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위선암의 진행정도에 따른 E-cadherin, α-catenin, β-catenin, LI cadherin 의 발현에 관한 연구

        형우진 고려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Purpose: The reduced expression of the adhesion molecules has been known to be related with the invasiveness and metastasis of the gastric cancers.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E-cadherin, α-catenin, β-catenin, and LI cadherin in gastric cancers and to assess the differences between those expressions and the clinico-pathological findings such as the depth of tumor, the histological classification, the lymph node metastases, and the patients'' survival of the gastric cancers. Methods: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s of E-cadherin, α-catenin, β-catenin, and LI cadherin were examined with tissue array slides. Total 251 gastric adenocarcinomas were classified as early cancers and advanced cancers, with or without lymph node metastases, respectively. Results: The reduced expression of E-cadherin, α-catenin, β-catenin, and LI cadherin was significantly found in diffuse type. The reduced expression of β-cateni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advanced pTNM stage, advanced groups, poor survival rates, but it was not associated with the lymph node metastasis. The reduced expressions of E-cadherin and α-cateni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or survival rates, but they were not associated with pTNM stage, groups and the lymph node metastasis.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alteration of adhesion molecules may be more associated with diffuse type tumorigenesis than prognosis. Key words: E-cadherin, α-catenin, β-catenin, LI cadherin, Gastric cancer, Prognosis

      • 위암 환자의 생존율 분석에 근거한 새로운 병기분류법의 제안

        형우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병기결정의 목적은 치료방법의 선택, 예후의 예측, 치료결과의 평가, 치료기관들 간의 정보교환 및 지속적인 암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제5판UICC/AJCC 병기 분류법은 이전의 분류법에 비해 보다 간편하고, 신뢰도가 높고 객관적인 방법임이 여러 보고에서 입증되었으나 수술적 치료방법의 선택에 거의 도움을 주지 못할 뿐 아니라 여전히 동일병기에서도 그 예후가 다양하여 병기의 분류가 예후의 판단에 도움을 주기에 미흡하다. 이에 따라 제5판 UICC/AJCC 병기 분류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여러 제안 또한 보고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암 환자들의 생존율의 분석을 통하여 제5판 병기분류법의 타당성을 알아보고 제5판 UICC/AJCC 병기 분류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병기분류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1987년부터 1997년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위암으로 위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4217명 중 제5판 UICC/AJCC 병기분류 기준에 따라 병기의 분류가 가능하였던 4040명을 대상으로 조기위암 환자 1202명의 생존율은 전이 림프절의 수에 따라 진행위암 환자 2838명의 생존율은 각 병기별, TNM그룹별로 분석하였다. 2001년 6월 30일을 최종 추적일로 하였으며 대상환자들 중 추적관찰이 중단되었던 환자는 114명(2.8%)이었다. 생존율은 Kaplan-Meyer방법을 이용하여 구하였고 통계적 검정은 log rank 법을 이용하였다. 전체 4040명의 병기별 분포는 Ia기 1052명, Ib기 512명, II기 717명, IIIa기 689명, IIIb기 342명, IV기 728명이었다. 병기별 5년 생존률은 I기 93.3%(Ia기 94.6%, Ib기 90.5%), II기 72.5%, III기 50.1% (IIIa기 57.4%, IIIb기 35.2%), IV기 13.3%이었다. 조기위암 환자 1202명의 생존율은 Ia기 94.6%(n=1052), Ib기 92.9%(n=128), II기 이상은 40.9%(n=22)이었다. 전이 림프절 수에 따른 조기위암 환자의 생존율은 전이 림프절이 없는 경우 94.6%(n=1052), 1-2개의 전이 림프절이 있는 경우 95.1%(n=82)이었으나 전이 림프절이 3개 이상인 경우는 73.4%(n=68)이었다. 림프절 전이가 있는 조기위암 환자들의 평균생존기간을 비교하면 전이 림프절의 기준을 3개로 분류한 경우가 제5판 UICC/AJCC 병기분류에 비해 보다 좁은 평균생존기간의 95% 신뢰구간을 나타냈다. 진행위암 환자 2838명의 각 TNM그룹별 5년 생존률은 Ib기의 T2N0M0(n=384) 89.8%, II기의 T2N1M0(n=354) 71.5%, T3N0M0(n=344) 74.9%, IIIa기의 T2N2M0(n=134) 55.2%, T3N1M0(n=528) 58.6%, T4N0M0(n=27) 44.4%, IIIb기의 T3N2M0(n=342) 35.1%, IV기의 T4N1M0(n=67) 32.3%, T4N2M0(n=53) 9.4%, TanyN3M0(n=369) 14.1%, TanyNanyM1(n=240) 7.1%이었다. 제 5판 UICC/AJCC 분류법에 따른 각 병기별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나 동일 병기내 둘 이상의 TNM 그룹을 갖는 II기(p=0.6945), IIIa기(p=0.1508)와 IV기(p<0.0001) 중 IV기의 경우 동일병기 내에서 각각의 TNM 그룹 간에 생존율에 차이가 있었다. 반면에 IV기로 분류되는 T4N1M0그룹과 IIIb기로 분류되는 T3N2M0그룹 간에는 생존율에 차이가 없었다(p=0.9225). 이상의 결과 동일 병기에서 다양한 생존율의 양상이 조기위암에서는 전이 림프절의 기준을 너무 넓은 범위를 이용하는 것에, 진행위암에서는 동일 병기내의 TNM 그룹간의 차이에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현재의 제5판 UICC/AJCC 병기 분류법에서 조기위암에서 림프절 병기의 기준 전이림프절 수를 7개에서 3개로 하여 전이림프절의 수가 1-2개인 경우를 N1a로 전이림프절 수가 3개 이상인 경우를 N1b로 정의하여 조기위암의 병기를 Ia(T1N0M0), Ib(T1N1aM0), 및 II(T1N1bM0)기로 분류하고 진행위암에서는 제5판에서 Ib기로 분류되던 T2N0M0와 IV기로 분류되는 T4N1M0를 각각 Ic기와 IIIb로 재분류 하는 새로운 병기분류가 제5판 UICC/AJCC 병기 분류법이 가지는 제한점을 극복하고 치료방법의 선택과 보다 정확한 예후의 예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이라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pose a new staging system to overcome the problems of current UICC/AJCC staging system such as heterogeneous survival in the same stage and lack of information for selecting treatment modality. A total of 4217 patients who underwent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from 1987 to 1997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mong them, 4041 patients that had either early gastric cancer(EGC, n=1202) or advanced gastric cancer (AGC, n=2838) can be appropriately staged by the 5th UICC/AJCC system. Survival rates of EGC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lymph node metastasis. Survival rates of AGC pati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NM classifications. The 5-year survival rates according to 5th UICC/AJCC were 94.6% for stage Ib, 92.9% for stage Ib, and 40.9% for stage II or IV. The 5-year survival rates according to number of lymph node metastasis in EGC patients were 94.6% for EGC patients with node negative, 95.1% for those with 1 or 2 positive nodes, and 73.4% for those with 3 or more positive nodes. The 95% confidence intervals of mean survival duration are narrower when patients were grouped with a reference number of metastatic lymph nodes as 3 than patie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5th UICC/AJCC staging system. The 5-year survival rates according to TNM classifications in AGC patients were 89.8% for T2N0M0 (stage Ib), 71.5% for T2N1M0 (stage II), 74.9% for T3N0M0 (stage II), 55.2% for T2N2M0 (stage IIIa), 58.6% for T3N1M0 (stage IIIa), 44.4% for T4N0M0 (stage IIIa), 35.1% for T3N2M0 (stage IIIb), 32.3% for T4N1M0 (stage IV), 9.4% for T4N2M0 (stage IV), 14.1% for TanyN3M0 (stage IV), and 7.6% for TanyNanyM1 (stag IV). The survival rate of T4N1M0 in stage IV was rather similar to that of T3N2M0 in stage IIIb(P=0.9225) than other TNM classifications in stage IV(P<0.0001). With these results we may propose following new staging proposal. For EGC patients, dividing N1 into two groups; 1 or 2 positive lymph nodes as N1a and 3 or more positive nodes as N1b is recommended. With new nodal classification in EGC, staging recommendation for EGC patients is Ia for T1N0M0, Ib for T1N1aM0, and II for T1N1bM0. For AGC patients, redistribution of TNM classification into staging system, i.e. regarding T2N0M0 as stage Ic and T4N1M0 as stage IIIb, is recommended for a new staging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