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생아 중환자실 환아의 청력 선별 검사 분석 및 의의

        홍예슬 순천향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신생아 난청은 다른 선천 기형과 비교하여 매우 흔하여 신생아 1,000명당 약 2-3명에서,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집중 치료를 받았던 환아에서는 100명당 2-4명으로 높은 빈도를 보인다. 정상 청력은 언어 발달에 필수적인 요소로 청력 소실을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저자는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 환아들을 대상으로 Automated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ABR) 방법을 이용하여 청력 선별 검사를 시행한 후 청력 소실의 빈도와 양상, 위험인자와의 관계 및 추적 검사 결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2007년 4월부터 2010년 3월까지 순천향대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를 대상으로 AABR을 시행하였으며 AABR에서 통과하지 못한 군은 퇴원 전 혹은 퇴원 후 외래에서 1개월 이내에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을 시행하였다. 결과: AABR을 시행한 총 597명 중 21명에서 의뢰 판정을 받았다. 이 환아들에서 의미있게 동반된 위험인자는 기계환기를 받은 경우, 두개안면부기형, 난청을 보일 수 있는 증후군, 낮은 Apgar 점수(P<0.05) 였다. 그러나 선천 감염, 신생아 중환자 집중 치료 기간, 루프 이뇨제 사용, 교환수혈을 요하는 정도의 고빌리루빈혈증, 뇌수막염, 1,500 g 이하의 출생체중은 위험인자로서의 통계적 의의가 없었다. 의뢰 판정을 받은 환아 21명 중 추적관찰 하지 못한 5명을 제외한 16명에서 ABR을 시행하였다. 이 중 6명은 정상이었고, 10명에서 이상소견을 보였다. 10명 중 양측성 난청이 5명으로 이중 2명은 경도, 2명은 중등도, 그 외 1명은 심도 난청이었다. 편측성 난청을 보인 5명 중 3명은 경도, 그 외 2명은 각각 중등도, 고도 난청을 보였다10명의 환아 중 편측성 경도 난청 환아 3명과 추적 실패한 1명을 제외한 6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평균 2.83±1.83개월에 추적검사 하였으며 모두 호전되거나 정상화된 소견을 보였다. 결론: 난청의 조기 진단 및 치료 뿐 만 아니라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 Normal hearing is important for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Hearing loss is one of the common birth defect affecting 2-3 per 1000 neonates and 2-4 per 100 neonat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graduates.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 of hearing loss in NICU graduates. Methods : Automated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ABR) hearing screening was implemented in the neonate admitted to the NICU of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1, 2007 to March 31, 2011. Referred neonates at first AABR were received second AABR. Infant whose retest AABR results were referred were tested with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as a confirmative study before discharge or within 1 month after discharge. Results : Of 597 neonates, 21 neonates (3.5%) were failed on first and second AABR test. Statistically, neonates in refer group had a higher incidence of ventilator care, craniofacial anomalies, syndromes associated with hearing loss and low Apgar score(P<0.05).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pass and refer groups in congenital infection, hospitalization, exposure to ototoxic medications, hyperbilirubinemia that requires exchange transfusion, meningitis and low birth weight. Of 21 neonates whose AABR were referred, 16 neonates were tested with ABR and 5 neonates were lost during follow up. Of 16 neonates, 10 neonates were confirmed to have hearing loss. 5 of them had unilateral hearing loss, the others had bilateral hearing loss. Of the neonates with unilateral hearing loss, 3 neonates had mild, 1 neonate had moderate, and 1 neonate had severe hearing loss. Of the neonates with bilateral hearing loss, 2 neonates had mild, 2 neonates had moderate, and 1 neonate had profound hearing loss. Excluding 3 neonates who had mild unilateral hearing loss and 1 neonate who was lost during follow up, follow up ABR was performed on 7 neonates at 2.83±1.83 months. In follow up ABR, all neonates showed improvement or normalization. Conclusion : NICU grauates have high risk for hearing loss. Continuous and systemic follow up is important as well as early detection of hearing loss.

      • 식품 유래 phytochemicals의 redox status 조절을 통한 암예방 효소계 유도

        홍예슬 경북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has been well known that some phytochemicals induce phase 2/antioxidant enzymes through Nrf2-Keap1 signaling pathway. Although phase 2 enzyme inducers facilitate the release of Nrf2 from Nrf2-Keap1 complex by interacting some amino acids in Keap1, the whole picture of the enzyme induction mechanism has been elusive. We hypothesized that some phytochemicals or oxidative stress convey oxidative signal to redox sensor proteins such as PKG, PHD, HIF-1 which, in turn, transfer the signal to Nrf2-Keap1 complex, disrupt their interaction and release Nrf2. Cobalt chloride (CoCl2), an established chemical inducer of hypoxia, increased ROS and induced the expression of phase 2 enzymes in Nrf2-mediated fashion. Also the depletion of reduced glutathione (GSH) by treatment with buthionine sulfoximine (BSO), an inhibitor of gamma-glutamylcysteine synthetase (γ-GCS) and l,3-bis(2-chloroethyl)-l-nitrosourea (BCNU), an inhibitor of glutathione reductase(GR), consistently induced phase 2/antioxidant enzymes as well as hypoxia-inducible factor-1 (HIF-1), prolylhydroxylase (PHD), guanosine 3',5'-monophosphate (cGMP)-dependent protein kinase (PKG) that have been postulated to be redox sensors. Furthermore this induction by GSH depletion was not affected by the presence of the phytochemicals except a few compounds such as sulforaphane, suggesting that the depletion of GSH could be a major signal which lead to the induction of phase 2/antioxidant enzyme by the majority of phytochemicals.

      • Program Annotation Charles-Marie Widor Introduction et Rondo for Clarinet and Piano,op.72 Johannes Brahms Sonata No.2 in E flat Major Op.12 Franz Schubert Der Hirt auf dem Felsen, “The Shephered on the Rock”, D. 965 (op. 129) Joseph Horovitz Sonatina for Clarinet and Piano

        홍예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연구자의 석사과정 졸업 연주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샤를 마리 비도르 (Charles-Marie Widor, 1844-1937)의 <Introduction et Rondo for Clarinet and Piano, op.72>, 요하네스 브람스 (Johannes Brahms, 1833-1897)의 <Clarinet Sonata No.2 in E flat Major Op.12>, 프란츠 슈베르트 (Franz Schubert, 1797-1828)의 <“Der Hirt auf dem Felsen”,(The Shephered on the Rock), D.965 (op. 129)>, 죠셉 호로비츠 (Joseph Horovitz ,1926-2022)의 <Sonatina for Clarinet and Piano>에 관한 연구이다. 오르가니스트이자 작곡가인 샤를 마리 비도르 (Charles-Marie Widor, 1844-1937)의 <Introduction et Rondo for Clarinet and Piano, op.72>은 클라리넷이 지닌 폭넓은 음역과 화려한 음색 및 기교를 보여주는 낭만주의적 표현주의적 작품이다. 요하네스 브람스 (Johannes Brahms, 1833-1897)의 <Clarinet Sonata No.2 in E flat Major Op.12>는 베토벤의 고전주의적인 전통적 음악 양식과 낭만주의적 감정적 특징 을 융합한 ‘고전적 낭만파’에 속하는 브람스의 곡으로, 브람스 24개의 실내악 곡 중 마지막 작품이다. 이 작품을 통해 브람스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려 한다. 프란츠 슈베르트 (Franz Schubert, 1797-1828)는 31년이란 짧은 생애 동안 600여곡 이상의 작품을 남겼으며, 사망하는 해에 성악, 피아노, 클라리넷을 위한 곡인 <Der Hirt auf dem Felsen,“The Shephered on the Rock”,D 965 (op. 129)>을 남겼다. 목동의 심리에 따라 변화하는 조성과 가사의 흐름에 따라 클라리넷의 오블리가토 (Obblgato)1)의 쓰임과 클라리넷이 작품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연구해보고자 한다. 죠셉 호로비츠 (Joseph Horovitz ,1926-2022)는 영국을 대표하는 20세기 현대 작곡가 중 한 명으로, 그가 위촉받아 작곡된 <Sonatina for Clarinet and Piano>는 3악장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3악장으로 구성되어 고전적인 형식을 따르며, 각 악장마다 리듬과 멜로디에 재즈와 팝적인 특징이 나타난다. 이 곡을 통해 악장별로 녹아있는 현대적인 재즈와 팝의 특징을 살펴보려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search researcher’s master’s degree graduation recital program : Charles-Marie Widor, 1844-1937) <Introduction et Rondo for Clarinet and Piano, op.72>, Johannes Brahms, 1833-1897) <Clarinet Sonata No.2 in E flat Major Op.12>,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Der Hirt auf dem Felsen”,(The Shephered on the Rock), D. 965 (op. 129)>, and (Joseph Horovitz ,1926-2022) <Sonatina for Clarinet and Piano>. Charles-Marie Widor’s <Introduction et Rondo for Clarinet and Piano> is romanticism music, made with unconstrained art of composition and expressionistic, and it well shows fancy technique and wide register of clarinet. Johannes Brahms’s <Clarinet Sonata No.2 in E flat Major Op.12> is his last chamber music, and it is concise and simple. Its composition is traditional sonata and, is made of three movement with Exposition-Development-Recapitulation and is using compound three part form, and variation. Melodious wide register, chromatic progress, nonharmonic tones, and irregular rhythm makes the composition fancy mood, and it also shows romanticism characteristics. Brahms expresses his own color by adding the traditional form of classical music and the expression of romantic music.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Der Hirt auf dem Felsen”,(The Shephered on the Rock), D. 965 (op. 129) > is made of clarinet, vocal music and piano, and clarinet’s meoldy is used as Obligatto. Clarinet is not only used as accompaniment, but also used as main melody, expression lyrics, changing psychology of shepherd and natural landscape, and leading with vocal. Harmony of voice and Clarinet’s Obligatto is the main theme of the composition. Joseph Horovitz’s <Sonatina for Clarinet and Piano> stands out 20th century’s Jazz and pop melody and rhythm out of classical three movement form. It shows combination of modern melody and traditional form

      • 남성의 돌봄 참여 경험을 통한 성역할 규범의 변화 가능성과 한계

        홍예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the system of paternity leave for men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way to balance work and family life of workers. This is a system designed to reduce the burden of dual labor between women 's care work and wage labor as the vacancy of care occurs and low fertility problems arise. However, male participation is lower than that of female participants. The reason for the low rate of male participation in the parental leave system was the stereotype that the males were not suitable as the main caretaker for the child caring. Nevertheless, the number of male paternity leave is on the rise,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number of paternity leave will increase even more if the increase of male participation in care continues. The question of whether gender role perceptions of males on parental leave differed from the existing norms of gender roles which was raised.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this problem, this study conducted an in - depth interview focusing on eight men who participated in care work, and examined the perception of gender role norms and how gender role norms appeared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in care 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viewees perceived negatively about traditional gender role norms. According to the existing norms on gender role , men had the right to exempt care for having economic responsibility. However, the interviews did not strongly recognize the role of breadwinner, and felt that working with their spouse was necessary. This can be seen from the economic and social unrest that has deepened since the IMF, including economic instability, a decline in men's economic status, and an increase in women's employment. Second, the interviewees participated in a gendered way in the caring for their children and participating in domestic labor. The interviewees insisted that they did not have a sense of gender role, but they left the area as a share of spouse such as playing with their children or labor that can be represented as feminine within the division of domestic labor. The interviewees also insisted that their role was a result of biological differences in participating in work that could be physically damanding or dirty, not a consequence of gender role norms. Third, despite the fact that there was a crack in the gender role norm that was given to the care area, the interviews showed that the gender role norm is reproduced by the attitude of the family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is because it appears to be helping the areas that can be represented as feminine . However, the interviews did not regard the help of the surroundings as a result of the perception of gender role, and perceived the help as being natural or receiving the help of the weak par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rception of men 's gender role norms through caring participation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at of existing gender role norms.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here the existing economic development was a major ideology, men's economic responsibility as a family was a key factor in gender division. However, due to the Korean social structure that has changed since the economic crisis, the existing gender role norms are gradually in the process of change. Moreover, as the men ar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care work at the national level, the existing gender role norm in the area of care is being cracked. As a resul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ale who is on parental leave shows the illusion effect that seems to change the existing gender norm.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existing gender role norm still works in the way of sharing the burden and responsibilities of housework. Moreover, this method is difficult to capture directly, and the illusion effect due to the change of gender norms in some areas such as care work and economic responsibility is appearing. This suggests that gendered forms of labor tend to be overlooked. 최근 근로자의 일과 가정생활 균형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으로 남성의 육아휴직 제도가 주목받고 있다. 이는 돌봄의 공백이 발생하고 저출산 문제가 야기됨에 따라 여성의 돌봄 노동과 임금 노동 간의 이중노동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기 위하여 마련된 제도이다. 그러나 남성들의 참여는 여성 참여자들에 비해 저조한 수준이다. 남성들의 육아휴직 제도 참여율이 낮은 원인을 살펴보면, 남성이 자녀 양육을 하는데 주된 양육자 역할로 적합하지 않다는 성역할 고정관념이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성 육아휴직자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남성들의 돌봄 참여의 증가가 지속된다고 가정할 때 향후 육아휴직자 수는 더 늘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면 남성 육아휴직자의 성역할 인식은 과연 기존의 성역할 규범의 성격과 다른 것인지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돌봄 노동에 참여하는 남성들 8명을 중심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여 성역할 규범에 대한 인식과 돌봄 노동 참여과정 내에서 성역할 규범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은 전통적인 성역할 규범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기존의 성역할 규범에 대한 논의에 따르면 남성들은 경제적 책임감을 가짐으로써 돌봄의 면제권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연구대상자들은 생계부양자 역할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지 않았으며, 배우자와의 맞벌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는 경제적 불안정성과 남성의 경제적 지위의 하락, 그리고 여성의 취업 증가 등 IMF 이후 심화된 경제적·사회적 불안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해볼 수 있다. 둘째, 연구대상자들은 자녀를 돌보는 방식과 가사노동 참여 방식에서 젠더화된 방식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연구대상자들은 성역할 인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주장하면서도 자녀와 놀아주거나 가사노동 분업 내에서 여성적으로 표상될 수 있는 영역은 배우자의 몫으로 남겨두고 있었다. 또한 연구대상자들은 자신의 역할을 육체적이거나 심리적으로 더럽다고 느껴질 수 있는 노동에 참여하는 것에 대하여 생물학적인 차이 일 뿐, 성역할 규범이 반영된 결과가 아님을 주장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자들은 돌봄 영역에 부여되었던 성역할 규범에 대하여 균열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족과 주변 환경의 태도로 인해 성역할 규범이 재생산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주변에서 여성적인 것으로 표상될 수 있는 영역들에 대하여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구대상자는 주변의 도움을 성역할 인식이 반영된 결과로 여기지 않았으며, 주변의 도움을 당연하다고 인식하거나 자신이 미흡한 부분에 도움을 받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돌봄 참여를 통한 남성들의 성역할 규범에 대한 인식은 기존의 성역할 규범의 성격과는 일부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의 경제발전이 주요 이데올로기였던 근대화 및 산업화 과정에서 남성들은 가정으로서의 경제적 책임감이 성별 분업의 핵심 요인이었다. 그러나 경제위기 이후 변화된 한국 사회구조로 인해 기존의 성역할 규범은 점차 변화의 과정에 놓여있다. 더욱이 국가 수준에서 남성들의 돌봄 노동 참여를 권장함에 따라 돌봄 영역에 대한 기존의 성역할 규범의 균열이 가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로 인해 남성의 육아휴직자 수의 증가는 일견 기존의 성역할 규범이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는 착시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여전히 가사노동의 분담과 책임을 분담하는 방식 내에서 여전히 기존의 성역할 규범이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방식은 직접적으로 포착하기 어려우며, 돌봄 노동과 경제적 책임감 등 일부 영역에서 나타나는 성역할 규범 변화로 인한 착시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젠더화된 노동 형태에 대해서는 간과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rogram Annotation : J. S. Bach Violin Sonata No. 1, BWV 1001, E. Grieg Violin Sonata No. 3, Op. 45, P. Sarasate Zigeunerweisen, Op. 20

        홍예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필자의 석사과정 졸업 연주 프로그램에 수록 된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6-1750)의《바이올린 소나타 제1번 BWV 1001》, 에드바르드 하게루프 그리그(Edvard Hagerup Grieg, 1843-1907)의《바이올린 소나타 제3번, Op. 45》, 파블로 데 사라사테(Pablo de Sarasate, 1844-1908)의《찌고이네르바이젠, Op. 20》에 대한 연구이다. 바로크 시대의 음악을 대표하는 바흐는 종교작품부터 세속작품까지 다양한 장르와 규모의 작품을 작곡한 독일 작곡가이다. 그의《바이올린 소나타 제1번 BWV 1001》은 그가 쾨텐 궁정의 카펠마이스터로 지내던 쾨텐 시기(1717-1723)에 작곡된 작품으로, 바로크 시대 특유의 통주저음을 기반으로 하는 풍부한 울림을 찾아볼 수 있다. Adagio – Fuga – Siciliano – Presto의 악장 구성을 가진 이 곡은 중후하고 엄숙한 선율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을 대표하는 그리그는 노르웨이의 전통 민요와 민속적인 리듬을 자신의 작품에 잘 드러낸 노르웨이 민족주의 음악가이다. 그의《바이올린 소나타 제3번, Op. 45》는 그가 가장 전성기를 보내던 1887년에 작곡되었으며, 3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의 소나타 중 가장 높은 작품성을 보이는 이 곡은 노르웨이 춤곡풍의 주제가 제시되어《무곡 소나타》라는 별칭도 가지고 있다. 사라사테는 19세기를 대표하는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가로 당대 최고의 비르투오소 바이올리니스트이다. 그가 1878년 작곡한《찌고이네르바이젠, Op. 20》은 집시들 사이에 전해지는 각종 무곡을 소재로 다양한 주법을 더해 만들어낸 바이올린 독주 작품으로 집시 특유의 애수와 함께 동시에 정열적 색채가 특징적이다. 본 논문은 각 작곡가의 생애를 바탕으로 고전주의부터 민족주의까지 이어지는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의 음악적 흐름을 살펴보고, 각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해 음악적 이해를 돕고자 한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program of the author's master's degree graduation recital, which includes J. S. Bach's (1686-1750)《Violin Sonata No. 1, BWV 1001》, E. Grieg's (1843-1907)《Violin Sonata No. 3, Op. 45》, and P. Sarasate's (1844-1908)《Zigeunerweisen, Op. 20》. J. S. Bach, a German composer who represents the music of the Baroque period, composed a wide range of works from religious to secular pieces. His《Six Violin Sonatas and Partitas, BWV 1001-1006》were composed during his tenure as the Kapellmeister at the Köthen court (1717-1723) and are comprised of three sonatas and three partitas. Among these,《Sonata No. 1, BWV 1001》, is in G minor and is well-known for its rich resonance. The composition, structured in movements Adagio – Fuga – Siciliano – Presto, carries a profoundand solemn atmosphere. E. Grieg,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the Romantic period, is a Norwegian nationalist musician who effectively incorporated traditional Norwegian folk songs and rhythms into his works. His《Violin Sonata No. 3, Op. 45》, composed in 1887 during his prime, is structured in three movements. This piece, recognized as the most artistically significant of his sonatas, presents themes in the style of Norwegian dance music and is also known by the nickname《Dance Sonata》. P. Sarasate, a prominent Spanish nationalist musician of the 19th century, was one of the era's greatest virtuoso violinists. Most of his works are based on Spanish national dances and are composed as technically demanding violin pieces. His《Zigeunerweisen, Op. 20》, composed in 1878, is a violin solo piece that integrates various dance forms passed down among Spanish Gypsies, enhanced with diverse techniques and expressions. Although it is structured as a single movement, it can be analyzed in four sections according to tempo. This piece, showcasing the performer's technical prowess through various sophisticated techniques, reveals the distinctive melancholy and intense passion characteristic of Gypsy music.

      • Effective system for Hangul writing application : educational contents 'write&play' application development

        홍예슬 Hongik University, International Design School for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According to OECD’s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rganization’s) 2010 statistics, Korea’s computer penetration rate is 81.8% and Internet penetration rate 96.8%. These results are high compared to the rest of the world. Because of this, today’s children use keyboards rather than handwriting. As such, analog elements in handwriting, as well as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internet and science technology are crucial to Korea’s continued development. More than 70%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y Hangul prior to entering school. However, they write Korean characters using strokes in the wrong order. Understanding these problems and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 to write Hangul by using mobile devices is ideal for implementing proper execution of Hangul strokes in children. Accurate Hangul characters are essential to modern Korean society. As such, I focused on the correct order of strokes for children. My goal is developing an effective educational application system for children interested in educational content in commonly used devices.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의 통계수치에 따르면 2010년도 기준으로 한국의 컴퓨터 보유율은 81.8%, 인터넷 보급률은 96.8%로 세계에서 높은 축에 속한다.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현재 아이들은 직접 쓰는 글보다는 키보드로 입력하는 타자에 더 능숙해지고 글쓰기에 미숙해지고 있는 것이 현 지표이다. 인터넷 등 과학 기술의 발달과 동시에 직접 쓴 편지나 사생대회의 사설 등 아날로그적인 요소의 가치와 중요성도 동시에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글자를 단순히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누구나 잘 알아볼 수 있게 쓰는 것과 글자를 예쁘게 잘 쓰는 것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약 70~80%의 아이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한글을 공부하고 들어온다. 하지만 아이들의 필체는 좋지 않다. 이것의 이유는 아이들이 획순을 모른다는 좀 더 근본적인 문제점에 있다. ‘획순을 알면 필체가 좋아진다.’는 원칙하에 필체를 바로 잡기 위해 획순을 올바로 교육시킬 수 있는 교육용 콘텐츠(Contents)가 필요함을 실감하였다. 현재 어플리케이션 등 한글 받아 쓰기를 위한 다양한 콘텐츠가 존재하기는 하나 이러한 것들은 따라 쓴 필체와 획순에 대한 판별 기준이 없어서 아이들이 글씨를 따라 썼을 때, 글씨를 획순에 맞춰 제대로 따라 썼는지 따라 쓰지 못했는지에 대한 판단을 해 주지 못한다. 따라서 아이들이 즐겁게 공부할 수 있는 에듀테인먼트(Edutaintment)적인 요소를 가미시켜 실질적으로 교육적인 효과와 획순의 판별 기준이 정확하게 존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획하게 되었다. 아동에게 올바른 한글쓰기를 유도하고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한 콘텐츠로 가장 중요한 것은 이미지다. 따라서 받아쓰기 형식을 이용하여 아이들이 직접 글씨를 따라 쓰고 입력을 정확히 한 경우에는 그에 대한 보상으로 입력한 단어가 의미하는 이미지를 등장시켜줌으로써 아이들에게 지속적으로 글씨를 올바르게 쓰면서 놀 수 있도록 한다. 단어 쓰기를 이어 나갈 수록 더 많은 이미지가 계속해서 등장하고 이러한 이미지를 가지고 직접 위치를 옮기거나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재미있게 공부하는 효과적인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