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해상도 RegCM4로 모의한 RCP(4.5/8.5) 시나리오에 따른 우리나라 지역의 극한기후 변화 전망

        홍송이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ject the detailed changes of extreme climate over South Korea under the two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scenarios. Long term simulations for current (1979-2010) and future (2019-2050) climate over North-East Asian region were performed using RegCM4 with 12.5 km resolution driven by HadGEM2-AO under two RCPs 4.5/8.5 scenarios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The simulation skills of RegCM4 for the extreme climate simulations were evaluated with the daily observation data (maximum/minimum temperature, precipitation) of 50 stations from KMA. Two types of definition for the extreme climate were used based on the intensity and frequency of weather event. The one is the percentile method (highest/lowest 5%: four extremes: daily maximum, minimum, diurnal temperature range, and extreme daily precipitation) and the other is absolute threshold method (seven extremes: hot, tropical night, frost, freezing, wet, dry, and heavy rain days). Also, three types (mean, median, and linear regression) of bias correction method were developed to minimize the systematic biases of the simulation results by RegCM4. RegCM4 driven by HadGEM2-AO simulated comparatively well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xtreme climate in South Korea in comparison with observation. However, the RegCM4 generally underestimated intensity and frequency of most of extreme climate indices. Biases for the TX5%, TN5%, and ETR5% are -1℃, -2℃ and -1℃, respectively. Although the improvements were not consistent and systematic, the applications of bias correction have reduced the RegCM4's bias and RMSE (Root Mean Square Error), and increased the spatial correlation. The simulation results of RegCM4 with two RCP (4.5/8.5) scenarios showed that the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will be increased in South Korea. Also regardless of RCP scenarios, the freezing (tropical night) days are expected to significantly decrease (increase) by the mid of the 21st century. The correction levels of the bias correction methods is clearly dependent on the types of extreme climate.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robust bias correction method is needed to improve the projection skills for the extreme climate indices over South Korea.

      • 초현실주의 회화에 나타난 표현방법 연구 :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홍송이 수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An artist come to devise several kinds when searching for material of a work. Whatever it became, the artist comes to explore from oneself and around oneself. What the artist takes it seriously, what the artist continues to have curiosity, and the material through own worry or own experience make a work appear through the artist`s hand, mind, and brain. In other words, it implies that own work cannot be explained except 'me'. The psychiatrist Freud, who had considered potential consciousness through psychiatrist, named depth psychology and psychoanalysis what researches into contents and process(namely, unconscious system), which are being interrupted in consciousness by any psychological power. According to Freud, he says that "psychoanalysis is work of filling a gap in the conscious concept by analyzing the unconscious process as conscious process." and analyzes it as saying that a human being`s ego is continuously active even during day. There is surrealism that had inquired into a human being`s unconsciousness by being influenced by Freud`s psychoanalysis. Surrealism is art movement that hadn`t stopped in discovering a even realization from a human being in discovery of unconsciousness. The best means in expressing deep psychology like unconscious world is through to be art. This study was researched in order to explore surrealism that allowed own work to be theorized on the unconscious world that reality and unreality coexist, and that had influenced own work. As the procedure for this study, and the Chapter I will examine a concept and significance of surrealism, and the formation background and process that become surrealism. After theoretically considering of being indicated in surrealism, the aim is to describe on Automatism and Depaysement,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surrealist painting. Based on the above contents, Chapter 2 analyzes the content-based aspect of unconscious world in own work, and the image and materials, which were shown in a work, and describes on Depaysement, which is expressive characteristic of surrealism, thereby aiming to analyze connectivity between surrealist painting and own work. Through this study, the aim is to consider surrealist painting and to analyze own work.

      •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 과정 연구 : 근거이론적 접근

        홍송이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대학입학 후 첫 학기는 학업, 인간관계, 생활면에서 모든 것이 새롭게 시작되므로 변화의 필요성이 가장 크게 느껴지는 시기이다. 첫 학기 전환 과정을 잘 이해하는 것은 후속 학기 전환에 기초가 되며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에도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등교육에서 고등교육으로의 전환기를 맞이한 신입생들의 전환 경험을 이해함으로써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 과정에 대한 이론을 생성하고자 시행되었다. 대학입학 전 예비대학생 시기부터 입학 후 1학기 말까지 전환 경험의 종단적 자료를 수집하여 Strauss와 Corbin(2001), Glaser와 Strauss(2011)가 제시한 근거이론적 접근에 따라 중요 시기별 전환 경험을 분석하였고, 첫 학기 전 과정에 걸쳐 나타난 통시적 전환 유형의 변화 양상을 탐색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대학입학을 앞둔 남학생 12명, 여학생 20명인 총 3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1월 말에서 2월 말 사이에 이루어진 1차 면담 자료를 근거로 대학입학 전 전환 경험을, 입학 후 4월 말에서 5월 초 사이에 이루어진 2차 면담 자료를 근거로 중간고사 이전 전환 경험을, 6월 말에서 7월 초 사이에 이루어진 3차 면담 자료를 근거로 중간고사 이후 전환 경험을 분석하였다. 예비신입생들의 대학입학 전 전환 경험을 개방코딩한 결과, 66개의 개념과 23개의 하위범주,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원인 조건으로 ‘대학 및 학과 선택 동기’ 범주가 도출되었고, 이러한 원인 조건이 중심 현상을 일으키게 되는 맥락적 조건으로 ‘대학생 역할 인식’ 범주가 나타났다. 중심 현상에 개입하게 되는 조건으로는 ‘대학에 대한 사전 경험’과 ‘생활공간 이동 예정’이 나타났으며, 이로 인한 중심 현상은 ‘대학생활에 대한 기대와 걱정’이었다. 그리고 개입 조건에 의해 나타난 상호작용 전략은 ‘대학생이 된 자신을 상상해 봄’이었고, 최종적인 결과 범주로는 ‘대학생이 될 준비’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7개의 범주들에 걸쳐 11개의 속성과 30개의 차원이 발견되었다. 선택코딩에서 도출된 핵심 범주는 ‘막연한 걱정, 설레는 기대, 대학생이 된다는 기다림’으로 요약되었다. 대학입학 전 전환 유형은 주로 대학 및 학과 선택 동기와 사전 대학 경험에 영향을 받아 ‘활동적 준비형’, ‘자기관리형’, ‘정서적 반응형’, ‘느긋형’의 4가지로 분류되었다. 대학입학 후부터 중간고사 이전까지 대학신입생들이 경험한 전환을 개방코딩한 결과, 128개의 개념과 37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원인 조건으로 ‘성공적인 대학생 기준’ 범주가 도출되었고, 맥락적 조건으로 ‘고등학교와 대학환경의 차이 인식’ 범주가 나타났다. 개입 조건으로는 ‘학과의 특성’과 ‘교수, 선배의 지원’,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이 나타났으며, 이로 인한 중심 현상은 ‘전환 동기 형성’이었다. 상호작용 전략은 ‘전환 정보 수집’, ‘전환 모방’, ‘개인적 전환 전략 수립’이었고, 최종적인 결과 범주로는 ‘달라진 학업세계에 대처’, ‘달라진 인간관계에 대처’, ‘달라진 생활에 대처’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12개의 범주에 걸쳐 12개의 속성과 27개 차원이 나타났다. 선택코딩에서 도출된 핵심 범주는 ‘낯설지만 받아들인 세계, 새로운 도전’으로 요약되었다. 중간고사 이전 전환 유형은 주로 대학신입생들이 학기 초에 고등학교와의 차이를 인식하고 대학생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동기, 학과의 특성, 주변의 지원에 영향을 받았으며, ‘나홀로 소극 전환형’, ‘나홀로 적극 전환형’, ‘더불어 적극 전환형’, ‘더불어 적당히 동조형’, ‘선별적 전환형’, ‘표류형’의 6가지로 분류되었다. 중간고사 이후부터 학기말까지의 전환 경험을 개방코딩한 결과, 100개의 개념과 24개의 하위범주,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원인 조건으로 ‘중간고사 후 자기 평가’ 범주가 도출되었고, 맥락적 조건으로는 ‘전환 재조명’ 범주가 나타났다. 개입 조건으로는 ‘이전 전환 경험’과 ‘전환 의지’가 나타났으며, 중심 현상은 ‘전환 동기 형성’이었다. 상호작용 전략은 ‘우선순위 적용 전략’과 ‘자기주도적 전환 전략’이었고, 최종적인 결과 범주로는 ‘전환조정과 재전환’, ‘1학기 전환 마무리’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9개의 범주들에 걸쳐 15개의 속성과 31개 차원이 발견되었다. 선택코딩에서 도출된 핵심 범주는 ‘나를 찾아가는 대학생 되기, 진정한 탈바꿈’으로 요약되었다. 중간고사 이후 전환 경험의 유형은 주로 시험 이후 자기주도적으로 전환을 진행하고자 하는 동기, 이를 자발적으로 실천하려는 전환 의지에 영향을 받아 ‘계속 발전형’, ‘만족 지속형’, ‘무목적 분주형’, ‘계획 미이행형’, ‘조기 포기형’의 5가지로 분류되었다. 시기별 전환 경험을 통합한 축코딩 모형을 구축한 결과, 이전 시기의 전환 결과는 원인 조건에 영향을 주면서 서로 연계되어 있었고, 세 시기에 걸쳐 전환 현상에 영향을 주는 범주들은 동기적 요소, 전략적 요소, 실천적 요소로 요약되었다.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은 ‘도입 단계’, ‘정보 수집 단계’, ‘적용 단계’, ‘조정·재적용 단계’, ‘마무리 단계’를 거치면서 전개되었다. 전환 과업의 내용이나 필요에 따라 각 단계는 순차적으로 진행되기도 하고, 역행 및 반복적인 특징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대학신입생의 전환 경험을 통시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동기, 전략, 실천의 3요소를 강약의 차원으로 구분하여 유형을 분석한 결과, ‘모방동조형’, ‘분주활동형’, ‘은둔정보형’, ‘냉담형’, ‘시행착오형’, ‘균형성취형’, ‘의도적유보형’, ‘마음만굴뚝형’의 8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각 유형이 세 시기별로 어떠한 변동 양상을 나타내는지 분석한 결과, ‘유형일관형’, ‘유형변화무쌍형’, ‘대학입학 후 유형일관형’, ‘유형유지 후 변동형’, ‘유형회귀형’의 5가지 변화유형이 나타났다. 이는 첫 학기 전환 경험이 동기, 전략, 실천의 강도에 따라 역동적이라는 것과 대다수 연구 참여자들의 전환 유형이 한 가지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대학생활적응의 필요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 경험을 다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전환기 신입생들의 경험의 “역동성과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발견들을 반영하여 생성한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 과정 이론’은 대학신입생이 첫 학기 동안 대학입학, 중간고사, 기말고사라는 주요 국면마다 전환의 각 단계를 거쳐 가며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성장해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전환적 관점의 이해가 갖는 의의와 대학생활적응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대학생으로의 전환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이와 관련된 정책 및 학술적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a theory of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s from secondary to college education that reflects the transition experiences of the first-year college students over various areas of university life.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by Strauss and Corbin(2001), Glaser and Strauss(2011) was used in this investigation. In the study,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s consist of three transition time-points of the admission and entrance to university, the mid-term examination, and the end of the term. College students’ first semester transition experiences were analyzed by each transition period, and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transition experiences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of the first semester were explored. In order to collect longitudinal qualitative data, for about six mont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2 interviewees including 12 male students and 20 female students, who were entering university. The first interviews were conducted before entering the university. The second interviews’ data was collected after the mid-term and the final interview took place after the end of the term. As a result of the opening coding and axial coding based on the first interviews, 66 concepts, 23 subcategories, and 7 categories were extracted, and 11 attributes and 30 dimensions were found across the categories. The core category derived from selective coding was named as 'worries with vagueness and excitement with expectations in looking forward to becoming college students'. Four types of transition during this period were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s of the levels of the motivation to choose one’s own college and prior experiences about college life: 'active preparation', 'self-management', 'emotional reaction', and 'relaxed' In the second interviews,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have found 128 concepts, 37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in which 12 attributes and 27 dimensions were involved. The core category derived from selective coding was named as 'new challenges with strange roles'. Six types of transition during this period were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s of the levels of motivation of trans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and significant others’ supports: ‘passive and individualistic transition’, ‘active and individualistic transition’, ‘active and collective transition’, ‘conforming transition’, ‘partial transition’, ‘drifting’ Regarding the final interview,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have found 100 concepts, 24 subcategories, and 9 categories in which 15 attributes and 31 dimensions were involved. The core category derived from the selective coding was named as 'becoming a college student who is exploring the self, a real transformation'. Five types of transition experience during this period were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s of the levels of self-initiative transitional motivation and willingness: ‘continuing development’ 'satisfying', 'aimless busy', 'not implementing with plan only', 'foreclosing’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 of freshmen was proceeded by five steps of 'introduction', 'collecting information', 'application', 'adjustment and reapplication’, and 'finishing'. Depending on the contents and needs of the transition task, the sequence of the steps was somewhat varied. In addition, the transition types were determined by the levels of transitional motivation, strategies, and practice. The changing patterns of those transition types were explored over three transition periods. The changing pattern types include 'consistency', 'all-the-time change', 'first-half change and second-half consistency' 'first-half consistency and second-half change’, ‘regres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 experiences were dynamic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the motivation, strategies, and practice, and that mos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ransition type was not fixed as one but changed with the needs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s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aking a transitional perspective on the adaptation of college for the first semester is necessary to help college students adapt successfully to college world. Further studies of transition to college students are needed to understand college students’ real-life transitional exper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