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은물 놀이를 통해서 본 프뢰벨의 교육방법

        황미경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s investigated FrÖbel's life and educational theory in based on his philosophy and examined the meaning of modern infant education in the light educational meaning of Gift play through specific analysis of the nature of Gift is used in teaching. FrÖbel emphasized, the human is made by God, because the origin of all being is God, the purpose of educational is raised an independence people who thinking freely as cultivation in myself. FrÖbel emphasized the three theory for the former, they are a principle of unity, a principle of self-activity, a principle of occupation. As FrÖbel saw the substance of all beings was holiness, he thought the purpose of education was advanced the substance of myself to arrive in God. After all this is a principle of unity of basic principle to advance formation of harmonical human. As well FrÖbel thought active and creational self-activity that infant learned by themselves by self-experience is very important. Because inner holiness is expressed the outside by course that infant created self being in play. As well FrÖbel thought all simple produce-activity of infant is occupation. In advance he thought life was activity, work, creation. As human being that holiness is inherented express inner substance specifically, FrÖbel emphasized a principle of occupation is a principle of human life and of education for development. FrÖbel expressed the viewpoint of three about play. The first viewpoint is holiness-developed at expression of inner world, the second is recognition of things and apprehension of world, the last is rubbing of power. As the children expressed the substance of myself at playing they closed to God, and recognized things, as far they are not only out-power but also rubbing of inner power. The Gift is FrÖbel made the infant teaching tools, and it means the gift of God. The Gift composed ten kinds. The gift proceed from simple to complex, from concrete to abstract, from light to heavy, from well-known to un-known, from visible to invisible concept. Thus the children in the Gift play recognized not only in and out things but also creativity of themselves at unconsciouse. The educational theory of FrÖbel and the educational principle of the Gift in modern infant education means the next. The children that lives individualistic society of central ability are losable the beauty of life. At this time the naturalistic educational philosophy of FrÖbel developed potential inner substance and inventive thinking as it estimated self-activity of infant, beloved interest, regarded educational merit of playing. This coincident the purpose of kindergarten education in the modern era. The consist of FrÖbel that every education achieved by direct activity in concrete life can't never over-emphasize in infant education.

      • 의료관광활성화를 위한 Mobile healthcare도입에 대한 인식 : 서울 성형외과 직원들을 대상으로

        황미경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 록 전 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에 따라 예방의학, 만성질환치료 등 건강에 대한 관심이 안팎으로 증가하면서 IT와 결합된 U-healthcare의 새로운 개념이 등장함에 따라 의학을 바라보는 관점도 시시각각 변화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등장은 의학 분야에서도 Mobile healthcare를 이용한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 하고 있다. 더불어 세계적으로 성형미용관광시장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규모가 점차 커져가면서 한국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관광객들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환자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소비자요구에 부합하는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IT기술은 의료관광을 지원하는 의료서비스를 유용한 도구로 부각되고 있으며, Mobile healthcare의 활용은 타국에 있어 관리하기 힘들었던 환자의 사전⋅사후 관리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미용성형을 원해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외국인환자들을 응대하는 성형외과를 중심으로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한 Mobile healthcare 도입에 대한 인식을 성형외과 직원들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하였다. 기존 의료관광 관련 문헌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였다. 성형외과에서 Mobile healthcare를 도입하는데 필요한 요인들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사용자의 Mobile healthcare 이용의도와 실제 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이론적인 고찰을 실시하였다. 2016년 1월 22일부터 2월 25일까지 약 1개월에 거쳐 서울에 위치한 성형외과에 근무하고 있는 의료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개인특성별, 의료기관별에 따라 Mobile healthcare의 기대효과와 향후 전망 등을 살펴봄으로써 미래 IT산업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 방법은 개인 및 의료기관의 특성에 따라 Mobile healthcare 필요성, 전망, 기대효과의 연관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의료기관의 특성으로는 외국인 환자 숫자가 많을수록, 개인 특성적 요소로는 병원 근무연수가 길수록 Mobile healthcare의 활용 기대와 향후 전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Mobile healthcare에 대한 필요성 인식은 Mobile healthcare에 대한 활용 기대와 향후 전망에 각각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Mobile healthcare의 필요성을 높게 생각할수록 앞으로 Mobile healthcare를 활용한 성형의료관광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으며 장래 전망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의료종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앞으로 개발되어지는 Mobile healthcare 애플리케이션에 필수 항목 개발에 도움이 되리라 여겨진다. 이 연구를 통해 Mobile healthcare의 활용 전망은 높았지만, 이를 어떻게 할지에 대한 과제들은 남아있다. 앞으로 기업, 병원, 개인과 정부의 꾸준한 관심, 현실적인 필요 서비스 개발, 직원들의 역량강화, 세밀한 프로세스 개발 등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키워드: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건강신념모형, 성형의료관광, 성형수술

      • 황국균을 첨가하여 단기속성 발효시킨 전통된장의 관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황미경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dietary culture of modern people is simplified and westernized, the traditional sauce-related industries are also rapidly expanding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accordance with consumer preferences. Doenjang is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 nutritionally excellent, and as a seasoning food, it is a basic food that seasons and tastes food. The food classification of soybean paste announced in the Food Code is soybean paste, and soybean paste-related soybean paste is classified into Korean soybean paste, improved soybean paste, Korean soybean paste, and seasoned soybean paste. Soybean paste announced in the soybean paste is made by culturing yeast, etc. with soybean, rice, barley, wheat or defatted soybean as the main raw material, and then fermenting and aging it by mixing with salt, or fermenting meju in saline and separating the filtrate for processing. It is divided into improved doenjang and traditional doenjang. The savory and deep taste of traditional doenjang is generally excellent in terms of palatability and quality, but it has a strong salty taste for a long aging period and long-term storage. is large, and there is also a large difference in preference according to consumers' tastes and age group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salty taste of soybean paste, increase the quality, consider the diversity of consumer preferences, and shorten the ripening perio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in economic terms.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research, Hwang Guk-gyun was added to soybean meju, shortening the maturation time of soybean paste through short-term rapid fermentation, standardizing the quality of soybean paste according to consumer preferences, and increasing economic activity. In order to develop a taste with high consumer preference by varying the amount of Hwanggukgyun added to soybean paste, 0%, 5%, 10%, and 15% of Hwanggukgyun added to traditional soybean paste was mixed to prepare doenjang.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To summarize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experiment, in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 test, the brownness, soybean flavor, soy sauce flavor, and salty taste were evaluated lower as the amount of added Hwang Guk-gyun increased, and the sweet, sour, sweet, bitter, sour, soy sauce taste, and particle size were uniform. The gender and the degree of succession were highly rated. In the sensory characteristic difference test for short-term fast-fermented traditional doenjang with the addition of Hwanggukgyun, the group added with 5% Hwanggukgyun was evaluated the highest in 14 items. In the preference test. In the quality of appearance, quality of smell, quality of taste, and overall quality, the higher the amount of Hwangguk-gyun added, the lower it was evaluated, and the 5% group added to the Hwangguk group had the highest preference.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product that could increase consumer preference and increase economic utility through short-term aging when 5% of Hwangguk-gyun was added to traditional soybean paste and aged for a week. The implication derived from this study is that the aging time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is reduced from 50 days to 7 days through short-term fast fermentation by adding Hwangguk-gyun to soybean meju, which has a long aging period, strong salty taste, and a large difference in quality depending on fermentation conditions and fermentation process. It is thought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incom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manufacturers by increasing the economical utilization by shortening, reducing saltiness, and standardizing the quality of soybean paste according to consumer preferences. In addition, in the next study, specific preference surveys and desired prices for general consumers should be conducted so that they can be commercialized, and it is considered that a marketing plan for product launch is necessary. By using Hwangguk gyunwool to reduce aging time and improve the quality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we inte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contribute to industrial development to achieve various R&D. 현대인들의 식생활 문화가 간편화되고 서구화됨에 따라 전통 장류 관련 산업 또한 소비자 기호에 맞춰 다양하게 양적, 질적으로 급속히 팽창하고 있다. 된장은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으로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며, 조미식품으로써 음식의 간을 맞추고 맛을 내는 기본 식품이다. 식품공전에 고시된 된장의 식품 분류는 장류에 해당하며, 된장 관련 장류는 한식 메주, 개량 메주, 한식 된장, 된장, 조미된장으로 분류되어 있다. 장류에서 고시된 된장은 대두, 쌀, 보리, 밀 또는 탈지 대두 등을 주원료로 하여 누룩균 등을 배양한 후 식염을 혼합하여 발효・숙성시킨 것 또는 메주를 식염수에 담가 발효하고 여액을 분리하여 가공한 것으로 개량된장과 전통된장으로 구분하고 있다. 전통된장의 구수하고 깊은 맛은 기호도와 품질의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우수하나, 숙성기간이 길고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 짠맛이 강하다, 또한, 발효 조건과 발효과정에 따라 맛의 차이가 커서 품질의 균일화가 차이가 크며, 소비자의 취향이나 연령층에 따라 선호도의 차이 또한 크다. 따라서 된장의 짠맛을 줄이고, 품질을 높여 소비자 기호의 다양성 고려하고, 숙성기간을 단축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활용도 증진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장류 메주에 황국균 첨가하여 단기속성 발효를 통한 된장의 숙성시간을 단축하여, 소비자 기호에 맞게 된장의 품질을 표준화하고, 경제적인 측면의 활동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메주에 황국균 첨가량을 달리하여 소비자의 기호도가 높은 맛을 개발하고자 전통된장에 황국균 첨가량을 0%, 5%, 10%, 15%로 혼합하여 된장을 제조한 후에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맛을 알아보기 위해 관능 평가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특성 차이 검사에서 황국균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갈색도, 메주향, 간장향, 짠맛은 낮게 평가되었고, 단향, 신향, 단맛, 쓴맛, 신맛, 간장맛, 입도의 균일성, 되직한 정도는 높게 평가되었다. 황국균을 첨가하여 단기속성 발효시킨 전통된장에 대한 관능적 특성 차이 검사에서는 황국균 5% 첨가군이 14개 항목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선호도 검사에서는. 외관의 품질, 냄새의 품질, 맛이 품질, 전체적인 품질에서 황국균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낮게 평가되었고 황국균 5% 첨가군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전통된장에 황국균을 5% 첨가하여 일주일 숙성했을 때 소비자들의 기호도를 높일 수 있고, 단기간 숙성으로 경제적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제품개발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은 숙성기간이 길며, 짠맛이 강하고 발효 조건과 발효과정에 따라 품질의 차이가 큰 장류 메주에 황국균을 첨가하여 단기속성 발효를 통해 전통된장의 숙성시간을 2년에서 7일로 단축하였고, 짠맛을 줄였으며 소비자 기호에 맞게 된장의 품질을 표준화함으로 경제적인 측면의 활용도를 높여 전통된장 제조업체의 소득 창출과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다음 연구에서는 제품화할 수 있도록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기호도 조사와 희망 가격 등의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제품 출시를 위한 마케팅방안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황국균울 활용하여 숙성시간을 줄이고 전통된장의 품질을 높여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다양한 연구개발을 이루고자 한다.

      • 현대 대나무공예에 활용 가능한 편조기법 패턴 연구

        황미경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나무는 매년 수확이 가능하고 용도가 다양하여 일상생활에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 가치가 높은 친환경 소재이다. 죽세공예뿐만 아니라 섬유질이 풍부하여 성인병 예방에 효능이 있는 죽순과 댓잎을 이용한 음료, 식재료 등 여러 가지 식품으 로 사용하고 있으며 대나무 숯은 방습, 항균성이 있어 우리 생활 여러 곳에서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또한 관광산업의 주요자원으로도 활용되고 있으며 빠르게 변하는 현대인의 지친 심신을 안정시켜주고 휴식을 제공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가구 및 인테리어소재와 건축자재에까지 대나무를 활용하는 움직임이 날로 늘어가고 있으며 세계는 지금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속가능한 대체재로써의 대나무에 관심을 갖고 다방면으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친환경 소재인 대나무를 가늘게 쪼개고 얇게 떠서 사용하는 죽세공예의 여러 가지 기법 중 편조기법에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패턴들의 종류와 활용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전통으로만 여겨졌던 죽세공예품을 다양한 편조기법의 패턴들 을 활용해 현대 라이프 사이클에 맞는 일상 생활용품으로 창작 하였다. 이와 같이 죽세공예 편조기법의 다양한 패턴을 활용한 생활용품들을 창작하기에 앞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죽세공예가 발달했던 담양지역의 죽세공예 발달 역사와 죽세공예 재료인 대나무 분포 지역 및 종류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죽세공예는 다른 공예와는 달리 재료를 직접 가공해야만 하는 공예로 대나무 가공하는 과정을 자세하게 다루었으 며 염색 방법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과 선행 연구를 근거로 고찰하였다. 둘째, 죽세공예 편조기법으로 표현할 수 있는 패턴의 종류를 국내·외 사례연구 및 외국의 참고 서적을 고찰하여 정리하였다. 그 결과 현재 죽세공예를 하고 있는 여러 나라들은 거의 비슷한 패턴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패턴의 명칭 은 짜인 모양이 도형의 모양과 같아 이름 지어진 것으로 추측되는 사각형 패턴, 육각형 패턴과 팔각형 패턴 등이 있었다. 그리고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자연물이나 사물 등의 이름을 본 따 지어진 것으로 추측되는 별 패턴, 마엽 패턴, 거북이 등껍질과 같다고 해서 귀갑 패턴을 비롯해 해바라기바닥 패턴, 국화꽃 패턴, 파도 패턴 등으로 기본적인 패턴은 거의 정형화된 패턴들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죽세공예 편조기법중 제품의 바닥 부분과 몸통 부분에 주로 활용되고 있는 패턴을 문헌과 인터넷 자료들을 통해 고찰하였다. 주로 바닥 패턴으로 사용하는 국화바닥 패턴, 해바라기바닥 패턴, 별 패턴과 사방 망대 패턴을 제외하고는 바닥과 몸통을 병행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작업의 완성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과정인 마무리 기법으로는 갱기대 마무리, 테대 마무리, 세할(細割)테 마무리, 자연 마무리 기법이 있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넷째, 작품제작 및 해설에서는 작품에 필요한 재료 준비와 작업 의도를 밝히고 아이디어 스케치 및 도안을 준비한 다음 죽세공예 편조기법으로 작업한 작업과정과 작품 설명으로 진행하였다. 다섯째, 죽세공예 편조기법의 다양한 패턴들을 활용하여 7개의 작품을 창작하여 제시하였다. 자연 소재인 대오리가 교차되면서 형성하는 기하학적인 선의 아름다움을 극대화시켜 표현하였다. 조명을 비롯한 본 연구의 작품들은 일반가정을 비롯해 한옥의 다실 등 다양한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현대 라이프 사이클에 맞는 제품으로 지속적인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끝으로, 죽세공예를 하면서 사용하고 있는 적지 않은 용어들은 일제 강점기에 사용했던 언어들로 현재까지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현장에서 본업으로 작업하고 있는 연구자에 의해 자주 사용하고 있는 용어 정리와 죽세공예 패턴에 관한 종류와 활용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나마 시작되었다는 데 의의를 두고 싶다. 그리고 전통공예에 머물러 있는 죽세공예가 한 발 더 내딛기 위해선 현대인들의 니즈에 맞는 디자인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며 한국대나무박물관 내에 맞춤 형 죽세공예 전문 양성기관이 설립되어 지속적인 교육을 통한 연구 및 개발이 젊은 작가들에 의해 이루어지길 간절히 소망해 본다. Bamboo is an eco-friendly material that is highly valuable as a resource useful for everyday life because it can be harvested every year and has various uses. In addition to bamboo crafts, it, using its part such as bamboo shoots effective in preventing adult diseases and bamboo leaves contained high fiber, is used as various foods, drinks or food ingredients. Besides, bamboo charcoal is used in various places in our lives because of its moisture-proof and antibacterial. Furthermore, It is also used as a major resource for the tourism industry, providing rest and stabilizing the tired mind and body of modern people arise from rapid change. In addition, recently, the use of bamboo for furniture, interior materials, and building materials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the world is now interested in bamboo as a sustainable alternative making efforts to use it in various way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types and utilization of bamboo crafts‘ various patterns used in the weaving techniques, among the various techniques of bamboo crafts that use bamboo, an eco-friendly material, by thinly split and sliced. In this study, bamboo crafts, which were considered only traditional, were created as daily necessities suitable for the modern life cycle by using various patterns of weaving techniques. In this way, the contents derived from theoretical consideration before creating household products using various patterns of bamboo craft weaving techniques are as follows. First, I studied history of the bamboo crafts’ development in Damyang, where bamboo crafts were advanced, and the distribution area and characteristics of bamboo, materials of bamboo crafts. Unlike other crafts, bamboo crafts are crafts that can only be made by processing raw materials called bamboo to make products. For this reason, material preparation was an important process, and the steps of processing the material used in bamboo crafts was dealt with in detail and studies to understand the dyeing method were considered based on literature and previous. Second, I summarized certain types of patterns that can be expressed through the bamboo craft weaving technique by examining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and foreign reference book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everal countries currently performing bamboo crafts use almost the same pattern. The names of the patterns were square patterns, hexagonal patterns, and octagonal patterns, which are presumed to have been named because the woven shape wa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figur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basic patterns such as the earplugs pattern, sunflower floor pattern, chrysanthemum pattern, and wave pattern, etc. which are believed to have been named after natural objects or objects commonly encountered around us, are almost standardize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atterns mainly used in the bottom and body parts of the product through studies and Internet datum, it was found that the most of the patterns can be used in floor and body parts of the product in various ways, except for chrysanthemum floor patterns, sunflower floor patterns, star patterns, and square net patterns. What‘s more,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ost important finishing techniques determining the completeness of the work, which were Gan-ggi-dae finishing, rim finishing, Sehalte finishing, and natural finishing techniques. Fourth, in the production and commentary of the work, the preparation of materials necessary for the work and intentions were revealed. After idea sketches and designs were prepared, the process and explanations of work used bamboo crafting techniques were described. Fifth, seven works using various patterns of bamboo craft weaving techniques are presented. Works that maximize the beauty of geometric lines formed by crossing the natural materials of Daeori were found to be suitable for modern life-cycle. It can be used in various spaces such as homes, tea rooms in Han-ok, making me feel the need for continuous design development. Finally, not a few terms used in bamboo crafts are us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still being used until now.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research on the types and uses of patterns, arrangement of terms frequently used in the field, and bamboo craft knitting techniques has begun. In order for bamboo crafts remaining in traditional crafts to take a step forwa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designs that meet the needs of modern people. I sincerely hope that research and development with continuous education will be carried out by young artists by establishing an institution specializing in customized bamboo crafts in the Korea Bamboo Museum

      •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국어 수업 방안 연구 : 정보과제 해결모형을 중심으로

        황미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학교 교육은 단순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교육으 로부터 벗어나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정보를 찾고 분석하는 능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변화해야 한다. 현행 교육과정도 학습자의 자기 주도성을 강조하고 학습자의 문제 해결력을 중시하고 있다. 도서관을 활용한 수업 방안은 이러한 능력을 함양하기에 가장 적합한 학습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서관 활용 수업의 여러 모형 중 정보과제해결모형(Big6)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국어 교과 학습 흥미도와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 변화를 검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도서관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학습 흥미도를 높이고 학업 성취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워 연구를 수행하였다.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남양주에 소재한 N 특성화 고등학교 1학년 ○○과 2개 학급 6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비교 집단과 실험 집단으로 나누었다. 도서관 활용 수업이라는 8차시의 실험 처치를 받은 실험 집단과 그렇지 않은 비교 집단 간의 학습 흥미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두 집단 모두에게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단원 형성평가를 통해 학업 성취도도 비교해 보았다. 또 실험 집단 학생들을 대상으로 도서관 활용 수업 반응도를 설문 조사하여 분석하였으며 수업 관찰 및 모둠 조장들을 대상으로 면담도 실시했다. 본 연구를 토대로 도출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도서관의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과제를 해결한 학생들은 국어 수업에 대한 흥미도가 높았고, 이러한 학습 방법에 호기심을 가졌다. 둘째, 도서관 활용 수업은 학생들의 국어 교과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쳤다. 셋째, 도서관 활용 수업은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켰다. 넷째, 도서관 활용 수업은 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켰다. 도서관 활용 수업은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정보를 수집, 분석, 종합하여 스스로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 흥미와 학업 성취도도 높일 수 있는 지식 정보화 사회의 좋은 수업 모형이 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도서관 활용 수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학교 도서관 수업 환경이 조성이 필수적이며 특히 사서 교사의 도서관 이용 지도나 정보 이용 교육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단원의 적절한 선택,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과제 제시 및 모둠 구성에서 수업 시간 운영까지 교사의 철저한 준비 역시 매우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소란스럽고 산만한 학습 분위기를 통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한다.

      • 신크로니스티 명상음악이 중학생의 스트레스감소에 미치는 효과

        황미경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신크로니스티 명상음악이 중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것이다. 신체. 심리적으로 큰 변화를 겪는 중학생들은 다양한 갈등거리와 심리적 불안이 스트레스로 이어져 충동적인 일탈행위와 과격한 행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몸과 마음, 정신의 조화와 균형을 바탕으로 한 신크로니스티 명상음악을 통해 내면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하여 건강한 삶을 설계해 나갈 수 있도록 스트레스에 대한 지각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참여자들은 24명의 통제 집단과 24명의 실험집단으로 되어있다. 실헙집단에게는 신크로니스티 명상음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신크로니스티 명상음악은 알파파와 쎄타파 음악을 14회기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검사들은 최영희(2002)가 원호택,김순화(1986)의 대학생을 위한 스트레스 지각 검사지를 청소년들에게 맞게 수정, 보완한 지각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두 집단 간의 실험 전후 결과에 대한 차이점을 얻기 위해 SPSS 프로그램과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전에는 실헙집단과 통제집단과의 사이에서 스트레스 지각에 대한 수준이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프로그램을 시행한 후에는 실험집단의 스트레스수준이 통제 집단보다 낮았다. 둘째, 프로그램 시행 후 신크로니스티 명상음악이 실험 집단의 학교생활, 대인관계, 자신문제, 환경문제, 가족생활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한계점은 실험의 시간이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다 알기에 다소 짧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실험은 새로운 음악세계와 명상을 접목시켜 중학생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고 중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삶의 태도를 위해 상담과 교육장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와 가치가 있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