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여성주의 활동가들의 학습공동체 네트워크 경험 연구

        황명화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국문 초록 여성주의 교육학은 자신과 세계 인식을 통한 여성해방이라는 뚜렷하고 특정한 교육목표가 있으며 평생교육 차원에서 여성, 또는 사회적으로 약자의 위치에 있는 사람이 ‘주체로서의 힘 기르기’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을 모색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주의 교육학의 실천적 측면에서, 자신을 ‘페미니스트’라고 정체화시키는 사람들, 즉 여성주의자들의 학습에 주목하였다. 이와 관련한 주제로 지금까지 진행된 연구에서는 주로 학습이 일어나는 맥락과 형성과정을 탐색하는 연구로서 이들의 경험에 주목하여 경험 자체를 곧 학습으로 이해하는 데에 천착하였을 뿐, 개인이 공동체와 관련하여 여성주의 학습을 배우는 자세한 과정이나 여성주의 학습에 공동체 환경이 작용하는 원리에 대한 탐색은 미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주의 활동가들을 통해 여성주의 공동체 환경에서의 경험이 그들에게 어떻게 학습으로 연결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고, 그러한 경험을 통해 나타난 변화를 도출함으로써 여성주의 공동체 환경이 가지는 성격으로써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적인 특성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여성주의 공동체가 가지는 네트워크 환경의 특성에 기대어 성인학습자인 이들에게 여성주의 학습이 일어나는 과정과 그를 통한 변화에 주목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밝히기 위해 여성주의 문화 운동단체 ‘U 네트워크’의 20·30대 여성주의 활동가들을 연구의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질적 연구의 한 방법으로써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의 틀로써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의 렌즈를 통해, 여성주의 공동체라는 환경적 특성이 구성원들에게 작용하는 방식에 주목하였다. 먼저 여성주의 공동체에 들어오기 전과 후를 비교, 탐색하고자 여성주의 공동체참여의 맥락과 계기를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하여 여성주의 공동체에서의 학습 과정을 여성주의 네트워크 환경이라는 특성에 주목하여 심층적으로 살펴보았고, 이어 여성주의 공동체 경험을 통해 변화된 내용을 도출하였다. 분석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참여자들의 여성주의 공동체 참여맥락과 계기는 성차별적인 세상에 대한 저항과 사회변화에 대한 열망, 그리고 정체성 억압으로부터 한 발짝 용기 낸 실천을 위한 발걸음이었다. 또한, 성 정체성에 대한 혼란과 가부장적 환경에서 느끼는 불편함으로 소외와 배제를 경험하고 있었고 이러한 불편함을 여성주의 지식과 환경을 통해서 충족시키고 해소하고 싶은 기대감에 의해서였다. 참여맥락에서의 공통점은 일상에서 경험하는 불편한 감정과 ‘차이’에서 느끼는 혼란이라는 감정적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여성주의 공동체 환경에서의 경험은 안정된 환경에서 다시 배우는 페미니즘, 대외적 활동 속에서 일어난 인식의 전환, 가부장적 사고의 틀 해체와 자아정체성의 해방 등을 경험하게 된 학습의 과정이었고, 여성주의 공동체 환경에서의 경험을 통해 변화된 내용은 여성주의에 대한 정립과 관점의 확장, 인식전환을 통한 임파워먼트의 획득, 실천력의 발휘 등으로 요약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논의로 첫째, 연구참여자들이 속해있는 여성주의 문화 운동공동체 ‘U 네트워크’를 학습공동체로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둘째, 성인학습자가 삶의 장에서 맞닥뜨리는 ‘차이’에서 오는 혼란과 분노 등의 감정적 요소가 곧 여성주의 학습이 시작되는 지점이라는 것을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가 여성 학습자는 공감 능력이 발달하였고 그러한 특성으로 인해 관계적 학습이 매우 효과적이라고 설명한 벨런키(Belenky)등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차이’를 다루는 방식의 중요성에 주목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다섯째, 자아정체성의 확립이 곧 변화의 바탕을 이루는 요소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여성주의 공동체 환경을 통한 경험은 지식, 기능, 태도를 습득하게 되는 과정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일곱째, 여성주의 네트워크 환경이 곧 전환학습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공간으로 작용하였다고 보았다.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와 관련한 실천적 연구는 그동안 대학의 강의실 상황에 국한되어 논의가 이루어져 왔던 것으로 볼 때 본 연구에서는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의 적용을 강의실 바깥의 장소로 이동, 확장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지닌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의 구체적인 적용방법에 관한 탐색이 이루어질 필요와 시간적 추이에 따른 변화과정을 탐색할 필요, 집단의 변화와 성장에 주목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주제어: 여성주의, 여성주의 교육학, 평생교육학, 임파워먼트, 후기구조주의 여성주의 교육학, 여성주의 공동체, 학습공동체, 경험학습, 전환학습 등

      • 노인 일자리사업의 현황과 방향성에 관한 연구

        황명화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Since the 21th century, the aged population of Korea has been drastically increased and this situation is hardly found in the OECD countries. Ageing brings several social, economic changes and also creates the large portion of senior workers in the future labor market. Therefore, if there are no effort to expand opportunities for the elderly employment, living security of the aged would become a serious problem in the near future. Compared to other policies, especially to the younger generation, the elderly employment policy tends to be delayed. This study focuses on the senior job placement project. After examining financial needs of senior citizens who participate in that project, the direction would be proposed. Moreover, the senior job placement system would be analyze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means that are able to support the project would be arranged, and then, the role of project would be reorganized. Firstly, the demand and supply of the aged labor force could be comprehended by analysing characteristics of the aged who participate in labor market and finding out their activities in the workplace. Secondly, an alternative plan is suggested by analyzing the senior job placement project that provides jobs to the aged.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project. It attaches importance to the creation of social employment within the community, expecially for the old who are difficult to be employed in the existed labor market. According to the presented data, several problems are exploded. To sum up, firstly, even thoug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ovides jobs which are suitable for people over 65, it is definitely insufficient to fit the demand. As a matter of fact, the aged who had jobs were only 35000 persons of all senior citizens in 2004. Secondly, even though various social employment programs are implemented in each department of government, labor participation of the aged over 60 is hardly found, except the Ministry of Labor's program(118 persons were employed in 2004). Thirdly, the senior job placement project is based on the weak legal base, expecially about the business implementing agency. Therefore, even thoug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mplements the project based on the article 23 of the Welfare of the Aged Act(support for the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efficient programs, e.g. making long-term plans for the social participation or building the information system for the elderly labor force, are difficult to be promoted. Lastly, current employment project is simply classified into public interest type, social participation type, and market type. There are no manifest role of the aged and also little attempt to develope jobs that are suitable for them. According to this study, several reorganizing ways can be suggested to prepare the ageing society and the more active senior job placement project. First of all, through re-structuring the project, we should strengthen the role of Senior Human Resources Center and promote the legal system. Secondly, sector adjustment between projects should reflect characteristics of projects and institutions by establishing the role of business implementing agency. Therefore, training program and arrangement of the expert, and the professionalism of institutions are necessary. Thirdly, analyzing the current senior job placement project, we should arrange suitable jobs for the elderly and analyze jobs, and then, the proper role should be given. Lastly, because there ar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aged and various needs for the business, business effects chang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ld. It means that individual service should be considered to design the senior job placement project. In Korea, there are little people who have complete plan for the income security after the retirement. Moreover, it is hardly expected to support the senior citizens through the family system. Supporting the old by the public social security system, e.g. public pension and public medical service, is right way. However, to resolve current problems, plan for solving the low-birth rate are necessary in the short term. In the long term, we should increase labor force and revive the economy by reducing the burden for supporting the aged. Therefore, active policy is definitely necessary to give the opportunity for the senior citizens to work. 21세기에 접어들어 우리나라의 고령인구증가는 OECD 국가에서 유래를 볼 수 없을 정도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고령화는 여러 가지 사회적, 경제적 변화를 가져오지만 무엇보다도 향후 노동시장에서 40-60대 근로자의 비중이 크게 증가할 것이며, 지금부터 고령자의 경제활동과 고용을 확대하기 위한 꾸준한 노력을 하지 않으면 20-30년 후에 가서 60세 이상 고령자의 생활안정문제를 해결하기는 매우 어려워질 전망이다. 고령자의 고용문제는 다른 연령계층, 특히 청년층 문제의 심각성에 비해 정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함에 있어서 자주 뒤로 미뤄진다. 대표적인 노인인력활용정책의 하나인 우리나라 노인 일자리사업이 비록 역사는 길지 않지만 국가의 중요한 노인 복지핵심 사업을 감안할 때 매우 중요한 사업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고령화와 고령자 고용문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둘째, 노인일자리 의의와 사업제도 및 프로그램, 추진 현황 및 추진체계를 살펴보고 셋째, 노인일자리 사업의 참여 어르신들의 취업욕구와 노인 일자리사업의 실태와 제반여건을 살펴보며 넷째, 이러한 맥락에서 현실적으로 노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는 노인 일자리사업을 분석하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제까지 발표된 자료를 토대로 노인 일자리사업을 분석 정리해 보면 첫째, 현재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보건복지부에서 노인적합형 일자리를 창출하여 제공하고 있으나 수요에 비해 절대 부족한 실정으로 2004년 노인일자리 창출 실적은 전체 노인중 35천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둘째, 기타 각 부처 별로 시행되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일자리 프로그램이 있으나 노동부 실적 118명(2004)을 제외하면 60세 이상 참여실적이 전무한 상태인 것이 현재 우리나라의 실정이다. 셋째, 동 사업은 보건복지부의 노인인력활용(노인일자리사업) 및 사업수행전담기관 등에 대한 법적인 근거가 미비한 상황에서 노인복지법 제23조(노인사회참여 지원)를 근거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사업수행전담기관에 대한 근거가 없어 노인인력활용 및 사회참여 방안에 대한 중·장기계획 수립 및 노인인력운영 정보시스템 구축 등 효율적 사업추진이 매우 곤란한 상황이다. 넷째, 일자리 사업분류는 단순히 공익형, 사회참여형, 시장형 등 단순 분류에 그치고 노인 적합형 일자리로서의 직무개발이나 명확한 노인의 역할 등이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 취업욕구를 알아 보기위해,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 27,909명 (총 참여자 35,127명)을 대상으로 18,324명(65.6%)이 응답한 조사 결과를 재분석한 내용을 살펴보면, 조사결과 노인일자리사업은 사회적 비용 절감과 개인의 건강증진·경제적 자립 등의 효과가 있고 사업 참여 적극 의지 표명자가 10명중 9명으로 매우 높은(93%)것으로 나타났지만 적합한 일자리가 부재하고 , 취업욕구를 살펴보면 월 희망 임금은 30~40만원, 근무 형태는 연중참여, 주 5일 및 일 4시간근무를 가장 선호하지만 현실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 일자리사업정책은 더 이상 노인전체를 하나의 동일한 집단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닌 사업 참여를 하고자 하는 동기, 희망직종과 임금수준, 희망하는 근로일수 및 일일 근로시간, 희망하는 연 참여기간 등에 대한 욕구조사에 기초해서 그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기 위해서는 개개인별 맞춤서비스를 필요로 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만이 일자리사업이 노인 개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며 사회적으로도 노인부양부담감소와 노인인력활용의 정책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는 노인일자리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취업욕구에 기반한 노인 일자리사업에 대한 구조화를 통하여 사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노인인력운영센터에 대한 역할 강화와 법적인 기반을 조성하여야 한다. 둘째,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사업수행기관의 역할을 정립하여 사업의 특성과 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사업간의 영역조정이 있어야 하며 무엇보다도 사업기관에 대한 지원을 통하여 전문가 양성 및 배치, 기관의 전문성 배양이 필요하다. 셋째, 현행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사업내용을 정밀 분석하여 노인적합형 일자리를 정교하게 다듬어야 하며 일자리에 걸맞은 직무분석과 역할 및 그에 따른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은퇴 후 자신의 노후소득보장에 대한 확실한 계획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매우 적다. 가족제도를 통한 노인부양은 더 이상 기대할 수 없다. 공적연금과 공공의료 및 요양보장서비스 등 사회보장제도를 통한 노인부양은 당연히 나아가야 할 방향이기는 하지만 당면한 문제의 근본적 해소를 위해선 먼저 우리사회의 저출산 문제를 해결해야하며, 장기적으로는 경제활동인구를 늘리고 사회의 노인부양부담을 줄이며 경제의 활력을 회복시켜야 한다. 따라서 노인들의 취업요구를 반영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적극적인 정책이 절대 필요하다.

      •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양육행동,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황명화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요약 본 연구는 부모로서의 역할수행을 잘 해낼 수 있다고 믿는 신념인 양육효능감과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행동인 부모역할 양육행동, 그리고 자녀를 양육하면서 느끼는 신체적, 심리적 양육스트레스의 정도와 유아가 일상생활에서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긍정적인 행복감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 그리고 양육스트레스 변인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한가를 알아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과 부천에 소재한 어린이집 5곳의 유아 210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통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행복감을 측정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t검증과 F검증, Pearson의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유아의 행복감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유아연령, 유아 성별, 모 학력에 따라 차가 나타났다. 먼저 유아 연령에 따라서는 유아행복감의 하위 변인 중 자아특성영역과 대인관계 영역에서 만 3, 4세인 집단이 만 5세인 집단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유아의 성별에 따라서는 가정환경영역, 자아특성영역, 능력영역, 대인관계영역, 유아행복감 총점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낮게 나타났고, 모학력에 따라서 가정환경영역에서 전문대졸이하가 대졸이상 보다 낮게, 유아 행복감 총점에서 고졸 이하가 대졸이상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행복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행복감은 전반적으로 양육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가 유아를 전반적으로 건강하게 양육하고, 의사소통 ⅲ 능력이 높고, 학습지도를 효과적으로 할수록 유아의 행복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행복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행복감 하위변인 중 가정환경영역에서의 행복감과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가정환경영역 행복감은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반응성, 합리적지도, 애정성 순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즉, 어머니가 유아에게 반응을 잘해주고 합리적으로 지도하며 애정을 보일수록 유아의 가정환경 영역 행복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행복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행복감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전반적으로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가 유아의 양육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특히 학습기대관련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행복감, 특히 유아의 가정환경 영역에서의 행복감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유아의 행복감에 대한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행복감에는 유아 성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중 의사소통능력, 훈육능력,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중 학습기대관련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아가, 어머니의 의사소통 능력이 높을수록, 훈육능력이 낮을수록, 자녀와의 관계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유아행복감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유아의 행복감에는 유아 연령과 유아성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중 의사소통능력과 훈육능력, 양육스트레스 중 학습기대관련 스트레스와 자녀관계관련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유아행복감,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ⅳ

      • 성인전기 여성의 발달과업 인식에 따른 평생교육참여 양상에 관한 연구 : 사업장부설 평생교육기관 수강생을 중심으로

        황명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논 문 요 약 성인전기 여성의 발달과업 인식에 따른 평생교육참여 양상에 관한 연구 -사업장부설 평생교육기관 수강생을 중심으로- 황 명 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평생교육학과 (지도교수 정 민 승) 전 생애적 측면에서 볼 때 성인전기에 이루어지는 교육은 성인기 전반의 삶을 살아가는 동안에 여러 영역에 걸쳐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이 시기에 결혼과 출산 등을 통해 새로운 지위와 역할을 부여받게 되는 등 남성에 비해 새로운 생애역할이 주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발달상의 과업을 잘 수행해나가는 것은 개인적·국가적인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성인전기 여성의 발달단계적인 특성에 주목한 평생교육 차원의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초로 한 본 연구는 사업장부설 평생교육기관 프로그램에 참여중인 성인전기 여성을 대상으로 발달과업에 관한 인식이 평생교육 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해봄으로써 성인전기 여성들의 평생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보다 다각적인 측면에서 파악하고 그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그러한 목적 달성을 통해 성인전기 여성의 생애 단계적 차원에서의 교육요구가 반영된 평생교육의 적용 및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 나아가 성인전기 여성평생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사업장부설 평생교육기관인 H백화점 문화센터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서울, 경기, 영남지역(대구, 울산, 부산)등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40대 초반에 해당되는 성인전기 여성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213부를 통계 처리하여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 방법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결과분석을 위해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사업장부설 평생교육기관의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성인전기 여성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배경변인에 따른 발달과업에 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연령, 가족을 이루고 있는 상태, 직장생활경력, 직업 등의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배경변인들은 주로 생애단계와 연관이 있는 변인들로서 이러한 결과에 따라, 향후 평생교육참여와 관련한 연구에 있어서 연구대상의 생애 발달적 배경에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둘째, 사업장부설 평생교육기관의 프로그램에 참여중인 성인전기 여성학습자의 발달과업 인식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 동기, 참여만족도, 참여지속성 등을 분석한 결과 가족생활영역, 정서적 영역, 지적영역, 정서적 영역, 도덕성영역, 기본생활영역, 성·결혼영역 등의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도출되었다. 이에 따라서 발달과업에 관한 인식이 평생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성인전기의 여성학습자들이 자신의 생애단계를 인식하고 이에 따른 발달과업을 잘 수행하기 위하여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성인전기 여성평생교육에 있어서 학습자의 생애단계와 발달과업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한편, 발달과업에 관한 인식에 따라 참여하는 프로그램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본 연구의 결과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영남지역의 경우, 발달과업의 7가지 영역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진로영역과 관련한 교육프로그램의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수요에 따르는 교육기관 및 프로그램 선택의 폭이 서울, 경기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현실이 드러났다. 따라서 학습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기관 및 프로그램의 제공이 지역적으로 균등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국가적 차원에서의 확인과 노력이 요구된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본 연구는 첫째 여성평생교육에 있어 ‘성인전기’라는 생애주기적인 관점에 초점을 둔 새로운 집단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는 점, 둘째, ‘발달과업’이라는 변인을 평생교육과 연관시켜서 그 개념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탐색하고, 발달과업과 평생교육의 관계에 대한 교육학적인 시사를 끌어내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지닌다. 또한 발달과업 인식이라는 변인이 평생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밝힘으로써 향후 평생교육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러한 시도가 성인전기에서만이 아닌 생애발달의 다양한 단계와 대상을 통해 확인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여성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에 있어서도 연구대상을 평생교육에 참여 중인 여성만이 아닌 비 참여 중인 여성 즉 잠재적 학습자의 참여를 유인하고 독려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성인전기 여성, 발달과업, 생애단계, 여성평생교육, 사 ABSTRACT A research on aspects of early adulthood women’s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ir awareness on developmental tasks -Focused on leaner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attached to company- by Hwang Myung Hwa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 Jung. Min Seung This research aims to shed light on and discuss about importance of early adulthood women’s developmental tasks in order to emphasiz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their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Early adulthood women attending program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attached to company were selected as research objects. In order to draw deep conclusion about factors which influence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awareness on developmental tasks and its effect on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were explored. With this, the study aims to seek ways of reflecting early adulthood women’s educational demands on lifelong education practice. Moreover, with this vigorous discussion, the study tries to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is research, 253 early adulthood (20s-40s) female leaners attending culture center programs of H department store were asked to answer questionnaire and total 213 survey paper was analyzed as quantitative data while the other 40 survey paper was excluded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insincere response. SPSS 18.0 was used for data analysis of this research, such as one way-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research participant’s demographic factors on awareness on developmental tasks, it is found that factors related to the tasks of life stage such as age, family status, career experience, job showed significance. With this result, it is confirmed that various demographic factors may affect the participation of lifelong education. This suggests that more attention to participant’s demographic factors is required when conducting a study on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Second, the influence of developmental tasks on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was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seven domains of developmental tasks were significant to three domains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which i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persistent participation. This means that awareness on developmental tasks effects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Thus, it is able to interpret that learners in their early adulthood have interest in fulfilling their developmental tasks, which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programs considering early adulthood women’s demand are required. Finally, it is found that there is difference in participating programs according to the awareness on developmental tasks, especially, in southern area, it is discovered that demand on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career domain was most high. However, since it is supposed that there are not many program choices for learners compared to Seoul and Gyeonggi area, lifelong education practice which corresponds to learners demand should be implemented equally in entire region. This research differs from precedent researches in these respects. On the one hand, the research newly focused on ‘early adulthood’. On the other hand, the study tried to relate ‘developmental tasks’ to lifelong education and explored their integrated concepts which eventually lead to educational meaning. Also, by discovering that developmental tasks is the factor which influences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the research is meaningful because this discoveries may give suggestions to future researches. In particular, this research is important because it is exploratory attempt to illuminate developmental tasks in lifelong education field in order to suggest pedagogical meaning of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tasks and lifelong educ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is meaning not only in early adulthood but also in other life stages. Lastly, for vitalizing women’s lifelong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more researches focusing on female learners including women who do not participat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is means that researches which focus on motivating latent learner’s participation are required.

      • 韓ㆍ中ㆍ日 外来語의 語構成에 대한 研究

        황명화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本稿では、韓·中·日の三国の英語から移入された外来語を対象に比較と分析を行い、三国の外来語の語構成の類似点と相違点を対照することが目的である。その分析の結果を総括して纏めると以下のようになる。 (1)韓·中·日の三国の単純語を調査統計したら、韓国語(8,248語,62.81%)、中国語(2,563語, 55.43%)、日本語(5,104語, 36.78%)の結果であり、韓国語に英語から移入された外来語が最も多いことが分かる。続いて、中国語、日本語の順位である。その中、一般語では韓国語(7,287語,55.50%)、中国語(2,395語,51.80%)、日本語(4,651語,33.52%)になり、固有語では韓国語(961語,7.31%)、中国語(168語,3.63%)、日本語(453語,3.26%)の順になる。この数字から見れば、一般語が固有語に比べてもっとも多く使われてることが分かる。さらに、一般語と固有語とも、韓·日·中の順で全体外来語に占める比率が低下することに調査された。 (2)韓·中·日の三国の複合語を調査統計したら、日本語(5757語,41.49%)、韓国語(1757語,13.39%)、中国語(55語,1.18%)の結果であり、日本語が圧倒的に多い語彙を持ち、中国語では非常に少なく使われていることが分かる。その中で、語根複合語は、日本語(5210語,37.55%)、韓国語(1634語,12.45%)、中国語(52語,1.12%)の順になり、動詞性複合語は、日本語(547語,3.94%)、韓国語(123語,0.94%)、中国語(3語,0.06%)の順になる。語根複合語が動詞性複合語に比べてもっとも多く使われ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3)韓·中·日の三国の派生語を調査統計したら、韓国語(1904語,14.5%)、日本語(1923語,13.86%)、中国語(181語,3.92%)の結果であり、韓国語のほうが日本語よりわずか多めになるが、両方とも中国語に比べれば大幅高めていることが分かる。その中で、接頭派生語は、韓国語(306語,2.33%)、日本語(251語,1.81%)、中国語(16語,0.35%)の順になり、接尾派生語は、韓国語(1598語,12.17%)、日本語(1672語,12.05%)、中国語(165語,3.57%)の順になり、接尾派生語が接頭派生語に比べて非常に多く使われてことが分かった。 (4)韓·中·日の三国の縮約語を調査統計したら、中国語(269語,5.82%)、日本語(316語,2.28%)、韓国語(189語,1.44%)の結果であり、縮約語は中国語で最も多く使われていて、主に前半部と後半部の縮約が韓·日に比べて多い。中間部の縮略は、日本語で韓·中より多く使われている。三ヶ国とも、後半部の縮略が一番多い語彙を持ち、形態も七種類で多様である。統計数字で見れば、中国語(241語,5.21%)、日本語(272語,1.96%)、韓国語(160語,1.22%)になり、中国語で一番多く使われてることが分かった。 (5)韓·中·日の三国の字母語を調査統計したら、韓国語(171語,1.30%)、日本語(59語,0.42%)、中国語(16語,0.34%)の結果であり、中․日に比べれば、韓国語でもっとも多く使われてる。韓国語では字母+外来語、字母+数字、字母詞の形態が、中․日により多く使われていて、外来語+字母の形態は、日本語(17語,0.12%)のほうが韓国語(7語,0.05%)よりもっと多い語彙を持っている。四つの形態から見れば、韓·中·日とも字母詞が最も多く使われ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6)韓·中·日の三国の混種語を調査統計したら、中国語(1,538語,33.26%)、韓国語(835語,6.35%)、日本語(688語,4.96%)の結果であり、中国語が韓․日より最も多い語彙を持っていて、音譯加注、音譯兼意譯、音譯+意譯、意譯+音譯の四つの形態が揃って韓․日により多いことである。また、音譯加注、音譯+意譯の形態が一番多い語彙を持っている。音譯兼意譯は中国語(17語,0.37%)、韓国語(2語,0.01%)でのみわずかに存在して、日本語では一語もなくて、意譯+音譯は中国語(82語,1.77%)、日本語(69語,0.50%)でのみ存在して、韓国語では一語もなかった。 (7)韓·中·日の三国の接詞を調査統計したら、韓国語(25語,0.19%)、日本語(28語,0.20%)、中国語(2語,0.04%)の結果であり、韓․日はほぼ同じ数の語彙を持っていることが分かるし、中国語では非常に少なく使われていることが分かる。韓․日両国語での接詞は、韓国語の소:시오(socio‐)と日本語のソシオ(socio‐)のように同じ接詞が存在することもあれば、밀리(milli‐)、센치(centi‐)、マイクロ(micro‐)、マクロ(macro‐)のような測量単位がともに多い語彙を持っていることが分かる。中国語では接頭詞が一つもなくて、埋仙(‐mycin)、罗支(‐logy)の二つの接尾詞のみが存在する。 最後に、韓․中․日の三ヶ国で、七種類の外来語が見せる様相を整理した結果を纏めると次のようになる。韓国語では、単純語、派生語、複合語、混種語、縮約語、字母語、接詞の順で比率が低くなり、中国語では、単純語、混種語、縮約語、派生語、複合語、字母語、接詞の順で比率が低くなり、日本語では、複合語、単純語、派生語、混種語、縮約語、字母語、接詞の順で比率が低くなる。韓․中両国では単純語が最も多く使われていて、日本語では複合語が最も多く使われていることである。また、三カ国とも外来接詞が一番少なく使われてることが分かる。韓国語で使われる外来語の中、派生語、複合語の使用頻度が一番高く、中国語では混種語、縮約語の使用頻度が高く、日本語では複合語、派生語の使用頻度が最も高いことが分かる。

      • 음성 조절 훈련이 교사의 음성과 청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황명화 대구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a voice-control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a teacher's voice. The study consisted of two phases: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The study consisted of an experiment on three females teachers. They were trained in a voice-control training program about respiration, resonance, phonation for 17 sessions. Also, they received a training in voicing conversion.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acoustic measurements(F。, Jitter, Shimmer, HNR, MPT) and VHI list to compare Pre and Post-trea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acoustic measurements between Pre and Post-treatment.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satisfaction but concentra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tion changes. 이 연구의 목적은 음성조절훈련 프로그램이 교사들의 음성의 음향학적 특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3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대상자들이 음성을 사용하는데 있어 호흡, 공명, 발성의 변화로 목소리의 전환을 이끌고, 이를 사전·사후에 음성 샘플을 채취하여, Praat을 이용하여 기본주파수, 주파수 변동률, 진폭 변동률, 배음대 소음비, 최대연장발성을 분석하고, 교사의 자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VHI검사를 사전·사후에 시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먼저, 음성조절훈련 프로그램을 시행한 교사들의 음향학적 매개변수는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다음으로, 음성조절훈련 프로그램을 시행한 후 교사들의 음성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유의한 결과를 가졌지만, 집중도에 있어서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공간 데이터 마이닝 방법론에 대한 연구 : 서울시 노령인구 분포를 사례로

        황명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공간 데이터 마이닝(Spatial Data Mining)이라는 새로운 방법론이 대용량 공간 데이터 분석을 위한 하나의 해결책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 방법론은 향후 제기될 공간 데이터 활용 문제에 대한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 마이닝 방법론이 지리적 문제에 적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데이터베이스 분야와 공간 분석 분야에서 제시되고 있는 공간 데이터 마이닝에 대한 정의, 분석 절차, 분석 방법과 그 알고리즘에 대해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서울시 노령인구 집단에 대한 비교적 작은 데이터를 대상으로 공간 데이터 마이닝 방법을 실제 적용해 보았고 이를 토대로 공간 데이터 마이닝 방법론이 지리적 문제 해결에서 가지는 효용성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공간 데이터 마이닝의 개념과 절차에 대해서는 각 분야마다 관심의 초점이 다르지만 대체적인 합의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기법적인 측면에서는, 데이터베이스 분야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들이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서는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여전히 공간 데이터의 특수성을 모델 자체에서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반면 기존 공간 분석 방법들은 공간 데이터의 특성을 잘 반영하지만, 대용량의 다차원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에는 아직까지 많은 제약이 있다. 둘째, 사례 분석 결과 서울시 노령인구는 도심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도심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노령화 정도가 약해지는 패턴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공간적 분포 패턴은 65세 이상 고령자 부부가구와 단독가구 비율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고, 이것은 도시에서의 노령화가 고령자의 핵가족화라는 가족 구조 변화와 함께 일어남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환경적 측면에서는, 노령화가 어느 정도 진척된 지역은 문화, 의료, 교육 시설 등과의 인접성과, 노령화 정도가 미약한 지역은 공원, 강 등과 같은 자연 환경 요소와의 인접성과 높은 연관성을 띠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기존 시설로의 접근성이 서울시 노령인구의 분포에 영향을 끼치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가설을 상정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문헌 연구와 사례 분석을 토대로 공간 데이터 마이닝 방법론이 지리적 연구에서 가지는 효용성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공간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할 경우, 공간적 관계를 직접 분석할 수 있고 대용량 데이터에 내재해 있는 새로운 가설들을 탐색해 볼 수 있다. 또, 다차원 데이터들 간의 의존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의사결정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론은 지리학과 공간 분석 분야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마이닝 방법 자체 및 데이터 처리에 대한 사전 지식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그리고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의존하며 방법과 알고리즘들이 아직까지 공간 데이터 마이닝 방법이 갖추어야 할 모든 요건들을 충족시키지는 못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 마이닝 방법론이 풍요로운 공간 데이터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분석 틀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공간 데이터 마이닝을 위한 공간 분석 방법 개발의 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A new methodology called spatial data mining has been proposed recently as a solution for analyzing large spatial datasets. This methodology can become an useful alternative for the problems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spatial data. This thesis explores whether it is possible for the methods of spatial data mining to be applied in solving some geographical problems. At first, definitions, analysis procedures, methods and algorithms of spatial data mining, developed in the fields of database and spatial analysis, are investigated. Next, some methods of spatial data mining are applied to a case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lderly population in Seoul.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he utilities and limits of spatial data mining are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onsensus regarding the concept and procedure of spatial data mining has been made, although the focus of interest is different by the field. In the technical aspect, the methods from database area are successful in processing large datasets, however, they don’t still appreciate the particular nature of spatial data in the model itself. In contrast, the existing methods of spatial analysis reflect its uniqueness enough, but they have many limitations in dealing with large multi-dimensional data. Second, from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it is identified that the elderly population in Seoul is concentrated in the downtown area. And the pattern is discovered that the degree of aging gets weaker as the distance from the downtown longer. This pattern in spatial distribution correlates closely with each ratio of one-person household and married-couple household composed of older peoples over 65. This means that the aging in the city is accompanied with the change of the family structure, the emergence of nuclear families consisting of only older peoples. In the environmental aspect, whereas regions with the high degree of aging are associated with the nearness to cultural, medical, educational facilities, regions with the low degree of aging correlate with the nearness to natural environment such as park, river etc.. From these results, one hypothesis can be assumed that the accessibility to the existing facilities may be one factor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elderly population. Finally, the utilities and limits of spatial data mining are suggested. In the case of using spatial data mining methods, spatial relations can be directly analyzed and new hypotheses implicit in large database can be explored. Moreover, many dependencies among multi-dimensional data can be captured and ultimately spatial data mining makes it possible to support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that this methodology requires the expert knowledge about geography and spatial analysis, the background knowledge about techniques themselves and data processing. And there are other restrictions, which are the dependency on spatial data warehouse and the incompleteness of the methods for spatial data mining. It is demonstrated in this study that the methodology of spatial data mining is a valuable frame of the analysis suitable for data-rich environments. This discussion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lead to the development of spatial analysis methods for spatial data m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