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xamining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Miller Assessment for Preschoolers (K-MAP)

        홍은경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create a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Miller Assessment for Preschoolers (MAP) for Korean children, which was then test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 : The translation and content validation process involved direct and backward translation; a test of equivalence between the two versions (the original MAP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MAP: the K-MAP); modification of an item (articulation); and the collection of content-related evidence from expert panels and clinician panels. Construct and concurrent validation were gained by conducting the K-MAP and a questionnaire (a Short Sensory Profile: SSP,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Ⅱ: K-DDST-Ⅱ) with a total of 140 normal children from Korea (from 4 years 9 months to 5 years 8 months old). Internal consistency was gained by analyzing the data of 140 K-MAPs. 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gained by analyzing videos of 30 normal children who conducted the K-MAP. The reliability of the test-retest was analyzed with the data of 22 normal children. The raw data and transition scores (red, yellow, gree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with Excel and SPSS (version 20.0). A content validity indices (CVI),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content validity. A factor analysis (direct oblimin) was used for the construct validity. A split-half method was used for the internal consistency. Spearman's rank correlations were used for the concurrent validity, inter-rater reliabil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original MAP and the K-MAP with the expert panels were 3.66 ± 0.40, I-CVI 0.94, and S-CVI 0.83. The results of the understanding test were 3.66 ± 0.27, I-CVI 0.93, and S-CVI 0.58. 2.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K-MAP reflected that the foundations and coordination indices were unidimensional and homogeneous. However, the verbal and complex tasks had a less clear test structure, which was visible among two to three different factors. 3. In results of the concurrent validity, the K-DDST-Ⅱ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the indices in the K-MAP. The SSP was correlated very low with the foundations and total indices in the K-MAP. 4. The total coefficient of internal consistency was 0.60 and the indices coefficients were 0.19-0.44. 5. The coefficients of inter-rater reliability were 0.53-0.99. 6. The coefficients of test-retest reliability were 0.46-0.86. Conclusion : The K-MAP will be considerably used as a screening instrument for children in Korea, because it has a structure of factors that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MAP. Further studies suggest increasing the sample and adjusting some of the language items. 본 연구는 발달지연 아동의 선별에 유용한 Miller Assessment for Preschoolers(MAP)를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위해 번역의 과정과 타당도, 신뢰도를 연구하였다. 타당도 연구를 위해 번역, 역번역, 문항수정을 하였고,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구성타당도 및 동시타당도 검증을 위해 4세 9개월~5세 8개월의 일반아동 140명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MAP, 한국형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Ⅱ(K-DDST-Ⅱ), Short Sensory Profile(SSP)를 실시하였다. 내적일치도 검증을 위해 140명의 한국어판 MAP자료를 분석하였고, 검사자간 신뢰도 검증을 위해 일반아동 30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한국어판 MAP의 동영상을 분석하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을 위해 일반아동 22명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MAP를 실시하였고, 1-2주 후 다시 한국어판 MAP을 동일한 아동에게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엑셀을 통해 CVI, SPSS(버전 20.0)를 통해 스피어만(Spearman)상관관계, 직접 오블리민(direct oblimin), 반분법(split-half method)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원본 MAP과 한국어로 번역한 MAP을 비교한 결과는 평균 3.66±0.40점(리커트 척도 4점), I-CVI 0.94, S-CVI 0.83으로 나타났다. 역번역 및 수정을 거친 MAP을 9명의 임상가 집단을 대상으로 이해도 검증을 한 결과는 평균 3.66±0.27점(리커트 척도 4점), I-CVI 0.93, S-CVI 0.58로 나타났다. 2. 구성타당도에서 한국어판 MAP은 원본 MAP의 foundations, coordination index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원본 MAP의 verbal, complex tasks index는 한국어판 MAP의 2-3개의 요소가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동시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형 DDST-Ⅱ, SSP와 한국어판 MAP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한국형 DDST-Ⅱ는 한국어판 MAP의 모든 요소와 관련성이 있었다. SSP는 한국어판 MAP의 foundations, total index와 매우 낮은 관련성이 있었다. 4. 내적 일치도의 전체 계수는 0.60이었고, 각 요소별 계수는 0.19-0.44이었다. 5. 검사자간 신뢰도의 계수는 0.53-0.99이었다. 6. 검사-재검사 신뢰도의 계수는 0.46-0.86이었다. 한국어판 MAP을 임상에서 적용할 때에는 원본 MAP과는 요인구조에 차이가 있으므로 조심스럽게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충분한 자료 수집을 통해 한국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표준화된 한국어판 MAP을 완성시키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빅테크 금융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수용의도 분석

        홍은경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digital transformation of Finance, Fintech are now beginning to diverge gradually depending on their size and functionality. The most noticeable participant here is Big-tech, which means a large IT technology company with market power in the existing platform business area. Big-tech operators are transforming the financial market through their own technology and network externalities, but research on this is insufficient because it is still a new concept. This study aims to process overall empirical research about Big-tech financial services. This study selected financial competence and technology readiness as precedent factors influencing complex financial decis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Big tech financial service.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in acceptance by financial consumer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acceptance intention of Big-tech financial services, and verifies it structurally through the UTAUT model. To achieve the purpose of research, t-test, one-way distribution analysis (ANOVA), and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321 people in their 20s and under 60s who have awareness of Big Tech financial services ar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summary and discussion of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ntion to accept Big Tech financial services was influenc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cademic background, utilization characteristics that include the level of awareness, experienced service area, number of experienced service area, and trust in operators. In addition, both financial management functions and financial management knowled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eptance of Big Tech financial services, and the level difference in technology readiness led to differences in acceptance of Big Tech financial services. Second, path analysis shows that performance expectations in UTAU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tention to accept Big-tech financial service. Performance expectations have been confirmed to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financial management capacity and optimism and innovativeness in technology readiness. Effort expectations were also significantly affected by financial management capacity, optimism and innovation in technology readiness, but were not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tention to accept Big-tech financial service. Third, there has been no effect of controlling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or. Big Tech's biggest feature, reliability,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eptance in Study 1, but it showed no regulatory effect on the effect of performance expectations and effort expectations on intention to accept Big-tech financial servi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mpirically studied the initial financial consumer's acceptance of financial services of new operators at a time when the concept of big-tech operators is just being discussed. As a result, this study reflects and analyzes complex decision-making factors affecting financial consumers' digital financial decisions, which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entering new services such as Big Tech, FinTech, and traditional financial companies. 금융의 디지털 전환 기조에 맞춰 금융시장 내 핀테크는 이제 그 규모나 기능에 따라 점차 분화되기 시작하였다. 이 중 가장 눈에 띄는 참여자는 기존의 플랫폼 사업영역에서 시장지배력을 가지고 있는 대형 IT 기술기업 빅테크(Big-tech)이다. 빅테크 사업자는 전통 금융사에 비해 유연한 규제환경, 자체적으로 보유한 기술과 네트워크 외부성을 활용해 금융시장의 변혁을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폭발적인 성장 속도에 비해 빅테크 자체가 아직까지 새로운 개념이며, 빅테크의 정의, 규모, 범위 등에 대한 학문적 합의가 논의 중에 있어 관련한 실증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본 연구는 플랫폼을 통해 소비자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빅테크 사업자가 준(準)은행으로 인식되며, 기존의 디지털 금융서비스의 의사결정과 다를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해 복합적인 의사결정요인과 플랫폼적 특성을 고려하여 빅테크 금융서비스 수용의도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빅테크 금융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문제 1을 통해 빅테크 금융서비스의 수용의도와 관련한 금융소비자 특성별 수용의도 차이를 분석하고, 연구문제 2에서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 모형을 통해 구조적으로 검증하였다. 빅테크 금융서비스에 대한 인지가 있는 20대 이상 60대 미만 321명을 대상으로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경로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요약과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빅테크 금융서비스의 수용의도에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최종학력이, 이용경험 특성 중 인지정도, 사용 영역과 경험해본 영역의 수, 사업자에 대한 신뢰 수준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재무관리기능과 재무관리 지식이 모두 빅테크 금융서비스 수용의도에 유의한 차이를 내는 재무관리역량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준비도에서 낙관성, 혁신성, 불편감, 불안감의 수준 차이가 빅테크 금융서비스 수용의도의 차이로 이어졌다. 둘째, 재무관리역량과 기술준비도를 선행변수로 설정하여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 모형을 통해 구조적으로 검증한 결과, 성과기대는 재무관리역량(재무관리기능)과 기술준비도의 낙관성, 혁신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재무관리역량(재무관리기능)과 기술준비도의 낙관성, 혁신성은 노력기대에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성과기대만이 빅테크 금융서비스 수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력기대는 빅테크 금융서비스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업자에 대한 신뢰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빅테크의 가장 큰 특징인 기존시장 지배력에 바탕한 사업자 신뢰는 연구문제 1에서 수용의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이용경험 특성으로 밝혀졌으나, 성과기대와 노력기대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는 어떠한 조절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빅테크 사업자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는 가운데, 새로운 사업자의 금융서비스에 대한 초기 금융소비자의 수용의도를 실증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빅테크 금융서비스의 복합적인 성격과 플랫폼적 특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보다 심도있는 디지털 금융소비자보호 방안 및 금융 소비자교육에 대한 정책적 논의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통해 복잡한 디지털 금융환경 내 사각지대를 줄이고, 금융복지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욕망의 은유(隱喩)·환유(換喩)적 전개를 통한 회화 표현성 연구

        홍은경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체는 욕망하기에 존재한다. 욕망은 주체의 존재 당위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끊임없이 대상을 갈구하고, 대상을 획득한 후에도 어쩔 수 없이 계속되어지며 또 다른 욕구를 찾아 헤매이게 된다. 이는 결여로서의 주체, 그 시작에 기인하는 것으로 완전한 것으로부터 분리되어져 세상에 놓여진 불완전한 주체가 자신의 나머지를 소유하기 위해 분투하는 계속되는 몸부림인 것이다. 주체의 욕망은 의식에 의해 계속 억압되어진다. 그리고 현실에서 억압되어진 욕망은 꿈속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충족되어진다. 이는 지극히 개인적이고도 주관적인 주체의 일면으로서, 소소한 일상의 욕구로부터 스스로도 인지하지 못한 의식 저편의 욕망으로까지 다양한 모습으로 상정되어질 수 있다. 욕망의 꿈 속 충족을 위해 주체는 무언가 새로운 과정을 구축해 낸다. 이것이 바로 꿈속에서도 계속되어지는 검열을 피하기 위해 스스로가 만들어낸 여러 가지 메카니즘들이다. 프로이트는 이를 응축, 전이, 연극화, 상징화, 이차적 가공 등으로 개념화하여 이들이 억압된 소망을 꿈속에서 충족시키기 위해 어떻게 꿈 내용을 재구성하였는지를 분석한다. 의식의 검열을 따돌리기 위한 이러한 가공들은 꿈 내용을 비논리적이고도 불합리한 것으로 설정케 한다. 그러므로 주체의 욕망을 얽어내기 위해 우리는 꿈 내용을 보다 적극적으로 탐색해 보아야 하며 동시에 이들의 원천인 억압의 기조를 이해하여야 한다. 라캉은 그의 욕망이론에서 주체는 타자 욕망과의 동일시 과정을 통해 거울단계의 타자의식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로서 대상을 향한 보다 다양하고 유연한 시각을 가지게 된다고 역설한다. 이는 그의 이론만이 가지는 미덕이라 할 수 있다. 라캉은 프로이트의 리비도(Libido)를 보고자 하는 시선의 리비도로 치환한 후에 '봄'과 '보여짐'이라는 양방의 대립항을 타자의식으로 풀이해 간다. 그리고 그는 비로소 자신과 함께 타자의 욕망을 싸안는 폭넓은 주체의식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본인은 주체의 욕망을 담론화하는 과정에서 위와 같이 크게 프로이트와 라캉의 이론을 근간으로 삼는다. 그리고 꿈 사고로의 접근과 그 속의 욕망을 표현함에 있어 본인은 영원한 결핍으로의 주체와 은유·환유의 패러다임 그리고 욕망을 투영하는 거울에 주목한다. 욕망을 통해 주체의 존재감을 확인하고 이의 표출을 또 다른 꿈 내용으로 접근 시키려는 일련의 작업들은 그러므로 관람자로 하여금 화면 너머 이미지들을 엿보게 하여주고 숨겨진 욕망을 찾아내게 하는 동시에 자신의 모습을 그 속에 투영하고 이입케 하여 거울단계로의 욕망 해석을 가능케 하였다. 끊임없는 결여로서의 꿈과 욕망을 작업의 담론으로 한정지으면서 본인은, 화면 속에서 해석되어진 꿈, 그리고 욕망을 이야기한다. 화면을 사이에 두고 보고, 보여지는 시선과 응시의 리비도를 고려하며 동시에 거울이라는 장치에 주목하여 주체와 욕망을 보다 폭넓은 사고로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 사진 이미지와 복사의 과정, 중첩되는 반복적 요소, 기호와 상징의 체계, 그리고 회화표현의 유기적인 요소들을 이용하였다. 꿈 속 내용을 일종의 코드화로 분석해 나가며 그 속에서 또 다른 타자와의 재회를 시도하는 본인의 작업은, 그러므로 꿈 속 욕망의 은유·환유적 표현의 전개인 것이다. Subject exists as it desires. Desire craves for subject endlessly, and it is continued unavoidably and gets to wander in search of another desire as what gives what should be about the existence of subject. This is the subject as deficiency, writhing that incomplete subject placed in the world by being separated from complete thing continues to fight so as to possess the rest of itself as what is caused by the start. The desire of subject is oppressed endlessly by consciousness. And, desire oppressed in actuality is satisfied in dream for the first time. This may be imagined in the diverse forms from the desire of trivial daily affairs to the desire on the other side of consciousness that itself failed to recognize as one side of extremely individual and subjective subject. Subject establishes new course for the satisfaction of desire in dream. This is just various mechanisms that itself made so as to avoid the inspection to be continued in dream. Freud conceptualized it with condensation, displacement, dramatization, symbolization, and secondary elaboration etc. and analyzed how they reconstituted dream contents so as to satisfy oppressed wish in dream. These fancies for excluding the inspection of consciousness get to establish dream contents as illogical and irrational thing. Therefore, so as to read the desire of subject, we should try to search for dream contents more positively and should understand the basis of oppression which is the source of these at the same time. Jacques Lacan emphasized that subject gets to form the other consciousness of mirror stage through the course of identifying with other desire and that subject gets to have more diverse and flexible sight toward subject with this, through his desire theory. This may be referred to as the virtue that only his theory has. Lacan solves the opposition of both directions to be 'seeing' and 'to be seen' with other consciousness after substituting the libido of sight to try to see for the Libido of Freud. And, he gets to reach wide subject consciousness to em-brace the desire of other with himself for the first time. I make the theory of Freud and Lacan of basis greatly as above in the course to discuss the desire of subject. And, I paid attention to the subject as the deficiency, the paradigm of metaphor and metonymy, and the mirror to project desire in the approach to dream thinking and the expression of desire in it. A series of works to confirm the existence sense of subject through desire and to approach the expression of it to another dream contents enabled spectators to look furtively at the images over picture and find out the hidden desire and enabled the interpretation of desire to mirror stage by projecting their form in it and making it be introduced. I say the dream interpreted in picture and the desire, while I limit the dream and desire as endless deficiency as the discussion of work. I tried to approach subject and desire with more wide thinking by paying attention to the equipment to be mirror, while I consider the libido of sight and gaze which is seen with picture between. And for this, I used the image of photos, the course of copy, the repetitious element to be overlapped, the system of mark and symbol, and the organic element of painting expression. The work of me to analyze the contents in dream with a kind of codification and to get to meet the other again in it is the unfolding of the expression of metaphor and metonymy of the desire in dream.

      • 미시적 관점의 이론 제시가 학생들의 열에 의한 물체의 부피변화 개념에 미치는 영향

        홍은경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pre-conceptions for changing volume of matter by heat an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eaching according to the microscopic view point on conceptions for changing volume of matter by heat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purpose, two classes of the 4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teaching by the microscopic view point related to a science text book and the control class was taught by traditional method.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used to find out the changes of conceptions. Quantitative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conceptions for changing volume of matter by heat. Qualitative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conceptual changes based on answer types and interview of two groups.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own type of misconceptions and then they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are following. 1. 4th grade students had various pre-conceptions for changing volume of matter by heat, they had more misconceptions about liquid and gas than solids. The students seemed to explain the phenomenon correctly with macroscopic view point. But the students have misconceptions about volume of particles or number reservation with the macroscopic view point. 2. The two groups were judged different groups as a result of pre-test(t-test). After treatment which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eaching according to the microscopic view point on changing conception of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obtaine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and retention test. 3.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the conception that matter consists of particle and they had higher conceptual acquisition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re was a lot of conceptual changes scientifically in not only conceptions with macroscopic view point but also conceptions with the microscopic view point. 4. Experimental group had more systemic and categoric conceptual change than control group which still had various incorrect conceptions. The number of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were 33.3% without treatment, but the number of students increased to 64.3% after treatment in asking of same concepts. In the process of checking own conceptions by treatment,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dified and made their changes to conceptions. Conclusively, teaching according to the microscopic view point is effective on conceptual change for 4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quantitative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열에 의한 물체의 부피변화에 대해 가지고 있는 선개념을 분석하고, 미시적 관점의 이론을 제시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2개 반을 표집하여 비교반과 연구반을 선정하였다. 비교반은 7차 교육과정 교과서의 내용을 토대로 수업 처치를 하였고, 연구반은 교과서의 내용과 관련된 미시적 관점의 이론을 제시하여 수업처치를 하였다. 수업처치 전과 수업처치 후 학생의 열에 의한 물체의 부피변화 개념에 대해서 동형 검사지를 이용하여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학생들의 응답 유형과 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개념변화 양상을 정성적으로 분석 하였으며, 수업 처치 전에 가지고 있던 오개념 유형에 따라 학생을 선정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은 열을 가했을 때의 물질 변화에 대해 다양한 선개념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고체에 비해 액체, 기체에서 오개념이 많이 발견되었다. 학생들은 거시적으로는 현상을 바르게 설명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미시적으로 입자의 부피나 수 보존에 위배되는 개념을 많이 가지고 있었고, 또한 물질의 입자 운동 방향을 상하의 운동으로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기체의 변화를 이해할 때 많이 나타났다. 또한 열 개념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열과 공기를 혼동하여 열을 부피를 가지는 입자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학생도 있었다. 둘째, 두 집단의 처치 전 t-검증 분석 결과 비교반이 연구반 보다 평균이 더 높았으며 이질집단으로 판단되었다. 미시적 이론 제시가 학생들의 개념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업 처치 후 두 집단을 공변량 분석한 결과 연구반의 검사 점수가 비교반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고체, 액체, 기체 중 기체 영역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했다. 셋째, 연구반 학생들은 물질을 입자성을 지닌 것으로 보게 되었으며, 비교반에 비해 상위 범주 개념으로 향상되는 사례가 많았고, 거시적 현상 뿐 아니라 입자의 배열이나 운동 등 미시적 관점에서의 개념도 과학적으로 많이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수업 전·후 학생들의 개념 변화 정도를 살펴보면 비교반 학생들의 개념은 수업 후에도 다양하게 분화되어 있는 것에 비해 연구반의 경우 여러 갈래로 분산되어 있던 선개념이 수업을 통해 과학적 개념으로 체계화, 유목화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개념을 묻는 문항에서 같은 개념을 사용했던 학생은 33.3%에 불과 했었으나 수업 후 64.3%로 늘어났다. 수업을 통해 자신의 개념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형성했던 개념을 수정, 보완하여 더욱 견고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개념변화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4학년 학생에게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미시적 관점의 이론을 제시한 수업은 개념변화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경기 일부지역 초등학생의 식품구성자전거와 식생활지침에 대한 이해도와 실천도의 연구

        홍은경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식품구성자전거와 어린이를 위한 식생활지침에 대한 이해도를 분석하고 영양정보를 통한 실천도를 파악하여 향후 학생들에게 영양정보에 대한 교육방법을 제시하고 영양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설문조사는 2012년 9월 용인시 초등학생 5, 6학년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Open-ended question)의 형태로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 중 남학생은 58명(53.7%), 여학생은 50명(46.3%)이고, 5학년은 50명(46.3%), 6학년은 58명(53.7%)이다. BMI는 저체중군 42명(38.9%), 정상 49명(45.4%), 위험체중 10명(9.3%), 비만 7명(6.5%)이고 가족수는 3-4명이 가장 많았다. 또한 어머니의 직업이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영양정보에 대한 관심정도는 ‘보통이다’가 가장 많았다. 식품구성자전거의 그림을 바탕으로 이해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질문을 구성했다. 조사대상자의 식품구성자전거에 대한 인지도는 18.5%이고, 5학년보다 6학년의 인지도가 높았다. 하루에 섭취해야 하는 물의 양은 501-1000ml의 응답률이 높았는데, 이는 한국인 영양섭취기준(2010)보다 낮았다. 각 식품군의 이상적인 섭취량을 조사한 결과 곡류군, 고기·생선·계란·콩류, 채소류, 우유 및 유제품류는 기준섭취량보다 낮은 응답분포가 나타났고, 과일류, 유지·당류는 기준섭취량보다 높은 응답분포가 나타났다. 특히 유지·당류에 대한 남학생의 응답평균은 42g으로 실제 하루섭취량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BMI가 높을수록 과일의 하루 섭취량이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식품구성자전거의 자전거의 의미를 잘 파악하고 있는 응답자는 47.2%였고, 식품구성자전거의 뒷바퀴의 식품군 비율 순서를 나열하는 질문에 남학생은 고기?생선?계란?콩류와 채소류, 과일류와 우유 및 유제품의 비율순서를 혼동했다. 식품구성자전거의 유지·당류의 그림 면적이 작은 이유는 ‘몸에 좋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69명(63.9%)으로 나타났다. 어린이를 위한 식생활지침의 각 세부지침사항을 바탕으로 질문을 구성했다. 조사대상자의 어린이를 위한 식생활 인지도는 6.0%이고, 6학년보다 5학년의 인지도가 높았으며, BMI의 위험체중, 비만군은 모두 들어본 적이 없다고 답했다. 편식의 의미, 섭취해야하는 우유의 종류, 짠 음식, 단 음식, 기름진 음식, 불량식품, 유통기한에 대한 이해도는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나, 골고루의 의미, 표준체형, ‘천천히’의 정도, 영양표시에 대한 질문에는 낮은 이해도가 나타났다. 식품구성자전거와 어린이를 위한 식생활지침을 통한 실천도에서는 ‘아침식사를 꼭 먹습니다.'(M=4.28), ‘가족과 함께 식사하도록 노력합니다.'(M=4.22)등의 일반적인 질문의 항목에 대한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고, ‘채소류의 식품을 하루 분량에 맞게 섭취합니다.’(M=3.48), ‘나이에 맞는 키와 몸무게를 알아서 표준체형을 유지합니다.’(M=3.44)의 항목은 실천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영양정보의 관심도에 따른 영양정보 실천도는 영양정보에 관심이 매우 많다고 응답한 그룹의 영양정보 실천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식품구성자전거와 어린이를 위한 식생활지침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고 세부적인 항목과 지침에 대한 이해도가 대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볼 때, 학생들이 정확한 정보를 통해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영양정보의 보조자료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영양정보에 대한 추가 연구가 계속된다면 효과적인 교육자료 개발 및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