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수학교 학생들의 컴퓨터교육을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법 적용과 평가

        홍성미 청주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학과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정보화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현대인들은 정보화 시대에 적응하기 위해 컴퓨터 교육을 받으며 사회에 발맞춰 나아간다. 이는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학교 교육에서는 정보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컴퓨터과목을 선택하여 학생들을 교육하고 있다. 이런 현실은 지체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특수학교도 예외일 순 없다. 오히려 컴퓨터 교육은 지체장애 학생의 불편한 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체장애가 있는 학생에게 더욱 유용한 것이다. 그러나 지체장애 학생들의 컴퓨터 교육에는 제한이 많다. 장애정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보조기기가 부족하여 학교를 제외한 기타 교육기관에서는 그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지금보다 지체장애 학생들이 자유롭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특수학교는 그 역할을 담당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특수학교 지체장애 학생들에게 새로운 교수-학습법을 제안하여 그 효율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의 컴퓨터교과 중 한글수업을 참관하여 교수-학습법을 파악하고 비교한다. 또한 평가를 위해 특수학교 지체장애 학생들에게 기존 교수-학습법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새로운 교수-학습법을 적용한 후 다시 한 번 설문조사를 한다. 조사된 설문을 통하여 새로운 교수-학습법이 장애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다. As the science and civilization are developing, the information grows up rapidly. Moderns are keeping pace with the society to adapt to the age of information receiving computer training. This also applies same to the educational aspect. In school education, the importance of the information was recognized and the computer training courses were selected and taught to the students. The special school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nnot be the exception in this reality. Rather, the computer training is more useful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aspect of complementing their disabilities. However, there are many restrictions in the computer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Due to the lack of auxiliary computer equipment to use depending on the severity,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other than schools has their limits. To allow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use computer more freely in future than now, the continuous and systematic training is needed and the special school has to be in position to take that rol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new teaching-learning method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suggested and verified its efficiency. For this purpose, the current teaching-learning method will be examined and compared by attending Hangeul class of the computer training courses in the special schools and regular schools. In addition, for evalua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existing teaching-learning method will be conducted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the special schools and after applying new teaching-learning method, the questionnaire survey will be conducted again. Through the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the impact of the new teaching-learning method on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all be analyzed.

      •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기관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연구

        홍성미 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기관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연구“ 현대의 지식정보 산업으로 인한 네트워크의 발달과 더불어 개인주의의 심화, 조직의 경영방식의 변화는 사회복지조직의 질적 성장과 운영을 위하여 조직을 효율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리더십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만큼 종사자들이 마음 놓고 일 할 수 있도록 서번트 리더십의 확산이 필요하다는 가설 하에 연구를 시작하였다. 사회복지조직에서 기관장과 종사자들은 업무에 대한 의존성이 높기 때문에 상호 협력과 소통을 통하여 조직의 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서번트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서번트 리더십이 사회복지조직에서 효과적인 리더십 모델로 기능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분석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배부된 200부 중에 199부를 회수하고, 자료 분석에 용이하지 않은 5부를 제외한 194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 서번트 리더십 인식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인식의 하위영역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직무스트레스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 직장 근무형태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인식은 모든 하위영역에 대해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둘째, 직무만족의 하위영역에 대해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직업안정성 영역에 대해서 50대가 20,30대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현 직장근속년수에 따른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보수영역에 대해서 1년 미만이 1-3년 미만, 3-5년 미만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현 직장 근무형태에서는 직업안정성 영역은 이용시설이 기타분야 종사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기관장에 대한 서번트 리더십 인식의 하위영역에 대해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현 직장 근속년수에 따른 인식에 있어서는 공감대형성, 구성원성장영역에 대해서 1년 미만이1-3년 미만 보다 유의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현 직장 근무형태에 있어서 이용시설이 사회복지 관련 단체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보수영역에 대해서 사회복지관이나 이용시설, 기타분야 종사자가 생활시설이나 사회복지 관련 단체 종사자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기관장에 대한 서번트 리더십 인식에 대해서는 공감대형성, 구성원성장, 공동체형성 영역에 대해서 이용시설이 사회복지 관련단체 보다 유의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월 소득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인식은 모든 하위영역에 대해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으며, 직무만족의 보수영역에 대해서 150-200만원 미만, 200-250만원 미만, 250만원이상이 150만원 이하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만족에 따른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직무만족 하위영역과 서번트 리더십 인식 하위영역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이를 통해 기관장에 대한 서번트 리더십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직무만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직무만족도 영향에 대해서 서번트 리더십이 갖는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상호작용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서번트 리더십이 조절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회복지조직에서 서번트 리더십이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동시에 주요한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번트 리더십이 종사자들의 직무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감안하여, 앞으로의 연구에 대한 한계 및 발전적인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횡단적 연구로는 방법이 갖고 있는 한계를 극복 할 수 없다. 이후에는 다양한 변수를 설정하여 다각도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설문을 통한 질문지법 외에 직접 조사대상자에 대한 면접이나 관찰,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병행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둘째, 사회복지시설의 사회복지사에 대한 직무스트레스를 낮추어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서번트 리더십 외에 다른 조절변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서번트 리더십의 목표지향적인 활용을 고려하여 직무만족 이외에도 종사자의 이직의도, 조직유효성 등의 성과변수를 다양하게 사용하고 조절변수를 사용하면 폭넓게 비교하여 세부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중에서 이용시설을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나, 앞으로 사회복지 생활시설 및 Abstract The Study of Servant Leadership's Control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s Job Stress and Satisfaction Hong Sung ? mi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of Baekseok University Present day, information-based industry has encouraged not only the development of network, but also individualism and change of the way of company management. It is true that these changes and developments have brought necessity of leadership, which can lead a social welfare group very efficiently in order to qualitative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at is why we need spread of "servant leadership" that now this study is based on. In this research, because of dependence of work, we focus on the possibility that a leader and workers can maximize their group's value through negotiation and cooperation in case of social welfare groups. Moreover, we also research about the influence that how job stress affects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which may be able to control the job stress and become efficient leadership model in social welfare groups. To this, we surveyed 200 social workers and took results from 199 people. Because 5 surveys cannot be used, finally we used 194 surveys to analyze in the way of SPSS 18.0. The result shows that First, women especially have more job stress than men when we researched about social workers job stress, satisfaction, and servant leadership. In case of the awareness of job stress through different forms of works, they did not show the huge differences. Second, men shows the more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women. Moreover, we found that the fifties feel more satisfaction their job than twenties and thirties. In addition, those who works for less than a year have more satisfaction about their payment than those who work for less than 3 years. We found that workers in welfare facilities feel more satisfaction than other workers. Third, men show positive attitude about servant leadership of social group leaders than women. Those who work for less than a year show positive answers about individual growth and bond of sympathy in their works than workers who works for less than 3 years. Workers in welfare facilities also answered positively. Fourth, we found that workers in social welfare center and other facilities were satisfied by their payment. Work facilities show positive attitude about the formation of sympathy, individual growth, and development of community in case of awareness of servant leadership. Even though there is no huge differences of job stress about monthly payment between each groups, The result of survey represents that those who monthly earn more than 1,500,000 won are contented with their payment than workers who earn less than 1,500,000 won. Fifth, as the result of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servant leadership, we found direct proportion, which means that the awareness of leaders' servant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s job satisfaction. The result also statistically shows that interaction variable has significant effect. It represents that servant leadership controls the influence of job stress, which affects job satisfaction. Through this result, we found that servant leadership can has an huge effect on social welfare workers job stress and satisfaction. Considering that servant leadership has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s of workers, for further study, we want to propose that First, we cannot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way of the research using cross-sectional study that we use in this research. It means that we need to study this topic in different perspectives using diverse variables. We propose the necessity of qualitative studies such as interview and observation. Second, controlling variables should be studied in order to reduce job stress of social workers except servant leadership. We think that, considering servant leadership's goal-directed usage, we can use many control variables and result variables including group efficiency and turnover intention of workers to compare them. Through this study, we can get more sensitive results. Third, we need to be aware that this study focuses on facilities in social welfare group. We want that further studies focus on more various groups such as welfare living facilities and social communities and compare the results. furthermore, we hope that next studies are be able to develop and use reliable scales, which is suitable in Korean social welfare situation. Key word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servant leadership

      • Time Series Analysis of Korea Stock Price Index(KOSPI) and Won/Dollar Exchange Rate : Mainly Based on Dynamic Regression Model = KOSPI와 환율에 관한 시계열 분석 : 주로 동적 회귀 모형을 중심으로

        홍성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97년 12월 IMF체제하에 놓으면서 외환시장과 주식시장은 더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환율과 주가는 국내 거시 경제 안정화 정책과 관련해서도 매우 중요한 기준지표로써 이들을 모형화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환율의 변동이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는데, 이는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수들 중에서 계량적 분석이 용이하고 주가와의 상관관계수가 높아 의미가 있다고 본다. 최근 10년간 일별자료로 한국종합주가지수(Korea Stock Price Index : KOSPI)의 종가와 원화의 대미달러 환율(Won/Dollar Exchange Rate)의 종가를 사용하여 시계열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대표적인 시계열 분석 모형인 ARIMA모형, ARCH모형을 살펴본 결과, 우리가 제안한 동적회귀모형이 더 우수하고 현실적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우리의 모형으로 환율 변동을 고려한 주가를 투자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주리라 예상된다. 따라서 주가와 환율에 관한 시계열모형으로서 동적회귀모형은 커다란 의의를 갖는다고 평가할 수 있다.

      • 청소년수련관의 운영 형태에 관한 비교 연구

        홍성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features and differences of administer models of youth centers.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administer models and present status of youth centers were analyzed and then the study compares and analyzes if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erspective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business management and funding by administer models such as direct management, private assignment and public corporation. And in order to secure objectivity of the study, survey on recognition of employees by each administer models was conducted and it supports the analysis data with more convictions.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about difference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according to administer models of youth centers there ar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professionality, forming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and human resource system of organization. According to size of organization, more chances to develop professionality are given and it also helps to form relationships between employees. Second, for differences of business management according to administer models of youth centers, there are differences in diversity, purpose and development of business. Especially, according to the types of operator, there are differences in operational direction of business. Third, for differences of funding according to administer models of youth centers, there are differences in autonomy and structure of financial management. Direct management is most efficient for funding while private assignment has higher dependence on self-funding and runs various supported and assigned businesses. Public corporation has most complex process in funding and there is no burden for creating benefit. Also, for result of survey of recognition of employees by administer models of youth center, it supports three comparison and analysis results abov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management, business management and funding according to administer models of youth center. It does not intend to figure out which administer models is better but it will serve as basic sources to improve it better dire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수련관의 운영형태별 특성과 차이를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청소년수련시설 운영실태와 현황을 분석하였고, 본 연구는 직영, 민간위탁 및 공공법인 운영 등 청소년수련관의 운영형태별로 조직 운영, 사업 운영 및 재원 조달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청소년수련관 운영형태별 소속 직원의 인식조사를 하여 앞의 분석 자료를 보다 설득력 있게 뒷받침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수련관의 운영형태에 따라 조직 운영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조직의 전문성, 직원 간의 관계 형성, 조직의 인사체계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의 규모에 따라 전문성 개발의 기회는 더욱 많이 주어지며, 직원 간의 관계 형성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영, 민간위탁, 공공법인 운영형태 모두 각자 조직의 특성에 맞게 인사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민간위탁은 조직의 운영에 대한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기에 전문인력 채용 및 배치가 비교적 유연하게 이루어졌다. 직영의 경우 공무원이라는 안정적인 근무환경으로 만족도는 높으나, 청소년육성전담공무원은 인사 체계상 폐쇄형과 비교류형을 취하고 있어 인사에 대한 개선의 필요가 있다. 공공법인은 안정적인 근무환경과 개방적인 인사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이는 조직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장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수련관의 운영형태에 따라 사업 운영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사업의 다양성, 목적성, 개발성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운영주체에 따라 사업의 운영방향에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민간위탁의 운영주체가 가지고 있는 특수성이 반영된 사업으로 집중되어 있었으며, 직영의 경우는 청소년활동사업 이용률에 보다 시설 이용률이 높아 상대적으로 청소년활동사업이 위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공법인은 청소년활동사업을 통한 청소년이용률이 높았으며 특히, 특화사업의 활성화에 주력하고 있었다. 셋째, 청소년수련관의 운영형태에 따라 재원 조달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재정운영의 자율성, 재정운영 구조 측면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직영이 재원조달에 있어 가장 원활하게 운영되고 있었고, 민간위탁의 경우 자체수입 의존도가 높아 보조금사업과 위탁사업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다. 그래서 재정구조에서는 수익창출이 발생하고 있으며, 예산수립에 대한 자율성이 확보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공법인은 재원조달에서 가장 복잡한 단계를 거치고 있으며, 수익창출에 대한 부담은 없으나, 현재 자체수입은 모두 기관 운영비로 사용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점차 자체수입을 늘리는 방향으로 고려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수련관 운영형태별 소속 직원의 인식조사 결과는 위의 3가지 비교?분석 결과를 뒷받침해주고 있었다. 청소년수련관 운영형태별 소속 직원의 인식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운영 풍토에 대한 결과는 A 청소년수련관(직영)과 C 청소년수련관(공공법인)의 경우 직원의 능력개발 기회를 다각적으로 제공?권장하고 있었다. 또한 업무배정은 높은 평점을 나타내며 명확하게 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직원들의 내부 승진은 낮은 평점으로 나타나, 직원의 내부승진이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 청소년수련관(민간위탁)의 조직 운영 풍토는 대체적으로 가장 낮은 평점이었으나, 직원들의 내부 승진을 권장하고 기회를 제공하는데 있어서는 가장 높은 평점으로 직원의 내부승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사업 운영 풍토에 대한 결과는 3개 청소년수련관 모두 청소년활동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 수립 과정과 사업 추진 과정에서 청소년과 지역사회의 욕구, 청소년활동의 전문성, 정책사업, 특성화사업 등을 반영하고 있었다. 결과는 A 청소년수련관(직영), C 청소년수련관(공공법인), B 청소년수련관(민간위탁) 순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수련시설 운영형태 모두 근소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셋째, 재원조달의 운영에 대한 결과는 A 청소년수련관(직영)이 예산확보와 예산집행의 자율성에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재원을 수월하게 확보하고 있었다. 반면 B 청소년수련관(민간위탁)이 가장 낮은 평점으로 나타나 예산확보와 예산집행의 자율성에서 많은 제약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C 청소년수련관(공공법인)의 경우 예산확보와 예산집행의 자율성에서 A 청소년수련관(직영) 평점보다는 높지 않으나 어느 정도는 재원을 수월하게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청소년수련관의 운영형태에 따라 조직의 운영, 사업의 운영, 재원조달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느 운영형태가 옳고 그른지를 밝히고자 한 것이 아니라, 청소년수련관의 운영형태가 보다 발전된 방향으로 개선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유치원 기본생활습관지도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홍성미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에 입학하여 5여 개월을 유치원 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유아의 기본생활 수행 정도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치원과 가정에서 약속이나 규범이 잘 지킬 수 있도록 상황에 따라 적절한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어떤 상황에서도 다른 사람에게 피해주지 않는 것을 생활화하여 함께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생활습관 태도를 길러주며, 더욱 더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 기본생활습관지도 중 청결지도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 기본생활습관지도 중 질서지도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유아 기본생활습관지도 중 예절지도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넷째, 유아 기본생활습관지도 중 절제지도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상남도에서 거주하는 학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유치원에서 하고 있는 기본생활교육의 영역별 수행정도를 평가하는 질문지를 부모와 교사에게 배포한 자료를 근거로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빈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검증을 실시하여 유의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결부분에서는 교사는 손 씻기가 잘 된다고 생각한 반면 학부모는 콧물이나 침 처리하기가 잘 된다고 결과가 나왔다. 안 되는 부분에선 교사와 학부모 모두가 옷을 단정하게 입기가 잘 되지 않는다고 결과가 나온 것을 보면, 청결 부분에서는 유아들에게 옷 입기 지도가 제일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같은 경우는 유치원에서 손 씻기 지도가 매일 이루어지고 유아들도 손을 깨끗이 해야 한다고 인식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질서 덕목에서는 교사와 학부모 모두가 신발 바르게 신기가 잘 되고 있다고 생각한 반면 안 된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교사는 사용한 물건 제자리에 정리하기이며 학부모는 입었던 옷 정리하기로 나왔다. 유아들의 인지 능력이 향상되고 교사나 부모가 반복하여 신발을 신을 때 주의를 주고, 바르게 신발 신을 때는 걷는데 불편을 느끼지 않아 유아들이 바르게 신발을 신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예절 덕목에서는 음식물을 손으로 먹지 않기가 교사와 학부모 모두가 잘 된다고 생각하였고, 유치원에서는 밥알을 남기지 않고 깨끗하게 먹기가 잘 안되며 학부모는 입 안에 음식물을 넣고 말하지 않기가 잘 안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유치원에서는 급식 시 음식을 남기지 않고 조용히 먹도록 주의를 주는 반면 가정에서는 자유롭게 음식을 섭취하므로 입에 음식물을 넣고 말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절제부분에서는 교사와 학부모 모두 물을 사용한 후 잠그기가 잘 된다고 생각한 반면, 교사는 상황에 따라 목소리 조절하여 이야기하기가 잘 안된다고 하였고 학부모는 함께 사용하는 물건 아껴 쓰기가 안 된다고 하였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학부모는 절제, 질서, 예절, 청결 중에서 청결 덕목이 제일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질서덕목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는 청결이 제일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절제 점수가 가장 낮은 점수로 나타났다. 하지만 각 영역에서 높은 점수가 많이 나오지 않는 것은 아직도 유치원과 가정에서 기본생활습관에 대한 관심과 지도가 부족한 것으로 생각되어 기본생활습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부모의 바람직한 지도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지침서 등이 개발되고 그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따른 효과에 관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know the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in basic life habit guidance for Kindergarteners whom have been in Kindergarten class for 5 months or more. In order to reach the goal for this report, the following inquiries have been researched. First, is there a cognitiv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when educating Kindergarteners about cleanliness? Second, is there a cognitiv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when educating Kindergarteners about orderliness? Third, is there a cognitiv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when educating Kindergarteners about behaviors? Fourth, is there a cognitiv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when educating Kindergarteners about self-control? In order to reach the goal for this report, a consensus about parents and teachers in Gyungsangnamdo has been researched. The SAS program was used to administer the basic life habit guidance consensus documents and surveys from the teachers and parents. To organize the frequency difference, x2 verification was enforced and the results have been analyzed.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from the research. First, in the cleanliness research, teachers thought the children were washing hands well but parents thought they were not doing it well especially when they have a runny nose. Both parents and teachers thought the children were not wearing their clothes right, and thus they need to be taught to wear clothes correctly. Second, in the orderliness research, both teachers and parents thought wearing shoes was being taught well, but on the other hand, teachers thought the children were not organizing materials correctly and parents thought the children were not doing well with organizing their clothes. Third, in the behaviors research, teachers and parents both thought the childrenw ere doing well with not eating food with their hands. In Kindergarten class, the children were not doing well with eating all of their food and parents thought they were not eating with their mouth closed. Fourth, in the self-control research, both teachers and parents thought the children turn off water after they use it, but teachers thought they do not control the loudness of their voice in different situations and parents thought they do not save their materials with necessities.

      •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지체 판별연구

        홍성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하나 이상의 언어를 사용하는 아동(Bilingual) 인구가 점차 늘어나면서 이중언어를 습득하는 것이 아동의 언어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주제로 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어져 왔다. 이에 언어발달에 어려움을 보이는 이중언어아동을 위한 언어평가과제의 요구도 증가되었다. 정상적인 언어발달능력을 가지고 있더라도 표준화검사에서 낙오되는 이중언어아동을 위한 평가 규준과 타당한 준거가 국내에 거의 없기 때문에 많은 이중언어아동들이 언어발달지체로 과잉 진단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타당한 평가도구의 부재로 인해 임상가들은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능력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지체의 유무를 판별해 내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적인 평가과제들이 무엇인지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만 5-7세의 이중언어아동 40명이었다. 연구 과제는 표준화 검사와 함께 부모의 보고, 학습능력 과제(빠른 우연학습과제, 새로운 의존형태소 학습 과제), 기억능력 과제(작업기억과제, 단기기억 과제)등을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지체를 판별해내기 위한 과제들로 선정하였다. 두 집단의 언어능력 및 학습능력, 기억능력의 수행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과제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해 Pearson의 편상관계수(partial correlation)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지체 유무를 효과적으로 판별해주는 과제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단계적 판별 분석(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발달지체 이중언어아동은 언어능력, 학습능력, 작업 및 단기기억 능력, 부모 보고에서 정상언어발달 아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나타냈다. 둘째, 정상언어발달 이중언어아동은 언어능력과 작업기억 능력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언어발달지체 이중언어아동은 언어능력과 단기기억 능력, 부모보고 과제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지체 유무를 판별해주는 가장 효과적인 측정과제를 확인하고자 단계적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1) 알버타 언어발달 체크리스트(ALDeQ), 2) 부모 보고(말, 언어문제의 가족력 영역), 3) 수용․표현 어휘력 과제의 순으로 판별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제안한 최종 분류 판별식을 사용하여 이중언어아동 집단을 분석한 결과, 89.5%의 민감도(Sensitivity)와 100%의 특이도(Specificity)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언어능력과 함께 학습 및 기억능력 그리고 부모 보고에 의한 아동의 언어정보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최종 분류 판별식은 언어발달이 지체된 이중언어 아동의 평가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시발점으로 하여 표준화 검사만으로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지체 유무를 평가하는 것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최적의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는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measurement tasks to discriminate bilingual children who have language impairment from bilingual children who have a normal ability of language. Currently, it is very difficult for SLP to evaluate the language ability of bilingual children because there is no adequate evaluation tool to totally estimate their language ability. Therefore, this study would like to deal with what is exactly a useful measurement tool to discriminate whether language impairment of bilingual children exists or not. There are three questions on which the study focuses. Firstly, does the performance of each task show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groups which consist of bilingual children who have normal language development and bilingual children who have language impairment? Secondly, is there correlation in each task between groups of bilingual children having normal language development and bilingual children having language impairment? Thirdly, what is an effective tool to estimate the language impairment of bilingual children? The result of the study follows below. Firstly, the bilingual children having language impairment statistically showed a lower performance ability to the children having normal language development in terms of language ability, learning ability, task and short-term memory ability. Secondly, the bilingual children having normal language development statistically illustrat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anguage ability and task memory ability but the bilingual children having language impairment illustrated a strong correlation with short-term ability. Language ability, short-term memory ability, reports of parents and learning ability of the bilingual children having language impairment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 in their tasks, compared to the bilingual children having normal language development. Thirdly, the result of phased discrimination analysis to identify an effective measurement task which discriminates between language impairment and language development of bilingual children orderly illustrated ALDeQ, reports of parents(words, the family history’s realm about language) and the task of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The result which analyzed the groups of bilingual children by using discriminating equation illustrated 89.5% of sensitivity and 100% of specificity. In sum,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assess children’s language information including language ability, learning and memory ability, and the reports of parents in order to measure the language ability of bilingual children. This study determined that discriminating equation will be useful basic material to assess language impairment of bilingual children.

      • 조음 음운 치료 원리를 적용한 한국어 발음 평가 도구 개발 연구 : 음운 및 음운 변동 오류 패턴 분석을 중심으로

        홍성미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Korean Pronunciation Evaluation Tool Applying the Principle of Articulating Phonological Therapy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Phonological and Phonological Variation Error Patterns - Hong, Sung Mi Department of Global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of Culture Creation Kyung Hee Cyber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Korean Pronunciation Evaluation Tool(KPET) applied by the principle of articulating phonological therapy, and to evaluate and analyze learners' pronunciation ability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valuation tool.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nal agreement of all items in the Korean Pronunciation Evaluation Tool(KPET) secured high reliability as an evaluation tool. The test-retest reliability meaningfully showed a scoring concordance rate. In the inter-rater reliability, the Speech-Language Pathologist showed a good level of agreement or higher, and the Korean language teacher showed an average or good level of agreement. Second, the Korean Pronunciation Evaluation Tool(KPET) and the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U-TAP) showed a very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his made it possible to secure the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tool by confirming the official validity of the Korean Pronunciation Evaluation Tool(KPET). Third, learners at all levels had the highest pronunciation errors of tense sounds in initial consonant location of plosives, fricatives, and affricates. In the case of final consonant, the error patterns of most learners omitting the target phoneme were prominent. In the case of vowels, the error rate decreased as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improved. However, errors in the vowels /ㅚ, ㅟ, ㅓ/ continued to appear in all levels, and they were evaluated as an item to pay attention to in pronunciation guidance. Fourth, error phenomenon of the three way distinction in the phonological error patterns appeared at the highest rate among all learners regardless of the level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When examining all the levels of leaners about Korean proficiency, the error rate of omission of initial and final consonant according to the syllable structure was high at the beginner level, and the errors of nasalization and alveolarization were high at the intermediate level. In the advanced level, the omission of the final consonant and the error of velarization were high.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honological variation error patterns, the rate of phonological variation error for fortition was high in various conditions. Lenition errors were observed only at the beginner level, and in the case of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it was found to be a pattern of phonological variation errors affecting learners' pronunciation ability up to the advanced level. Lastly, examining the pronunci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earners in each language region, the pronunciation error rate in the three way distinction was high among learners of Japanese, English, and Russian languages ​​at the location of the initial consonant. In the case of the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 errors of omitting or replacing /ㄱ/ and /ㄹ/ in the Chinese language and /ㄹ/ and /ㄴ/ in the Japanese language were prominent. In the case of vowels, the error rate of learners from Japanese, Russian, and Chinese-speaking countries was high.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Pronunciation Evaluation Tool (KPET)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 evaluation tool that can access learners' pronunciation practically and effectively in the educational fiel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Key words: Korean pronunciation evaluation tool, articulatory phonological treatment principle, phonological variation, error pattern, reliability and validity

      • 외식기업의 SNS마케팅 특성이 신뢰성을 통해 구매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가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홍성미 대전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외식기업의 SNS마케팅 특성이 신뢰성을 통해 구매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가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홍 성 미 대전대학교 대학원 융합컨설팅학과 글로벌경영전공 (지도교수 서 영 욱) 본 연구는 현재 외식기업의 창업 열풍 속에서 소상공인들의 생존전략으로 떠오르고 있는 SNS마케팅 방안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함이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외식기업의 SNS마케팅 특성인 정보성과 생생함이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 신뢰성이 구매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SNS마케팅 특성과 신뢰성과의 관계에서 효용지향가치와 자기표현지향가치의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외식기업의 SNS마케팅 특성 변수로 제시한 정보성과 생생함은 외식기업의 신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뢰성은 구매의도와 추천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식기업의 SNS마케팅 특성과 신뢰성 간의 소비가치 조절효과에 관한 가설을 살펴보면 효용지향가치는 외식기업의 SNS마케팅 특성 중 정보성이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에 정(+)의 영향을 강화시킬 것이라는 가설이 채택되었고, 자기표현지향가치는 외식기업의 SNS마케팅 특성 중 생생함이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에 정(+)의 영향을 약화시킬 것이라는 가설 역시 채택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외식기업의 SNS마케팅 연구를 확장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거의 다루지 않은 소비가치를 조절효과로 설정하여 선행연구와 차별화하였다. 또한 외식기업 뿐 아니라 SNS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다른 업종의 후속연구에서도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로 제시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소비자는 온라인상에서 얻게 된 정보에 대해 신뢰할 만하다고 판단될 때, 구매와 추천이 더욱 활발해지므로 외식기업 홍보 담당자는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입장에서의 컨텐츠를 생성하기보다 정보를 접하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한번 더 생각하는 자세가 필요하며, 소비자 또한 SNS상에서의 외식기업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생생하게 제공받기 위해서는 기존 마케팅에 대한 문제점이나 신뢰성이 결여되는 부분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의견도출이 필요하다고 시사하는 바이다. 주요 용어: SNS마케팅, SNS정보특성, 신뢰성, 구매의도, 추천의도, 효용지향가치, 자기표현지향가치. ABSTRACT The Influence of SNS Marketing Attributes of Restaurant Business 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rough Reliability. : Focusing on Consumption Value Regulation Effect Seong-Mi Hong Dept. of Business Consulting Graduate School, Daejeo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Young-Wook Se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small businesses establish SNS marketing strategies to survive a highly competitive restaurant market environment. More specifically, the conceptual model of this paper consists of hypothese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ntends to verify whether information orientation and vividnes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reliability of restaurants’ SNS marketing. Second,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whether utility-oriented value moderates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orientation on reliability and whether self-expression oriented value moderates the impact of vividness on reliability. Third, this study intends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ability and purchase(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formation orientation and vividness have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s on reliability of restaurants’ SNS marketing attributes. Second, reliability positively influences recommendation and purchase intention. Last but not least, utility-oriented value plays as a positive moderator of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orientation on reliability and self-expression oriented value moderates the influence of vividness on reliability negatively. This study extended the exis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 marketing research of restaurant industry, and also diffentiated itself from existing related studies by presenting consumption values as moderators which are little researched. It is also meaningful that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not only to restaurant businesses but also to other industries that provide SNS marketing information. When consumers think that information obtained online is more reliable, they are likely to be more active in purchasing products and recommending them to other consumers. For that reason, restaurant marketing practitioners should try to put themselves in shoes of consumers who are exposed to SNS marketing information before they create SNS marketing contents. Consumers also need to be more active for giving realistic feedback about existing marketing issues or lack of credibility on social networking sites in order to be offered the accurate and vivid information on restaurant small businesses. Key words : SNS marketing, SNS information attributes, Purchase inten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utility-oriented value, and self-expression oriented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