusted model. The results of event study show that average abnormal returns on event day are significantly positive. This result shows that issues of foreign convertible bonds in Korea do positive effects to investors. Next,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market reactions to the issue of foreign convertible bonds, this study conducted multi-variables regression. The result of multi-variables regression is that 3 variables of operating risk, difference of interest rate and firm siz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variable of difference of interest rate is significantly positive and this supports client hypothesis. The variable of operating risk is significantly negative and this shows that Investors regard the issue of foreign convertible bond in Korea as increases of debts and think that it has negative influence to financial structure of firm. The variable of firm size is also negative. It has close correlation with total issue size, and this also can be explained increases of debts, so it support the result of variable of operating risk. These two variables show that investors think the capability of conversion to the stock is low in the case of Korean firm's issue of foreign convertible bond. Consequently, the announcement of issues of the foreign convertible bond in Korean firm gives a good signal to investors and effects positive to the stock price and the origin of this result is the relative lower cost of finance.

      • 한국 커뮤니티 연극(community theatre)의 전개 양상 연구 : 수도권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황아람 한국예술종합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커뮤니티 연극은 예술창작 과정에 비예술가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개인의 예술적 역량을 이끌어내는 동시에 자아실현, 정체성 확립, 자존감 회복, 치유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예술 활동이다. 나아가 공동체성 회복, 지역의 활성화 등 지역사회와 공동체에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오기도 한다. 이러한 효용성으로 인해 현대 사회에서 커뮤니티 연극에 대한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으며 실천적 사례들도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도 다양한 커뮤니티 연극의 사례들이 있는데 이러한 실천들이 한국 연극계에서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서는 먼저 커뮤니티 연극의 전개 양상이 전체적인 맥락에서 파악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지역의 커뮤니티 연극의 사례들을 수집·검토하여 그 특징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커뮤니티 연극의 사회적·예술적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부족하게나마 커뮤니티 연극의 전개 과정을 한국연극의 흐름 속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제2장에서는 커뮤니티 연극의 개념과 유형, 특징 그리고 이론적 배경과 등장 배경을 간략하게 서술하였다. 제3장의 1절에서는 한국에서 커뮤니티 연극이 시작되고 확산하게 된 배경을 문화정책의 변화와 함께 살펴보았다. 문화정책을 기본 골조로 하여 커뮤니티 연극 흐름을 살펴본 이유는 먼저 공적지원금에 크게 의존하는 우리나라 예술생산 방식의 특성상 정부의 시책이 우리나라 연극계의 동향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며, 궁극적으로는 여전히 커뮤니티 연극과 관련된 사업―특히 문화예술교육이나 생활예술과 관련한 사업―들이 예술가나 시민사회 자체의 활동보다는 정부에 의해 주도되는 것이 지배적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커뮤니티 연극의 흐름을 문화정책의 변화에 따라 크게 태동기, 확산기, 정착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3장 2절의 사례연구에서는 커뮤니티 연극의 유형을 나누어 사례를 검토해보았다. 이는 각각 ‘커뮤니티를 위한 연극(theatre for community)’, ‘커뮤니티와 함께 하는 연극(theatre with community)’, ‘커뮤니티에 의한 연극(theatre by community)’이며 각 유형을 대표한다고 판단한 사례들을 선별하였다. 그 결과 ‘커뮤니티를 위한 연극’은 문화복지의 관점을 견지하며 시민들에게 연극창작 경험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특징을 보였다. 즉, 생활예술 체험의 기회를 제공한다고 요약할 수 있다. ‘커뮤니티와 함께 하는 연극’은 정부와 민간 혹은 예술가와 지역민 그리고 일반인들 사이의 협업과 공동작업이 중요시되었다. 아울러 다른 유형보다 예술가의 역할이 막중하지만, 이들 못지않게 지방정부 및 지역민과 일반 시민들도 주요한 역할을 한다는 특성 때문에 이 유형에 해당하는 사례들의 활동 공간은 한국의 연극문화를 주도하는 대학로에 한정되지 않았다. 다시 말해 연극을 쉽게 접할 수 없는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여 문화적 소외지역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하는 순기능적 측면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커뮤니티에 의한 연극’은 비예술가인 참여자들의 자발적인 연극 활동 사례들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사례들에서는 참여자가 자신의 경험을 직접적인 연극의 소재로 하여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타인과 소통하는 기회로 여기며 나아가 사회에 자신들의 정체성을 알리고 권리를 주장하는 활동으로 여긴다는 특징을 보였다. 즉, 커뮤니티 연극을 통해 사회적 소외계층으로서의 목소리를 내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커뮤니티 연극의 사회적 효용성이 강조된 것에 비해 커뮤니티 연극의 예술성 그 자체에 대한 평가는 미흡하였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고 역시 커뮤니티 연극의 전개 양상을 살피는 과정에서 미약하게나마 커뮤니티 연극의 예술적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였으나 구체적인 작품 분석으로 이어지지 못했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그러므로 커뮤니티 연극이 한국 연극계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며 대안으로 자리 잡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커뮤니티 연극에 대한 기록과 연구를 수반하여 예술로서의 질적인 평가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In modern society, community theatre is considered important because it is an art of social utility. Community theatre can have the effects of self-realization, identity establishment, self-esteem restoration, and healing while drawing personal artistic capacity by actively participating non-artists in the art creation process. Furthermore, it also brings about changes in the local community, such as the restoration of community spirit and revitalization of the region. This social utility has increased the importance of community theater and increased the number of practical cas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theatre cases in Korea by focusing on the metropolitan area. Chapter 2 describes the concept and type, characteristics, theoretical background and history of community theatres. And then, in chapter 3, I looked 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community theaters and the history of its spread along with changes in the cultural policy of Korea. It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beginning, the spread, and the settlement of community theatre. For the case study, the types of community theatres were classified: theatre for community, theatre with community and theatre by community. And I selected and reviewed cases that represented each type. As a result, theater for community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providing non-artists with an experience of theater creation. It gave participants a chance to enjoy the arts in their lives. Theatre with community was important in collabo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artists, local people and citizens. Ultimately, these theatres contributed to regional regeneration. Finally, theatre by community was helped non-artists of the disadvantaged to assert their rights and their voices on their own. I think the practice and attention of community theater will continue to increase. However, while the social utility of community theaters was emphasized, an artistic evaluation was insufficient. This research also has limitations that did not lead to an analysis of works. Thus, in order for community theaters to give significant implications to the Korean theater field, an artistic evaluation of community theaters will have to be made.

      •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조사 연구 : 성인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황아람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이 근래에 들어 급증하고 있다. 현대사회가 복잡, 다양해짐에 따라 학교교육은 그 한계를 드러내게 되었고 탈학교교육을 부르짖는 입장까지 대두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사회교육의 역할이 확대되었다. 학교교육의 보완적 기능은 물론 대안적 기능 및 학교교육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연장선상에서 받아들여지게 된 것이다. 즉, 사회교육은 학교가 사회의 제반문제를 전적으로 감당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 이를 만회하고자 하는 데서 얻어진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넓은 의미의 사회교육은 정규교육을 제외한 모든 조직적인 교육활동을 의미하며, 좁은 의미의 사회교육은 학교에 다니지 않는 성인과 노인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좁은 의미의 사회교육을 전제로 하고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관에서의 사회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앞으로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미술관은 미술품을 수집, 보존하여 일반 대중의 즐거움과 교육을 위해 공개, 전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공공의 이익을 위해 설립된 항구적 시설을 의미한다. 미술관은 비영리적이고 공익적인 조직으로 영리를 추구하는 갤러리(gallery)와는 구분된다. 미술관은 학교의 미술교육과 달리 표현 뿐 아니라 미술사, 감상과 비평교육까지 가능하며 전문인력 확보에 유리한 사회교육기관이다. 본 연구는 미술관에서의 성인대상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내외 미술관에서의 성인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고 각 미술관을 비교분석을 통해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향후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미술관의 개념과 역사, 조직, 사회교육의 정의와 사회교육관련 법규, 성인학습자의 특성들을 살펴보고 사회교육기관으로서 미술관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국내 미술관 일곱 곳과 국외미술관 일곱 곳의 조사, 분석을 통하여 프로그램이 어떻게 진행되는 지 살피고 국내 미술관의 성인교육 프로그램의 성격과 방향을 분석을 통해 시사하는 바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우리나라 미술관의 성인대상 교육프로그램은 교양교육의 차원과 전문교육의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이는 주로 실기강좌와 이론강좌의 유형으로 나타난다. 공립 미술관의 경우는 실기강좌와 이론강좌 모두가 실시되지만 일부 사립미술관은 미술사와 관련한 이론강좌만 실시되고 있었고 양자 모두 일반인을 위한 교양교육의 차원의 강좌만이 진행되고 있었다. 국립현대미술관과 삼성미술관은 전문가와 일반인을 위한 프로그램이 비교적 구분되어 실시되고 있었다. 미술관 교육의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개발하는 교육담당자(Educator)의 경우는 삼성미술관을 제외하고는 없었다. 대부분 미술학이나 미술사를 전공한 큐레이터들이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미술관 교육의 필요성 비해 전반적으로 소극적인 교육 프로그램들이 진행되고 있었다. 해외 미술관의 경우, 모던 아트 뮤지엄과 휘트니 미술관은 노인이나 장애인 등 다양한 계층을 위한 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었다. 대영박물관은 미술관 직원이나 프리랜서 교육담당자가 프로그램의 개발에 참여하고 있었다. 미술관의 운영에 있어 미술관과 지역사회의 연계가 잘 고려되어 대중과 친숙한 기관으로 자리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사례 연구의 결과 국내 미술관의 성인교육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기본적으로 미술관 교육의 중요성과 가치를 다시 한 번 인식해야 한다.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은 대중을 미술관으로 유인하고 홍보하며 미술소비자를 확대 재생산하는 기능을 한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특성과 다양성을 인식해야 한다.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경험을 통한 학습에서 비롯되는 요구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하며 계층별 연령별로 나뉘어 개발되어야 한다. 전문과정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질적 향상이 요구된다. 셋째, 교육 프로그램의 형식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교수-학습과정이 강조되는 현재의 실기나 이론위주의 강좌들은 학교교육의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오늘날은 컴퓨터나 인터넷이 없으면 생활이 힘들 정도로 컴퓨터 문화가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므로, Web을 기반으로 사이버 교육을 기획하거나 소장품 혹은 전시 작품과 관련하여 CD롬 타이틀 등이 개발, 보급하는 등의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지금처럼 각 미술관의 홈페이지에서 소장품을 찾아보는 것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체 개발 프로그램으로 미술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는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다른 예술 장르(문학이나 음악)와 전시를 연계하여 새로운 프로그램 등을 마련해야 한다. 이는 미술관이 사회가 요구하는 복합문화센터의 역할을 하는데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역할을 하게 된다. 넷째. 전문인력이 확보되어야 한다. 각 미술관이 미술관 인력을 선출할 때 미술관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한다면 교육전문 인력을 반드시 선출해야 한다. 미술관 교육이 보다 전문적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전문인력을 통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관리가 이루어져 프로그램의 실행에 있어서 효율성이 더해져야 한다. Critics about school education are recently increasing. Due to the complex and diverse change of modern society, school education reveals its limitation and some cried for an post-school education. Therefore, the role of the social education is extended. It is understood that the roles of social education are preservative as well as the alternative function in the prolongation for effective operation of school education. In other word, social education is a idea to support school education when it is unable to fulfill various social needs. Extended meaning of the social education includes all organized educational activities besides the formal school education and the limited meaning of it is only includes the adults and old people who do not attend a school. This paper is focused on a limited means of social education groping the possibility and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of social educational program of museum for adult. Museum is defines as a permanent Facility for public benefit by collecting and preserving art works to exhibit, promoting general public enjoyment and education. Museum is different from gallery for it is non-profitable and public interest organization. Not like an art education from school, museum is able to teach history of art, savor of works, as well as practice criticism and it is an institution of social education remunerative for securing specially trained people. This study is perceive the importance of education program for adult in Museum and groping a way to future improvement by discovering problems in museum education program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t museum. To begin with, the definition, history, structure of museum as well as the related laws and regulation of social education have been looked up in the reference documents and books. Also, characters of adult learners and roles of museum as a social education have been examined. This paper is focus on studying critical point of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the character and direction of domestic museums along with research and analyze of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even domestic museums and seven foreign museums. Education program for adult in Korean museum is divided by liberal arts and professional dimension. Public museum often have the theory and skill courses but some private museum is limited on theory courses only. However, the courses are literally a liberal art dimension in both cases.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and Samsung Museum comparatively well separated the general and professional courses among all. An Educator who develops and manages the educational program in museum was not likely found except Samsung Museum. Curators, who studies history of art or aesthetics took the place most of the time. The education programs in museum are passively carried out compares to the importance of its need. Foreign Museums, Museum of Modern Art and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for example are well organized with several programs for different people such as elders and disables. In case of The British Museum, freelance educator and museum employees involves in developing the program. The local community and the museum work together on public considered programs for the management of the museum. Result of above reference and case studies, the improvement ideas of the adult education in domestic museum reaches to few points list as follow: First of all, basically museum related people must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museum education once again. Museum education program induces people and play important role of expending and reproducing art consumer. Secondly, museum must understand special traits and diversity of adult learners. The program developer must actively accommodate various demands of adult learners based on their different education experiences according to social classes and age groups. Also, mor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professional curriculum must follow. Thirdly, changing form of education program is necessary. Instructing and learning centered courses of skill and theory classe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school education. Nowaday, Computer based life style become so common that life with out Internet and computer is unthinkable for many people. Therefore, searching for new ways such as planning of cyberspace education based on web and developing CD ROM title related to displayed art works of the museum is necessary. It is also great improvement nowadays that we could look up the possessed art works of specific museum through Internet. However, developing original education program to stimulate the interest for learning must be introduce soon. Also, provide new programs such as exhibition with different genre of art is recommendable. Museum will function greatly as a multi-literary center which society demands from it. Lastly, specially trained people must be secured. If each museum aware of the importance of museum education, they must hire professional educator. In order to renew the education in museum,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education program by specialist will elevate efficiency of program practice.

      •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황아람 성신여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가정하고 이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에 위치한 중학교에 재학중인 청소년 426명이었으며, 청소년의 애착유형 척도(Experience of Colse Relationship-Revised: ECR-R), 심리적 안녕감 척도, 한국판 기본 심리 욕구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의 상관 분석 결과, 청소년의 불안·회피 애착은 기본심리욕구 및 심리적 안녕감 간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고, 기본심리욕구와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즉, 안정애착을 형성할수록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와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기본심리욕구는 이 둘 사이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을 불안과 회피애착으로 세분화하여 알아본 결과, 불안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관계에서는 기본심리욕구의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고, 회피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관계에서는 기본심리욕구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420 students recruited from middle school in Gyeonggi area. The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Rivised(ECR-R): Korean 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BPNS-K):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emotional tone, impulse control) were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that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Second,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howed mediation effects between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inally, based on the finding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