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민간소비자단체의 소비자교육 현황과 발전방향

        홍연금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민간소비자단체에서 성인소비자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소비자교육 내용에 대해 모색해 보고 이러한 소비자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민간소비자단체의 소비자교육 여건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민간소비자단체에서 성인소비자를 대상으로 체계적인 소비자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문제는 첫째, 소비자교육에 관한 선행연구와 소비자피해 사례를 분석하여 민간소비자단체에서 실시할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소비자교육 내용을 구성한다. 둘째, 민간소비자단체의 소비자교육 현황을 조사하여 민간소비자단체의 소비자교육에 대한 실태를 분석 · 평가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문헌조사방법으로는 성인소비자에게 필요한 소비자교육 내용을 구성하기 위해 소비자교육 내용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비교 · 평가하였다. 그리고 실질적인 소비자피해 사례들을 파악하기 위해 1990년~1997년의 소비자상담사례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방법으로는 민간소비자단체의 소비자교육 현황에 대해 전국 182개 민간소비자단체를 대상으로 1996년~1997년동안 실시해온 소비자교육 실태와 여건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우선, 소비자교육 내용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분석을 통해 성인소비자들의 소비자능력 향상에 필요한 체계적인 소비자교육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최근 8년 동안의 소비자상담 사례를 분석하여 성인소비자들이 실제 겪고 있는 소비자피해 · 사례를 바탕으로 성인소비자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소비자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민간소비자단체의 96년~97년동안의 소비자교육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 교육 내용에 있어서는 다른 주제들에 비해 소비자불만처리와 소비자 관련 법에 대한 교육에 편중되어 있으며 소득, 저축 · 투자, 지출계획에 관한 교육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등 한정된 주제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교육의 주제 선정도 소비자피해 사례나 시기에 적절한 주제를 중심으로 임의적인 주제 선정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교육 방법은 대부분 강의 및 토론식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소비자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민간소비자단체의 여건은 열악한 환경으로 대체로 1명의 담당 실무자들이 다른 업무들을 겸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비자교육의 예산은 자체 예산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나 중앙정부의 지원액이 단체 및 지역에 따라 큰 차이가 있어 아직까지 소비자교육에 대한 제도나 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주제별 영역의 강사 확보의 문제 및 외부강사만으로 이루어진 소비자교육의 증가 등 소비자교육에 관한 강사의 부족으로 인한 문제들을 지적할 수가 있었다. 이에 민간소비자단체의 소비자교육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실행시킬 방안에 대한 제안으로는 민간소비자단체 별로 소비자교육에 대한 특성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소비자교육 방법을 다양화시켜야 한다. 그리고 중앙정부나 자치 단체의 사회소비자교육에 대한 지원이 정책적으로 마련되어져야 하며, 지역의 관련 기관과 상호 협력이 증대되어져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ope for the systematic and practical consumer education contents In adult consumer education of consumer association and to present the device enabling to prepare consumer education conditions of consumer association which can put this consumer education in practice. This information included 1) to compose systematic and practical consumer education contents which would be enforced by consumer association by analyzing the previous study on consumer education and the case of consumer problem, and 2) to analyze and evaluate the real state of consumer education of consumer association by survey instrument the present condition of consumer education of consumer association.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research and survey instrument wer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As literature research method the previous study on consumer education contents were compared and valuated to compose the consumer education contents needed to adult consumer. And, the consumer consultation cases of 1990 through 1997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virtual consumer problem cases. As survey instrument, the real state and conditions of consumer education which has been practiced during 1996 through 1997 by subjecting 182 consumer associations all over the country were surveyed about the present condition of consumer education of consumer association. The major findings and suggestions as follows. 1. As the result on consumer education content needed to adult consumers, the first the contents for improving consumer ability were largely divided into the basic principle of market economy & consumer value education, purchase and household economy education, consumer right · consumer role education, and these are classified into seven fields, so total 31 contents were established as detail items of each field. Th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consumer consultation cases for recent 8 years, the problems by item in cultural item, daily commodities, clothes and wash-related item, culture · entertainment item was increased. And the problem of culture · entertainment item has been increased rapidly since 1995, and by demand reason type the problem of contact cancellation and quality · function, service type were badly. And, there's no great change in average component ratio of consumer consultation cases. Therefore, on the grounds of these results, the education contents needed to adult consumer practically are designated as the big theme of goods items, and the education contents are composed of centering around the demand reason type such as knowledge about A/S, consumer problem compensation regulation, contact cancellation-related education, from goods purchasing to using, etc. 2. As the results on the present condition of consumer education of consumer association during 1996 through 1997, the first, there's no great change between 1996 and 1997 components ratio in consumer education contents practiced in consumer association, and the education of various themes wasn't practiced. Consumer education contents mainly practiced by them was examined like follows ; the theme on consumer dissatisfaction treatment were 25 times, consumer-related law 21 times, consume desire and consume life 13 times, etc. On the other hand, the theme which had been never practiced during 1996 through 1997 were those of income, expenses plan, saving · investment. Second, consumer association has practiced consumer education about the yearly mean two times, and the short term · intermittent consumer education was increased in 1997 compared to 1996, and the education method in both years were most lecture and discussing method. The teaching materials was developed and produced in itself and the dependence degree on outer lecturer was high. The publicity method of consumer education was utilized diversely, the education subject was mainly district residents, and the attendants was diverse from below 10 persons to above 200. The theme of consumer education was selected centering around consumer consultation cases. And, in the aspect of an official in charge of consumer education of consumer association, the case having an official in charge of consumer education was 72.0%, and the case having no was 24.1%. In case having an official in charge of consumer education, most officials had another businesses at the same time, and their own budget and the financial support by central government or self-institution were diverse according to district and institution. As restrict factors in practicing consumer education, the shortage of budget and the collection of education subject was the most difficult one, and in confirming consumer education lecturer, all have difficulty by each theme field. The systematic and practical consumer education contents for developing consumer ability of adult consumer could be composed through these results, and the related-research and financial ·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consumer education of consumer association should be done.

      • 우리나라 윤리적 소비자에 대한 사례연구

        홍연금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39

        급속한 경제발전과 소비의 증가는 환경오염과 다양한 사회 문제를 발생시켜 인간의 생존까지 위협하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생산을 담당하는 기업 뿐 아니라 개인 소비자 또한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소비행동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도 윤리적 소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를 실천하는 소비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례조사를 통해 국내 윤리적 소비자들이 왜 윤리적 소비를 선택하게 되었는지 그 배경과 동기에 대해 조사하고 이에 따라 윤리적 소비를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조사에 앞서 각 연구마다 명확히 설정되어 있지 않은 윤리적 소비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소비에 대한 개념을 소비자의 개별적·도덕적 신념에 따라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소비행동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여기에서의 사회적 책임이란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지속가능한 소비의 책임, 동시대 인류를 위한 책임으로 설정하였으며 소비행동의 범위는 자원의 배분, 구매, 사용, 처분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개념을 토대로 윤리적 소비자 14명을 심층 조사하여 개방형 코딩 방법을 이용하여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였다. 소비자들이 왜 윤리적 소비를 선택하였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우선 주로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와 이들의 소비에 대한 태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윤리적 소비자들은 참삶의 방법과 자아성숙에 관심이 높았으며 환경오염에 대한 걱정과 자연에서 느낄 수 있는 편안함을 동경하여 자연 속에서 살아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큰 관심을 갖고 있었다. 또한 현재 우리가 사는 사회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보다 다양한 관점을 통해 우리 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며 더 나은 사회를 위한 방법으로 사람들 간의 교류와 작은 공동체 만들기 등에도 관심을 갖고 있었다. 둘째, 이들은 소비를 조장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과 대형할인마트에 대한 문제점, 소외된 소비에 대해 비판적이었으며 보이기 위한 소비와 편리함에 기준을 둔 소비를 하는 소비자에 대해서도 비판적이었다. 즉 이들은 소비자들이 내적 세계보다 겉으로 보여 지는 소비에 집착하고 개인의 편리함만을 추구하기 위해 필요 이상의 구매와 무분별한 쓰레기 처분 행동들이 환경오염과 심각한 사회적 문제의 원인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이들이 윤리적 소비를 시작하게 된 결정적 동기는 무엇이었을까? 조사 결과 처음 윤리적 소비를 시작한 동기로는 가족과 주변사람들의 영향과 자신의 직업(일)이 윤리적 소비와 관계된 일로 변화된 경우, 자연·환경과 관련된 경험들을 꼽고 있었다. 그리고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윤리적 소비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내면적 만족감이나 가족의 건강과 같은 개인적 만족을 위한 이유와 “우리”농촌 살리기, 환경의 이유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은 수입밀로 인해 우리밀 농사가 모두 없어졌던 사건을 통해 농촌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환경에 대한 고려는 본 연구의 사례 대상자 거의 대부분이 공통적으로 고려하는 이유로 자신의 소비를 통해 가능한 환경에 해를 줄이려는 의식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동기로 인해 실천하게 된 윤리적 소비로는 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한 책임 범위의 소비행동을 가장 많이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환경친화적 소비, 소비 절제행동, 자발적 간소화, 동물성 식품이나 일회용품 등의 제품에 대한 불매행동을 실천하고 있었다. 그리고 동시대 인류를 위한 책임 범위의 실천으로는 공정무역, 로컬 구매, 공동체 화폐 운동, 나눔· 기부 등이 있었다. 본 연구는 윤리적 소비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설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 실천하고 있는 윤리적 소비자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윤리적 소비자에 대한 이해를 넓혀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소비자들이 갖추어야 하는 소비 가치관에 대한 교육과 윤리적 소비가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