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빅데이터를 이용한 의학도서관 웹사이트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홍윤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tends to offer measures to improve medical library websites by analyzing the usage pattern through big data. Thus, the following web traffic information was measured as indicators: number of session; number of users; number of page views; number of pages per session; average session time; rate of leaving the website. With the indicator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users, user environment, visit status, inflow route, and the website were analyzed. The target of this study is the website of A Medical Library located in Seoul, which was analyzed through Google Analytics, a big data analysis tool. It was done for 6 months from April 1 to September 30, 2014. With the data, the website usage pattern of A Medical Library was analyzed. Based on the issues from the findings, the following are suggested to improve medical library websites. First, in general characteristics, men, with 56.37%, showed higher rate of 12.74% that of women with 43.63%, and the main user age was from mid-twenties to mid-forties(62.06%). The location was mainly in South Korea, with 97.83%, and, in South Korea, it was 80.55% in Seoul and 6.23% in Ulsan. Also, some people in the United States accessed the website with the rate of 1.59%.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d English and multiple-language versions of the support services. Second, the user environment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result. Although the traffic from mobile devices (2.61%) and tablet PCs (1.80%) was not very high, the average session time of those users was longer than that of desktop users (95.59%). Average session time indicates the tendency to stay at a particular website. In particular, the average session time of tablet PC users was 5 minutes and 21 seconds, which was the longe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tablet PC website screen resolution and specifications. It will make users stay longer and improve their satisfaction. Third, the average session time of all users was 4 minutes and 39 seconds. To increase the time and number of page view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website contents steadily. By satisfying the needs and solving the curiosity of users, they are more likely to stay longer. Meanwhile, a visit analysis by day showed an average of 1,132 sessions during the wee and 499 sessions on weekends. Thus, the traffic on weekends is less than half of the traffic on weekdays. Therefore, updates, regular inspection, and management work should be done on weekends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Also,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days and time with the least number of visits. To attract more visitors, notifications, special events, and promotion via email are suggested. Fourth, in terms of inflow route, direct inflow (74.68%) represented the highest proportion. Therefore, the website address should be easy to remember and promoted. It will be more effective than using search engines for promotion. Thus, promotion should be done within the medical library. Also, links should be provided at hospital and university websites for easier access. In addition, the visit paths should be simplified. In other words, the web accessibility and user convenience should be enhanced. Finally, in terms of website pages, the main page received the most number of page views. It was followed by E-Journals. The content that medical library website users need the most is academic e-journ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ontents and manage the quality on an ongoing basis.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의학도서관 웹사이트 이용행태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제안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웹 트래픽 정보인 세션, 사용자, 페이지뷰 수, 세션당 페이지수, 평균 세션 시간, 이탈률의 측정지표를 기준으로 이용자 일반적 특성, 사용자환경 분석, 방문 분석, 유입분석, 사이트 분석 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서울에 소재한 A의학도서관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2014년 4월 1일부터 2014년 9월 30일까지 6개월 동안 빅데이터 분석 툴(tool)인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A의학도서관 웹사이트 이용자의 실제 이용행태 분석 결과 도출된 이슈들을 기반으로 제안된 웹사이트 개선방안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 일반적 특성 분석 결과 의학도서관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성별은 남자가 56.37% 여자가 43.63%가 보다 12.74%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20대 중반에서 40대 중반(62.06%)이 주 이용자층으로 나타났다. 접속 위치는 대한민국(97.83%)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미국(1.59%)에서도 일부 사용자들이 접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향후 영어 버전 및 다국어 지원 서비스를 추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사용자 환경을 분석에서 기기 종류는 아직까지 모바일(2.61%) 및 태블릿(1.80%) 트래픽이 높지는 않지만 평균 세션 시간은 데스크톱(95.59%)보다 오래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트 고착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의 하나인 평균 세션 시간이 태블릿 기기가 5분 21초로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태블릿 기기의 평균 세션 시간이 다른 기기보다 높은 점을 감안하였을 때 태블릿 기기의 웹사이트 화면해상도 및 사양을 지원함으로써 이용자의 사이트 고착성을 높이고 이용자의 만족도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방문 현황으로는 이용자의 평균 세션 시간은 4분 39초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평균 머문 시간 및 페이지뷰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웹사이트 콘텐츠를 개발하여 이용자들의 니즈와 호기심을 충족시킴으로써 사이트 고착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요일별 방문 분석에서는 평일 평균 세션은 1,132 세션, 주말 평균 세션이 499 세션으로 트래픽이 2배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웹사이트 업데이트 및 정기점검, 관리 작업을 주말에 하여 이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방문이 가장 적은 요일, 시간대를 파악하여 공지 또는 이벤트를 하거나 메일링을 통한 홍보를 함으로써 방문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유입 매체 분석 결과 직접 유입(74.68%)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검색 엔진을 통해 이용자의 방문을 유도하기 보다는 웹사이트 URL주소를 기억하기 쉽게 만들고 URL주소를 홍보함으로써 기관내 홍보를 활성화 시켜야할 것이다. 또한 병원, 대학 웹사이트에서 연결 링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방문 경로 단계를 짧게 하여 이용자의 웹 접근성 및 이용편의성을 향상시켜줄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사이트 페이지 분석결과 최다 페이지뷰를 차지한 페이지는 메인페이지 다음으로 E-Journals 페이지로 나타났다. 의학도서관 웹사이트 이용자들이 원하는 콘텐츠가 학술 전자저널이라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에 대한 콘텐츠를 좀 더 풍부하게 하고 품질관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 어머니와 자녀의 배경변인에 따른 문화센터 영아 프로그램 활용실태 및 인식

        홍윤미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Master's Thesis The Utilization and Recognition of Infant Programs at Cultural Centers by Background Variables of Mothers and Children Hong, Yoon-Mi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sung University Advisor : Seo, Hyun-Ah P h. D Abstract The systematic study for utilization of the infant programs at cultural centers aimed less than 3 year old is still lacking despite utilization of the programs at cultural centers have been increasing with the trend of downgrade for early education. The supply is growing with the increasing of utilization of cultural center program for infants. However, providing a quality education is questioned persistently and the specific research materials are in need. Therefore, the utilization and recognition of infant programs at cultural center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Mothers and children were researched in this study. Also it was researched what kind of educational meaning and results affected to infant children through the utilization of programs at cultural centers. The research questions with these purposes in the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status of infant programs at cultural centers? 2. What are the status of utilization and recognition of infant programs at cultural center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Mothers? 3. What are the status of utilization and recognition of infant programs at cultural center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Mothers who have infants. Those infants were less than 36 month old and were attending cultural centers in Busan, Korea.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 used revised questionnaire was used in the study by Insook Jang (2008) and Hyunjoo Chung (2010). The pre-research was conducted from November 7th for two days at D cultural center in the different district. The subjects of this pre-research were 25 Mothers of infants who were less than 36 month old. The actual research was conducted from December 7th for 3 weeks at 5 selected branches including L cultural center and H cultural center among cultural centers at department stores and supermarkets in Busan, Korea.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300 Mothers of infants who were less than 36 month old.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directly.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as analyzed by using PASW 18.0 program. The optional questions of questionnaire among answered questions were conducted with percentage and frequency by each question. Kai verification was conducted for frequency and percentage question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variables staff’s awareness are pointed. Furthermore, the change of right awareness of education staff at cultural centers for infants is expected. This results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 background among background variables of Mothers. 3. The utilization and recognition of infant programs at cultural center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ren. First, as results of the utilization and recognition of infant programs at cultural centers, infants utilized the areas of integrated play especially for once a week for 40 minutes with the group of 9 to 12 infants. The reasons were showed by interactive play teaching method with Mothers and asking to centers directly or finding out the contents of programs by referring the materials when selecting programs. This resul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s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ren. Second, as results of recognition of infant programs at cultural centers depending on the back ground variables of children, the utilization of infant programs at cultural centers was essential for the chance of enriched learning experience. Especially, it helped children to get ability for communication and Mothers to do parent’s role. Also, it helped to form children’s education and learning community. Additionally, infants would use centers from 6-12 to 36 month and unique imagination, activities of expression, and the areas of nature exploration needed to be complementary.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are preferred with the heart and attitude for infants. For the improvement of cultural centers, the room of infants and change of staff’s awareness are pointed. This results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s among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ren.

      • 디지털 환경에서 사용자 중심의 글꼴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홍윤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혁명이라 일컬어지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라 컴퓨터 사용자들은 누구나 정보의 서버와 유저가 되어 비교적 쉽게 정보를 다룰 수 있게 되었다. 발전된 디지털 매체 기술에 기반하여 정보는 한층 진화된 형태로 제작, 전달되고 있으며 문자정보도 기존의 인쇄매체와는 달리 공감각적 멀티미디어에 기반하여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디지털 환경에 맞는 문자정보의 효과적 전달을 위하여 기존의 형태를 벗어난 새로운 한글 글꼴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비하여 글꼴의 활용을 위한 연구는 미비하여 글꼴비전문가가 글꼴을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글글꼴의 활용을 지원하는 방안으로 일반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분류기준을 가진 글꼴분류체계의 개발과 활용을 제안하고 그 분류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 및 내용으로는 문헌 연구와 조사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분류체계 및 글꼴개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디지털 시대 사용자들의 글꼴활용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조사결과 기존 글꼴분류체계는 분류기준이 비일관적이고 획일적으로 적용되어 현재 글꼴개발 현황을 잘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류체계의 명칭이 불명확하여 글꼴비전문가가 활용하기에 어려운 것으로 예상되었다. 글꼴의 중요성에 대한 사용자의 의식 및 매체별 글꼴 활용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자들은 매체별로 합목적적이고 다양한 감성에 의하여 글꼴을 활용하는 것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에 기반한 연구결과로서 이미지 분류, 용도별 분류를 사용자 중심글꼴 분류체계의 분류기준으로 제안한다. 첫째, 이미지 분류는 공감각적이고 멀티미디어적 정보전달이 일반화되어 가는 실정에 맞추어 감성 이미지어와 글꼴의 시각적 이미지를 연관시켜 유사이미지를 가지는 글꼴끼리 분류하는 것으로 디지털시대에 맞는 글꼴의 공감각적인 활용을 지원할 수 있다. 둘째, 용도별 분류는 매체별로 가독성과 주시성 등을 고려하여 글꼴을 매체에 따른 용도별로 분류하는 것으로 서체 비전문가들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이 분류기준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온라인 글꼴 데이터베이스의 검색기준, 프로그램 글꼴 팔레트내의 분류기준, 폰트유실의 대치기준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시대에 문자정보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적절하고도 효과적인 글꼴의 활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글꼴 사용자들의 요구 및 사용환경을 고려한 사용자 중심의 글꼴분류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양질의 다양한 한글글꼴의 개발과 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As the digital technology is progressing, personal computer users can be the user and a server of digital information. For effective communication on digital media, Hangul font users are increasing and accordingly their needs and tastes are diversified. Therefore new and various Hangul fonts are developed and used. But under the present font classification system, it is difficult to compare and analyze these various fonts. And present classification system is not appropriate method to be the font user's guide for practical use of various Hangul fonts. For the better use of Hangul fonts, developing font classification system focused on personal users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classification standards for the Hangul font class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computer users. In this study, the present font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present conditions of development and use of Hangul fonts on personal computers are analysed. Based on the research, I propose two classification standards: First is the imag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visual images of each Hangul font. Image classification categorizes fonts by visual image that each font has. This classification can help the synesthesia use of fonts in multimedia environment. Second is the usag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font's proper usage in various media. This classification can be the guideline for proper use of fonts.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typographically balanced Hangul fonts and for the suitable and effective use of the various fonts, we must try to build the font classification system that helps personal users apply to practical use. Through these studies, we can expect the development of good quality fonts and the better use of Hangul fonts.

      • 심혈관계 유해물질 검측을 위한 심근세포 기반의 생체 모사 미세유체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

        홍윤미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monitoring the possible pollutants in the aqueous solutions is required to resolve the environmental issues. Hazardous chemicals are extremely dangerous to human body and can cause unexpected consequences. The study on human organs affected by hazardous materials is insignificant. Thus, recently the microsystems which mimic human organs have been developed by using the cellbased micro/nano devices. Especially, the cardiovascular system (CVS) among all organs in human body manages to maintain the functionality of other organs and supply nutrients for entire organs. Here, a novel cardiac cell-based biomimetic microfluidic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monitoring cardiovascular toxicity. Cell growth in in-vivo or in-vitro is affected by multiple stimuli: cell-cell interactions, physical and chemical cues from cell-surface interactions, and supplied nutrients. Maintaining the natural characteristics of cells by imicking in-vivo environments is important for the in-vitro cell culture system. First, in this research, chemical and mechanical interactions were studied depended on different extracellular matrix (ECM) to enhancing cell attachment and growth. Cardiomyocytes (HL-1 cell line) were cultured on 4 different ECMs and analyzed by immunostaining and observed with inverted fluorescence microscope. Second, physical effects on cardiac cell growth were researched on cell culturing patterns and structures to construct cardiac fiber. HL-1 cells were seeded on patterned PDMS surfaces modified by plasma system. Third, the cardiac cell-based microfluidic chip was designed to mimicking cardiac cell fiber formation. The PDMS microchannel was fabricated using soft-lithography technique. HL-1 cell was cultured inside the micro-sized several channels. This study can provide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HL-1 cell culture and will be useful for biosensor applied myocardial cells.

      • 색채 이미지 선호에 의한 실내 놀이공간 색채 계획에 관한 연구

        홍윤미 한성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는 국민소득의 증가에 따라 물질적인 풍요로움과 함께 생활수준이 향상되어 왔으며, 이러한 변화와 함께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증가는 고객유치를 전략으로 하는 대규모 백화점, 할인점, 패밀리 레스토랑 등 상업시설에도 영향을 주었다. 상업시설에서는 서비스의 일환으로 어린이를 동반한 소비자들이 편안하게 소비활동을 할 수 있도록 시설 내 어린이 놀이공간을 설치해 오고 있다. 이러한 실내 놀이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색채 환경의 경우 아동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색채 심리 및 아동의 색채 선호사상에 따라 색채 환경이 구성되는 경우가 많지만, 놀이공간의 색채 현황을 살펴보면 피상적인 아동들의 원색 선호 성향만을 따라 공간의 특성과 상관없이 원색의 무계획적인 배색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아동들이 활동적으로 뛰어노는 놀이공간에 있어 색채 환경의 구성이 시각적 혼란스러움과 함께 많은 문제점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었다. 아동의 경우 연령이 어릴수록 형태보다는 색채에 더 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실내 놀이공간의 색채 환경은 더욱 중요한 요소로써 체계적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내 놀이공간의 색채계획이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가늠하기 위하여 상업시설 중 백화점 및 대형유통 매장을 대상으로 색채 사용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실내 놀이공간의 주 사용자인 아동을 대상으로 색채 이미지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여 놀이공간의 색채 계획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실내 놀이공간의 색채 계획에 대한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방법 및 범위에 대해 설정하였다. 2장에서는 이론적 고찰 단계로 실내 놀이공간의 특성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으며, 색채 사용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Munsell 표색계의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색채와 환경, 아동과 색채 환경의 관계성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색채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3장에서는 백화점 및 대형유통 매장 내에 설치되어 있는 놀이공간의 색채 사용현황 조사를 통해 현재 놀이공간에 사용되고 있는 색채의 경향과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4장에서는 실내 놀이공간의 주 사용자인 아동을 대상으로 색채 이미지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MCC 배색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놀이공간의 색채 이미지 설문 도구를 작성하였다. 5장에서는 문헌조사, 색채 사용현황조사, 색채 이미지 선호도 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들을 종합하여 색채 계획 방향을 설정하고, 대상지 한곳을 선정하여 실내 놀이공간의 색채 계획안을 제안하였다. 6장에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종합고찰 및 결론에 대해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 놀이공간의 사용자인 아동의 색채 이미지 선호 정도와 색채 심리적 기능을 바탕으로 놀이공간의 색채 계획안을 제안하였다. 제시한 실내 놀이공간의 색채 계획안을 참고하여 향후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실내 놀이공간과 관련된 공간의 계획 시 활용한다면 보다 쾌적한 놀이공간으로서의 색채 환경과 긍정적인 통합 환경으로의 놀이공간을 계획할 수 있으리라 전망한다.

      • HCV core와 MEKK2의 상호작용에 의한 NF-kB 활성조절 연구

        홍윤미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Hepatitis C virus (HCV) infection is one of major agents for liver diseases including chronic hepatitis, liver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in human. Several studies have documented the important association between HCV infection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but, the mechanisms involved are still unknown. Recent several studies have reveals that HCV core is one of important key regulators of modified cellular signal pathway on HCV infected cells. In previous studies in our group, a yeast two-hybrid screening technique was employed to find the cellular proteins, which interact with core 120 protein of HCV. We discovered several candidate proteins interacting with core 120. In this study, we studied MEKK2 protein in detail, one of candidate protein in yeast two hybrid screening. The HCV core protein bound to the MEKK2 protein in vitro and in mammalian cells. Amino acid residues 192-351 of MEKK2 were critical for the binding, which includes the ‘regulatory domain’ of the kinase molecule. Expression of the core protein in 293T cells inhibited the TNF-induced NF-kB activation pathway, which is regulated by MEKK2 protein. These results together indicate that the core protein may inhibit MEKK2 signal transduction pathway, possibly as a result of its interaction with the regulatory domain of MEKK2 in HCV infected cells. We suggest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MEKK2 and core may contribute to pathologic phenomena of the HCV-induced diseases.

      • 활동기준관리를 적용한 인공고관절 전치환술 임상관리도(Clinical pathway) 개발

        홍윤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학제적 접근인 인공고관절 전치환술 임상관리도를 개발하고 활동기준관리 방법론에 따라 각 활동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안을 만들어, 환자 관리를 위한 도구로써 임상관리도를 재구축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일 대학 부속병원이며 연구 대상 질병군은 인공고관절 전치환술이다. 연구 방법은 우선 인공고관절 전치환술 임상관리도의 개발을 위해서 현재 미국의 병원에서 사용 중인 5개 인공고관절 전치환술 임상관리도를 기초로 개념적 준거틀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예비 임상관리도를 작성하기 위해, 연구 대상 병원의 인공고관절 전치환술의 상시 처방 목록과 정형외과 병동의 인공고관절 전치환술 환자를 위한 병동 교육 자료와 최근 입원 환자들의 처방 내역을 출력한 기록지 20부를 자료로 하여 제공된 서비스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개념적 준거틀과 통합하여 예비 임상관리도를 작성하였다. 개발된 예비 임상관리도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를 실시하였으며, 1999년 12월 15일부터 2000년 3월 15일까지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 전 수를 대상으로 임상타당도 검증을 한 후, 최종 임상관리도를 확정하였다. 이렇게 확정한 최종 임상관리도의 활동을 규명하여 프로세스를 도식화한 후, 문제점을 찾고 문제 해결을 위해 프로세스를 리엔지니어링하는 개선안을 만들었다. 그리고 특정한 활동 전에 선행 혹은 완료되어야 하는 간호 활동들을 정리하고, 특정 활동의 주요 프로세스를 기술하여 목표 활동을 수행하기 전에 스스로 점검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임상관리도를 재구축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상관리도의 종축은 사정·검사·협진·투약·처치·식이·활동·교육 등 8가지 항목이며, 횡축은 입원 전 마지막 외래 방문부터 퇴원까지로 하였다. 2. 진료와 간호 서비스 내용을 분석하여, 예비 임상관리도의 횡축은 입원에서 수술 후 10일까지로 결정하였고, 종축은 횡축의 시간틀에 따라 진행해야 하는 진료와 간호 내용들을 앞의 8가지 항목에 나누어 작성하였다. 3. 예비 임상관리도의 각 항목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거쳐 문제로 지적된 부분을 수정·삭제하고, 횡축의 퇴원 시기를 수술 후 8일로 수정하였다. 내용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전문가에게 예비 임상관리도의 내용을 검증받았다. 4. 임상타당도 검증은 1999년 12월 15일부터 2000년 3월 15일까지 인공고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총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들 중 4명이 탈락하여, 실제 연구 대상은 12명이었다. 5. 임상타당도를 근거로 총 재원일 6일의 최종 임상관리도를 구축하였다. 6. 임상관리도에 나타난 활동들을 종축의 항목에 따라 재확인하였고, 각 활동들의 프로세스를 도식화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운영 체계과 직무분장에 대한 문제점으로 분류하였다. 7. 도식화된 프로세스를 실무 담당사들의 확인을 받고, 벤치마킹으로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운영 체계에선 전산의 활용과 관련한 워크쉬트의 개발과 지원 인력과의 연락 방법 및 병동에서 만드는 의료 소모품의 개선, 팀내 의료진간의 의사 소통의 활성화 및 약품·물품 관리 방안의 개선과 각 인력의 수준에 합당한 직무 기술서를 마련하고 시행하도록 개선안을 작성하였다. 8. 마지막으로 개발된 임상관리도에 각 활동의 수행 전에 완료되어야 할 선행 활동과 해당 활동의 주요 내역을 기술하여 임상관리도를 재구축하였다. 이러한 임상관리도는 환자에게는 지속적이고 일관성있는 환자 관리를 제공할 수 있는 표준 지침이 될 수 있고, 간호사들에게는 간호 활동에 관한 정보를, 의료진간에는 의사 소통 도구로, 병원 행정가에게는 병원 및 간호 활동에 대한 관리적 정보를 제공해주며, 재원일 단축으로 병원 수익을 창출할 것이다. 그러므로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을 적용하여 병원 및 간호업무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을 실시하고, 다른 진단명에도 사용하여 간호실무에 활동 기준 임상관리도가 적극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간호 활동을 원가로 산출하는 연구를 시행하여, 이를 보다 적극적인 관리적 도구로 사용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ctivity based clinical pathway which shows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most cost effect process to take care of patients with total hip replacement surgery. The location for this study was an orthopedic surgical unit at a major medical center which is affiliated with an university. A clinical pathway was developed for the patients with total hip replacement by reviewing charts, literature, and the standing order of the unit. Validity of the clinical pathway was checked by clinical experts and its contents was verified by utilizing the pathway in care of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hip replacement surgery from December 15. 1999 to March 15. 2000. Then, by employing activity based management methodology, each activity or treatments listed in the clinical pathway was analyzed and the problems were found and the reengineering the process was made to reduce the problem and nursing activities were adjusted on the final clinical pathway. The activity based clinical pathway can provide a standard guidance to care for patients with the given diagnosis. Also, the activity based clinical pathway can be used in orientation of new nurses and can be used as an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s among the health care providers in a hospital. Furthermore, the activity based clinical pathway can reduce the administrative costs by simplifying each task. It is suggested that the activity based clinical pathway can be developed for all other diagnoses included in DR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