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화포습지 내 주요 유기화학물질 스크리닝 및 오염원 추적 연구

        황수민 창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Hwapo wetland is the biggest riverine wetland located in Gimhae, and is a major habitat for various species including stork. However, it is suspected that various pollutants enter the wetlands from livestock farms, WWTP, industrial and agricultural areas. This study identifies major organic pollutants and their sources in Hwapo wetlan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Forty-four target compounds were selected for quantitative analysis using target screening, and others were screened using suspect and nontarget screening. The results were that 34 and 28 target compounds were detected in July and August, respectively. 17 and 23 substances were detected in January and February, respectively. The major compounds were selected up to top 6 in order of concentration through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he detected substances in each season. Depending on land use, two antibiotics(sulfamethoxazole, sulfathiazole) expected to detect high concentrations from certain tributaries were additionally selected to major pollutants. The major pollutants were 9 compounds(benzotriazole, oxadiazon, carbendazim, niflumic acid, sulpiride, caffeine and paraxanthine/theophylline, sulfamethoxazole, sulfathiazole). As a result of quantification of the major pollutants in mainstream and tributaries, Benzotriazole was introduced from T7/12/3, oxadiazon from T11/7/1, AM4, Carbendazim from T2/6/13 and AM4. Pharmaceuticals were introduced from caffeine at T1, paraxanthine/theophylline at T4, niflumic acid at T8/9/10/13 and AM2, sulpiride at AM2, sulfamethoxazole at T3/6 and sulfathiazole at T8. Risk assessment based on concentration and toxicity of each compounds showed a higher RQ than 1 at all sampling sites except four tributaries(T4, T6, T8, T12). This result wa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highe concentration and high toxicity of oxadiazon. Special management of oxadiazon is needed for the entire Hwapo basin.

      •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스피치 상위인지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황수민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와 말하기에 대한 개인적·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체계적인 말하기 훈련과 연구가 미흡하다. 교육학과 인지심리학에서 논의된 자기조정에 근거한 상위인지 능력을 초등학생의 스피치 교육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에게 영향을 미치는 대화 환경적 요인들을 밝히고,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스피치 상위인지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주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 3, 4, 5학년 4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하고 370부가 연구 자료로 사용되었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은 세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자기조절력, 추진력, 고난도 과제 선호로 명명했다. 우선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대화 환경적인 요인은 총 8가지였으며 ‘친한 친구 수’, ‘어머니와의 대화 시간’, ‘아버지와의 대화 시간’, ‘담임선생님과의 관계’, ‘어머니와의 식사횟수’, ‘담임선생님의 꾸중 정도’, ‘형제·자매 유무’, ‘컴퓨터 사용시간’ 순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효능감에 또래 관계의 영향력이 가장 크며, 부모와의 대화 또한 영향력이 크므로 학생의 사회생활에 대한 개방성이 이루어지면서 부모와의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형제·자매가 있고 없음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자기효능감을 형성하는 대리경험에 대한 증거라고 추측해 볼 수 있다. 두 번째로 초등학생의 스피치 상위인지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대화 환경적인 요인은 총 6가지였으며, ‘친한 친구 수’, ‘아버지와의 대화 시간’, ‘어머니와의 대화 시간’, ‘담임선생님과의 관계’, ‘담임선생님의 꾸중 정도’, ‘어머니와의 식사횟수’ 순으로 나타났다. 즉 또래 환경이 발표 상황에서 자기 통제와 실행에 영향을 미치며 다른 요인들에 비해 부모와의 대화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아버지와의 대화 시간이 어머니보다 중요했는데. 아버지와의 대화 시간이 많으면 자신을 조정하고 합리적인 전략을 세우는데 건설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스피치 상위인지 능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자기효능감의 자기조절력이 스피치 상위인지 능력의 전략지식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문제지식, 자기 실행 순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추진력은 스피치 상위인지 능력에 문제 지식에 영향을 미치며, 이후 자기 실행, 전략 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고난도 과제 선호는 스피치 상위인지의 자기 실행에만 미미한 수준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가 계획을 세우고 상황을 대처할 수 있다는 믿음이 실질적인 말하기 상황에서도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의 또래환경과 부모와의 대화 시간은 자기효능감과 스피치 상위인지 능력에 큰 영향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나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 스피치 상위인지 능력, 즉 기술적인 부분까지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e personal and social interes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meta-cognition is growing. However, systematic speech training is not practiced. It is necessary to apply meta-cognition ability based on self-regulation which is discussed by cognitive psychology, to speech trai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explores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al factors which apparently have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ttemp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udents’ self-efficacy on their meta cogni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by 462 elementary school 3rd, 4th and 5th grade students and 370 survey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or this study. As a result, self-efficacy was comprised of three factors; self-regulation, driving force and high level task preference. Eight communication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self-efficacy are as follows; number of best friends, conversation time with mother, conversation time with father, relationship with teacher in charge, number of meal time with mother, scolding from teacher in charge, sibling status and time of computer use. The result implies that the relationship with peer group is the most influential on self-efficacy, and the conversation with parents also very effective. Thus, good communication with parents is important in bringing about openness of social life of students. Especially, effects of sibling status are considered to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self-efficacy. Six communication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a-cognition are as follows; number of best friends, conversation time with father, conversation time with mother, relationship with teacher in charge, scolding from teacher in charge and number of meal time with mother. Peer environment affects self control and practice at the situation of presentation and conversation with parents is important rather than other factors. Particularly, conversation time with father is more important than with mother. This shows that conversation with father affects self modification and rational strategy constructively Finally, elementary school stuents’ self efficacy affects the ability of speech meta-cognition. Self-regulation of self-efficacy has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strategic knowledge of speech meta-cognition. And problem knowledge and self practice. The driving force of self-efficacy affects problem knowledge of speech meta-cognition, and self practice and strategic knowledge. The high level task preference affects self practice of speech meta-cognition slightly. In other words, the trust, with which the students can make a plan and cope with the situation, influences in a real speaking situation. I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er environment and conversation time with their parents influence self-efficacy and speech meta-cognition a lot. It is significant to clarify that the trust of one’s ability affects the technical part of speech meta-cognition

      • O.M.C 헤어컬러 분석을 통한 색채배색 작품 연구

        황수민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대에는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한 가장 보편적인 수단으로 헤어스타일에 주목하고 있다. 헤어디자인에 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함으로 인해 헤어 관련 종사자들은 대중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만한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을 갖고 있다. 헤어디자인이 과학적으로 분석, 정리되어 예술성과 숙련도를 중요하게 여기게 되면서 미용 경기대회에도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헤어 디자이너들은 다양한 미용대회 과제들에서 창의적인 디자인과 색상 디자인의 영감을 제공 받고 있다. 미용 경기대회 중 가장 트렌드에 앞장서며 활성화되어 있는 대회는 O.M.C 헤어월드(Organization Mondiale de la Coiffure-O.M.C)이다. O.M.C 헤어월드는 미용산업의 발전과 정보교환, 국제적인 트렌드의 교류로 글로벌화가 되어 K-Beauty가 세계인들의 관심 속에서 새로운 트렌드를 부각하고 문화를 창출할 수 있다. 헤어디자인 3요소인 색채, 형태, 질감에서 시각으로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색채이다. 미용대회에서 색채는 헤어 작품성과 이미지에 많은 영향을 주어 종목별 색채에 대한 상이 주어질 만큼 중요성이 있다. 색채는 단색이 아니라 여러 배색으로 되어져 있고, 어떻게 배열하는가에 따라 이미지가 달라지고 이로 인해 배색기법도 다르게 나타난다. 헤어디자인을 하기 위한 색채 계획은 색채에 대한 풍부한 지식이나, 새로운 트렌드에 맞는 색채분석 능력을 가져야 하며 색채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색채 분별 능력과 색채 이미지 계획, 색채 구성 능력을 가져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O.M.C 헤어월드 대회에 나타난 작품의 종목별, 년도별, 작품들에서 사용된 색채를 분석하여 작품디자인의 배색에 활용된 색상의 배열을 알아보고 연구자가 대회의 새로운 디자인 및 배색 별 색상배열을 제안하고자 한다. O.M.C 헤어월드 대회에서 사용된 색채와 배열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4년부터 2018년도까지의 경기대회 작품의 이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 자료의 범위로는 모발의 명도가 높은 마네킨으로 다양한 색채가 나타나 색채를 분석하기에 용이하다고 사료되는 여성종목 5가지 크리에이티브(Creative), 헤어바이나이트(Hair by Night), 데이 스타일(Day Style), 이브닝 스타일(Evenig Style), 패션 커트(Fashion Cut)와 남성종목 2가지 프로그래시브(Progressive), 남성 크리에이티브(Creative[Gent])의 7가지 종목으로 범위를 제한하였다. 이미지를 분석하여 년도별로 활용된 색채를 경기종목별로 분석하여 사용된 컬러 배색기법의 경향을 알아보았다. 실증적 디자인 전개 과정으로 경기종목 중 색채의 표현이 잘 나타나는 종목인 크리에이티브, 헤어 바이 나이트, 데이 스타일, 이브닝 스타일, 패션 커트, 프로그래시브, 남성 크리에이티브의 7가지 종목의 작품을 톤온톤 & 톤인톤 배색(Tone on Tone & Tone in Tone), 분리 배색(Separation), 그라데이션 배색(Gradation), 강조 배색(Accent), 반복 배색(Repetition)의 5가지 배색기법의 특징이 나타난 작품으로 각각 제작하여 총 35개의 작품을 제작하여 배색기법별 다양한 색채의 배열을 제안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O.M.C 헤어월드에서 다년간 사용된 색채의 경향과 종목별 활용빈도가 높은 색상배색과 색채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7가지 종목의 새로운 디자인과 5가지 배색기법의 다양한 색채배색을 제시하였다. 이로 인해 헤어디자인을 하기 위한 색채 이미지 계획 시 사용되는 컬러의 색채배색에 따른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었고 동일한 디자인에서의 배색에 따른 모발의 색상조화와 균형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헤어 디자인의 색상 선정 시 색채배색의 다양함과 컬러를 통한 이미지의 변화를 연구 할 수 있었다. 색채 분석 능력의 향상과 색채 이미지 계획, 색채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색채분석에 대한 학문적 고찰과 작품연구가 더 심층적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다양한 모티브, 다양한 디자인 개발 등을 통해 작품디자인의 영역이 미용예술로서 더욱 확장되고 미용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언택트시대 사회불안감이 긍정심리와 화장심리에 따른 화장품 구매성향의 영향관계 연구

        황수민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19는 세계적 팬데믹 사태로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으며,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대응 방안을 공표하였고, 가라앉을 것 같은 순간마다 다시 새로운 변수가 생기고 변이바이러스 감염까지 발생하고 있다. 코로나19의 확산은 사회 전반을 비대면으로 바꾸어 놓았고 문화, 예술, 의료, 식품, 뷰티, 건강, 교육 등의 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온라인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소비하는 언택트시대에 도래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플랫폼이 출시되었다. 특히, 마스크 쓰기의 일상화로 민감해진 피부를 위해 기능성 화장품 사용이 급증하였고, 아이 메이크업이 유행하면서 화장품 시장에도 큰 변화를 불러왔다. 이에 본 연구는 언택트시대의 사회불안감이 긍정심리와 화장심리에 따른 화장품 구매성향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사회불안감, 긍정심리, 화장심리 및 화장품 구매성향의 관계를 파악하여 화장품 구매성향의 매개효과에 따른 사회불안감이 긍정심리와 화장심리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50대 여성 700명을 비대면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사회불안감은 능력불안, 사회불안감 2개 요인을 사용하였고, 긍정심리는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희망, 회복탄력성 4가지 요인, 화장심리는 적극성상승, 자신감보완, 타인의식, 변화의 즐거움, 자기가치표현 5가지 요인을 사용하였다. 화장품 구매성향은 충동적 구매성향, 탐색적 구매성향, 합리적 구매성향, 독자적 구매성향 4가지 요인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불안감, 긍정심리, 화장심리 및 화장품 구매성향의 차이분석을 살펴보면 연령이 높을수록 사회불안감과 능력불안이 높았고, 수도권지역보다 지방이 사회불안감이 낮게 나타났다. 화장심리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화장을 하면 적극적이고 변화를 즐거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은 20대가 화장품 구매성향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둘째, SNS를 이용한 화장품 구매특성에 따른 언택트시대의 사회불안감, 긍정심리, 화장심리 및 화장품 구매성향의 차이분석을 살펴보면 SNS 접속 빈도수가 높을수록 사회불안감과 능력불안이 높았으며, SNS를 통한 화장품 구매비용이 높은 경우 상대적으로 긍정심리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화장심리가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셋째, 언택트시대의 사회불안감이 긍정심리, 화장심리, 화장품 구매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사회불안감이 높으면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회복탄력성, 희망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심리의 모든 요인에도 부의 영향을 미쳤다. 사회불안감은 화장심리의 자신감보완, 타인의식에 정의 영향을 끼쳤으며, 능력불안은 자신감보완, 타인의식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화장품 구매성향에서는 탐색적 구매성향, 합리적 구매성향, 독자적 구매성향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긍정심리와 화장심리에 따른 화장품 구매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긍정심리의 자기효능감은 화장심리의 적극성상승, 자기가치표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장심리의 자신감보완은 화장품 구매성향의 충동적 구매성향, 탐색적 구매성향, 독자적 구매성향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언택트시대의 사회불안감이 화장품 구매성향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긍정심리의 매개효과 검증에 있어 긍정심리의 모든 매개변수는 사회불안감 변수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불안감이 화장품 구매성향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화장심리의 매개효과 검정에서는 화장심리의 변수는 사회불안감, 긍정심리 변수에 부분 매개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언택트시대의 사회불안감이 긍정심리와 화장심리에 따른 화장품 구매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불안감이 낮고 긍정심리가 높은 여성들은 화장에 긍정적인 자세를 가지고 있으며, 화장은 단순한 아름다움 추구보다는 사회적 상황에 맞게 표현하는 도구로 타인에게 인정받기 위한 행동이며 이러한 영향은 화장품 구매성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화장은 자존감 상승과 더불어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연령과 직업에 따라 요구되는 화장심리와 화장품 구매성향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화장에 대한 심리적 가치관 확립, 올바른 화장품 구매 정착과 화장품 시장의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 뷰티 산업발달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s COVID-19 has caused confusion in every area of the contemporary society, the government announced measures against the confusion, such as untactess and social distancing, which spread anxiety about the society. The industrial structure has been shifted to untact service, which forms the majority of consumption patterns. Diverse types of changes made to cope with such a untact situation also affect makeup psychology and cosmetics purchase orie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ocial anxiety on makeup psychology and cosmetics purchase orientation by positive psychology in women in their twenties to fifties. It aimed to understand the associations among social anxiety, positive psychology, makeup psychology, and cosmetics purchase orientation and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y on the effects of social anxiety on makeup psychology and cosmetics purchase orientation. A survey was conducted in 700 women in their twenties to fifties. Two factors—ability anxiety and social anxiety—were used for social anxiety; four factors—self-efficacy, optimism, hopefulness, and resilience—were used for positive psychology; five factors—rise in positiveness, complementation of self-confidence, consciousness of others, enjoyment of changes, and self-value expression—were used for makeup psychology; and four factors—impulsive, exploratory, rational, and independent purchase orientation—were used for cosmetics purchase orientation. For data analysis, an SPSS 25.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for the variation in social anxiety, positive psychology, makeup psychology, and cosmetics purchase orientation by the characteristics of cosmetics purchase via SNS in the non-contact ag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women in their twenties to fifties, the older, the higher level of social anxiety and ability anxiety; social anxiety was at a higher level in the Capital area than in other regions. As for makeup psychology, the older, the more conscious of others with greater self-confidence based on makeup; those in their fifties showed the lowest level of cosmetics purchase orientation. Second, as for the variation in social anxiety, positive psychology, makeup psychology, and cosmetics purchase orientation in the non-contact age by the characteristics of cosmetics purchase via SNS, the more frequent SNS connections, the higher level of social anxiety and ability anxiety; the greater amount of cosmetics purchased via SNS, the higher level of positive psychology and makeup psychology. Third, as for the effects of social anxiety on positive psychology of women in their twenties to fifties in the non-contact age, social anxiety negatively affected every factor for positive psychology; ability anxiety negatively affected self-efficacy, resilience, and hopefulness among the factors for positive psychology. Fourth, as for the effects of social anxiety on makeup psychology of women in their twenties to fifties in the non-contact age, social anxiety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complementation of self-confidence and consciousness of others, both of which were negatively affected by ability anxiety. Social anxiety negatively affected exploratory, rational, and independent purchase orientation among the factors for cosmetics purchase orientation, and ability anxiety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independent purchase orientation alone. Fifth, as for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y on makeup psychology of women in their twenties to fifties, self-efficacy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the rise in positiveness and self-value expression; as for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y on cosmetics purchase orientation, self-efficacy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impulsive, exploratory, and rational purchase orientation, and optimism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exploratory, rational, and independent purchase orientation. Sixth, as for the effects of makeup psychology on cosmetics purchase orientation of women in their twenties to fifties, complementation of self-confidence negatively affected impulsive, exploratory, and independent purchase orientation, and self-value expression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impulsive, exploratory, rational, and independent purchase orientation. Seventh, as for the effects of social anxiety on makeup psychology and cosmetics purchase orientation of women in their twenties to fifties by positive psychology in the non-contact age, self-efficacy, resilience, and hopefulness among the factors for positive psychology partially mediated between social anxiety and cosmetics purchase orientation. To put the results together, social anxiety was found to be a variable affecting makeup psychology and cosmetics purchase orientation by positive psychology in the non-contact ag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establish psychological values of cosmetics and settle desirable cosmetics purchase, provide empirical data in the cosmetics market, and give basic data that can help develop the beauty industry.

      • Clinical outcome following total laryngectomy or laryngopharyngectomy for laryngeal and hyp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황수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linical outcome of total laryngectomy with/without pharyngectomy for laryngeal and hyp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Methods: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60 patients who had received total laryngectomy with/without pharyngectom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arynx or hypopharynx at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between 1999 and 2009 were performed. Patients were stratified in three groups: total laryngectomy alone (TL) group, total laryngectomy with partial pharyngectomy (TL-P) group, and total laryngectomy with total pharyngectomy (TL-TP ) group. Thirty-nine (65%) patients were in TL group, 12 (20%) were in TL-P group and 9 (15%) were in TL-TP group. Details regarding patient characteristics, tumor characteristics, surgical treatment, postoperative complication, survival data, and recurrences were record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with SPSS version 21. Results: Most patients (80%) were in advanced stage III and IV. Forty-two (70%)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l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and 13 (30%) had hyp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Forty-three (72%) had primary total laryngectomy and 17 (28%) had salvage total laryngectomy. To be specific, total laryngectomy alone was done in 39 (65%) patients, total laryngectomy with partial/subtotal pharyngectomy was 12 (20%), total laryngopharyngoesophagectomy with gastric pull-up was 8 (13%), total larygnopharyngectomy and cervical esophagectomy with jejunal free flap reconstruction was 1 (2%). In reconstruction surgery, 8 had gastric pull-up, 1 had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flap, 5 had radial forearm free flap,and 1 had jejunal free flap for esophagus defect. Among the three surgical groups, smoking is a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patients. Nineteen(31%) patients ha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ith 12 pharyngocutanoeuos fistula and 2 chyle leakag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se local complications among the groups. However, 2 patients with systemic complications were only in TL-TP group. Furthermore,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was 72.8 %, and the surgical groups showed a decreasing trend that mean survival period was 10.5 years in TL group, 7.4 years in TL-P group, and 4.5 years in TL-TP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outcome among the groups. Disease-free survival data also had a similar pattern. Thirteen (22%) patients recurred locoregionally and 5 (8%) had distant metastasis. Prognostic factor for recurrences is primary tumor location, patients with primary tumor in hypopharynx were likely to have recurrences nearly three times more than those with primary laryngeal tumor. Conclusions: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total laryngectomy with/without pharyngectomy has still been a reasonable therapeutic option for advanced laryngeal and hyp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and shows that details of surgical procedure could vary clinical outcomes of these patients.

      • VR 콘텐츠에서 spatial audio를 활용한 UI 효과 검증 : 노먼의 상호작용 사이클 중심으로

        황수민 홍익대학교 영상·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al contents have come into spotlight amid the commercialization of 5G technology, driven by growth of VR industry. Real contents, characterized by immersion, interaction, and intelligence, etc., mean the type of contents that allows users to gain experiences similar to those in real life through the five senses human, and provides high sense of reality and broadens the realm of experience. Visual and auditory elements comprise 90% of the entire sensory perception elements, but the research on existing VR contents focused only on visual aspects easy to access. As the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on the experience based on five senses, world’s lead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mpanies are also placing the focus on development of immersive sound technology. Interaction is very important, particularly in VR contents, and other factors that do not interfere with immersion should be applied, rather than providing information based mainly on existing visual factors. Thus,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pose the methods for interaction using the auditory sensation by applying the Spatial Audio, an immersive sound. In this study, of VR contents, which could define and verify th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interaction stage of Spatial Audio, were developed and then explored through experi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in the order of literature research, consideration of preceding studies, experiment design, creation of VR content prototype, analysis of results of experiment, and discussion of implication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supporting this study was prepared through academic analyses of literature and preceding studies. Literatures and preceding case studies on Spatial Audio interaction of VR contents were investigated to define the interacti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Audio as directionality, distance, predictability, attention, and communication.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identified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an experimental prototype VR content was created, an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on the general public who did not have any constraints on the hearing experience.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mode of VR content interaction using the Spatial Audio was more effective than the mode of such interaction using the Stereo Audio, the conventional audio system. The mode of VR content interaction using the Spatial Audi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irectionality perception, distance perception, predictability perception, attention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perception. The users experiencing the VR contents were found to perceiv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using the Spatial Audio and acted upon such perception. However, the mode of interaction using the Spatial Audio was given lower evaluation in terms of communication perception, as compared to other variables. Such result may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other elements such as visual images, etc., were excluded and only voice was used as a means of communication in the experimental contents of this study. Although the communication effect of single voice was confirmed through the experiment, there was difficulty in accepting the user contents, given that the communication target of the contents was two-dimensional and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from other sensory organs was excluded. Based on aforesaid results of experimental analysi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was found that VR content UIs, differentiated from the mode of UI interaction in the existing flat display experience environment, was needed. In realistic contents that stimulate human sensory organs and cognitive abilities, the maintenance of balance among sense organs such as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enses, etc., is important, as well as the sight. The UI, which can be naturally incorporated into the VR environment, is the most useful UI in the VR experience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o utilize the sound which does not require investment in visual information desig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lack of study on the auditory interface based on Spatial Audio in VR contents. Currently, most studies on VR content user interface have focused on visual aspects, while the studies on Spatial Audio usually remain limited to technology implementation, directing elements, and audio with special sense. Thus, this study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a sound interface in VR contents, and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verification of such possibility. Finally, a method for use of interactive UIs based on auditory sense was proposed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ng and verifying the experimental contents. Audio interaction, made by using Spatial Audio during the experience with VR contents, was found to induce actions of users experiencing the VR contents, and such finding can be used in setting the courses for future studies. A conclusion was drawn that the interaction characteristics of auditory UI/UX, using the Spatial Audio in VR cont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of UI/UX tapping into auditory sense, shifting away from existing content interaction modes which mostly relied on visual UI/UX interaction, and presented the course for sound design involved in creation of VR contents.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a basis for designing the spatial sound in virtual reality, useful for creation of VR contents that have sensory perception factors in balance. VR 산업의 성장과 함께 5G 기술의 상용화로 실감콘텐츠가 주목받고 있다. 실감콘텐츠란 몰입감, 상호작용, 지능화 등의 특징으로 사람의 오감을 통해 실제와 유사한 경험을 체험 가능한 콘텐츠이며, 높은 현실감을 제공하고 경험의 영역을 확장한다. 감각인지요소 중 시·청각의 요소가 전체의 90%를 차지하는데, 기존의 VR 콘텐츠는 접근성이 용이했던 시각 연구에만 집중되어있다. 오감 경험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만큼 세계적인 정보통신 기업에서도 몰입형 음향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VR 콘텐츠에서 특히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하며 기존의 시각적 요인 중심의 정보 제공보다는 몰입을 방해하지 않는 다른 요인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몰입형 음향인 Spatial Audio를 활용하여 청각 감각을 이용한 상호작용 방식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VR 콘텐츠에서 Spatial Audio의 상호작용 단계 기반으로 특성을 규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VR 콘텐츠를 개발하여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 절차로는 문헌적 연구, 선행 연구 진행, 실험 설계 및 VR 콘텐츠 프로토타입 제작, 실험 결과 분석, 시사점 논의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문헌 및 선행 연구의 학문적 분석을 통해 연구를 뒷받침할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도출한 특성을 VR 콘텐츠의 Spatial Audio 상호작용 사례 선행 연구를 진행하여 Spatial Audio의 상호작용 특성을 방향성, 거리감, 예측성, 주목성, 커뮤니케이션으로 규정하였다. 도출한 상호작용 특성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용 프로토타입 VR 콘텐츠를 제작하여 청각 경험에 제약이 없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분석 결과 표준 차이 검정에서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Spatial Audio를 활용한 VR 콘텐츠 상호작용 방식이 방향성 인지, 거리감 인지, 예측성 인지, 주목성 인지, 커뮤니케이션 인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체험자들은 Spatial Audio의 상호작용 특성을 인식하고 이를 행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Spatial Audio를 활용한 상호방식에만 주목하자면 커뮤니케이션인지에서 다른 변인들에 비해 낮은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의 실험 콘텐츠에서 시각적 이미지 등 다른 요소는 배제되고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음성만을 이용한 점이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한다. 실험을 통해 단일 음성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는 확인되었으나 콘텐츠의 커뮤니케이션 대상이 평면적이고 다른 감각 기관의 정보 전달이 제외된 점에서 체험자가 콘텐츠 내용을 받아들이는 데 어려운 측면이 존재하였다. 위 내용의 실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시한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평면 디스플레이 체험 환경에서 사용한 UI 상호작용 방식과 차별화된 VR 콘텐츠 UI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사람의 감각 기관과 인지능력을 자극하는 실감 콘텐츠에서는 시각뿐만 아니라 시각, 청각, 촉각 등의 감각기관의 균형이 중요하다. VR 환경에 자연스럽게 묻어나는 UI는 VR 체험 환경에서 가장 유용한 UI이다. 시각적 정보 디자인의 투자가 없는 사운드의 활용이 중요하다. 둘째, VR 콘텐츠에서 Spatial Audio를 기반한 청각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재 대부분의 VR 콘텐츠 사용자 인터페이스 연구는 시각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Spatial Audio의 연구 대체로 기술 구현이나 연출 요소 및 공간감 있는 오디오에 그친다. 이에 본 연구는 VR 콘텐츠에서 사운드 인터페이스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끝으로, 실험 콘텐츠를 제작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거쳐, 청각을 기반한 상호작용 UI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VR 콘텐츠 체험 시 Spatial Audio를 활용한 오디오 상호작용은 체험자의 행동 유도로 이어지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추후 연구 방향에 활용될 수 있다. VR 콘텐츠에서 Spatial Audio를 활용한 청각 UI/UX의 상호작용 특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시각 UI/UX 상호작용 방식이 주된 요소였던 기존 콘텐츠 상호작용방식에서 벗어나 청각을 이용한 UI/UX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VR 콘텐츠 제작 시 사운드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향후 가상현실 공간 음향 설계의 기초가 되어 감각인지요소가 균형이 이루어진 VR 콘텐츠 제작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 무전해 및 전해동도금을 이용한 2층 FCCL의 제조 및 접착강도 평가

        황수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휴대폰, 캠코더와 같은 휴대용 전자제품 뿐 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및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기기의 전자소자들에 대한 내굴곡특성 요구와 경박단소화 경향에 따라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및 Chip On Film (COF)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맞춰 이들의 기본재료로 사용되는 Flexible Copper Clad Laminate (FCCL)에 대한 연구개발도 활발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반복적인 움직임과 굴곡을 요하는 부분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FCCL의 높은 층간 접착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FCCL의 제조 방법은 전도층과 절연층을 형성시키는 유형에 따라 주조법(Casting), 스퍼터링법(sputtering) 및 압착법(laminating)으로 나뉜다. 주조법 및 압착법은 상대적으로 제조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고, 굴곡성 및 좋은 층간 접착력을 가지는 장점이 있으나, 주조법의 경우, 절연층의 양면에 전도층이 형성되어 있는 양면 FCCL 제조가 어렵고 압착법의 경우, 3층(전도층-접착층-절연층)의 구조로 인해 얇은 두께의 FCCL 제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반면, 스퍼터링법은 표면 개질을 통해 층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나, 사용되는 진공 장치로 인한 높은 제조비용 뿐 아니라 최종적으로 전도층의 패턴형성 공정 시 금속 seed층의 제거가 요구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경박단소화 경향에 맞춘 2층의 얇은 양면구조를 가지며, 비용 효율적인 FCCL을 제조하기 위해 보다 진보된 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널리 적용되고 있는 전기화학적 방식인 무전해 동도금 공정으로 구리 seed층을 증착시킨 후, 최적화된 조건하에서 전해 동도금 공정을 통해 원하는 두께의 구리층을 형성시켜 2층의 FCCL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절연층으로 사용된 폴리이미드와 전도층으로 사용된 구리층 사이의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하고자, 무전해 동도금 공정 전의 전처리 공정 중 중화(neutralization) 공정 및 촉매부가(catalyst) 공정시간을 각각 0〜20분, 0.1〜10분으로 달리하였으며, 각 공정시간이 FCCL의 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원자력간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y) 및 X-선 광전자분광기(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표면분석법을 이용한 계면분석을 바탕으로 평가하였다. 중화처리공정 시간을 0분에서 5분 및 10분으로 증가함에 따라 박리강도는 각각 0.3 N/m에서 6.1 N/m 및 7.3 N/m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중화공정에 의해 알칼리 성분들이 중화되고 표면 거칠기 증가에 의해 구리와 폴리이미드간의 접촉면적이 증가 하고 또한 무전해 동도금의 개시를 위한 Pd-Sn 촉매제의 흡착이 향상된 복합적인 효과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폴리이미드와 구리층 간의 향상된 접착강도로 인해 박리는 층간 계면에서 발생(adhesive 모드)하기보다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폴리이미드의 내부영역에서 주로 발생(cohesive 모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촉매부가 공정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박리강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XPS 분석을 통해 촉매처리 시간이 증가하였을 때, 무전해 동도금 공정 동안 핵생성 사이트로 작용하는 Pd 입자가 폴리이미드 표면에 보다 많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는 결과적으로 폴리이미드와 구리 층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 1차원 선형 어레이를 활용한 다초점 집속 기반 지방 융해 시술 방법

        황수민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HIFU를 이용한 지방 융해 시술은 수술을 통한 방법과 달리 비침습적이고, 회복 시간이 빠르며 흉터가 없는 장점으로 인하여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HIFU 지방 융해 시술 기기는 오목한 형태의 단일 변환자를 사용하여 한 개의 초점으로 시술을 진행하기 때문에 면적이 큰 부위일수록 시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elevation 방향은 시술자가 수동으로 기기를 이동하면서 시술을 진행하기 때문에 시술 부위의 지방 조직에서 초음파 에너지가 불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다.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HIFU 지방 융해 시술 기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두 가지의 다초점 집속 방법인 교차-다초점 집속 방법과 동시-다초점 집속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두 다초점 집속 방법은 일차원 선형 어레이의 active elements 를 통해 두 mainlobe 를 조사하고, working aperture 방식으로 active elements 를 lateral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캔한다. 제안하는 두 다초점 집속 방법의 시술 시간 단축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일차원 선형 어레이를 활용한 단초점 집속 방법과 시술 시간을 비교하였고, 컴퓨터 모사 실험을 진행하였다. Field-II 시뮬레이션을 통해 초음파 빔 패턴과 peak compressional pressure 를 도출하였고, 실제 추정 peak compressional pressure 로 scaling 해주었다. 해당 값을 기반으로 bioheat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지방 융해 가능 온도인 43 ℃ 에 도달하는 시술 시간을 찾아 제안하는 두 다초점 집속 방법의 시술 시간 단축 효과를 검증하였다. Using HIFU for noninvasive fat reduction has become popular due to its noninvasiveness, quick recovery time, and absence of scarring, compared to surgical methods. However, previous HIFU devices for fat reduction face drawbacks, such as prolonged treatment times for larger areas due to the use of a concave-shaped single transducer. Additionally, in the elevation direction, where the operator manually moves the device during treatment, uneven distribution of ultrasound energy in the fat tissue can occur. In this thesis, two multi-foci focusing methods, namely, interleaved multi-foci focusing and simultaneous multi-foci focusing, are proposed to address the issues of previous HIFU body contouring devices. Two proposed multi-foci focusing methods concentrate multiple focal points by utilizing the active elements of a one-dimensional linear array. These methods employ the working aperture approach, allowing the active elements to scan laterally while focusing multiple points. To verify the time reduction effect of the proposed multi-foci focusing methods, a comparison was made with a single focal point approach using a one-dimensional linear array, followed by computer simulations. Using Field-II simulation, ultrasound beam patterns and peak compressional pressure were derived and scaled to actual estimated peak compressional pressure. Based on these values, bioheat simulations were conducted to find the treatment time required to reach the fat melting temperature of 43℃, validating the time reduction effect of the proposed multi-foci focusing methods.

      • 임산부 온라인 예비부모교육 실태와 인식 및 요구

        황수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임산부 대상 온라인 예비부모교육의 현황과 인식, 요구를 파악하고자 했다. 부모됨, 부모 역할에 혼란을 겪는 임산부의 온라인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여 사전에 부모됨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출산 후에는 올바른 부모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온라인 예비부모교육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임산부 대상 온라인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현황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임산부 대상 온라인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인식(전반적 인식, 기대인식)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3. 임산부 대상 온라인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요구(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육 지원)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온라인 상 임신, 출산과 관련된 모임에서 활동 중인 임산부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설문지는 269부 수거, 불성실한 응답을 한 4부를 제외하고 265부를 설문자료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부모교육 관련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임산부 대상의 온라인 예비부모교육 또한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에 온라인 교육의 특성을 반영하여 SNS, 맘카페 홍보, QR접속과 같이 쉽게 접근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온라인 교육에 대해 지속할 수 있는 교육이라는 인식이 높았으나 오프라인 교육보다 효과가 떨어질 것이라는 인식도 있었다. 이에 온라인 교육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혼합 형태의 블렌디드 러닝 도입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셋째, 임산부 대상의 온라인 예비부모교육에 대해 사회적 지원이 더 필요함이 나타났다. 이는 임산부가 온라인 예비부모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국가나 기관의 제도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연구 대상자 중 절반 정도가 경제 활동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다양한 특성을 보이는 임산부를 대상으로 교육의 접근성과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예비부모교육의 필수교육 지정과 같은 지원 제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넷째, 임산부 대상의 온라인 예비부모교육이 시기상 적절하지 않고 실제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이유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있었다. 부모됨, 부모역할은 후천적인 노력과 교육으로 생기는 것이므로 생애주기별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예비부모교육의 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온라인 예비부모교육의 인식과 요구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가장 큰 요인은 임신기간과 가족지지였다. 따라서 임신기간에 따라 교육 내용이나 교육 방법에 차이가 있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 가족지지 정도에 따라 온라인 예비부모교육의 기대효과, 참여율이 다름으로 임산부뿐만 아니라 배우자를 포함한 가족들에게도 교육 홍보 및 안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Fat Intake and Lung Function and related Parameter among Korean Men

        황수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Fat Intake and Lung Function and related Parameter among Korean Men Hwang, Sumin Dept. of Health Sciences Graduate School,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Recently, the number of people with chronic lung disease due to decreased lung function is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deaths is increasing accordingly. Smoking is the biggest factor causing lung function decline, but as the number of non-smokers patients increases,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risk factors other than smoking is emerging. Among them, dietary patterns and macronutrient composition have been reported to affect lung function by changing metabolism in the body. Therefore, in this study, we wan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ergy and dietary fat intake in healthy adult men on lung function and metabolic indicator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fat intake levels and the risk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NHANES) VI data from South Korea. Of the 22,948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KNHANES VI, 1,604 males who met the criteria were finally included in the analysis. Except for those diagnosed with the disease by a doctor, only healthy subjects without the disease were targeted. Finally, data on basic information, anthropometric data, biochemistry and lung function indicators, and nutrient intak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ubjects were collected. Subjects were divided into nine groups according to their energy and fat intake levels (LL, LowE /LowF; LN, LowE/NormalF; LH, LowE/HighF; NL, NormalE/LowF; NN, NormalE/NormalF; NH, NormalE/HighF; HL, HighE/LowF; HN, HighE/ HighF; HH, HighE/HighF) using Korean nutrient intake criteria. As a result, those who consumed high energy/high fat (HH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COPD before confounding correction 3.9 fold compared to those who consumed normal energy/normal fat (NN group) (OR0: 3.969; CIs: 1.661- 9.486; p = 0.002). In particular, after correcting for confounding factors, the risk of COPD in the HH group increased 4.6 fold compared to the NN group (OR1: 4.661; CIs: 1.273-17.068; p = 0.020), so excessive energy and excessive fat intake are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decreased lung function due to the increased risk of COP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onsumption of higher energy and higher fat than normal levels can increase the risk of COPD in healthy Korean middle-aged men, suggesting that proper energy intake and the composition ratio of macronutrients are important i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etabolic diseases and COPD. Key wor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energy, dietary fat, lung function, KNHANES 최근 폐 기능 저하에 따른 만성폐질환자가 늘고 있으며, 그로 인한 사망자 수 역시 증가하고 있다. 폐 기능 저하를 유발시키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흡연이 있으나, 비흡연자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흡연 외 위험요인들에 대한 연구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 중 식이 패턴과 다량 영양소 구성은 체내 대사를 변화시켜 폐 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 남성의 에너지 및 식이지방 섭취가 폐 기능 및 대사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VI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년 성인 남성의 식이지방 섭취 수준과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위험과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KNHANES VI에 참여한 22,948명의 참가자 중에서 기준을 충족한 1,604명의 남성이 최종적으로 분석에 포함되었다. 의사로부터 질환을 진단받은 자를 제외하여 질병이 없는 건강한 대상자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적으로 선별된 대상자들의 기본 정보, 인체 계측 값, 생화학 및 폐 기능 지표 및 영양소 섭취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대상자들은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을 사용하여 에너지 및 지방 섭취 수준(NL, 정상/낮음; NN, 정상/정상; NH, 정상/높음; LL, 낮음/낮음; LN, 낮음/보통; LH, 낮음/높음; HL, 높음/낮음; HN, 높음/보통; HH, 높음/높음)에 따라 9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결과적으로 정상 에너지/정상 지방을 섭취하는 사람(NN 그룹)과 비교하여 고 에너지/고 지방(HH 그룹)을 섭취하는 사람들은 교란요인 보정 전 COPD의 위험이 3.9배 유의적으로 높았다(OR0: 3.969; CIs: 1.661-9.486; p = 0.002). 특히 교란요인을 보정한 후에는 NN 그룹에 비해 HH 그룹의 COPD 위험이 4.6배(OR1: 4.661; CIs: 1.273-17.068; p = 0.020) 높은 것으로 보아 과도한 에너지 및 과도한 지방 섭취는 COPD의 위험을 높여 폐 기능 저하와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정상 수준보다 높은 에너지 및 높은 지방의 섭취는 건강한 한국인 중년 남성의 COPD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대사 질환과 COPD의 예방 및 관리에 있어 적절한 에너지 섭취와 더불어 다량 영양소의 구성비가 중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