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놀이를 통한 유치원 음악수업에 관한 연구

        황선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When we get introduced to the world as we are born, we get naturally exposed to various musical experiences. These musical experiences get systemized by music education first provided in kindergarten or childcare centers in Korea. Musical environments and experiences in childhood have a great influence on children as growing up. Moreover, the very first experience of music education can lead children to have a different preference and attitude towards music.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music education in kindergarten is vital as well as valuable in our musical growth, and it leaves us to consider a good way of providing music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 effective curriculum for children in kindergarten to be interested in music and have various musical experiences. Based on eurhythmics, the Dalcroze Method, the curriculum has been designed focusing on play since play takes up a majority of the day for children and they can associate themselves the most with music class through play. After literature researches and reviews on children, music education, and the Dalcroze Method, the teaching plan has been established to be used in a real kindergarten classroom based on my previous field work experience of six years. The content of the teaching plan is musical storytelling consisting of beats, sound exploration, and ‘Le Carnaval des Animaux’ by Saint Saens. As a result of practicing the teaching plan in a real kindergarten classroom, it was found that children learned the beats not only by understanding them mentally but also by enjoying them with their bodies moving to music. Moreover, they could have various experiences on music tone through the sound exploration resulting them to have greater interest in music. Some may say that the musical storytelling based on ‘Le Carnaval des Animaux’ by Saint Saens is not much different from a typical classical music listening class. However, it is not just a listening class but a fun and unique class which helps children to listen carefully with movements and activities relative to each piece of the song. After the class, children got familiar with all 14 pieces of ‘Le Carnaval des Animaux’ by Saint Saens, and learned many factors of music enjoying the class. Play-based music education has already existed in our classroom; however, this study is more practical and it can be applied in the real kindergarten classroom immediately. I hope this study can help both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and kindergarten teacher to have more interest in music education and also help them to provide music education which is truly beneficial for children. Moreover,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study and put in continual efforts in providing good music education in which children can have diverse musical experiences. 음악적 경험은 태어나면서부터 시작되며, 한국에서의 음악교육은 보통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시작된다. 유아기의 음악적 환경과 경험은 유아가 성장함에 있어서 많은 영향을 준다. 또한 음악교육의 첫 경험을 통해서 음악에 대한 선입견과 선호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렇듯 유치원에서의 음악교육은 한 개인의 음악적 성장에 그만큼 중요하며 가치가 있다. 따라서 좋은 음악교육을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유아들을 대상으로 음악에 흥미를 유발시키고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할 수 있는 효율적인 수업방법을 고안하는데 있다. 수업방법은 달크로즈 교수법 중 유리드믹스의 개념을 토대로 하여 놀이에 초점을 두어 작성하였다. 놀이는 유아들에게 생활의 전부라고 할 수 있으며, 놀이를 통한 음악수업이 가장 친숙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우선 문헌을 통해서 유아와 음악교육, 달크로즈 교수법과 놀이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 후에 6년 동안의 실제 교육경험을 참고로 하여 실제로 유치원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지도안을 작성 하였다. 지도안의 내용은 박과 소리탐구, 생상의 ‘동물의 사육제’의 내용으로 구성된 음악동화이다. 이 지도방법으로 유치원에서 지도 실습한 결과, 유아들은 박을 앉아서 머리로만 익히는 것이 아니라 몸으로 익혔으며, 소리탐구 활동을 통해서 음색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했으며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음악동화로 구성한 ‘동물의 사육제’는 평범한 클래식 감상수업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야기와 함께 각각의 곡에 어울리는 움직임과 활동을 하며, 음악을 주의 깊게 듣게 되는 평범하지 않은 즐거운 감상수업이다. 수업 후에 유아들은 ‘동물의 사육제’ 14곡을 모두 알 수 있게 되었고 지루하지 않으며 즐겁게 음악의 여러 요소들을 몸으로 익히게 되었다. 놀이를 적용한 음악수업은 기존에도 많이 있었다. 하지만 이 연구는 좀 더 실질적이고 유치원 수업현장에서 바로 적용될 수 있는 내용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유아교육기관, 유아교사 모두 유아의 음악교육에 더욱더 많은 관심을 가지며 유아를 위한 음악교육을 실천했으면 한다. 또한 교사는 유아가 음악적 경험을 많이 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연구하고, 노력하길 바란다.

      • 여성혐오 사회현상과 여성정책과의 관계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황선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thesis takes misogyny which is a social phenomena as a study object and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sogyny and the policies for women. After classifying 4 types of policies for women (that is, Gender Equality, Preference Policies for Women, Care, Sex), it was tried to evaluate the legitimacy for each type and to analyze a level of actual misogyny and the cause of each misogyny. In addition, since many counter-discourses have been formed against ‘Kimchi Women’ even though any counter-discourses are not formed against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OGEF) and the policies for women, those discours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3kinds of analytical methods, the review on literature & quantitative studies, qualitative interviews and an analysis of discourses were used. As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government policies for women make the people confused since various policies are mixed because those policies are mainly based on multi-dimensional concepts. It was found that the preference policies for women among such 4 types were one cause of misogyny. And also, there was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government policies for women since the people do not know what is a reason why a policy for women is established or whether a policy for women exists or not and so forth. Second, it was found that many variables for misogyny in the existing theses are not related to an misogyny. The correlation between experienc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opposite gender and an intention to get married is very low. The lower the intention to get married, the higher misogyny. And as the opposite conclusion compared to the existing studied on the experiences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opposite gender, it was found, the more the experiences of the relationship, the higher misogyny. Moreover, as a cause of misogyny, unlike many of the existing studies that pointed out the masculinity in crisis, the first top reason was a personal trait which is easily instigated and the second top reason was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OGEF) and the government policies for wome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reasons why there are not raised any counter-discourses against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OGEF) are a late response to rumors and a man’s disability which cannot persuade a rumor producer. In addition, due to the ceaseless discussions on the merge of MOGEF within the government cabinet, the MOGEF has been undervalued and the necessity of a women’s policy agency has not felt by the people.

      • Purinergic receptor Y2 expression in chronic obstructive sialadenitis

        황선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Objectives: We studied the expression of P2Y2 mRNA in human submandibular gland and compared that between normal tissues and chronic obstructive sialadenitis’s tissues. Materials and Methods: As a study group, 10 human submandibular glands with chronic obstructive sialadenitis and as a control group, 10 normal submandibular glands were collected. Using real tim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P2Y2 receptor mRNA extracted from submandibular glands and analyzed semiquantitatively. Expression level of P2Y2 receptor was compared between 2 groups through western blot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 Results: The mRNAs for P2Y2 receptor were identified in human submandibular gland tissues through the real time RT-PCR. The P2Y2/GAPDH mRNA ratios in chronic obstructive sialadenitis were significantly low compare with those in normal tissues. The P2Y2 protein was expressed acinar cells and ductal cells in the normal submandibular gland tissues but especially ductal cells in chronic obstructive sialadenitis. Conclusions: P2Y2 receptor is expressed in human submandibular gland and the expression is decreased in chronic sialadenitis.

      • 이미지 Localization과 딥러닝 분류 기법을 활용한 스마트 컨트랙트 재진입 공격 취약점 위치 탐지 방법

        황선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블록체인과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의 등장이후, 이를 활용하기 위한 학계와 산업계의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블록체인 위에서 동작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는 자동화된 계약을 제 3자 없이 제공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지만, 기존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보안 공격의 등장으로 사용자들은 자산의 위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자들은 취약점 탐지 도구들을 활용하여 사전에 보안 취약점을 점검하고 이를 제거하는 것이 요구되며, 사용자들 또한 자신이 사용하려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전에 점검해보고 사용할 것이 요구된다. 하지만 기존의 취약점 탐지 도구들은 대부분 기호 실행 기반으로, 코드 길이에 따라 취약점 점검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빠르고 일정한 시간의 탐지 속도를 제공해주는 머신러닝 기반의 취약점 탐지 기법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머신러닝 기법을 사용 시에 취약점의 위치를 알기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딥러닝 및 이미지 Localization 기반의 재진입 공격 탐지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딥러닝을 통해 빠르고 일정한 시간 내에 재진입 공격 취약점을 식별하고, 비지도 학습 기반의 이미지 Localization을 사용하여 재진입 공격 취약점이 있는 코드의 위치를 제안해준다. 제안하는 기법은 각 실험에서 93%와 95%의 정확도를 보이며, 각 도구들과 비교해 최소 20배에서 최대 721배 빠른 속도인 0.4초와 0.38초의 평균 탐지 속도를 보인다.

      • 수입 여성화장품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과 패키지 디자인 프로필에 관한 연구 : 3대 수입 여성화장품 브랜드 중심으로

        황선진 漢陽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자본주의의 발달은 소비지에게 부(富)의 축척과 욕구의 다양화를 가져왔고, 정보(情報), 통신(通信)기술의 발달은 기업 경영환경의 급속한 변화(變化)를 가져오고 있다. 변화의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으며 폭(幅) 또한 넓어지고 있다. 이렇듯 심화(深化)되는 경쟁상황 속에서 기업은 제품을 차별화(差別化)하고 특성화(特性化)하여 소비지들에게 신뢰감을 주는 마케팅전략을 수립하여야만 생존(生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업들은 타사와 구분되는 브랜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브랜드전략은 기업의 핵심 경영전략으로 지리를 잡고 있다. "브랜드 포지셔닝"은 자사브랜드의 목표이미지를 고객들이 쉽고 분명하게 이해할수 있는 형태로 전환하여 잠재고객들에게 자사 상품의 위치를 결정지어주는 역할을 하며 이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실행이라고 말할 수 있다. 특히 개법상의 브랜드를 시각적으로 가시화(可視化)시켜주는 패키지 디자인은 브랜드의 시각적 특징을 제공하여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소비자에게 직접 노출되어 있고 구매(購買)시 선택의 직접적 대상이 되는 패키지 디자인의 오류(誤謬)로 인해 소비지에게 브랜드 이미지를 흐려 놓게 되거나 전체적인 브랜드자산의 하락에 영향을 끼친다면 기업으로서는 상당한 타격을 받게 되는 것이다. 반면 디자인이 우수한 제품은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브랜드인지도와 브랜드 연상도(聯想渡)를 높여주며 궁극적으로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창출하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기업은 소비지에게 호감을 줄 수 있는 브랜드를 개발함은 물론 그 브랜드에 대한 일관된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과 디자인 전략을 전개하여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여성화장품의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과 패키지 디자인 전락의 상관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수입화장품 브랜드의 목표이미지와 패키지 디자인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와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브랜드 포지셔닝의 수행에 있어 패키지 디자인의 역할을 분석하고, 패키지 디자인을 통한 브랜드 포지셔닝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수입브랜드에 잠식되어 가고 있는 국내 화장품업계의 활로를 찾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As the capitalism has flourished, consumers have got richer and their needs have diversifie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rought rapid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The speed and depth of changes have become more intense than ever. In such a competitive environment, companies can survive only when they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that differentiate their products from others, giving a sense of trust to consumers. Companies use brand names to differentiate their products. Brand strategies are one of the core business strategies. "Positioning" helps customers to clearly and easily understand the desired brand image of products and to map the position of products in their minds. Thus, positioning is an execution of a brand identity. A package design, that visualizes the brand concept and that visually provid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a brand image. A package is exposed to consumers and is the direct object of purchase. Thus a poor package design will have adverse effects on the brand image, thereby decreasing its brand value and seriously damaging the company. On the other hand, a good package design will contribute to the increase in brand value. Also, it enhances brand awareness and association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brand identity. Therefore, companies should not only develop brands that are favorable to consumers, but also do their best to increase the brand value of their products by using consistent brand and design strategies. In this thesis,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strategies and package design strategies of cosmetics is studied in depth. The intended image of each imported brand and its brand image through package design are compared. In addition, the role of package design in brand positioning is analyzed. This study is intended to discover how package design should evolve as a part of a brand identity strategy and to suggest a solution for domestic cosmetics brands that are losing market shares to foreign brands.

      • '몸'적 이성으로 본 건축비평으로서의 건축사진

        황선진 부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at the architectural photograph plays a role as a architectural criticism. the architectural photograph provided 'the new architectural sense of sight' as a diversity of a view point that can't see with the naked eye. the architectural photograph present what language can't present with created image. It is a process that search for 'new architectural sense of sight' through a new cognition method to be based on 'Niche's Dionysian reason'. Therefore the architectural photograph was a architectural criticism with process to interpret architecture as new and creative sense of sight.

      • Time-resolved spectroscopic study of charge transfer dynamics of quantum dots and Au-rod-TiO2 nanocomposite

        황선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ime resolved spectroscopic technique has been applied for study of photo physical properties and photo dynamics of transient species. This technique has its own distinct advantage which enables us to study transient species including excited states, intermediates and transition state. The focus of this work has been probed in charge transfer dynamics and carrier relaxation of QDs and semiconductor by time resolved spectroscopic techniques which are fully employed to study and understand excited state dynamics and their novel chemical properties. Quantum dots are tiny particles, or “nanoparticles”, of a semiconductor material, traditionally chalcogenides (selenides or sulfides) of metals like cadmium or zinc (CdSe or ZnS, for example), which range from 2 to 10 nanometers in diameter. Because of their small size, quantum dots display unique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that are different in character to those of the corresponding bulk material. Moreover, the wavelength of emissions depends not on the composition of the quantum dot, but its size. Quantum dots can therefore be “tuned” during production to emit any color of light desired by changing its size. We synthesized a new highly QDs using multi shell structures and investigated its stability and photo properties. Passivation of QDs such as InP is reported to increase the quantum efficiency and stabilize its structure by protecting the core from external environments. We verified the charge transfer dynamics of InP QDs passivated with GaP and ZnS shell by using time-correlated single photon counting spectroscopy. Semiconductor and metal nanoparticles display unique size dependent photo physical, electrochemical, photo catalytic and optical properties. The presence of metal facilitates electron transfer from photo excited semiconductor to the surroundings and decreases recombination rate between the electrons-holes in the semiconductor. The focus of this work provides mechanistic explanation for the size-dependent charge recombination rate of TiO2 and Au rod/TiO2 composite in UV region. We have found that the TiO2 shell thickness and Au rod have influenced the charge recombination of TiO2 by transient absorption spectroscopy.

      • 반성적 장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황선진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현재 학교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반성적 장학을 Costa와 Garmston, Zeichner와 Liston의 반성적 장학에 목적을 맞추고 반성장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 현황 및 기대를 배경변인별로 조사 분석함으로써 거기에 따른 적용 가능성을 찾아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범위를 인천지역 동부교육청 관할 8개교, 북부교육청 관할 12개교, 총 20개교를 학교 규모별로 하였다. 배포된 450부의 설문지 중 427부를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용한 질문지는 2부로 되어있다. 1부는 반성적 장학의 인식실태를 알아보기 위한 반성적 장학 행동에 대한 15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지 2부는 장학체제의 개선방안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장학담당자는 누구인가, 연간 장학횟수, 수업 기록 보존 형태, 수업참관기 중점 사항, 지도 조언 방식, 수업참관 시간을 묻는 6가지로 구성되었다. 통계처리는 통계패키지인 SPSS /PC+를 이용하여 F값 산출, scheffe검증 및 X^2검증을 실시하여 변인별로 실태와 기대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상과 같은 조사, 비교,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 반성적 장학의 협의 단계별 인식 첫째, 교내 반성적 장학 단계별 인식에 있어 그 일반적 경향은 교내 반성적 장학 담당자의 장학활동에 대하여 인식수준이 전반적으로 중간 이상의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수업참관 후 협의 단계가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참관 전 협의 단계에서는 소규모 학교에서, 교직경력에서는 교직경력 21년 이상인 고경력 교사가 상대적으로 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셋째 수업참관 단계에서는 학교규모에서는 40학급이상 학교가 24학급이하, 25~40학급 학교보다, 교직경력 21년 이상인 교사가 교직경력 20년 이하인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수업참관 후 협의 단계에서는 학교규모별로는 40학급이상 학교가 교직경력별로는 교직경력 10년 이하인 젊은 교사가 높은 평균치를 나타냈다. 나. 현행 반성적 장학의 일반적 현황 및 기대 첫째, 교내 장학 담당자에 관한 현황과 교사들의 기대를 비교해 본 결과 각 변인별로 현재는 반성적 장학 담당자가 교장, 교감 위주이나 교사들은 동료교사를 반성적 장학 담당자로 가장 선호하고 있다. 둘째 연간 반성적 장학 실시횟수에 있어서 학교규모별, 교직경력별 실태를 보면 규모의 대소나 교직경력의 장단을 막론하고 1회를 원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셋째, 수업의 기록 보존 형태에 있어서는 규모에 상관없이 모두가 대부분 수업관찰 기록표를 이용하고 있었고, 24학급이하는 수업관찰 기록표를 25~40학급은 녹화를, 대규모는 병용을 희망하는 경향을 보였다. 교직경력별로도 교직경력 20년 이하인 경우는 녹화테이프를, 교직경력 21년 이상에서는 수업관찰 기록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학담당자가 수업참관시 중점을 두기를 희망하는 측면은 모두 교수-학습 기술의 측면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지도조언 방식에 있어서는 각 변인을 통틀어, 현행 집단적 모임에서의 협의를 탈피하여 수업 후에 동료적 관계에서 상호 의견교환 하는 방식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수업참관 시간에 있어서는 각 변인을 통틀어 30분 이상 전체수업과정 동안에 걸쳐 참관해 주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반성적 장학의 적용가능성 첫째, 반성적 장학의 단계별 초등교사들의 인식경향이 평균 3.05로 중간 이상이었다. 둘째, 수업참관의 중점을 교수-학습기술에 가장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은 어떤 일이 있더라도 교수-학습개선에 장학적 노력이 있어야겠다는 반성적장학에 대하여 눈을 돌리게 된다. 셋째, 장학지도시 지도조언 방식으로 의견교환방식을 기대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다는 것은 교육의 인간화물결에 따라 장학담당자와 교사의 면대면 관계를 강조하게 되고, 교사가 장학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지도 받아야겠다는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넷째, 교사의 전문성이 높아짐에 따라 전문적 성장의욕이 차차 높아질 것이고 외적 불만에서 내적 성취와 내적 만족으로 관심으로 돌리고 있다. 다섯째, 최소한 현재 각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업연구시에는 반성적장학 방법이 가능하다고 본다. 여섯째, 각종 기자재 발달로 객관적인 자료 수집이 가능해지고 반복관찰이 가능하다. 장학의 궁극적인 목적이 교수학습 개선에 있으며 교사의 전문성 제고라는 요청에 의하여 현 우리나라 여건에서도 장학담당자의 연수를 통하여 최소한 교내장학에서는 반성적 장학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의 결과 도출된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현대 수업장학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제시된 반성적 장학은 현재의 학교여건으로 보아 그 조건과 절차면에서 본래의 의미를 충실하게 수행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그러한 제약조건을 극복하고 체계적이고 계속적인 교육연수를 통하여 학교현장에 정착시키려는 노력이 있어야 하겠다. 둘째 반성적 장학에 대한 현장연구가보다 활성화되어야 하겠다. 적용 가능성 탐색이나 효과 검증의 단계를 넘어 이를 현장에 적용해 보고 실천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셋째 교내 반성적 장학을 실질적으로 현장에 정착시키려면 동료교사를 전문요원으로 발탁 활용함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교사들이 그들 본연의 업무인 수업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현재의 잡무를 없애고 주당 수업시수를 감축하는 등의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하겠다. 넷째, 반성적 장학이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교사 자신의 자질향상을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 즉 교사는 수업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교육내용과 자신의 행동에 교육적 정당성, 그리고 도덕적 윤리적인 면에도 관심을 갖는 도덕적 기능인이 되도록 스스로 연찬하여야 한다. 다섯째, 우리 교육현장에서 반성적 장학이 뿌리 내려 보다 나은 교육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교사에게 복합적인 상황을 나름대로 이해하고 파악하며 주체적으로 다루어 나갈 수 있는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eacher's cognitions on reflective supervision in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also analyses the present state and expectations of reflective supervision in school, and try to make som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reflective supervision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purposes, this study describes the supervision process and the teacher's cognitions on that process. This study also try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state and expectation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variable. 20 elementary schools selected in Inchon and 450 teachers in those schools were sampl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made by researcher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studies was administered. and the obtained data was processed by SPSS/PC+, using frequency, percentage, chi-square,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The major finding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 the phase of pre-observation conference, 1) reflective supervision are more prefered in small sized schools, 2) the teachers who have teaching experiences more than 21 years think that reflective supervision is more valuable and positive, compared to the teachers who have shorter. (2) In the phase of class observation, 1) reflective supervision are considered as more valuable and positive in large sized schools, 2) the teachers who have teaching experiences more than 21 years preferred reflective supervision. (3) In the phase of post-observation conference, 1) teachers in large sized schools think reflective supervision as more positive, 2) the teachers who have teaching experiences under 10 years give more positive answer to the reflective supervision. (4) For the successful administration of reflective supervision, many teachers expect 1) their colleagues to supervise their class, 2) video tape recording method, 3) one time reflective supervision, 4) reflective supervision focused on instructional skill, 5) period of class observation as entire class tim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are suggested. (1) Through systemic and continued study, the difficulty situation should be overcome.. (2) To increase the use of reflective supervision, teachers need to utilize the colleagues as coaches. (3) More autonomy needs to be allowed to th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