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

        홍주민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탄력성,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탄력성이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위치한 두 곳의 초등학교의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450부의 설문지를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탄력성, 학교적응의 세 변인은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탄력성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기효능감, 부정적 감정의 인내, 긍정적 지지관계, 통제력, 자발성 모두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탄력성, 학교적응이 모두 관계가 있는 변인임을 의미하며 아동의 학교적응에 가족건강성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탄력성을 통해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아동의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족건강성과 탄력성 모두를 키울 필요성이 있으며, 가족건강성을 키우기 위한 개입이 어려울 때는 아동의 탄력성을 길러주기 위한 상담심리적 개입을 통해서 아동이 학교에 잘 적응하도록 도울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한국관광의 중장기적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정책 및 전략방향을 중심으로

        홍주민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세계관광기구 (UNWTO)에 따르면, 세계관광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2030년에는 국제관광객이 18억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관광환경이 급속하고 다양하게 변화함에 따라 관광부문의 성장 또한, 그 내용이나 형태가 지난 50년과는 상당히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즉, 신흥시장이 등장하고 시장점유율이 바뀌는 등 시장판도에 변화가 생길 것이며, 소비자들의 여행수요와 패턴, 관광상품의 내용과 품질, 유통구조에도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세계는 극빈층의 증대, 요동치는 세계경제, 기후변화, 식량.수자원.에너지 위기에 직면함에 따라 Green Economy의 중대성이 증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관광부문의 동참과 주도적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관광의 패러다임도 외래관광객 유치증대와 시장 점유율 확대에 집중했던 Classic tourism에서 청결.녹색.윤리.품질.소비자 중심의 Smart tourism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Lipman & Vorster, 2011). 따라서, 한국관광도 이런 세계적 이슈에 관심을 기울여 적극 동참하고 변화해야 하며, 대내적으로는 수용태세를 개선하고 한국관광의 체질을 바꾸어 나아가야 한다. 한국관광은 외래관광객 1천만명 시대를 바로 눈앞에 두고 있으며 K팝 및 한류 열풍으로 좋은 기회를 맞고 있다. 그러나 세계관광시장을 선점하려는 각국의 경쟁이 점점 치열해 지고 있어, 한국관광이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아가기 위해서는 한국관광의 비전과 목표 달성을 위한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인 동참과 노력이 어느 때보다도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한국관광의 정책 및 전략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관광부문 이해관계자들이 관련정보를 공유하고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인식을 같이 하도록 유도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한국의 관광정책은 급변하는 세계 관광환경에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가? 21세기 새로운 시대에 대비하여 한국의 관광 정책 및 전략이 추구하여야 할 목표와 방향은 무엇인가? 한국이 국력에 어울리는 경쟁력 있는 관광목적지가 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전략 방향을 추구해야 하는가? 라는 세 가지의 문제를 제기하였으며, 이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세계 관광시장 통계, 관광환경 변화 예측자료, 국내외 관광정책 관련 자료들을 조사.분석하여 한국관광의 문제점을 정책방향, 마케팅 전략방향, 수용태세 개선 및 확충 등 3개 부문에 걸쳐 도출했으며, 이를 토대로 한국관광의 중장기적 발전을 위한 제언 15가지를 제시하였는 바,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책방향과 관련해서는 한국관광 장기종합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점, 양적목표 달성을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점, 메가이벤트를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점, 세계적 이슈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대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점, 정책 추진체계를 재정립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마케팅 전략방향 부문에서는, 안정적 유치시장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 세계 최대의 관광시장으로 부상할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해 나아가야 한다는 점, 개별관광객(Foreign Independent Traveler, FIT)에 대한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는 점, '한류'를 관광소재로 최대한 활용해야한다는 점, 온라인과 SNS 활용을 확대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였으며, 수용태세 개선 및 확충과 관련해서는, 지방관광 활성화 및 수용태세 개선, 한국관광 상품의 고품격화, 관광통역안내사의 체계적 관리, 항공수요 증대에 따른 대책 수립, 출입국 절차 간소화 추진을 제언하였다. 우리는 세계 10위권에 육박하는 경제력을 바탕으로 한국제품이 해외에서 인기를 끌고 있고 K팝의 열풍에 힘입어 한류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며, 유구한 역사에 바탕을 둔 문화자원의 경쟁력은 세계 5위로 평가받고 있다 (World Economic Forum, 2011). 게다가, 비록 외래관광객수는 아직 선진국들에는 크게 못 미치지만, 1천만명을 눈앞에 두고 있고 중국과 일본, 러시아라는 거대 송출국을 옆에 두고 있어 한국은 관광선진국으로 발전할 수 있는 충분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한국에 대한 선호도는 40개국 중 9위지만 경험도는 31위에 머무르고 있으므로, 세계인들이 한국의 다양한 모습을 경험할 수 있도록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산업정책연구원의 조사결과에서도 볼 수 있듯이 (머니투데이, 2010.11.24.), 관광부문은 국가발전에 기여할 여지가 상당히 크다고 할 수 있다. 우리는 관광강국과 관광대국을 동시에 지향해야 한다. 이를 위한 키워드는 중국시장과 일본시장, 지방관광 활성화와 고품격화, 국내여행 활성화와 수용태세 개선 개선으로 압축할 수가 있다. 이를 통해 한국관광의 폭과 깊이를 넓힘으로써, 외래 관광객에게는 '다시 찾고 싶은 나라'가 되고 우리 국민들에게는 '다시 찾고 싶은 지역'이 되어야 한다. 아무쪼록, 본 연구가 한국이 세계 관광 강국과 대국으로 진입하기 위한 각종 연구나 계획수립시 기초 자료로 조금이라도 활용되기를 바란다. According to the UNWTO, world tourism will continue to steadily grow, and the volume of international tourism is expected to reach 1.8 billion by 2030. However, the nature of this growth and development will in many ways be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vious five decades, and the rapid and various changes in tourism environments will make the contents and types of tourism grow in different ways. New markets will emerge and current market shares will change. Also, tourist demands and tourism patterns, with the contents and quality of tourist products and their distribution system will change in the futur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increasingly recognized the need to deal coherently with today's global challenges of extreme poverty, massive economic volatility, and climate change while at the same time preparing for tomorrow's anticipated food, water, and energy crises- all of which are compounded by a dramatically increasing world population. Accordingly, the shift toward a "green economy" has significantly accelerated. Our tourism paradigm has transformed from "classic tourism" dominated by consideration of growth and market-share into "smart tourism" that is also inclusive, clean, green, ethical, and customer- and quality-orientated. Korea also needsto pay attention to these kinds of global issues, participate in this trends, and change. Korean tourism needs to improve its domestic preparations to receive and change its constitution. Therefore, Korea should participate in these global issues and change its policies and practices. Internally, Korea should improve preparations to revise and change its tourism structure. Korean inbound tourism is on the verge of reaching the 10 million level and Korea pop culture spreading all over the world will accelerate the surpassing of this longtime goal. The world tourism market is getting more competitive, and proactive policies are needed if Korea is going to advance its position in it. In order for these objectives of Korean tourism to be realized, stakeholders in the tourism industry should work harder together with true vision. This research is aiming to suggest proper directions for tourism policy and strategy, share related information together, and recognize the problems we have and improve them. This research raises three questions as follows: Does Korean tourism policy properly respond to the rapid changes in world tourism environments? What are the directions and objectives that Korea should pursue in preparation for the 21st Century? Which strategic direction should Korea follow in order to be a competitive tourist destination equivalent to its other achievements in "national power"? In order to seek answers for these, I have analyzed world tourism statistics, forecasting data for tourism environmental change, tourism policy related materials, and I deducted fifteen suggestions for sustainable tourism advancement in Korea in the field of coordination of policy directions, systemization of marketing strategy, improvement and enlargement of preparations to receive more visitors. They are as follows: In terms of coordination of policy directions, I suggest Korea should establish long-term comprehensive tourism plans and prioritize achieving the top goal of tourism quantity, utilize mega-events with efficiency, monitor the trends of global tourism issues and prepare counter-plans, and re-establish our tourism policy execution system. In terms of systemization of marketing strategy, I suggest that Korea should try to secure stable tourist markets further strengthen cooperation with China, which will emerge as the biggest tourist generating country in the near future hasten preparation-planning for foreign independent travelers (FIT) utilize the Korean wave (Hallyu) as attractive tourist resources to the maximum extent possible; and expand usage of online and social network services (SNS). In terms of improvement and enlargement of preparations to receive more visitors, I suggest that Korea should activate regional tourism and domestic tourism enhance the quality of Korean tourism products manage tourist interpreters systematically; establish airline operation and route policies and simplify entry and departure formalities. Korea is the 15th largest economy in the world and products made in Korea are popular across the global community. Korean Pop (K-POP) is spreading all over the world and the brand-value of Korean culture was evaluated as within the top five in the world by World Economic Forum (WEF). Although Korean inbound tourism is not as big as that of advanced countries so far, it will attract 10 million tourists within this year. Koreahas great potential as a tourist destination because Korea neighbors with China, Japan and Russia which are all big tourist-generating countries. According to one survey, the international favorable image for Koreawas ranked as 9th among 40 countries, whereas their actual experience of Korea was ranked as 31st. Korea should prepare strategies so that more global tourists can visit and have various positive experiences about Korea. Thus, tourism has much elbowroom to play important roles in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of Korea. Korea should pursue goals of becoming a more-competitive tourism country as well as attracting more tourists. To attain this, Korea should further focus on the Chinese and Japanese tourist markets more than ever, activate regional tourism, upgrade quality of Korean tourism products, and activate domestic tourism and improve infrastructure. With this, Korea should become a competitive tourist destination that foreigners want to visit again as well as make its regions more attractive for multiple visits by domestic tourists. I wish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as a basic resource for further in-depth research on Korea's becoming a more-competitive tourism country along with attracting more tourists. key words : Tourism policy, Inbound tourism, Outbound tourism, Domestic tourism, Tourism competitiveness, Smart Tourism, Climate change, Aging society, City-State, Social Network Service (S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