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ffect of strand length and crosslink density in the main-chain liquid crystal elastomer on the actuation performance : 주 사슬 액정 엘라스토머의 엑츄에이션 성능에서 strand 길이와 가교 밀도에 따른 효과

        홍효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주 사슬 액정 엘라스토머의 strand 길이를 조절하고 그에 따른 엑츄에이션 효과에 대해 서술한다. 주 사슬 액정 엘라스토머는 싸이올과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Michael addition 반응을 통해 합성하였다. 싸이올과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비율을 조절하여 합성되는 올리고머의 길이를 조절하였다. 이에 따라 strand 길이가 다른 엘라스토머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strand 길이에 따라 각기 다른 기계적 물성을 갖는다. 이후 SS 결합을 통한 dynamic exchange 반응이 가능하도록 싸이올 coupling 반응을 시켜주었다. 배향을 갖지 않는 엘라스토머를 연신한 후에 UV를 조사하면 SS 결합의 dynamic exchange 반응이 일어나 배향을 고정시킬 수 있다. 잘 배향된 엘라스토머로 온도에 반응하는 액추에이션 테스트를 진행하여 가장 액츄에이션에 적합한 엘라스토머의 strand 길이 조건을 찾았다.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액츄에이터는 소프트로봇이나 인공 근육과 같이 어떠한 자극에 물리적으로 반응하는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에 반응할 수 있는 엘라스토머 필름의 최적화된 조건을 통해 더 향상된 성능을 가진 액츄에이터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외국인 직접투자로부터 발생하는 지식확산이 현지기업의 지식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 제약산업을 중심으로

        홍효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이 기업의 지속적인 경쟁우위 창출의 기반이 되며, 그러한 지식은 기업 내부에서 생성될 뿐만 아니라 신제품 및 신공정의 형태로 전세계로 확산된다. 특히 개발도상국에서의 다국적 기업의 활동이 단순한 자본유입 이외에 현지기업에게 발전된 선진 기술과 노하우를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글로벌 경쟁의 속도 및 강도가 증가하고 있는 세계 경영환경에서 글로벌 기업들의 활동에서 비롯되는 지식확산(knowledge spillovers)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며 이에 대응하는 기업들의 전략은 연구자들뿐 아니라 실무자들에게 많은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과 경영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본 연구는 지식 집약적이며, 무형자산이 기업경쟁우위의 원천이 되는 제약산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제약산업 내의 141개의 한국기업 및 국제 합작투자기업들을 대상으로 1987년부터 2001년까지 외국 기업의 활동에서 비롯되는 지식확산과 현지기업의 지식개발과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국적 기업의 활동에서 비롯되는 지식확산을 현지기업의 지식개발을 가능케 하는 하나의 메커니즘으로 이해하고, 이에 관한 가설을 도출하였다. 또한 지식확산 효과의 명확한 측정을 위하여, 외국기업으로부터 받는 직접적인 효과라고 할 수 있는 국제 합작투자기업에서 발생하는 지식이전(knowledge transfer) 효과와 기업 내부의 역량에 의한 지식개발에 관한 가설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분석의 정확성을 더하기 위하여 통제요인으로서 한국기업의 규모와 환경적 요인에 관한 가설들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이 도출된 가설들에 대한 실증분석으로서 본 연구는 한국 제약산업에 진출한 외국기업들의 활동과 한국기업들의 지식개발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공인된 기관들로부터 1987년부터 2001년까지 15년 동안 총 141개 기업들의 재무제표, 신제품 개발 개수, 특허 출원 건수, 그리고 외국인 투자액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변수들의 신뢰성 및 변수들간의 다중공선성 문제 여부에 대한 분석을 거쳐 가설검증을 위해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제약산업 내에 진출한 외국기업들의 활동에서 비롯된 지식확산과 한국기업의 지식개발이 정의 상관관계에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매우 유의한 수준에서 지지되었다. 반면, 국제 합작투자에서 발생하는 지식이전과 한국기업의 지식개발이 정의 상관관계에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오히려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기각되었으며, 한국기업의 내부역량과 지식개발이 정의 상관관계에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적으로만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에 대한 정리는 물론 객관적 지표를 사용한 실증분석을 통해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지식확산과 지식개발에 대한 연구에 일조하였으며, 특히 글로벌 경영환경에서 지식의 흐름을 다국적 기업과 국제 합작투자의 관점에서만 보았던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현지기업의 역량과 외국기업의 존재 및 활동으로부터 발생하는 간접적인 영향인 지식확산의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는 기업 경영자들에게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외국기업들과의 경쟁에서 현지기업이 단기적인 수익창출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선진 기술을 보유한 외국기업들의 활동으로부터 지식을 습득 및 창출하도록 노력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시간적·재정적 지원과 자사의 지식개발을 위한 전략적 목표 수립 및 실천 의지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Knowledge is the key resource of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and it is not only created in firms internally but also spread out into the world as forms of new products and new process.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MNEs’ activities provide domestic firms with opportunities to learn their modern technologies and know-how. As the speed and strength of the competition is getting stronger in the global environment, knowledge spillovers from the global companies’ activities will be accelerated. Reflecting these statements, this study investigated pharmaceutical industry whose competitive advantage is based on intangible assets like knowledge. In this study, 141 domestic firms including IJV in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were tested empirically for the period 1987-2001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spillovers and knowledge development. This study drew hypothesis based on knowledge spillovers from MNEs’ activities as a mechanism for domestic firms to develop their knowledge. Moreover, to clarify knowledge spillover effects as the indirect influence, this study drew hypothesis of knowledge transfer from IJV as direct influence, internal development capability and control factors including domestic firms’ size and environment context. To investigate the hypothesis empirically, this study gathered data on financial reports, development of new products, patents, and amount of foreign investment from several institutes which have public confidence. Survey method was used regression analysis for statistical procedure.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knowledge spillovers from foreign presence influenced on domestic firms’ knowledge development significantly. With regard to knowledge transfer from IJV, the results suggested that it has negative impacts on the domestic firms’ knowledge development. Finally hypothesis on domestic firms’ internal development capability were supported partially.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 begging point for assessing the knowledge spillovers and knowledge development in global environment. Especially this study analyzed indirect effects of foreign presence on the domestic firms unlike other studies focused on MNEs and IJV to assess knowledge flows. The results also provide some general guidance for managers. They suggest that firms should commit financial, physical and organizational resource to create and acquire knowledge from foreign companies’ activities which have modern technology in terms of long-term strategies.

      • 요가를 통한 중년여성의 신체만족도가 운동지속의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홍효진 한국체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요가 수련을 통해 중년여성의 신체만족도가 운동지속의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2015년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요가수련장에서 수련하고 있는 중년여성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수련생 250명을 유층집락무선표집(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하였다. 조사도구로 신체만족도를 묻는 설문지는 박해리(2012)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운동지속의도는 이민재(2014), 생활만족도는 김광연(2010)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WINDOWS용 SPSS PC+ 21.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과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그리고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이 연구는 요가를 통해 중년여성의 신체만족도가 운동지속의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요가를 통한 중년여성의 신체만족도, 운동지속의도, 생활만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가를 통한 중년여성의 신체만족도는 운동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요가를 통한 중년여성의 신체만족도는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체형불만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요가를 통한 중년여성의 신체만족도는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요가를 통한 중년여성의 신체만족도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적으로 하위요인에서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동해안굿 무관 연행 양상 : 김동연의 긴 수건 살풀이 무관을 중심으로

        홍효진 한국예술종합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무녀 김동연의 긴 수건 살풀이 무관을 중심으로 동해안굿에서연행되는 무관의 연행양상을 연구한 글이다. 대한민국 동해안 일대의 어촌마을에서 행해지고 있는 무속 의례인 동해안굿은 크게 마을 공동제의로 연행되는 축제적 성격의 ‘별신굿’, ‘풍어제’와 개인적 의뢰로 이루어지는 망자의넋을 극락으로 천도하는 ‘오구굿’, ‘오귀굿’, 기타 재수굿, 광인굿, 망자혼례굿등으로 나눌 수 있다. 현대사회로 접어들면서 굿 현장이 많이 축소되고 있지만 비교적 연행 현장을 잘 지켜온 동해안굿은 지역과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연행되고 있다. 무관은 동해안굿의 굿거리를 연행하는 데 있어 무가, 무악과 함께 필수적인 연행 구성 요소로서 굿의 성격과 장단, 무구 등에 의해 다양하게 구성된다. 동해안별신굿과 오구굿에서 사용되는 무관의 종류와 구성, 연행양상을살펴보고 그 중 예술무로서 예술성과 가치가 매우 높은 긴 수건 살풀이 무관의 기본 동작과 실제 연행되는 춤사위를 무보로 정리하여 연행 구조와 연행원리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Ⅱ장에서는 무가나 무악에 비해 비교적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동해안굿의 무관의 연행양상에 집중한 결과 동해안굿 무관은 크게 별신굿과 오구굿에서 공통으로 연행되는 공통 무관과 별신굿 무관, 오구굿 무관, 기타 무관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는 의례 및 장단에 따른 분류와 복식 및 무구에 따라 세부 항목으로 구분된다. 동해안의 무관은 연행 성격에 따라 의식무와 연희무, 예술무로도 나누어지며, 이 중 예술성이 높아 그 가치가 매우 높은 예술무를 집중 조명하였다. 긴 수건 살풀이 무관을 비롯한 예술무들은 무대 예술작품과 공연 컨텐츠로서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한국 전통 무용계의 관심과 관련 연구 또한 늘어가는 추세이다. Ⅲ장에서는 (사)국가무형문화재 동해안별신굿보존회 무녀 전승교육사 김동연이 전통적인 동해안 무속 살풀이 무관을 바탕으로 민속 살풀이춤의 춤사위를 도입하여 재구성하고 본인만의 다양한 춤사위를 보태어 허튼춤으로 연행하는 의식무이자 예술무인 긴 수건 살풀이 무관의 형성과정과 연행 배경을 무녀 김동연의 생애를 통해 연구하였다. 긴 수건 살풀이 무관의 기본 동작은 발디딤 사위와 손동작 사위로 구분되며, 기본 발디딤 사위인 큰걸음, 중간걸음, 작은걸음, 겹걸음, 옆걸음, 잔걸음, 제자리걸음, 돌머리사위 등과 한팔 들기, 양팔 들기, 양사우치기, 너울 사위, 손씨개 사위 등의 기본 손동작이 있다. 동해안의 무관은 체계적인 발디딤 사위와 깊은 호흡의 무릎 사위들이 중요시되며, 발디딤 사위와 유기적인 손동작이 두드러진다. 긴 수건 살풀이 무관의 반주 음악은 총 3장 구성의 거무장단으로, 1장은 ♩×12박의 중모리, 2장은 𝅘𝅥.×4박의 굿거리, 3장은 𝅘𝅥.×4박의 자진모리의 형태로 일정한 장단 틀 위에 춤의 흐름에 맞는 자유로운 변주들이 사용된다. Ⅳ장에서는 김동연 무녀의 긴 수건 살풀이 무관을 연구자가 사사받은 춤동작을 바탕으로 무보로 정리한 결과, 1장 도입․ 디딤 사위, 2장 수건 사위, 3장 엎드림 사위, 4장 손씨개 사위로 구분하였다. 1장은 ‘디딤 사위’- ‘허튼 사위’- ‘풀기 사위’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2장은 ‘수건 사위’- ‘허튼 사위’- ‘풀기 사위’의 구조가 반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장은 ‘수건 내려놓기’- ‘앉는 사위’- ‘엎드림 사위’로 이어지며, 4장은 ‘내는 사위’- ‘다는 사위’- ‘손씨개 사위’- ‘풀고 맺기’의 연결되는 서사구조로 연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글은 김동연 무녀의 동해안굿의 종합적인 연행을 조망하기 위한 연구의 첫 단계로, 본 연구가 무관 연구의 기준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고, 동해안의 무관이 정립되는 과정에 미약한 도움이나마 되길 희망한다. This thesis is about how Kim Dong-yeon has been performed Gin Sugeon Salpuri Mugwan(Salpuri Mugwan dancing with long handkerchief) in Donghaean Gut, a shaman’s ritual which is performed in fishing villages along the east coast of South Korea. As an essential component with shaman song and shaman music, Mugwan in Donghaean Gut is compos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ut, rhythm, and shamanic tool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ypes, composition, and performance patterns of Mugwan in Donghaean Byeolsingut and Ogugut(shaman ritual for sending the dead into the heaven). And then this paper will analyze the structure and principle of Gin Sugeon Salpuri Mugwan, which has a very high artistic value and is valuable as an artistic dance, illustrating its basic movements and dance notation. In Chapter II, the types of Mugwan in Donghaean Gut might be classified by the type of Gut and its performance characteristics. In detail, Mugwan might be classified according to rites and rhythm, shaman’s costume and tools, and then Mugwan’s name, gutgeori, rhythm, shaman’s tools and forms of Mugwan will be tabulated. The types of Gut might be classified by common performance of Donghaean Byeolsingut and Ogugut, Mugwan of Donghaean Byeolsingut, Mugwan of Ogugut and other Mugwan. And then this paper might try to reclassify Mugwan into ceremonial dance, performance dance, and artistic danc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Mugwan’s performance. Especially, this paper will shed new light on artistic dance including Gin Sugeon Salpuri Mugwan that has a very high potential and is valuable as an independent work. In Chapter Ⅲ, first of all, the folk Salpuri dance will be Introduced and reconstructed based on Kim Dong-yeon(a transmission education teacher at the East Coast Byeolsingut Preservation Society for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salpuri Mugwan. And then this paper might identify how Gin Sugeon Salpuri Mugwan, which is a ceremonial dance and an artistic dance performed as Heoteunchum(an impromptu dance), has been formed. Second, this paper might analyze the basic motions of Mugwan depending on foot and hand motions. In other words, foot and hand motions in Gin Sugeon Salpuri Mugwan and other Mugwan will be described as dance notation, explaining breathing and motion descriptions along with pictures meticulously and systematically. Third, this paper will analyze the music of Gin Sugeon Salpuri Mugwan. Specifically, this paper might analyze beats and the structure of breath of Geomu rhythm, is was composed with various rhythms, from chapters 1 to 3 and might mark basic beat as the score. And then, this paper might reveal the structure that will be able to harmonize dance and rhythm, analyzing foot motions of the shaman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dance under Heoteun rhythm of Sinawi style. In chaper 4, this paper will mark Kim Dong-yeon’s Gin Sugeon Salpuri Mugwan as the dance notation based on a special Gut for specific performance, accumulated data that freely performed various movements and the performance ways of Mugwan that Kim Dong-yeon taught me. In addition, this paper might explain the breathing and movement along with pictures of the divisional movements of Kim Dong-yeon shaman and illustrate foot movements systematically, dividing introduction, handkerchief movement, lying prone movement and hand movement. Based on this, Mugwan’s performance structure and performance principle might be analyzed. In Mugwan, there may be an overall flow, but there will be no specific rules or patterns because it is Heoteun dance and improvisatory dance. However, this research might analyze the motion composition in detail; As a result, a certain pattern could be found in Heoteun dance. Finally, in contrast to the abundance of researches about various shaman’s songs and musics in Donghaeangut, researches of Mugwan is relatively thin. Therefore, this paper will be valuable in illustrating the types and motions of Mugwan. Especially, this paper will be meaningful for marking Gin Sugeon Salpuri Mugwan as dance notation and identifying its dance’s structure and principle. In the future, I hope that this paper might be helpful for informing the artistry of the Donghaeangut Mugwan and might develop it as an independent dance work or stage art content.

      •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이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 목회자 자녀와 일반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홍효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how the perfectionism of the college students who are the pastors’ kids,--who usually are considered as a model for the perfection, receiving excessive expectations by the people of the church,-influence on their coping with stresses, making a comparison with the perfectionism of those college students who are not the pastors’ kids. To investigate this research hypothesis, for a sample, I have selected in total 253 college students (male 138, female 115) around the city of Seoul and Kang-Won province, with 80 pastors kids out of 253. In terms of evaluation standards for their perfectionism disposition, I have used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MPS), and for their force of coping with stresses, “The Ways of Coping Check List.” For the research method, I carried out the surveys in the following; for those who are not the pastors’ kids I invited them to answer a questionnaire, and for those who are the pastors’ kids I invited them to fill out the survey, given through internet web page as well as a questionnaire. First research topic was about how higher the perfectionism disposition of the pastors kids in comparison to that of the non-pastors’ kids. Based on its statistical figures, there has not been shown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erning the stresses coping, there has not been shown any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ither. In terms of the subordinate factors of the perfectionism disposition such as Self-Oriented Perfectionism, Other-Oriented Perfectionism,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nd also for the subordinate factors of the stress coping, such as Problem-Focused Coping, Seeking Social Support, Emotional-Focused Coping, Wishful Thinking Cop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either. Second research topic was about how their disposition of perfectionism influence on their coping with stresses. For the pastors’ kids, in terms of statistic, the result was about 3.6%. In terms of the subordinate factors, Self-Oriented Perfectionism was shown as an influence on Problem-Focused Coping about 8.2%. For the other subordinate factors, such as Seeking Social Support, Emotional-Focused Coping, Wishful Thinking Coping, there has not shown any significant variable. For the non-pastors’ kids, their disposition of perfectionism was shown as an influence on their coping with stresses about 5.7%. Self-Oriented Perfectionism was shown as a significant factor. For example, their Self-Oriented Perfectionism influenced their Problem-Focused Coping about 13.9%. On the other hand, thei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Emotional-focused Coping was about 7.7% and on Wishful Thinking Coping about 3.1%, but Seeking Social Support was not shown as any significant variable. Based on the statistics shown above, comparing the pastors’ kids’ disposition of perfectionism and their stress coping with that of the non pastors’ kid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results of the precedent research showing that the Christian group is going through lower stress than the non-Christian group in general, and the Christian group is usually more capable in coping with the stress than the non-Christian group, we can then make a conclusion that the pastors’ kids shows the characteristic as a Christian group shows the characteristic, in comparison to the non-Christian group and if the pastors’ kids’ disposition of perfectionism shows some difference, then, the difference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pastors’ kids belong to the Christian group. 본 논문은 목회자 자녀와 일반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의 영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전국의 대학생인 목회자 자녀 80명과 서울, 강원지역의 대학생 173을 선정하였다. 남자 138명, 여자 115명으로 총 25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완벽주의 성향을 알아보는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ultiden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MPS)와 스트레스 대처를 알아보는 대처방식 척도(The Ways of Coping Check list)를 사용하였다. 조사 방법으로는 일반대학생의 경우 설문지를 통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목회자 자녀의 경우 인터넷 웹페이지를 통한 설문과 자기보고식 설문의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 졌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목회자 자녀가 일반대학생보다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에서는 두 집단 간 완벽주의 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도 목회자 자녀와 대학생 두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에 따른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요인(자기지향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과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요인(문제 중심적 대처, 사회적 지지 추구, 정서 완화적 대처, 소망적 대처)의 두 집단 간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요인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목회자 자녀와 일반 대학생들의 완벽주의 성향이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 본 결과, 목회자 자녀의 완벽주의 성향이 스트레스 대처의 설명력은 3.6% 였다.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요인별로 완벽주의 성향이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요인 중 문제 중심적 대처에 8.2%의 설명력으로 의미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추구와 정서 완화적 대처, 소망적 사고 대처에서는 의미 있는 변수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이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의 설명력은 5.7%정도였으며,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요인별로 완벽주의 성향이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문제 중심적 대처에 13.9%,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정서 완화적 대처에 7.7%, 소망적 사고 대처에는 3.1%의 설명력으로 의미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추구에서는 의미 있는 변수가 나타나지 않았다. 목회자 자녀의 완벽주의와 스트레스는 대학생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는 결과로 볼 때, 기독교 집단이 비기독교집단보다 스트레스를 겪는 수준이 낮고 스트레스 대처 점수가 높다는 연구(신동조, 1993; 유영국, 2001; 노세궁, 1996)들에서 알 수 있듯이, 종교인 자체가 스트레스 수준이 낮고, 스트레스 대처 능력이 유능했다는 선행연구는 종교인인 동시에 목회자 자녀라는 목회자 자녀의 특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목회자 자녀의 주관적 완벽주의가 있다 해도 종교인이라는 특성이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 낙관주의, 비관주의, 방어적 비관주의와 지각된 직무수행 간의 관계 : 회피-접근 문제해결양식 및 문제해결자신감의 매개 효과

        홍효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 구성원의 낙관주의, 비관주의, 방어적 비관주의가 과업수행 및 맥락수행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그 관계에서 작용하는 기제로서 문제해결양식과 문제해결자신감의 매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정부기관 및 사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98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낙관주의는 과업수행 및 맥락수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관계가, 비관주의는 과업수행과 유의한 부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어적 비관주의는 과업수행 및 맥락수행과 모두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피-접근 문제해결양식과 문제해결자신감은 낙관주의가 과업수행 및 맥락수행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매개하였다. 즉, 낙관주의 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접근 방식의 문제해결양식을 사용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자기 확신의 수준이 높았으며, 이는 높은 수준의 과업수행과 맥락수행으로 연결되었다. 반면 비관주의 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회피 문제해결양식을 사용하고 문제해결에 대한 신념이 낮았으며, 이는 낮은 수준의 과업수행 및 맥락수행으로 이어졌다. 방어적 비관주의와 과업수행 및 맥락수행 간의 관계에서는 문제해결양식과 문제해결자신감의 매개 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방어적 비관주의의 하위 요소인 부정적 기대 요소와 숙고 요소를 분리했을 때에는, 각 요소와 수행 간의 관계에서 문제해결양식과 문제해결자신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