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부은하 관련 과학사 기반 탐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홍석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교육과정의 지구과학 교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외부은하의 개념을 중심으로 20세기 초 과학자들의 다양한 연구과정과 과학사가 반영 된 탐구프로그램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개발 된 탐구프로그램은 은하의 다양성, 외부 은하의 거리측정, 외부 은하의 후퇴속도 측정과 우주의 팽창 등을 주제로 총 7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들이 과학자들의 연구방법을 추론하고, 그들의 과정을 유사하게 수행하고 결과를 분석하거나 오차의 이유를 설명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과학사 에피소드를 제시하여 이와 관련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조사나 토론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충청북도 소재 A 고등학교 1학년 학생 33명으로 구성된 실험집단에게 총 17차시의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같은 학교 1학년 학생 33명으로 통제집단을 구성하여 전통적인 형태의 수업을 진행한 이후 은하 관련 개념, 과학의 본성, 과학 관련 태도에서의 탐구프로그램을 이용한 수업 효과를 분석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 검사 결과로 동질성을 확보하였으며, 프로그램 투입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하 관련 개념의 사후 검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후 검사이후 3개월 후 실시한 추후 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향상을 보였다. 둘째, 과학의 본성 항목에서도 사후 검사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과학의 본성에 대한 세부항목에서도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변화율을 보였다. 셋째, 과학 관련 태도의 사후 검사에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과학 관련 태도가 향상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과학 관련 태도의 세부 항목인 과학의 사회적 의미,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 과학적 태도의 적용 영역에서도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개념학습 측면에서도 도움을 주며 과학적 소양을 기를 수 있게 해주는 교수 학습 방법의 하나로 과학사의 활용을 고려할 수 있으며 학생들의 탐구활동을 강조하는 수업 형태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 馬韓․百濟圈域 鐵鋌의 系統과 變化

        홍석영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마한․백제권역에서 출토된 철정의 계통과 변화를 파악하여, 그동안 철정연구에서 모호했던 변화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철정은 육안 관찰을 통해 판상인 것과 봉상인 것으로 대별된다. 판상철정은 시간적 변화를 잘 반영하는 신부 형태를 기준으로 4개의 대형식으로 분류되며, 단부 형태와 전장의 속성조합에 따라 15개 소형식으로 분류된다. 봉상철정 역시 신부 형태를 기준으로 대형식 3개, 소형식 7개로 분류된다. 철정은 그 형태가 단순하고 잔존상태가 양호하지 않아 공반토기를 토대로 변화상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판상철정은 크게 Ⅰ형식 → Ⅱ형식 → Ⅲ형식 → Ⅳ형식으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반면 봉상철정은 Ⅰ․Ⅱ형식과 Ⅲ형식 간에 시간적 공백이 심하며, 그 변화과정은 단절적으로 파악되었다. 그 다음 각 철정의 형식별 변화를 토대로 단계설정을 하였다. 2세기 후엽부터 3세기 중엽에 해당하는 Ⅰ단계는 진․변한으로부터 유입된 봉상철정과 판상철정이 출현되는 시기, 3세기 후엽부터 4세기 전엽에 해당하는 Ⅱ단계는 진․변한계통의 판상철정이 본격적으로 유입되어 확인되는 시기, 4세기 중엽부터 5세기 전엽에 해당하는 Ⅲ단계는 백제권역에서 판상철정과 봉상철정의 형태가 획기적으로 변화하는 시기, Ⅳ단계는 5세기 중엽 이후로서 판상철정이 소형화되며, 유적에서 출토빈도가 줄어드는 시기로 특정할 수 있었다. 철정의 계통에 대해서는 마한권역에서 처음 출현하는 Ⅰ형식 판상철정을 진․변한권역에서 출토된 철정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판상철정은 진․변한 철정과 그 제작기술이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반면 변화가 단절되는 봉상철정은 두 가지 계통이 있으며 Ⅰ․Ⅱ형식은 당시 사회적 상황과 공반유물을 통해 진․변한에서 유입된 것으로 파악된다. 반면 Ⅲ형식 봉상철정은 백제가 진천․충주지역에 진출하여 대규모 제철 조업을 시작함으로서 철소재 용도의 봉상철정이 제작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철정의 변화는 백제가 마한을 병합해가는 역사적 배경을 토대로 그 의미를 파악하였다. 먼저 대규모 전투이었던 기리영 전투(234년)에 앞서 다량의 철제무기와 함께 Ⅰ․Ⅱ형식 봉상철정이 진․변한지역에서 마한 목지국으로 유입된다. 이후 백제가 마한을 병합하는 과정에서 철제무기를 비롯한 많은 철기 및 철소재가 필요함에 따라 진․변한지역에서 다량 확인되는 판상철정 Ⅰ․Ⅱ형식이 유입되며, 앞서 수용된 제철기술을 바탕으로 마한권역에서도 철정을 자체 제작한다. 4세기 중엽 이후에는 제철기술의 발전과 함께 판상철정은 보편적으로 Ⅰ․Ⅱ형식에서 Ⅲ․Ⅳ형식으로 형태가 변화하며, Ⅲ형식 봉상철정이 새롭게 등장한다. 이러한 백제식 봉상철정은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철제무기 또는 대형의 공구류들을 제작하는데 활용된 것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5세기 중엽 이후 백제의 쇠퇴와 고구려와 신라에 대항하여 한강유역을 차지하기 위한 수많은 전쟁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철소재로서 기능을 수행했던 철정은 정복전쟁에 필요한 물자제작을 목적으로 국가에 전량이 집중되어 무덤이나 주거지에서 더 이상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추측된다. This study aimed to trace the meaning of changes that have been ambiguous in the studies of Cheoljeong (Iron mass) thus far by identifying the system and changes of Cheoljeong excavated from the Mahan and Baekje regions. Cheoljeong is typically classified into a plate shape and a rod shape through visual observation. The plate-shaped Cheoljeong is classified into 4 major categories based on the body part that reflects temporal changes well, in turn, further classified into 15 sub-categories according to the shape of both end parts as well as the combination of attributes in the entire length. The rod-shaped Cheoljeong is also classified into 3 major categories based on the body part and 7 sub-categories. Since the shapes of Cheoljeong are simple and the preserved conditions of the remained ones are not good, the changing history of Cheoljeong was identified based on the associated earthenwar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late-shaped Cheoljeong was largely changed in order of Type I → Type II → Type III → Type IV. On the other hand, the rod-shaped Cheoljeong revealed a severe temporal gap between Types I and II and Types III, and its change process was identified intermittently. Next, this study has set the stages of Cheoljeong based on its type change. This can be characterized as; Type I is the time when the rod-shaped iron axe introduced from Jinhan and Byeonhan is confirmed, Type II, corresponding to the period between the second half of the 3rd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is the period when the plate-shape Cheoljeong of the Jinhan and Byeonhan systems is confirmed to be introduced in full-scale, Type III, corresponding to the period from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to the late 4th century, is the period when the rod-shaped Cheoljeong of the Baekje system appeared, and Type IV indicates after the 5th century, the period when the plate-shaped Cheoljeong becomes miniaturized, and the frequency of excavation from the historical sites becomes less. With regard to the system of Cheoljeong, if comparing the plate-shaped Type I that first appeared in Mahan region with Cheoljeong excavated in Jinhan and Byeonhan regions, it was revealed that the plate-shaped Cheoljeong of Mahan was based on the Cheoljeong and its fabrication technique that were introduced from Jinhan and Byeonhan. On the other hand, the rod-shaped Cheoljeong of which its changes are discontinued intermittently, has two systems, and it is identified that the Types I and II have been introduced from Jinhan and Byeonhan according to the social situation at the time and relics accompanied with. The Type III rod-shaped Cheoljeong was identified to appear when Baekje moved to the Jincheon and Chungju regions to start the large-scale steel operations.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contained in the change of Cheoljeong were identified throug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merging Mahan by Baekje. In terms of changes in Cheoljeong of the Mahan and Baekje regions, the rod-shaped Type I and II were flowed into the Mahan Mokjigook along with iron fabrication techniques from the Jinhan and Byeonhan regions. Since then, as Baekje needed a lot of iron and iron materials, including iron weapons, in the process of merging Mahan, a large amount of the plate-shaped Cheoljeong Type I and II, which were found a lot in Jinhan and Byeonhan regions, flowed in, and based on the steel fabrication techniques previously accepted, Cheoljeong was produced on their own in the Mahan region. After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Baekje-style rod-shaped Cheoljeong appeared as the iron bases of Baekje were built in Chungju and Jincheon regions, and many of this Baekje-style rod-shaped Cheoljeong were used to fabricate iron weapons or large-scale tools required by the state. However, after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he three kingdoms have engaged in numerous wars to advance into the Hangang river region. It was identified that Cheoljeong, which functioned as an iron raw material, was no longer found in tombs or residences because all of them were concentrated in the state for the purpose of producing materials necessary for the conquest war. It was found that Cheoljeong, which functioned as an iron material, was no longer identified in tombs or residences because all of it was concentrated in the state for the purpose of producing materials necessary for the conquest war.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끊어 말하기 실현 양상 연구 : 중급·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홍석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학문 목적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끊어 말하기 양상을 음성 자료를 통해 살펴보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발화의 어떠한 특성이 한국인들에게 부자연스럽게 들리는지 그 원인을 파악하여 결과적으로 학문 목적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끊어 말하기 교육 항목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연구의 실험 결과가 끊어 말하기 교육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 한국어 발음 교육 분야에서 초분절적 요소의 교육, 그 중에서도 유창성을 확보하기 위한 말하기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고자 한다. 현재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는 매해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일반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안에서 배우는 내용은 실제 학습자들이 대학이나 대학원에 진학하였을 때 사용하게 되는 언어 사용과는 괴리가 있다. 그 중에서도 학습자들이 대학 또는 대학원 수업에서 직면할 수 있는 발표 상황과 그 안에서 학습자들의 발표문을 읽을 때 나타나는 유창성의 결여에 주목하였고, 따라서 학문 목적 학습자의 문장 소리 내어 읽기 발화에서 나타나는 음성적 측면에서의 특징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통해 끊어 말하기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먼저 본고에서는 끊어 말하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언어 구조적인 요인과 수준별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기위해 끊어 말하기 실험을 진행하였다. 언어 구조적인 요인으로는 음운론적 요인, 형태론적 요인, 통사론적 요인으로 나누어 각 문장에서의 끊어 말하기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고 학습자를 중급과 고급으로 나누어 모집하여, 학습자의 수준별 요인에 따라 끊어 말하기의 실현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관찰해 보았다. 이 두 가지 요인에 따른 끊어 말하기의 실현을 분석하여 기술하고, 그 양상을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이어서 본 실험의 녹음 자료에 대한 용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끊어 말하기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지만, 한국어에서 끊어 말하기의 기준이 명확히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한국인들에게서도 다양한 끊어 말하기의 양상이 존재하기 때문에, 어떠한 말하기가 올바른 끊어 말하기인지 이론적으로 그 기준을 세워 교육 항목으로 제시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끊어 말하기 실험을 통해 녹음된 중국인 학습자들의 발화 자료를 한국인들에게 들려주고, 학습자들의 발화가 한국인들이 듣기에 얼마나 자연스러운 발화라고 생각되는지 평가하는 용인도 검사를 시행하여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진행한 실험과 용인도 검사 결과를 통해 결론적으로 학문 목적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끊어 말하기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끊어 말하기 실현 양상을 밝힌 결과가 한국어 교육 분야, 그 중에서도 초분절적 요소, 비언어적 요소의 교육에 이용될 수 있는 기초 제반 연구결과가 되었으면 한다. 현재 한국어 교육 기관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인 학문 목적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 결과를 밝혀낸다면, 향후 다른 언어권의 학습자들에게도 확대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과학 실천의 물질성과 교육적 잠재성 : 천체 관측 활동을 중심으로

        홍석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39

        과학 실천은 학습 소재에 해당하는 대상이나 관찰과 측정을 위한 도구와 같은 ‘이질적인 것’들과 새로운 관계를 맺는 과정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과학 실천을 바라보는 교육적 관점은 수많은 과정을 결과로 환원한 절단면에 머물렀다. 최근 포스트휴머니즘에서는 인간과 관계를 맺는 비인간 물질에 주목한다. 하지만 과학교육 연구에서 물질에 대한 관심은 미흡하며, 지금까지의 교육 연구에서도 물질을 고정된 속성을 갖는 도구나 매개물에 한정해왔다. 한편, 물질과의 관계를 통해 발생하는 사건을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로 바라드(K. Barad)의 수행적 신유물론과 들뢰즈(G. Deleuze)의 존재론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물질은 고정된 개체성을 갖지 않고, 지속적으로 변이하면서 새로운 관계를 만드는 잠재성을 갖는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바라드와 들뢰즈의 철학적 구도에 비추어 천체 관측이라는 과학 실천에서 드러나는 물질의 물질성과 교육적 잠재성을 발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천체 관측을 구성하는 물질적-언어적 배치, 배치와의 얽힘에 의해 나타나는 신체적 변용을 파악하고, 학생들의 존재-인식론적 ‘-되기’의 사건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A 고등학교의 천체 관측 활동에 참여하는 17명의 학생들이 작성한 활동 일지, 사진 자료 등을 수집하고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근거 이론에 기반한 상황 분석 방법을 재구성하여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연구-기계와의 얽힘을 이해하고, 새로움을 표현하기 위한 패러다임 횡단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질적-언어적 배치 측면에서 물질적 배치를 구성하는 천체, 관측 도구, 환경, 사진과 SNS를 발견하였다. 물질들은 학생들에게 새로운 감각을 제공했으며, 지금까지의 생각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새로운 문제를 제기했다. 또한, 학생들은 환경과 새로운 관계를 맺어가면서 장소를 만들고, SNS를 통해 더 넓은 세계로 향하기도 했다. 언어적 배치 측면에서는 과학의 언어, 권위의 표지, 리듬을 발견하였다. 과학적 개념, 용어와 같은 언어는 물질과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물질적 배치를 통해 드러나며, 활동의 새로운 목표가 되기도 했다. 이는 권위를 드러내는 표현이 되었으며 학생들은 활동의 안정성을 위하여 퀴즈를 만들어 내거나, 직접적·간접적인 명령어를 만들어 냈다. 또한, 모든 배치물은 학생들이 발화하는 언어에 특유한 리듬감을 조성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둘째, 신체적 변용 측면에서는 규준적 언어로 설명할 수 없는 ‘감’을 길러가는 모습과 잠정적인 목표를 달성했을 때 방출되는 ‘쾌감’이라는 정동을 발견하였다. 또한, 권위에 의해 자발적으로 수축하거나 긴장하는 운동, 자동으로 작동하는 망원경을 바라보거나 다른 신체를 위해 장소를 내어주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탈중심적 운동이 있었다. 이러한 신체적 변용은 다시 배치를 변이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셋째, 존재-인식론적 ‘-되기’의 과정으로는 (1) 안정화 된 영토를 벗어나 문턱을 넘는 과정, (2) 반복을 통해 잠재적인 차이를 현실적인 것으로 발견하는 과정, (3) 천체 관측 활동의 ‘감’과 ‘쾌감’을 전달하기 위해 ‘설명 기계’가 되어가는 과정, (4) 다른 신체와 위상학적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이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과거를 재형상화하며 천체 관측 활동을 통해 발견한 힘을 활용해 미래를 그려보게 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실천을 새롭게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소수자 과학, 지식을 넘어서는 과정, 행위주체성, 상황적 공동체, 분열자의 정체성, 관계성과 응답-능력과 같은 개념을 재정의했다. 과학 실천은 재현에 상응하는 반복적 결과물을 얻어내는 과정이 아니며, 수없이 반복되는 과정에 내재한 차이생성의 힘을 발견하고 새로운 문제를 위한 탐사에 나서도록 하는 잠재성을 갖는다. 이를 바탕으로 잠재성을 담고 있는 물질과의 관계성, 학습의 과정을 표현하는 기호가 될 수 있는 신체성 등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더 나아가서 과학교육과 과학교육 연구를 위한 교사의 실천과 새로운 실험적 접근을 요청하였다.

      • 보육교사의 ICT활용능력이 교수효능감 및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홍석영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활용이 확산되면서 사회의 변화를 주도하는 기술 중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인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교육 분야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직무(교육, 행정 등)를 수행함에 있어서 정보화기기의 사용 능력이 교수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정보화 기기 활용능력 신장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루어질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라 컴퓨터 활용 능력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2. 보육교사의 컴퓨터 활용능력은 교수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보육교사의 컴퓨터 활용능력은 직무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수도권에 소재한 보육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국 공립 보육시설 150명, 민간 보육시설 100명, 직장 보육시설 40명, 가정 보육시설 40명을 대상으로 총 33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나, 이중 국 공립 보육시설 148부, 민간 보육시설 87부, 직장 보육시설 29부, 가정 보육시설 28부, 무응답1부 총 293부가 회수되었으며 이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직무 관련 사항, 컴퓨터 활용 관련 사항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라 컴퓨터 활용 능력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 way-anova)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컴퓨터 활용 능력, 직무 스트레스, 교수 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컴퓨터 활용능력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 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 중 연령, 학력, 컴퓨터 관련교과목 이수여부, 컴퓨터 관련 연수유무, 근무 기관의 유형, 따라 교사의 ICT 활용능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사의 ICT활용능력과 교직생활의 직무스트레스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다. 그러나 ICT활용능력 중 설치 및 유지는 전체 스트레스와 정적 상관관계를 통신과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설치 및 유지는 업무관련 스트레스와 동료 및 원장과의 스트레스와 정적인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ICT활용능력과 교사의 교수효능감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다. As the development and use of new technology accelerates its speed, the interest in the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CT)―one of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which leads social changes―increases too and the field of education is not exceptiona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du-care teachers' ICT use ability upon their teaching efficacy and job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stress in order to present the necessity of expansion of edu-care teachers' use ability of information-oriented instruments.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in edu-care teachers' use ability of computer by their demographic features?' Second, 'What influence does edu-care teachers' use ability of computer have upon their teaching efficacy?' Third. 'What influence does edu-care teachers' use ability of computer have upon their job stress?' Study subjects were edu-care teachers in the capital area. A questionnaire survey of 330 edu-care teachers (national and public edu-care centers: 150; private edu-care centers: 100; occupational edu-care centers: 40; and home edu-care centers: 40) was carried out. Total 293 responses (national and public edu-care centers: 148; private edu-care centers: 87; occupational edu-care centers: 29; home edu-care centers: 28; and no answer: 1) were collected and used in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respondents' demographic features, job-related matters, and computer use-related factors,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edu-care teachers' demographic background-oriented computer use ability,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carried out. And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s among computer use ability, job stress and teaching efficacy,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du-care teachers' computer use ability upon their job stress,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du-care teachers' such demographic backgrounds as age, academic career, the completion of computer-related curricula, the completion of computer-related training and the pattern of centers have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ir ICT use ability. Second, edu-care teachers' ICT use ability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ir job stress. However, among ICT use abilities, the abilities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total stress but negative influence upon communication. The abilities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job-related stress and fellow teachers- and head person-related stress. Third, edu-care teachers' ICT use ability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ir teaching efficacy.

      • 하브루타를 활용한 면접 수업의 설계 및 적용 : 고등학교 <<화법과 작문>>을 중심으로

        홍석영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하브루타의 개념과 이를 활용한 여러 교육 모형을 정리했다. 교육 모형 전반이 개념 정리 위주 교육을 위함이었음에 한계를 느껴, 새로운 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화법과 작문 과목 중 면접 단원에서의 수업을 설계했다. 3차시로 구성된 수업 중 특히 3번째 수업에서 하브루타를 활용한 활동을 구성했으며, 이때 학생들이 작성한 자기 성찰 평가지 내용을 분석해 보았다. 또한 수업 이전과 이후 질문에 대한 학생들의 답안 내용을 비교했고, 그 내용을 수업을 듣지 않은 비교 대상 학생들의 답안 내용과도 비교해 보았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논리적 분석 능력을 자극하는 새로운 수업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적용한 수업을 직접 수행해 보았다는 점은, 기존의 하브루타 활용 수업이 개념을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방식에 치중되어 있던 것과 비교할 때 차별화된 의미가 있다. 또한 학생들이 논리적 분석 능력을 발휘해야 하는 압박 면접과 같은 상황을 스스로 준비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과, 교사들의 수업 참고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도 의미가 있다. 전반적으로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면접’ 단원에서 하브루타를 활용한 수업을 진행했을 때 학습에 관한 학습 만족도는 높았다고 할 수 있겠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면접’ 단원에서 하브루타를 활용한 수업을 겪은 학생들이 스스로 면접 준비를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임을 기대할 수 있겠다. 이때 학생들 서로의 논리를 충분히 이해할 수 없는 수준의 조합으로 활동을 한다면 수업 진행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니 비슷한 수준의 학생들이 모둠을 이루도록 하는 데 주의해야 하며, 제한된 시간 안에 일단 그럴싸한 결론을 제시하고 말을 떼는 연습 혹은 말의 경로를 유연하게 바꾸는 연습이 동반되는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Korean language classes using Havruta focusing on 《Speech and writing》 in high school. Havruta is the method of discussion that Jews practice in everyday life. This means ‘pairing, asking, talking, discussing and debating', and broadly, ‘talking together'. Most of the existing education models using the Havruta are for conceptualization oriented education. This study developed a new education model using Havruta because existing education models are not helpful for pressive interview. The pressive interview is to ask unanswered questions to evaluate the interviewee. It is a way of assessing whether an interviewee is trying to solve a problem logically even in an embarrassing situation, rather than trying to assess the correct and incorrect answer. The interview unit class consisted of three classes, and in particular, the third class consisted of activities using Havruta dealing with pressive interviews and unanswered questions. After the class,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self-reflection evaluation written by the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compared students' answers to questions before and after classes,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of students who did not attend classes. Overall, students' satisfaction was high. Also, students could expect to use what they learned in class to prepare their own interviews. At this time, students may have difficulty in conducting the class if they work in a combination of levels that can not fully understand the logic of each other. This is why you should be careful to ensure that similar levels of students are formed. Also, it is necessary to try to make clear conclusions within a limited time, and to make the lessons accompanied by the practice of releasing the speech or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speaking flexibly. However, this study can not summarize how to improve the logical analysis ability itself. This is because long-term education is necessary. This limitation will be left as a future work of researchers. Nonetheles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udies because it suggests a new class model that stimulates the logical analysis ability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of using Havruta which is focused on the effective way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The course was designed to prepare students for self-paced interviews in which they should perform logical analysis. It would be helpful to teachers who teach interview in high school.

      • 고휘도 및 고 Refresh rate를 위한 LED DISPLAY 제어 시스템

        홍석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LED의 경우 소자에 유입되는 전류량에 따라 표현하는 휘도가 달라진다. RGB color LED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였을 경우에는 각각의 전류량을 조절함으로서 색상의 채도가 달라지고 이의 색조합에 의해 Full Color 구현이 가능하다, 이렇듯 전류의 크기에 따라 휘도가 달라지는 성격이 있기에 흔히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Pulse의 폭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전류량을 조절한다. 다시 말해 INPUT SIGNAL의 폭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시간에 따른 전류량으로 계조표현을 하게 된다. 만약 R,G,b각각 256단계의 계조 표현을 해야 할 경우 입력시그날 타임을 256단계로 분할해야 한다. 하지만 LED 디스플레이의 특성상 보다 좋은 화질을 위해 보통 12bit~14bit 계조 처리를 하게된다. 14bit 계조처리의 경우 한색을 표현하기 위한 클럭수는 2^14=16384의 클럭 타이밍이 필요하다. 이 경우 많은 클럭 소모로 인해 보통의 60Hz이상의 Refresh rate를 구현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데이터 전송방식을 사용하여 180Hz 이상의 High Refresh rate 및 고화질을 위한 LED DISPLAY CONTROL SYSTEM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brightness of LED depends on current intensity incoming to a diode. In case display is composed of RGB color LEDs, Full color LED display can be realized by adjusting each current intensity incoming to LED to change saturation. With the characteristic that the LED changes its brightness with current intensity, we usually use PWM(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to change current intensity. If each R,G,B should express 256 grade gradations, we should divide input signal time into 256 grades. But most of LED display should have 12~14bit gradation processing system for better display quality. To process 14 bits gradation, 2^14=16384 clock times is needed, at least. In case of this, it is too difficult to realize 60Hz refresh rate because of much clock time consumption. In this paper, we will focus on realizing LED DISPLAY CONTROL SYSTEM for high brightness and refresh rate by using improved data transfer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