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 자연철학적 세계관의 관점으로 본 해체주의 이후 현대 건축 신경향에 관한 연구

        洪智恩 이화여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현대의 새로운 자연철학적 세계관의 관점에서 해체주의 이후의 새로운 건축 경향을 보이고 있는 건축가 그룹의 작품들을 분석함으로써 이들 건축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건축이 역사적으로 당대의 자연과학적 연구로부터 비롯된 세계관과 긴밀한 관계를 맺어왔음을 문헌고찰을 통해 간략히 살펴봄으로서 자연과학으로부터 확립된 현대의 자연철학적 세계관의 시각으로 현대 건축 경향을 분석하는 근거를 마련한다. 본격적인 논의의 출발점은 근대에서부터 탈근대의 과정을 거쳐 현대에 이르는 자연철학적 세계관의 변화에 대한 개관이다. 환원주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분석과 종합을 통해 모든 사물이나 현상을 결정되어 있는 존재로 간주하여 미래를 예측하고자 하는 기계론적 근대 과학 및 철학은 모든 존재를 힘과 다양성을 지닌 변화의 유기체로 인식하고자 하였던 라이프니츠와 화이트헤드의 유기체론적 세계관에 의해 극복된다. 이들의 탈근대적 시각은 현대 과학의 연구에 영향을 끼치며 새로운 자연철학적 세계관을 형성한다. 부분이 전체를 반복하는 구조가 자연의 중요한 패턴중의 하나임을 밝혀낸 현대 과학의 프랙탈 이론은 결국 복잡한 혼돈의 이 세계를 절대개념으로 환원시키지 말고 있는 그대로 인식할 것을 강조한다. 또한 형태의 변이를 연구하는 담론인 급변론은 더 이상 수치화를 통해 분석해 낼 수 없는 복잡한 현상이나 사물들을 불연속점의 분포상태를 밝혀내는 질적 탐구 방식으로서, 이는 자연이 점진적으로 진화해가는 것이 아니라 갑작스러운 급변을 통해 창발적으로 도약하는 불연속성을 지니고 있음을 설명해준다. 이러한 개념에 더불어 카오스 이론은 매우 무작위적이고 무질서해보이는 자연과 이 세계가 실제로 내재적 질서를 지녔으며 초기 조건에 매우 민감하여 작은 차이가 커다란 결과의 차이를 야기시키기 때문에 기계론적 세계관과는 달리 예측 불가능한 특징을 갖는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자연철학적 세계관의 변화에 대한 위와 같은 논의를 토대로 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대 자연철학의 특성을 유기성, 복잡성, 불연속성, 혼돈적 질서의 네 가지로 도출한다. 이와 함께 찰스 젱크스식의 시각을 받아들여 직관주의적 건축 전통이 항상 현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건축 타분야에 관심을 기울여왔음에 주목하였고 위에서 언급한 네 가지 현대 자연철학적 세계관의 특성을 분석틀로 삼아 이러한 경향으로 분류할 수 있는 건축가 그룹의 작품들의 건축화 방식을 고찰한다. 그 결과 건축에서는 자연을 외연적으로 은유하거나 건축물 자체를 랜드스케이프(대지표면)로서 형성하는 방식, 또한 건축을 하나의 유기체로 인식하고 주변환경과 긴밀한 상호작용, 상호반응의 관계를 갖도록 만들거나 연속적으로 일체화된 유연한 유기체 형태를 갖는 건축물을 만드는 경향 속에서 유기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복잡성은 도시의 다양한 상황이나 주변환경이 지닌 맥락을 그대로 인식하고 분석하여 수용하거나 관습적인 환원주의적 범주 구분을 탈피하려는 시도를 통해 건축화되며 그 외에도 프랙탈 이론의 수학적 개념을 직설적으로 받아들여 자연의 질서를 나타내려는 경향도 이와 연관지어 볼 수 있다. 자연철학적 세계관의 세 번째 특성으로 언급한 불연속성은 건축에서 주로 주름이나 미로, 접기, 갈라짐의 장치를 통해 표현되는 형태적 불연속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기법은 더 나아가 공간의 분절과 재결합을 통해 예측불가능한 상황을 유도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새로운 질서와 안정성이 창발하도록 만든다. 이와 같이 급변적 불연속성에 의해 조성되는 새로운 질서가 곧 혼돈적 질서이다. 복잡한 도시 상황이나 주변 환경은 건축의 질서를 한정시키면서 질서의 범위를 부여하는 초기 조건이자 어트랙터(attractor)가 되어 복잡성을 수용하면서도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낸다. 건물이 여러 개의 볼륨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들 개별 요소를 초기조건으로 보고 이들간의 연결고리를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응집적인 전체가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건축화되며 그 외에도 자연과학의 카오스 이론을 보다 직설적으로 차용하여 중심축이 이동하는 카오스적 나선형 궤도를 형성하는 건물을 만들기도 하는데 이를 통해 여러 요소들간의 긴밀한 얽힘을 이루어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자연철학적 세계관의 관점으로 해체주의 이후 새로운 경향의 건축작품들의 건축화 방식을 종합함으로써 이들의 성격을 몇 가지로 읽어낼 수 있다. 우선 이러한 새로운 현대 건축에 있어서 형태를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인은 건축 자체의 내부논리와 그 건축이 위치하게 되는 환경이다. 즉 도시의 혼란스러운 흐름, 사람들의 행태, 주변에 놓인 다른 건축물들과 같은 인공적인 환경에서부터 부지의 모양, 자연 지형에 이르기까지 복잡한 상태 그대로를 인식하는 작업에서부터 건축이 시작된다. 그리고 나서는 개별적이고 이질적인 요소들을 내적 논리, 질서를 갖는 긴밀한 얽힘의 관계로 응집시킴으로써 커다란 하나의 전체를 만들어 낸다. 이는 건축의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일된 전체를 이루고자 했던 바로크식 유기성의 부활이라고 할 수 있는 동시에 완벽한 비례와 조화, 균형을 자연의 법칙이라고 보았던 당대의 자연관과의 차이로 인해 유기성을 건축화하는 방식에서는 거의 대조적이라고 할만큼의 상이함을 드러낸다. 오히려 건축 내적 요소들을 구성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자유로운 파사드 구성, 내부 배치의 자유성 등을 추구함으로써 각 부분들이 지니고 있는 고유성을 손상치 않고 자유롭게 재결합하고자 하였던 근대 건축과 공통점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해체주의 이후 새로운 현대 건축경향이 새로운 '합리성'의 가치를 부여받는다는 점을 제시한다. 합리주의적 사고를 중시하는 서구 문화의 특징은 근대 이후의 건축을 논함에 있어도 합리주의적 사고, 합리성에 대한 판단을 기준으로 만든다. 합리주의란 이성에 입각하여 진실을 알아내고 입증하는 원칙을 말하며 이성적 사고 및 합리주의를 굳건히 지지하고 있는 것이 바로 과학이다. 프랙탈, 카오스, 급변론 등 현대과학의 이론들은 무질서로부터 질서가 탄생함을 알려주고 있어서 이에 따르면 과거에 비합리적이라고 여겨져 도외시되었던 비 유클리드 기하학의 형태가 이제는 합리성을 지닌 것이 된다. 결국 해체주의 계통의 부서지고 뒤틀리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 나타난 본 논문에서 다룬 새로운 건축 경향도 이성적이라고 말할 수 있게 되었으며 과학적 세계관에 입각한 합리주의적 건축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characters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after Deconstructivist in terms of the Nature-Philosophical world view. First of all this study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the contemporary Nature-Philosophical world view throughout an architectural history to make a basis for this study. The study process begin with summarizing the change in the Nature-Philosophical world views from the modern to the present time. The modern world view considered objects and phenomenons on the basis of the reductionism and mechanical determinism. Then it had been overturned through "organic philosophy" introduced by Leibniz (1646-1716) and A.N.Whitehead(1861-1947). They thought that all the existences are organism which have energies and varieties. This thought affected the contemporary scientific studies and formed the new world view. Fractal theory have finded out that the structure which the part repeats the whole is an important pattern of nature, and accentuated to cognize our world as it is. And the Catastrophe theory, a qualitative study to definite complex phenomenons and things, notify that the nature has discontinuity jumping through emergent catastrophe. "Chaosmos(chaos+cosmos)" explains that nature are chaotic but has the inner order. This means the world cannot be forecasted. From above four characters of contemporary Nature-Philosophical world view can be gained: organic, complex, discontinuous and chaotic. The intuitive tradition of architecture(as Charles Jencks classified in 「Architecture 2000 and beyond」) research the other field to overcome limits and to solve problems. Therefore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results are obtained by this tradition. This study analyze several architectural projects of this trend in terms of the contemporary nature-philosophical world view. First, architecture concretized "organic" property by representing natural figures, forming landscapes, making interactive relations with its environment and forming smooth shapes. Second, "complex" property manifested by cognizing its surroundings and reflecting in architecture. Third, "discontinuous" represented by formal discontinuity­labyrinth, folding, bifurcation. These constructions incite unpredictable conditions and emergent new chaotic order, Chaosmos. This study define out characters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trend in the end. The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forms are a logic of architecture itself and its surroundings; the artificial factors such as furious flow of our cities and human behaviors, other structures, etc., and the natural factors as topography, shape of site. And then a distinct heterogeneous elements are made coherent and created a whole. At last, the new contemporary architectural trend after Deconstructivist is endowed with "rational" property.

      •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여대생의 사회불안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홍지은 차의과학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을 겪고 있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사회불안 및 자존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한 대학교에서 대인관계나 발표불안에 어려움이 있는 여학생들을 모집하여 총 10회기의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사회불안의 정도를 측정하고 그 변화를 알아보았다. 양적 분석을 위한 측정도구로는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척도(SADS), 발표불안 척도(SAS), 자존감 척도(SES)를 사용하였고, 총 10회기에 걸친 미술치료 회기에 대한 녹음 및 완성작품을 토대로 행동관찰을 하여 발표태도 와 정서상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양적 자료는 사전-사후점수로 paired z-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여대생의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여대생의 발표불안이 감소하였다. 셋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여대생의 자존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넷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여대생의 발표태도와 정서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여대생의 사회불안 감소와 자존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존의 아동과 청소년을 주 대상으로 하여 사회불안과 미술치료를 다룬 연구들과는 달리,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적 이론에 기반을 둔 사회불안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입증한 것에 그 차별성과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가능한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on social anxiety and self-esteem of female undergraduates with social anxiety. Several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with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r speech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in a metropolitan area. Then, group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with 10 sessions were conducted and pre-post test scores were compar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For the quantitative measures,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SADS), Speech Anxiety Scale(SAS), and Self-Esteem Scale(SES) were utilized, and for the qualitative analyses, participants' behaviors through the whole sessions and their works were observed and analyzed. Paired z-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quantitative data measured in this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the participants'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conducting the therapy program. Second, the participants' speech anxie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finishing the whole sessions. Third, the students'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finishing the program. Fourth, the positive changes of the female undergraduates' speech attitude were shown after their experiences of the program. In sum, group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had effects on reducing the students' social anxiety and enhancing their self-esteem.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earch on social anxiety and art therapy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tudy has its own distinctiveness and implication in terms of proving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based on the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 for undergraduate students with social anxiety.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ossible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 UDL 원리를 적용한 경도 지적장애학생 포함 중학교 통합학급 음악과 교수학습지도안 연구

        홍지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pply the UDL principle to develop music and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in middle school classes including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the school setting through examination of the field suitability of the developed program. UDL(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sed in the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is a universal learning design in which teachers provide students with various possibilities by using various goals, class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in class according to their various characteristics. There are three principles of UDL: the representation principle of providing students with diverse and flexible information, the action and expression principle of helping students to express themselves in a variety of ways, and the engagement principle of allowing students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he classes through various and delicate devices. In this study, these UDL principles were incorporated into a total of eight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s so that students could improve their musical achievements through learning that suits them.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develop a program that helps the overall development of learner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especially of students in integrated middle school classes including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oncept, principle, related terms, and guidelines of UDL were analyzed, and lesson plans were developed by looking at related previous studies, and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two special education experts and one UDL expert, and the field suitability was verified by three field teachers with more than 8 years of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usic and class guidance plans in integrated middle school classes, including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developed for a total of eight sessions using the UDL principle. The activities of the guidance plan were suitable for the musical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students, and the song was selected as overlapping by analyzing general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and middle school special education music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he 1st and 2nd sessions, we developed a teaching plan focusing on singing and instrumental(janggu) activities of Jeju folk songs called "Nuyeong Nayoung”, listening to Canon as a sanctioned song and instrumental(xylophone) activities in the 3rd and 4th sessions, and singing, instrumental(recorder), and creative activities in the 5th and 8th sessions. Second, as a result of requesting the field suitability verification of the guidance developed in this study to three field teachers with experience in integrated classes, it was evaluated as a practical guidance plan, and it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the level of integrated classes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including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re were also disadvantages and supplementary points mentioned in the field suitability verification, and the final guidance was completed after revising the guidance plan based on the opinions of incumbent teachers. Classes using the UDL principle-based instruction plan developed in this study can motivate students to increase participation, increase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ctivities that suit them, and positively affect self-esteem and self-efficacy. Through the class guidance plan applying the UDL principle, it is hoped that classes that non-disabled and disabled students can cultivate positive attitudes and achieve musical achievements in the school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UDL 원리를 적용하여 경도 지적장애학생이 포함된 중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음악과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현장적합도 검증을 통해 학교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에 있다. 개발된 교수학습지도안에 사용된 UDL(Universal Design for Learning)은 보편적 학습설계로, 교사가 학생들의 다양한 특성에 맞게 수업 내에서 다양한 목표, 수업자료, 교수방법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가능성을 제공하는 학습설계이다. UDL 원리에는 세 가지가 있다.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융통성 있는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표상의 원리와, 학생들이 수업 활동을 할 때 다양하고 개성 있게 표현하도록 도와야 한다는 행동과 표현의 원리, 다양하고 섬세한 장치를 통해 학생들이 수업에 더욱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참여의 원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UDL 원리를 총 8차시의 교수학습지도안에 녹여내어 학생들이 각자에게 맞는 학습을 통해 각자의 음악적 성취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습자들, 특히 경도 지적장애학생이 포함된 중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전인적 발달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UDL의 개념, 원리, 관련 용어, 가이드라인 등을 분석하고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지도안을 개발하였고, 이후 특수교육 전문가 2인과 UDL 전문가 1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경력 8년 이상의 통합학급 지도 경험이 있는 현장교사 3인에게 현장적합도를 검증받아 결과 분석 후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UDL 원리를 활용한 경도 지적장애학생 포함 중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음악과 수업지도안을 총 8차시 개발하였다. 지도안의 활동은 경도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음악적 성취에 적합한 것으로 구성하였고, 제재곡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토대로 만들어진 일반 중학교 음악 교과서와 중학교 특수교육 음악 교과서를 분석하여 중복되는 것으로 선정하였다. 1-2차시는 <너영나영>이라는 제주민요를 제재곡으로 가창과 기악(장구)활동을, 3-4차시에서는 <카논>을 제재곡으로 감상과 기악(실로폰)활동을, 5-8차시는 <에델바이스>를 제재곡으로 가창, 기악(리코더), 창작활동을 중심으로 한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도안의 현장적합도 검증을 통합학급 지도 경험이 있는 3인의 현장교사에게 의뢰한 결과, 실제 현장에서 적용할만한 지도안이라는 평가를 받았으며, 경도 지적장애학생이 포함된 중학교 1학년 통합학급의 수준에 적절한 지도안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현장적합도 검증에서 언급된 단점 및 보완점도 있었는데, 현직교사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지도안 수정을 거쳐 최종 지도안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UDL 원리 기반 수업지도안을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하여 참여를 높일 수 있고, 자신에게 맞는 활동을 통해 학업성취 또한 높일 수 있으며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UDL 원리를 적용한 수업지도안을 통해 학교현장에서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이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하며, 음악적 성취를 이루어낼 수 있는 수업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고등학생의 SNS 이용 행태 및 SNS 친구 수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공적 자의식

        홍지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SNS 이용 행태와 SNS 친구 수에 따라 자아존중감, 공적 자의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이며 총 442명(남학생 197명, 여학생 245명)이다. 고등학생의 SNS 이용 행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자주 이용하는 SNS, 이용 빈도, 이용 시간, 업데이트 횟수, 이용 행동, SNS 친구 수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최정아(1996)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공적 자의식은 Feingstein, Scheier와 Buss(1975)가 개발한 자의식 척도(Self-Consciousness Scale)를 김은정(1994)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고등학생의 SNS 이용 행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용 행태 및 측정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SNS 친구 수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공적 자의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 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고등학생들은 인맥 중심의 SNS를 자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등학생들의 SNS 이용 빈도, 이용 시간, 업데이트 횟수, 친구 수는 개인적 편차가 크게 나타났고, 이용행동의 생산적 활동과 소비적 활동은 비교적 적게 하였다. SNS 친구 수가 많은 고등학생은 SNS 친구 수가 적은 고등학생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 친구 수가 많은 고등학생은 SNS 친구 수가 적은 고등학생에 비해 공적 자의식 수준이 더 높았다. 결론적으로 SNS 친구 수에 따라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공적 자의식은 차이가 있다. SNS 친구 수가 많은 고등학생은 SNS 친구 수가 적은 고등학생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더 높으며, 공적 자의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영아의 기질 및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홍지은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아의 언어발달에 대한 영아의 기질 및 어머니 양육행동의 관계와 그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영아의 언어발달은 영아의 개인관련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1. 영아의 성별, 월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영아 어머니의 개인관련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영아의 언어발달은 영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어떠 한 관계가 있는가? 2-1. 영아의 언어발달은 영아의 기질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2. 영아의 언어발달은 어머니 양육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 영아의 언어발달에 대한 영아의 기질 및 어머니 양육행동의 영향력 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A시에 위치한 영아전담기관을 대상으로 15~33개월 79명의 영아와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영아 언어발달 측정도구로는 김영태, 김경희, 윤혜련, 김화수에 의하여 2003년도에 개발된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를 사용하였고, 영아의 기질 측정도구로는 백경숙(1996)이 번안한 Toddler Temperament Scale(TTS)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 도구로 미국 NICHD에서 한국어로 번안한 PSQ(Parental Style Questionnaire, Bornstein, et al., 1996)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t검증, 일원변량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중다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월령은 언어발달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성별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어머니의 개인관련 변인 중 월소득이 300만원 이상인 가정이 300만원 이하인 가정보다, 취업모가 전업모보다 영아의 언어발달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어머니의 연령과 학력은 영아의 언어발달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영아의 기질과 언어발달의 관계에서는 기질의 하위요인 중 활동성이 수용언어, 표현언어, 전체언어 모두에서 부적상관을 나타냈고, 적응성이 수용언어, 전체언어에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기질 측정도구의 점수가 높을 수록 까다로운 기질, 점수가 낮을수록 순한 기질로 분류하는 것을 보았을 때 순한 아이들 즉, 적응을 잘 하며 활동적이지 않은 영아의 언어발달이 더 높다고 볼 수 있겠다. 어머니 양육행동과 영아의 언어발달의 관계에서는 사회적 양육행동, 교수적 양육행동, 긍정한계선 설정 양육행동 모두 영아의 언어발달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어머니가 영아에게 애정, 반응, 상호적인 행동을 보이고 탐색하고 모방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며, 권위에 대한 존중과 규칙 준수를 중요하게 알려주는 양육행동을 보일 때 영아의 언어발달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에 따라 영아의 언어발달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본 결과 독립변인을 기질 한 가지로 보았을 때 활동성이 부적영향을 미치지만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을 같이 보았을 때 활동성의 영향력이 사라지고 양육행동 중 어머니의 애정, 반응, 상호적 관계의 정도를 나타내는 사회적 양육행동이 정적영향을 나타냈다. 또한, 영아의 기질만을 본 1단계에서 보다 어머니 양육행동을 첨가한 2단계에서 더 큰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것은 기질보다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의 언어발달에 더 큰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영아의 월령, 가정의 월소득,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은 영아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주며 영아의 기질보다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의 언어발달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 할 수 있다.

      • 제7차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학교 프랑스어 교과서 비교 분석

        홍지은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French textbooks currently being used in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in South Korea. Unlike English which is a required subject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ench is taught selectively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and most students first meet French only in school. When we think of the acquisition of second language, the starting is the most important. So, French text books used in school have to be well made because they are to be the first experience for the students who will learn French as a second language. In class, text book affects students most directly. Thus, analyzing textbooks is needed not only as a scholarly study but also as a very practical way for choice and improvement. Moreover, French has been taught in junior high school as well as in senior high school since the 7th revised curriculum applied. And in order to induce students to choose French continuously from junior to senior high school,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must have to be connected on their contents. The curriculum is set up considering the 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al stages of students and mutual connection between middle school level and high school level. So we have to examine thoroughly if the text books have appropriate contents and connectivity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In this study, I chose a middle school French text book and two high school French text books as analyzing objects. For convenience, let's call the middle school French text book 「book A」, and two high school French text books 「book B」 and 「book C」 each. This comparative analysis is based on the 7th revised curriculum in 2007 for the junior high school level and the 7th revised curriculum in 2009 for the senior high school level. In the first chapter, the formative system of selected three textbooks was analyzed and compared. In the second and third chapters, content system of them was analyzed and compared. In the second chapter, 4 functions of language are studied, and the third chapter consists of the analysis of the language materials: vocabularies, grammar elements, and communicational basic expressions. The results of these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three textbooks are faithfully reflecting the curriculum structurally. They have the separated fields of 4 language skill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nd the unit construction is a consistent pattern and is well-organized, so it is considered that students can foresee what they will learn next. Second, the number of language skill activities in 「book B」 and 「book C」, high school level, was more than in 「book A」, middle school level. Among the two high school text books, 「book C」 has much more activities than 「book B」. For each fields of language skills, 'listening' part is of great importance in the three. And 'speaking' activities tend to be done syntagmatically with 'listening' skills. And the high school text books put emphasis on phonetic factors like pronunciation, intonation, and liaison. For 'reading' part, all text books put little importance on this. For 'writing' part, activities are related to the exam types, not to various life writing types which are proposed in the curriculum. Third, for analyzing vocabulary, I used the glossarial index of each book. All the three books look well keeping the total number standard of basic words that the curriculum suggests, but there are many words which index doesn't have, although the words are in the body of the textbooks. This means it is possible for the books to use much more words than the curriculum suggests, and it might become a burden to students. And the fact that all the words used in the textbook are not included in the index also makes students feel uncomfortable. Moreover, the standard of arrangement of the index seems to be needed to be a good-looking textbook. Meanwhile, the level of connectivity between 「book C」 and 「book A」 seems to be higher than that between 「book B」 and 「book A」. Fourth, when it comes to grammar elements, 「book A」 contains 20 elements, and 「book B」 has 30 elements, which is 10 more than middle school level. And 「book C」 has 42 grammar elements, which is 22 more than 「book A」. Last, for communication materials, 「book A」 contains 10 of 14 elements of communication materials proposed in the middle school's curriculum. Meanwhile, high school's curriculum recommends textbooks to include 80 materials of 28 upper categories of communication. And 「book B」 contains 67 materials of 26 upper categories, and 「book C」 contains all the materials of all the categories, without omission. With these results above, I have some proposals. First, all the three text books contain 4 sections of language function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but there is a hug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ctivities of each function. The number of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is much more than those of reading and writing, 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tudents neglect studying reading and writing. So it is thought that the textbooks should keep a balance in the number of each section's activities. Second, for good communication which responds actively to glob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it is needed to use a greater variety of subject-matters in exercises and instances, as the curriculum recommends many activities like memos, postcards, letters, e-mail, invitations, time tables, written advertisements, signs, sheet stories, poems, and chanson lyrics. But the subject matters of the three textbooks are limited to a few. Third, I suggest for the glosserial index to include basically the information: headword, word class, the first meaning, and the page that the word first appears. Also it must have some word arrangement-standards so that students can easily look up the words that they want to know. I think classifying the words according to subjects would be a good way. Fourth, the high school textbooks should be made regarding both beginners and learners who already met french in middle school. Because french can be taught now in junior high schools as well as in senior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 7th revised curriculum. Thus, high school textbooks should include general contents of middle school textbooks so that the beginners can learn the basics, and so that the others can review what they learned in middle school. Fifth, at the same time as above, the high school text books should contain more grammar elements and materials, and also communication skill-expressions which are more intensified than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It will be good for satisfying the 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al stages of students, and it will work as an achievement motivator for the students. In conclusion, the junior high school french textbook seems to be reconstructed based on some easy level contents of high school textbooks, and this made me feel something wanting. In order to invigorate french education; from junior high school to senior high school, and also after that; junior and senior highschool level textbooks have to be analyzed mutually before they are mad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more systematic structures of language materials and functions as well as contents connection between the two levels.

      • 증거물 보관의 연속성 확인 절차로서 증거배제신청(Motion in Limine) - DNA 증거를 중심으로

        홍지은 경찰대학 치안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DNA 증거는 흔히 ‘99.99%’라는 수사(修辭) 그대로 고도의 신빙성을 갖춘 증거로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DNA 증거 역시 그 수집‧인계 및 분석 등 각 이전 과정에서 인위적인 조작을 필요로 하므로 필연적으로 감정결과의 오류 또는 한계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이처럼 DNA 증거와 같은 물적 증거의 이전 과정에서 존재하는 오류 또는 한계가 당해 증거의 진정성 내지 동일성 유지에 영향을 끼칠 때, 문제되는 것이 바로 ‘증거물 보관의 연속성(Chain of Custody)’ 확보 여부이다. 증거물 보관의 연속성 개념은 형사소송법상 전형(典型)된 증거능력 판단 기준은 아니나, DNA 증거와 함께 대표적인 법과학 증거 중 하나인 디지털 증거의 경우 증거물 보관의 연속성 확보를 증거능력 인정 요건으로 보는 것이 대법원의 입장이다. 이른바 ‘일심회 사건’(대법원 2007.12.13 선고 2007도7257 판결)에서 대법원은 디지털 증거 자체의 “동일성 및 무결성”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증거능력을 부인하였다. 이 판결은 이후 유사 사건에서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 판단 기준으로 확고히 자리 잡게 되었고, 수사기관의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 실무상 해시값(Hash Value) 일치 여부 확인 절차를 자리잡게 하였으며, 2020. 제정된 「검사와 사법경찰관의 상호협력과 일반적 수사준칙에 관한 규정」 제42조에서는 디지털 증거의 동일성과 무결성 보장 의무를 정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달리 대법원은 DNA 증거의 증거능력 판단 시, 과학 기술의 허용성 여부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검토되는 ‘도버트 심사(Daubert Test)’나 전문법칙 예외 인정 요건 정도만을 언급했을 뿐, DNA라는 물적 증거 자체의 진정성에 관하여는 현재까지는 증명력의 문제로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증거물 보관의 연속성 확보에 실패함으로써 그 진정성이 의심되는 증거라면 디지털 증거와 마찬가지로 그 증거능력을 부인해야 할 것이며, 디지털 증거와 DNA 증거 간 증거의 진정성 입증 문제를 다르게 취급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 특히 국민참여재판의 주된 대상이 되는 성범죄나 살인 사건 등에 있어서 DNA 증거가 배심원단에게 피고인의 유무죄 여부를 가르는 결정적인 증거로 취급되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증거물 보관의 연속성이 확보되지 않아 그 진정성이 의심되는 DNA 증거를 공판정에 무차별적으로 현출시키는 현재의 재판 실무에 대한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형사 재판에서 DNA 증거에 기초한 사실인정을 구체적 사례를 통해 살펴보면서 증거물 보관의 연속성 확인이 사실인정 과정에서 갖는 중요성을 검토하여 증거물 보관의 연속성 확인이 우리 증거법 체계상 어떻게 위치되어야 하는지를 논증하고, 구체적인 법제도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증거물 보관의 연속성은 물적 증거의 진정성에 관한 문제로서, 미국에서는 「연방증거규칙(Federal Evidence Rules)」에 따라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이나 ‘전문법칙’의 적용 전 선결문제로서 다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증거물 보관의 연속성 확보 여부는 증명력이 아닌 증거능력의 문제로 다뤄져야 함을 논증한 선행 연구도 다수 존재한다. 다만, 공판절차에서 그 구체적인 적용에 관하여는 형사소송법상 새로운 증거능력 판단 기준으로 세울 것인지, 기존의 전문법칙 예외 규정에 포섭시켜 판단할지 등 다양한 방법론적 검토가 있다. 본 연구는 모든 유형의 증거에 대하여 그 진정성 입증을 요하는 내용의 증거법 조문이 형사소송법에 신설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지지하면서, 이를 위하여 미국의 민·형사소송에서 소송전(pre-trial) 절차로서 적극 활용되는 ‘증거배제신청(Motion in Limine)’을 검토한다. 우리나라의 공판 절차는 증거능력에 관한 심리가 본안 심리와 병행하여 이루어지면서, 진정성이 의심되는 증거의 현출을 막기 어렵다. 이와 달리 미국의 형사소송 실무에서 활용되는 증거배제신청은 공판 전 또는 공판기일과 별개로 증거의 진정성에 관한 심리를 가능하게 하여, 법원의 증거채부결정이 신중하고 면밀한 검토 하에 이뤄질 수 있도록 기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형사재판 실무에 있어 물적 증거의 진정성 확인을 위한 증거배제신청의 적용 가능성 및 그 필요성을 검토함으로서, 증거물 보관의 연속성 확보가 증거법상 어떻게 위치지어야 하는지, 그에 관한 법원의 증거채부심리 절차가 어떠한 방식으로 이뤄져야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DNA evidence is commonly accepted as evidence with high credibility as it is the rhetoric of “99.99%”. However, since DNA evidence also requires artificial manipulation in each transfer process, such as its collection, handover, and analysis, there is inevitably an error or limitation of the analysis result. When errors or limitations that exist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physical evidence such as DNA evidence affect authentication or identifying an item of evidence,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Chain of Custody’ is secured. The concept of chain of custody is not a criterion for judging the typical admissibility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but in the case of digital evidence,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orensic science evidence along with DNA evidence, the Supreme Court judges securing chain of custody as one of the requirement for admissibility. In the so-called ‘Ilsimhoe case’(Supreme Court Decision 2007Do7257 Decided December 13, 2007) - National Security Act Violation case, the Supreme Court denied admissibility if the “identity and integrity” of the digital evidence itself was not secured. This ruling has since been firmly established as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admissibility of digital evidence in similar cases, and has established a procedure for confirming whether the hash value is consistent in the practice of digital evidence seizure and search by investigative agencies. In addition, in Article 42 of the Regulations on General Investigation Rules and Mutual Cooperation between Prosecutors and Judicial Police Officers enacted in 2020, the obligation to ensure the identity and integrity of digital evidence came to a decision. In contrast, when determining the admissibility of DNA evidence, the Supreme Court only mentions the Daubert Test which are generally reviewed on the admissibility of science technology, and the requirement of the exceptions to the rule against hearsay. As for the authentication of the physical evidence itself as DNA, it seems that it is approaching as a matter of Probative Value until now. However, if the authenticity of DNA evidence is questioned by failing to secure the chain of custody, the admissibility of the evidence should be denied as with digital evidence, and there seems to be no reason to treat the authentication differently between digital evidence and DNA evidence. In particular, given the reality that DNA evidence is treated as conclusive evidence to determine whether the accused is guilty or not guilty to the jury in sex crimes or murder cases, which are the main targets of the participatory trial,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current trial practice because DNA evidence that is suspected of its authenticity due to the lack of chain of custody are being presented to the court indiscriminatel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fact-finding based on DNA evidence in criminal trials through specific cases and the importance of checking the chain of custody in the fact-finding process. I would like to demonstrate how the chain of custody check should be placed in our evidence law system, and propose a concrete legal system improvement plan. The chain of custody is a matter of the authentication of physical evidence, and in the United States, according to the Federal Evidence Rules, it is treated as a prerequisite before the application of Exclusionary Rule of the Illegally Obtained Evidence or the Rule Against Hearsay. Accordingly, there are many previous studies in Korea that have demonstrated that whether to secure the chain of custody should be dealt with in terms of admissibility rather than probative value. However, with regard to the specific application of the trial proceedings, there are various methodological reviews, such as whether to establish a new standard for admissibility under the Criminal Procedure Act, or whether to be included in the existing exceptions to the rule against hearsay. This study supports the assertion that provisions requiring authentication for all types of evidence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and for this purpose, reviews ‘Motion in Limine’ that is actively used as a pre-trial procedure in the US civil and criminal proceedings. In the trial proceedings in Korea,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presentation of evidence that is suspected of authenticity, as the hearing on the admissibility is conducted in parallel with the merit hearing. In contrast, a Motion in Limine used in the practice of criminal proceedings in the United States enables a hearing on the authentication of the evidence before or independently of the trial date, so that the court's ruling on evidence can be made under careful review. Therefore, by examining the applicability and necessity of a Motion in Limine to confirm the authenticity of physical evidence in the criminal trials, this study aims to look at how securing the chain of custody should be located in the evidence law, and how the court's ruling on evidence procedure regarding it should be carried out.

      •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지식, 태도 및 간호수행능력

        홍지은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assess the knowledge and the attitudes, and the nursing practice on physical restraints among the critical care unit nurses. Furthermore, with these assessed data,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nursing practice were determined and correlation between factors were examine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he nurses in four different university hospitals in critical care unit with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surgical, intra-cardiology, cardiovascular, neurology, emergency, and trauma. The total of 143 results was collected through the self-reported survey from October 30th to November 15th, 2017. These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23.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articipants’ knowledge score results of the physical restraints were 13.14 (±2.63) out of 22 points, which means 59.7% of them answered correctly on this knowledge test. In addition, it is noticeable that the final academic degree among them (p = 0.034)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general. 2. The mean score of the attitudes was 3.46 (±0.32) out of 5 points. The general attitudes of the subjects tended to negative and avoiding to apply restraints.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p = 0.000), the marital status (p = 0.005), the final academic degree (p = 0.016), their job title (p = 0.000), and the total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p = 0.001). 3. The mean score of nursing performance on physical restraints was 2.59 (±0.25) out of 3 poi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by their age (p = 0.013). 4. Higher knowledge of physical restraints was caused negative attitudes (r = 0.328, p = 0.000). Also, more negative attitudes toward higher rates of nursing practice(r = 0.202, p = 0.016). 5. The main factors altering nursing practice of the physical restraint are their age, and their years of experience of the critical care unit work. Higher nursing practice was showed when they have older age (β = 0.389, p = 0.012) and more years of experience of the critical care unit work (β = -0.292, p = 0.037). The study finding confirmed that when nurses have higher knowledge of physical restraints, it had negative correlation to attitudes. Also, more negative attitudes toward physical restraint they have, higher nursing practice they do. In conclusion, appropriate policy and systematic education include proper attitudes are needed for developing knowledge and nursing practice.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억제대 사용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수행능력을 조사하여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4개소 대학 부속 병원의 내과계, 외과계, 내-외과 혼합, 심장내과, 심혈관외과, 신경(외)과, 응급, 외상 중환자실에 재직 중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7년 10월 30일에서 2017년 11월 15일까지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총 143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지식 점수는 22점 만점 중 평균 13.14 (±2.63)점으로 59.7%의 정답률을 나타났고, 일반적 특성 중 최종학력(p=0.034)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대상자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태도 점수는 전체 평균은 5점 만점 중 3.46 (±0.32)점으로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해 부정적이고 기피하는 태도로 나타났고, 일반적 특성 중 연령(p=0.000), 결혼상태(p=0.005), 최종학력(p=0.016), 직위(p=0.000), 총 임상경력(p=0.001)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간호수행능력은 3점 만점 중 2.59(±0.25)점으로 이었고, 일반적 특성 중 대상자의 연령(p=.013)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태도는 부정적이며(r=.328, p=.000),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일수록 간호수행능력이 높은 것으로(r=.202, p= .016) 나타났다. 5.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간호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상자의 특성 중 연령과 중환자실 근무경력이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연령이 많고(β=0.389, p=0.012), 중환자실 근무경력이 많을수록(β=-0.292, p=0.037) 간호수행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지식이 높을수록 신체적 억제대 사용 태도는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간호수행능력이 높게 나타났기에 향후 중환자실 간호사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지식향상과 적절한 간호수행을 위해 교육 시 태도 중재를 포함한 체계적인 교육이 제공되어야 하며 신체적 억제대 사용 및 관리와 관련된 명확한 지침과 규정이 필요하다.

      • 유아의 기질과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의 역할

        홍지은 수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사회인구학적 변인을 에 따라서 유아의 사회성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고,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기질과 사회성 발달간에 매개적 역할에서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부모교육에 있어 질적인 관리를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소재 국공립 유치원과 사립유치원 및 어린이 집에 다니고 있는 만3,4,5세와 어머니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 되어진 검사 도구는 곽노의등(1996)이 개발한 유아발달 수준검사과 김귀순과 이지은(2001)의 검사 도구를 참고하여 이은정(2004)이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개발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기질에 관련해서 학령기 전 유아의 기질을 측정하는 질문지인 PTQ(Parent Temperament Quextionnaire)와 유아의 기질을 측정하는 어머니 질문지 RITQ(Revised Infant Temperament Questionnaire) 및 어머니와의 면접에서 수집된 것으로 만3세에서 만5세까지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천희영(1993)이 한국 유아의 기질 유형화를 위해 사용하도록 개발된 기질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는 Abidin(1990)의 Parenting Stress Index(PSI)를 수정한 신숙재(1997)의 양육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개발되어진 도구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최형성, 정옥분(2001)이 개발한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질문지를 통해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기초통계를 실시하였고,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 발달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아의 기질, 유아의 사회성 발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인구학적변인(유아의 성별, 유아의 연령, 형제·자매의 유무, 어머니의 연령, 어머니의 학력 및 취업유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및 사회성 발달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유아의 기질과 양육효능감과의 관계에서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사회성 발달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매개적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사회성 발달 간의 관계에서 매개 변수인 양육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및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를 알아봄으로써 특히나 기질은 그 자체로도 직접적으로 유아의 사회성과 관련이 있으나 양육효능감을 통한 매개적 효과를 확인하였다는데 연구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infant temperament and her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is required in order to find out what influence in social development of infants is like. First, find out if the sociality of infants saw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temperament and upbringing had looked at the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in mediating role between social development, learn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in the last saw. Through these studies in the parent training aims to provide an efficient data of the present study to increase the quality of administr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400 people with only 3, 4 and 5-year-old mother attending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s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Gyeonggi materials and children's homes. Inspection tools been used to measure the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is gwaknoui et al. (1996) developed by early childhood developmental level geomsagwa gimgwisun and Lee, Ji - Eun to see the scan tool (2001) Lee, Eun - Jung (2004) target 20003-5 year olds were used to develop a screening tool. Mothers of infants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to measure the questions acquaintances PTQ (Parent Temperament Quextionnaire) and infant temperament to measure the temperament of the school-age infants questionnaire before RITQ (Revised Infant Temperament Questionnaire) and 3 years old to have been collected from the mothers and interviews only in cheonhuiyoung aimed at infants up to 5 years old (1993) was used as a substrate rating scale was developed to be used for infant temperament typology of Korea. Scale for measuring a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used as a measure of parenting stress Abidin fix the Parenting Stress Index (PSI) (1990) sinsukjae (1997). Mother's parenting efficacy Choi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ools being developed to meet the country situation in order to verify the measurement of formation, jeongokbun (2001) was used, developed, nurtured in the mother-efficacy scale.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a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2.0 statistics program. Analysis in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to look at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n average, was carried out based on statistics such as standard deviation, t- analysis and to examine the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differ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way ANOVA was performed. In addition, infant temperament,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the mother of the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the mother of the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efficacy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child's relationship In order to explore whether mediated jungda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gender of the infant, toddler's age, presence of brothers, sisters, mother's age, mother's education and employment or no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nly the mother's age, for other variable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Second, the child's tempera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social development Looking at each sub-factor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infant temperament and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showed that not a mediating role. Fourth, the parameters of parent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mperament and infant's social development is a part-mediated effect was. This study of infant temperament, especially the substrate by looking out the path to the impact on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mediated the infant's social development through parenting efficacy, but also directly related to the socialization of children themselves I have confirmed the effect of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