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개별학습을 위한 학습자 진단 시스템

        허정원 서울교육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학습자의 선수학습 결손을 진단하여 학습자 수준에 맞게 개별학습을 할 수 있는 LEDIL 시스템(LEvel Diagnosis system for Individual Learning)을 설계 구현한 것이다. 학습을 하기 전에 선수학습을 제대로 이수하지 못했을 때는 다음 학습에 곤란을 겪는다. 특히 위계성이 높은 교과는 선수학습 능력이 더욱 중요하다. 또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개인적 능력에 따라 학습속도가 다르게 지도되어야 한다. 이에 LEDIL 시스템은 본 학습을 하기 전에 학습자의 선수학습 능력을 진단하여 개인적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학습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학습자가 원하는 학습주제를 선택하면 주제학습에 대한 선수학습 요소 2가지에 대한 진단평가를 한다. 진단평가 결과 학습 결손이 판단되면 결손부분을 보충학습을 통해 재학습 한 후에 본 주제학습을 하도록 한다. 반면 결손이 없으면 본 주제학습을 해야할지 여부를 판단해 주는 완전학습 진단평가를 실시한다. 진단 평가 결과에 따라 학습자들은 서로 다른 학습을 한다. 학습을 한 후에는 학습을 잘 했는지에 관해 다시 평가를 받게 되는데 이 때는 완전학습이 되야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LEDIL 시스템은 학습 전에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진단하여서 결과에 따라 개인별 학습속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또 학습의 결손이 누적되지 않도록 매 학습이 완전학습이 되도록 하고 결손된 학습을 보충학습을 통해 재학습 하도록 한다. 따라서 LEDIL 시스템을 이용하면 학습자는 학습 결손을 방지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학습 목표에 잘 도달 할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achieve learning objects, learners should know well the previous learning contents. Learners must be diagnosed whether they know the previous learning contents or not before they start learning. But most of existing on-line systems have not been designed to diagnose the learner's ability. They diagnose only whether the learner can solve the difficult questions or no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sign and implement a LEDIL (LEarner Diagnosis system for Individual Learning). The LEDIL can diagnose the learner's understanding ability of the previous learning contents as follows. At first, learners select the content. The LEDIL offers the diagnosis problems. Diagnosis problems are connected with the previous two learning contents. The LEDIL analyzes the result of diagnosis by checking three conditions as follows. The first condition is to check if all scores are over 60. If this condition is satisfied, then the learner can proceed to next learning step. The second condition is to check if the first element's score is over 60 and the second element's score is under 60. If this condition is satisfied, then the learner must make up lacking contents The third condition is to check if all scores are under 60. If this condition is met, the learner lacks of the previous learning understanding ability. So the LEDIL offers other diagnosis problems and repeats the testing until it finds out what to make up. This system can prevent the learners from missing understanding ability of the previous learning. Also, the learners can control the speed of learning for themselves.

      • 이동에 의한 공간 인식과 정체성 연구 :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허정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이동의 경험을 통해 새롭게 인식한 공간과 정체성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과학과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해 현대인은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해 졌으며, 세계화가 가속화된 1990년대 이후 이동은 우리의 일상적 삶의 일부가 되고 있다. 전 지구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국가의 경계를 넘나드는 잦은 이동은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고, 다양한 정체성의 출현을 가능케 한다. 특히 현대의 예술가들에게 지속적인 이동에 따른 유목적 삶은 창작을 위한 당대적 조건이 될 정도로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비록 국가의 경계를 넘나드는 것은 아니지만, 본인의 삶 역시 한 곳에 정박하지 않고 두 개의 공간을 끊임없이 왕복한다는 점에서 유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유목적 삶의 경험에 따라 생성되는 새로운 공간에서 본인은 정체성의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본인의 작업의 핵심은 개인적인 삶의 경험을 당대의 사회문화적 삶의 조건들과 관련짓고, 그 같은 문제들을 예술창작의 근원으로 수용하고 작품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끊임없이 서로 다른 공간을 이동하는 예술가로서 본인의 삶과 예술을 해석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본 논문에서는 유목주의와 현대적 공간 이론을 활용하고자 한다. 유목적 사유방식과 다양한 공간 개념 및 부유하는 정체성에 대한 논의는 예술가로서 본인의 삶이 세계화로 인한 사회, 문화적 변화와 긴밀한 연관이 있음을 설명해 주고, 본인의 경험에 기반을 둔 작품을 해석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유목주의 이론은 예술창작을 위한 본인의 이동하는 삶의 당위성을 밝혀준다. 그리고 떠남과 새로운 도착, 짧은 머묾과 또 다시 떠남이란 계속되는 이동의 경험과 새로운 공간에 대한 인식이 출현하는 과정을 규명해주기 때문에, 본인의 예술세계를 고찰하는 데 중요한 틀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유목주의 이론은 이동에 따라 혼성의 공간을 경험하는 본인의 의식이 작품의 주요한 내용을 구성하고, 그런 주제 의식이 개인적 차원의 문제를 넘어 사회문화적 측면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설명해 준다. 또한 탈식민주의 이론을 위시해 현대철학에서 제시된 유동적인 공간개념은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공간을 새롭게 인식하게 이끌어준 토대가 되었다. 하나의 공간과 또 하나의 공간이 만나는 접점인 ‘사이’에서 생성되는 혼성의 공간의 발견은 본인의 창작에서 중요한 요소로 발전했다. 여기서 혼성의 공간은 이것과 저것이 마구 섞이는 곳이 아니라, 현대사회에서 새로운 문화와 정체성이 출현할 수 있는 긍정적 지점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목주의적 사유방식과 혼성의 공간 및 부유하는 정체성에 대한 개념에서 본인의 삶과 작품을 이론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함으로써, 이동과 공간과 정체성의 변화를 어떻게 다양한 매체와 표현방식을 활용해 구현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논하였다. 또한 유목적인 삶의 경험에서 비롯된 본인의 작품을 공간과 정체성이란 유사한 문제들을 다룬 동시대 미술가들의 작품들과 비교하면서 현대미술의 맥락에서 본인의 위치를 확인해 보았다. 본문의 첫 장인 “현대의 삶과 이동”에서는 현대인의 삶의 조건이 되고 있는 이동, 창작을 위한 예술가들의 이동, 그리고 예술창작을 위한 본인의 유목적인 삶과의 연관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런 관계를 질 들뢰즈(Gilles Deleuze)와 자크 아탈리(Jacques Attali)의 이론을 근간으로 풀어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유목적 사유방식을 본인 작업의 창작의 원천인 혼성공간과 유동적인 정체성을 설명하기 위한 토대로 활용하였다. 제3장에서는 현대사회의 이동에 따라 새롭게 생성되는 공간개념을 탈식민주의 문화이론과 현대문화 이론가들이 제시한 또 다른 공간 개념들의 핵심적인 내용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문화가 겹쳐지는 혼성공간을 새로운 문화가 창출되는 긍정적 의미의 공간으로 설명한 호미 바바(Homi Bhabha)의 주장을 살펴보았다. 또 다른 공간 개념으로는 역사학자 피터 버크(Peter Burke)의 문화와 문화가 만나고 섞여 융화되고 상호 공존하는 전 지구화 시대의 문화공간의 혼성화 개념, 마크 오제(Marc Augé)의 비장소(non-places) 개념, 현대 사회에서 어느 누구에게도 점유될 수 없는 일시적인 머묾의 공간을 설명한 미셀 푸코(Michel Foucault)의 헤테로토피아(héterotopia) 개념 등을 논의했다. 위에서 살펴본 현대적 공간개념을 참고해 본인이 이동하는 순간, 점유하게 되는 공간 속에서 본인 작품의 현대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제4장은 작품에서 구현되는 혼성적 공간과 유동하는 정체성을 동시대 작가들의 작품분석을 통해서 연구해 보았다. 물리적 이동과 사유의 이동을 통해 유동하는 정체성을 예술로 구현한 사례로 서도호와 크초(KCHO : Alexis Leyva Machado)의 작품을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공간의 문제를 다룬 작가로는 줄리 메르튜(Julie Mehretu)와 사라 체(Sarah Sze)를 선택하여, 평면과 조형물을 통해 시공간을 겹치고 압축하는 방식으로 스펙터클한 공간을 재구성하는 방법을 분석해 봄으로써, 본인의 작품에서 재구성되는 일시적인 공간에 대한 의미와의 상관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문에서 다룬 다양한 이론과 동시대의 다른 작가들의 작품 분석을 활용하여, 본인의 작품에서 이동에 따른 혼성공간과 유동하는 정체성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인의 작품은 세 개의 순차적인 단계를 취하고 있는데, 따라서 작품분석 또한 그 단계에 병행하여 이뤄졌다. 그 첫 번째는 반복된 이동에 따라 익숙한 공간이 낯설어짐으로써, 낯선 공간들에서 본인의 영역을 되찾고자 하는 욕망이 투사된 새로운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다음 단계는 초기에 이동이 초래하는 정체성 상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두 공간의 사이를 오고 가는 본인을 인정한 후, 이동하는 사물과 공간을 합체해 새로운 공간으로 대치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이동하는 공간 속에서 흐르는 시공간을 포착하여 본인의 새로운 위치를 찾아내고자 하는 방향을 취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본인의 이동하는 경험을 현대사회의 중요한 현상의 하나로 간주하고, 혼성공간과 그 외의 공간에서 유동하는 정체성을 유목주의와 현대문화 이론들과 연계지어 분석한 것이다. 이동에 따라 공간과 정체성은 끊임없이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고 가변상태에 놓이게 되는데, 이것이 본인의 예술 창작의 원천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인의 작업은 점유하던 공간을 벗어나는 탈영토화라는 경험에서 출발하여, 점차 새로운 공간을 확보하는 재영토화하는 방식으로 이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인은 이동을 통해 문화를 옮기는 노마드이자, 사회와 소통을 하며 움직이는 예술가를 지향한다. 앞으로도 한 곳에 정주하지 않고 새로운 공간의 표면 위로 리좀과 같이 뻗어 나가며 끝없이 사유하며 이동하는 예술가가 되는 것, 이것이 본인의 예술의 목표임을 본 연구를 통해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The aim of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identity, which is newly perceived through my experiences in spacial movement(or travel). People in contemporary society can travel freely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is has become a part of our lives since 1990s in which globalization was accelerated. Frequent travels between countries create new space and allow the emergence of complicated identity. Especially, the nomadic lifestyle of contemporary artists through the frequent travels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ir art making. My life can also be said to be a nomadic life since I have continuously shuttled between two spaces even though not crossing national boundaries. From the newly created space by the experiences of this nomadic life style, I have gone through changes in my identity. Then I started understanding my personal experiences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of contemporary world and projecting them to my works. As an artist who has frequently shuttled between two different cities, I would like to interpret my life and art by various theories about nomadism and contemporary space. They enable me to explain that my life is deeply connected to social and cultural changes caused by globalization and to provide theoretical background to interpret my works which were based on my personal experiences. The theory of nomadism gives appropriate prominence to my nomadic life. It also stands as a framework for the study on my world of art since it shows the process of the perception about continuous nomadic experiences and new spaces. In other words, it represents that my sense to experience the in-between or hybrid space through nomadic life composes the main theme of my works and such sense have relation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my own ones. Also, the theories of space, which have been presented from the post-colonialism to nomadism in contemporary philosophy, have become a background to perceive the importance of the space. A discovery of in-between space has been develop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my creation of works. Such space has been suggested as very positive point where the new culture and identity can be emerged. In this study, I discussed how to incarnate the process of changing space and identity by using various media as I have secu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in the conceptions of nomadic way of thinking, in-between or hybrid space, and floating identity. In addition, my works through the nomadic life experience have been compared to other contemporary artists’ works that are in similar theme, the space and identity as I try to see myself in a context of the contemporary art. In the first chapter, the travel as a condition on the life of contemporary people, artist’s travel for cre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my nomadic life have been explained on the basis of Gilles Deleuze and Jacques Attali’s theories. Furthermore, I have used the nomadic way of thinking to explain the in-between space and floating identity that are the resources of my creation. In chapter 3, the new conception of space emerged by the travel in contemporary society has been analyzed in terms of not only the post-colonialism theory but also the conception of space proposed by other theorists of contemporary culture. First of all, the claim of Homi Bhabha who described the in-between space containing many different cultures as a very positive space where the new culture is created has been examined. Other conceptions of space-the conception of the space of cultural hybridization suggested by the historian Peter Burke who told that different cultures have met, merged, and coexisted in the global world, the conception of non-places by Marc Augé, and the conception of heterotopias by the Michel Foucault who explained the temporary space where cannot be occupied by anyone-have been also discussed. Referring to these conceptions on space, I would like to show the contemporaneity of my works. In chapter 4, the in-between space and migrating identity presented in my works have been studied by comparing with those of contemporary artists’ works. Do-ho Suh and KCHO: Alexis Leyva Machado’s works are chosen as a case of work that pictures the migrating identity through physical and notional travels. In addition, Julie Mehretu and Sarah Sze’s works are selected to find the relationship and meaning of temporary space where my works are restructured since they restructure the spectacle space in a way of compressing the visuospatial space through paintings and sculptures. In Chapter 5, the way that the in-between space and migrating identity were implied in my works has been examined with the analysis on the various theories and other contemporary artists’ works which are mentioned above. The analysis of the works took certain orders since there are three sequential stages in creating my works. The first stage is creating a new space with the desire of returning the familiar space as the familiar space was getting unfamiliar by repetitive travels. The next stage is realizing myself as an ego that travels between two different spaces to overcome the loss of identity due to the travel and setting up a new space by combining the migrating objects and space. Final stage is trying to find a new position by grasping the moving space. Consequently,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igrating identity in connection with the nomadism and the contemporary cultural theories of space by means of regarding my travel experienc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contemporary society. The space and identity become changeable and continuously create new meaning by the travel, and these are my resources for art creation. My works have started from deterritorialization that is to come out from occupying territory and then have gradually moved to take new territories again. Therefore, I intend to be a nomad who delivers culture through travels and to be an artist who communicates and goes with society. I would like to make it clear by this study that my aim in creating art work is to be an artist who continue to think and to travel without staying at one place.

      • 인공재배한 매실나무 겨우살이의 기능성 식, 의약품 및 화장품 소재화 연구

        허정원 강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인공재배한 매실나무겨우살이 초음파추출물을 식·의약 및 화장품의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매실나무겨우살이를 소재로 기능성 막걸리를 개발하고, 기능성 막걸리의 기능성을 검증하여, 막걸리의 식·의약 및 화장품의 소재화 및 산업화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매실나무겨우살이의 일반성분분석, 총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free radical 소거능과 Tyrosinase 저해효과 그리고 인간 정상신장세포(HEK-293), 인간 간암세포(HepG2), 인간 위암세포(AGS), 및 인간 유방암세포(MCF-7)에 대한 세포독성 및 항암활성 그리고 n-Hex, CH2Cl2, Ethyl acetate 및 BuOH 분획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 및 tyrosinase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초음파추출할 때 80% 에탄올이 용매로 가장 적합하였으며, 농도의존적으로 함량 및 소거능이 증가하여 5,000 ppm에서 비교적 높았다. 매실나무겨우살이의 Tyrosinase 저해효과는 물 추출물의 경우 겨우살이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8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2,500 ppm이 비교적 높은 저해효과와 함께 오랜시간 유지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항암활성은 HepG2, AGS 80% 에탄올 추출물 100㎍/mL에서 비교적 높은 반면, MCF-7은 매실나무겨우살이의 경우 물 추출물 100 ㎍/mL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분획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 및 Tyrosinase 저해효과 모두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소거능과 저해효과를 보여주었다. 매실나무겨우살이 막걸리를 개발하기 위해 백미, 기장의 배합비율(백미 100%, 백미와 기장 7:3, 5:5, 3:7 및 기장 100%) 및 발효방법(Machine shaking, Hand shaking)에 따른 총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아울러, 식·의약 및 화장품의 소재활용 및 막걸리의 최적 발효조건을 탐색하기 위해 발효기간(10, 20 그리고 30일) 및 겨우살이 함량(0%, 5% 및 10%)에 따른 총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free radical 소거능과 30일 막걸리의 Tyrosinase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백미와 기장이 7:3으로 배합된 막걸리 종류가 총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이 비교적 높았으며, 10%의 겨우살이를 첨가한 막걸리와 첨가하지 않은 기장막걸리 모두 기장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겨우살이를 첨가한 막걸리가 평균 91.9%로 높았으며, 이들 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발효방법은 Machine shaking (30-35 ℃, 100 rpm, 19 days)으로 발효한 막걸리가 Hand Shaking(21 ℃, per 12 hr, 19days)보다 총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이 높아 Machine shaking이 발효방법으로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Machine shaking 방법을 이용하여 발효기간(10, 20 및 30일) 및 매실나무겨우살이 함량(0, 5 및 10%)에 따른 총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여주었고,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막걸리의 발효기간(최대 30일)이 경과함에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아울러, 겨우살이를 5%와 10% 첨가한 막걸리 모두 30일간 소거능(평균 91.63%)이 유지되었다. 아울러 겨우살이 0% 첨가한 막걸리는 총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이 비교적 낮았고, 겨우살이를 첨가한 막걸리(5, 10%)의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 겨우살이 막걸리가 0%, 10% 첨가한 막걸리보다 비교적 높았다(0%: 57.41 ㎍/mL, 10%: 38.64 ㎍/mL). DPPH free radcal 소거능은 5%와 10% 첨가한 막걸리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30일 발효한 막걸리의 Tyrosinase 저해효과는 겨우살이를 첨가하지 않은 막걸리가 비교적 높고 오랫동안(60여분) 유지되었으며, 5% 첨가한 막걸리의 저해효과가 가장 낮았다. 본 연구결과, 인공재배한 매실나무겨우살이 원료의 기능성 뿐만 아니라 매실나무겨우살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경우 매실나무겨우살이 추출물보다 비교적 더 높은 기능성을 나타내어 매실나무겨우살이의 식·의약 및 화장품의 소재화 및 산업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aterialization possibility of th e mistletoe which is artificially cultivated on Prunus mume. Mistletoe is used to prepare makgeolli which has higher polyphenol·flavonoid content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effect. Viability of the HEK-293(normal cell of human kidney), HepG2(liver cancer cell of human), AGS(stomach cancer cell of human) and MCF-7(breast cancer cell of human) was evaluated by MTT assay. Furthermore, Fraction(n-hex, CH2Cl2, Ethyl acetate and BuOH) was evaluated b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effect. It is observed that total polyphenol·flavonoid contents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directly correlated to their concentration and the optimal concentration was recorded at 5000 ppm. However, tyrosinase inhibition effect of water extract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and the optimal concentration was recorded at 2,500 ppm. Anticancer effect of HepG2, MCF-7 and AGS was higher in 80% EtOH extracts of mistletoe comapred to water extract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effect was the highest. in ethyl acetate fraction. Result revealed that content of the total polyphenol·flavonoid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mistletoe makgeolli depends on mixture ratio(Rice, Hog millet and Mistletoe) and fermentation method(Machine shaking: 30-35℃, 100 rpm and 19 days, Hand shaking: 21 ℃, per 12 hr, 19days). Furthermore, it is found that total polyphenol·flavonoid contents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effect (30 days fermentation) of makgeolli directly related to the fermentation periods(10, 20 and 30 days) and mistletoe mixture ratio(0, 5 and 10%). Total polyphenol·flavonoid contents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r in rice and hog millet(7:3) mixes Makgeolli compared to others. Furthermor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r in of mistletoe makgeolli comapred to non-mistletoe makgeolli. It is also found that machine shaking (30-35℃, 100 rpm and 19 days) was the most suitable fermentation method compared to other methods. Tyrosinase inhibition effect of makgeolli (0%, 30 days) was in 60min which is higher than others. According to this study, mistletoe that was artificially cultivated on Prunus mume has enough functionality. Moreover, Functionality of the mistletoe makgeolli was better than mistletoe extracts. Therefore, there is a potential scope of the mistletoe makgeolli to the Industrialization and materializaion in future.

      • 선박배관 manifold 제조기업에서 BOM을 적용한 자재관리에 관한 연구

        허정원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조 기업은 생산 활동에 필요로 하는 원자재, 부자재, 부품, 구매품 및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설비용품 등의 재고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제품에 관한 고객의 요구가 현저히 중시되고 있다. 제품의 대량 생산방식이 아닌 고객의 개별적 요구를 충족 시켜 다른 기업과의 경쟁력 우위를 확보해야 한다. 현재 제조기업은 제품 개발을 초기부터 생산 및 판매에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제품의 품질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제조 원가의 달성 개발품 원가 비용의 최소화, 개발 기간의 단축, 신제품 기술의 축적을 목표로 최대한 기울이고 있다. 자재소요명세서(BOM)는 제조 기업에서 중추적인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준 정보이며 개발품 단계에서는 시방서와 같은 도면으로 기술정보를 생성한다. BOM은 제품에 해당되는 부품을 구매하기 위해서 기업에서 적용되는 ERP 시스템과, 생산 전 과정을 운영하는 MES와 같은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생산을 기초로 하는 장비들의 경우 고객인 선주의 요구에 따라 제품의 기능 및 형태 등이 다양하게 변화가 되므로 동일한 장비를 가지고 많이 생산하는 경우는 없었다. 그렇기에 BOM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았고, 이로 인하여 BOM에 대한 정보의 부실이 큰 문제점으로 되지 않았지만, 현재는 제품 생산 시 기존의 모델이 기초로 되어 생산하는 제품이 증가하게 되면서 BOM 부실은 결국 설계부터 생산되는 제작품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으로 대두되게 되었다. BOM에 대한 정보 부실의 원인은 생산 방식에 의한 것이지만, 가장 큰 원인은 바로 BOM 시스템의 관리 부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BOM을 생성하는 기초라 할 수 있는 부품구성표를 쉽게 구성을 하도록 하면서, BOM을 구축, 이를 이용한 재고 관리 정책 수립, 재고 모형을 이용한 재주문점 및 안전재고량 설정을 하여 자재구매 및 재고관리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적으로 구축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품종 소량생산의 공정에서 주문 생산 운영에 대해 효율적인 재고관리와 데이터를 분석하고 안전재고와 재주문하기 위한 자재의 수량에 대해 설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선급에 따라 선급검사 합격된 자재를 써야하는 공정에 있어서 자재를 관리하는 것은 어렵다. 효과적인 자재 관리를 위해서 해당 연구는 ABC재고분석을 통해 파트를 나누면서 자재의 안전재고와 재주문점을 만들고 세부적인 자재관리와 계획을 제안한다. 이 연구는 조선기자재 manifold 제조업체에서 적용된 사례와 함께 ABC 등급별 안전재고와 재주문점을 적용한 효과성을 설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사례를 통해 세부적인 자재관리와 계획이 인력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재고 비용과 재고 파악 수요 시간을 감소시킴을 보여준다. 또한 이는 프로젝트 관리자로 하여금 효과적인 자재 수요량을 알 수 있도록 한다. 회사에서 갑작스러운 주문을 받았을 때, 회사는 재고 및 자재 수요량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자재 입고리드타임에 따른 현장에서의 생산계획일정 수립하는 것에도 용이하다.

      • Science : the salters' approach의 분석

        허정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1980년대 이후 전세계적으로 과학교육의 큰 조류가 된 STS(Science -Technology & Society)교육은 과학을 지식으로서만이 아니라 학생들의 실제 생활과 관련된 살아있는 지식으로 전달하여 학생들이 보다 의미있게 이해하게 하고 사회에서 현명한 의사결정과 문제를 해결할 능력을 지닌 과학적 소양인의 양성을 근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TS 교육의 두 가지 접근법-과학 우선 접근법(science first approach)과 응용 및 논제 우선 접근법(application & issues first approach)-을 논의하고 응용 및 논제 우선 접근법의 한 예인 영국의 Salters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Yager가 제시한 STS 교육과정의 필수 구성 요소 8가지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Salters 프로그램은 내용면에 있어서 STS적인 요소가 전체 지면 273.2면중 159.4면으로 약 58.3%를 나타내고 있으며 구성요소별로 보면 과학의 응용성이 전체의 43.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다음으로 사회적 문제, 지역사회와의 관련성에 관련된 내용이 많았으며 직업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내용은 다루어지지 않았다. 학습활동 영역에서는 SATIS의 학습활동과 87.2%의 일치도를 보인다. 학습자의 경험이나 관심사로부터 출발하는 Salters는 과학적인 내용보다 응용적인 내용의 비중이 더 높고 응용에서 출발하는 접근법으로 내용이 전개되고 있다. 실용적인 면의 비중이 높으므로 실생활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가르치는 측면에서 기존의 과학 우선접근법보다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 of the modern society, science & technology influences the society significantly. Thus, korean education, especially the science education must be reviewed the terms of tha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social, environmental context's science education -STS education. This thesis is argued about two access for STS education-science first approach & applications and issues first approach- and introduced salters program which is an instance of applications and issues first approach.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salters program has strong points which are different from what science first approach ha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alters program comprehends 58.3% of STS factors and 87.2% of SATIS factors in the investigations. It starts from the applications which are related to the interests and experiences of the students. Salters program is developed learning through applications and issues first approach. Somewhat, in spite of these strong points, salters program has several weak points in execute. Salters program is a rapid progress which has difficulty in descending it to practice in classroom. Salters program is different from the established curriculum, teachers wouldn't adopt it. It is hard to unfold the study regularly, dialectically with it.

      • 少陽人 荊防敗毒散의 항염증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허정원 慶熙大學校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상기도 감염에 자주 이용되는 少陽人 荊防敗毒散(SHBPDS)의 알코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HMC-1 과 마우스의 면역세포를 통해 알아본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HBPDS의 알코올 추출물은 염증반응이 유도된 비만세포에서 분비되는 Pro-inflammatory cytokine인 IL-6 와 TNF-α의 분비를 감소시켰다. 2. SHBPDS의 알코올 추출물은 마우스 B cell의 증식능을 향상시켰다. 3. SHBPDS의 알코올 추출물의 투여로 마우스 B cell의 활동성을 나타내는 CD69, CD23, sIgE는 감소됐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IgE 와 IgG1 및 INF-γ 의 분비는 50 ㎍/㎖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했다가 200 ㎍/㎖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반면 IL-4는 모든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4. SHBPDS의 알코올 추출물의 투여로 마우스 T cell의 증식능은 모든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다. 5. SHBPDS의 알코올 추출물의 투여로 마우스 Th cell이 분비하는 INF-γ(200 ㎍/㎖) 와 IL-2(100 ㎍/㎖)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했으나 IL-4는 50, 200 ㎍/㎖ 농도에서는 감소, 100 ㎍/㎖ 의 농도에서는 증가하는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SHBPDS의 알코올 추출물은 비만세포의 IL-6와 TNF-α의 분비량 감소와, B cell의 활동성감소, Th cell의 INF-γ, IL-2의 분비량을 감소시켜 항염증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과민반응에 의한 염증일 경우에는 일정한 항염증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사료되며, 면역세포의 증식능의 증가는 면역력 약화에 의한 염증반응의 경우에 면역증진을 통한 항염증작용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이에 대한 연구는 추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Soyangin-Hyeongbangpaedoksan(SHBPDS) which is used for treating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on HMC-1, mouse B cell and mouse T cell.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SHBPDS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proliferations of HMC-1, B cell and T cell, the secretions of TNF-α IL-6 in the HMC-1, the experiences of CD69, CD23 and sIgE in the B cell, the secretions of IgE, IgG1, IL-4 and INF-γ in the B cell and the secretions of IL-2, IL-4, INF-γ in the CD4+ T cell after the administration of SHBPDS methanol extrac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SHBPDS increased the proliferations of HMC-1, mouse B cell and mouse Th cell, but it was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SHBPDS increased the secretions of TNF-α IL-6 in the HMC-1. But, Only the secretions of TNF-α at the concentration of 10, 100 ㎍/㎖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control data. SHBPDS decreased the experiences of CD69, CD23 and sIgE in the B cell, but it was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SHBPDS increased the secretion of IgE, IgG1 and INF-γ in the B cell at the concentration of 50 ㎍/㎖ and decreased at 200 ㎍/㎖ significantly compared to control data. IL-4 was increased at all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compared to control data. The secretions of IL-2 and INF-γ in the Th cell was decreased at all concentrations, but IL-4 was decreased at the concentration of 50, 200 ㎍/㎖ and increased 100 ㎍/㎖ significantly compared to control data.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an inflammatory reaction may be reduced by using SHBPDS, but an allergic reaction not effective and we need further study about this.

      • 폐결핵 진단 후 폐암 발생의 위험도: 전국 인구 기반 코호트 연구

        허정원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폐결핵과 폐암은 세계적으로 높은 발병률과 사망률을 초래하는 질환으로 두 질환의 연관성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다. 최근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대규모 코호트에서 폐암과 폐결핵에 연과성에 대한 연구들이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의 전 국민을 대상으로 시행한 표본 코호트에서 폐결핵의 발생 시기를 고려하여 폐결핵 진단 후 폐암 발생의 위험도를 조사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한 코호트는 대한민국의 국민 건강 보험 서비스-국가 표본 집단을 사용 하였다. 폐결핵 진단 코드가 있고 20세 이상의 성인에서 결핵으로 치료받은 환자를 폐결핵 환자로 정의하였다. 폐결핵의 진단 후 폐암 발병률을 진단 시기를 고려하여 관찰 하였다. 2003년에서 2013년 동안 폐결핵 환자 3,776명과 성별 및 연령으로 무작위 매칭된 18,880명의 대조군을 비교 분석하였다. 성별, 연령, 수입, 흡연력을 보정한 후, 폐결핵에 대한 폐암의 보정된 위험도(Hazard Ratio, HR)를 계산하기 위해 다변수 Cox-비례 위험 모형을 사용했다. 폐암 발병률과 발병비율을 계산하여 폐결핵 진단 후 시간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11년 동안 194명의 환자가 폐암으로 진단되었다. 3,776명의 폐결핵 환자에서 86명의 폐암 환자가 진단되었고, 18,880명 대조군에서 108명의 폐암 환자가 진단되었다. 폐결핵 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해 발생비율이 1년 이내에 12.26, 결핵 진단 후 1년에서 4년 사이에 3.33으로 높았다. 폐결핵 환자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폐암 발생 위험이 더 높았다(adjusted HR, 4.18; 95 % CI, 3.15-5.56). 폐결핵 진단 후 연령별 폐암 발생 위험도는 다른 위험 요인을 보정하였을 때, 50대 이하에서 HR 9.85 (95 % CI, 4.57-21.23), 50대에서 7.14 (95 % CI, 3.63-14.05), 60대에서 3.32 (95 % CI, 2.12-5.19), 70대 이상에서 2.57 (95 % CI 1.40 –4.72)이였다. 나이가 어릴수록 폐결핵 진단 후 폐암의 위험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결론 폐결핵은 폐암 발생의 독립적인 위험 인자이다. 폐결핵이 진단된 환자의 경우, 폐암의 공존을 고려하고 추후 일정 기간 동안 폐암의 발생 여부를 관찰해야 한다. 특히 젊은 환자의 경우 폐결핵 진단 후 폐암 발생의 위험도가 높아 일정 기간 동안 폐암의 발생 여부를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좋겠다.

      •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위산억제제의 영향: 공통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다기관 연구

        허정원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배경 위산억제제(Acid-suppressive medications, ASM)는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사용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장기적인 위산억제제의 사용은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한다. 하지만 위산억제제의 부작용에 관한 연구는 연구 디자인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최근 공통 데이터 모델(common data model, CDM)을 통한 분산연구망(distributed research network, DRN)을 이용한 연구가 가능해졌다. 환자 개인정보의 유출에 대한 우려 없이 다기관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 설계가 가능하게 되었다. 공통 데이터 모델을 통한 분산연구망을 이용하여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환자에서 위산억제제 사용 후에 폐렴 발생 위험비를 확인하였다. 방법 2001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20년 동안 COPD를 진단받은 40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위산억제제의 노출은 H2 차단제(H2-receptor antagonists, H2RA)와 양성자 펌프 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s, PPI)를 28일 이상 연속 처방받은 환자로 정의하였다. 분산연구망을 이용한 공통데이터모델인 OHDSI (Observational Health Data Sciences and Informatics)의 OMOP-CDM(Observational Medical Outcomes Partnership common data model)을 이용하여 연구 자유 지대를 구축한 9개 병원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OHDSI 커뮤니티에서 개발한 무료 웹 기반 소프트웨어 도구인 ATLAS를 이용하여 장기간 위산억제제를 사용한 COPD 환자와 그렇지 않은 COPD 환자를 성향 점수 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 PS)을 이용하여 1:1 매칭 후에 폐렴 발생률(Incidence of pneumonia)과 위험비(Hazard ratio, HR)를 확인하였다. 결과 2001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9개 병원에서 장기간 위산억제제를 투여받은 COPD 환자는 총 7,402명이었으며, 대조군인 장기간 위산억제제 투여받지 않은 COPD 환자는 총 20,552명이었다. 성향 점수 매칭법을 이용하여 각각 5,681명씩 배정되어 총 11,362명의 환자를 분석하였다. 9개 병원을 통합 분석한 결과 장기간의 위산억제제 사용은 폐렴의 발생 위험비 1.35(95% Cl : 1.15-1.58)를 보였다. 결론 공통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분산연구망 다기관 연구를 통해 개인 정보 유출 등의 위험성이 없으면서도 빠르고 손쉽게 연구를 진행할 수 있었다. 장기간 위산억제제를 처방받은 COPD 환자는 그렇지 않은 COPD 환자와 비교하여 폐렴의 발병 위험률이 높았다. 본 연구는 공통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분산연구망 다기관 연구를 통하여 COPD 환자에서 위산억제제와 폐렴과의 연관성을 확인한 최초의 연구이다. 하지만 추후 위산억제제 각각의 영향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Acid-suppressive medications (ASM) are increasingly used, especially in patients with underlying diseases. Long-term use of ASM causes various side effects. However, studies on the side effects of ASM have report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study design. Recently, researches using a Distributed Research Network (DRN) using a Common Data Model (CDM) have become possible. Research design for patients in multiple institutions became possible without worrying about the leakage of patient personal information. Using a DRN using a CDM, we confirmed the hazard ratio of pneumonia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fter using ASM. Methods Patients over the age of 40 who were diagnosed with COPD for 20 years from January 1, 2001 to December 31, 2020. Exposure of ASM was defined as patients who were prescribed H2-receptor antagonists (H2RA) and proton pump inhibitors (PPI) for more than 28 consecutive days. Data from 9 hospitals that have established a research free zone using OMOP-CDM (Observational Medical Outcomes Partnership Common Data Model) of OHDSI (Observational Health Data Sciences and Informatics), a CDM using a DRN, were used. Using ATLAS, a free web-based software tool developed by the OHDSI community, COPD patients who used ASM and control groups were 1:1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and the pneumonia incidence rate and the hazard ratio was confirmed. Results From January 1, 2001 to December 31, 2020, there were 7,402 people in the ASM group and 20,552 in the non-ASM group at 9 hospitals.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5,681 patients were assigned to each, and a total of 11,362 patien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meta-analysis of 9 hospitals, the long-term use of ASM showed a hazard ratio of 1.35 (95% Cl: 1.15-1.58) of pneumonia. Conclusions DRN multi-institutional research using a CDM was able to conduct research quickly and easily without risk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COPD patients who were prescribed ASM for a long time had a higher risk of pneumonia compared with those who did not. This study is the first to confirm the association between ASM and pneumonia in COPD patients through a DRN study using a CDM. Howev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ects of each ASM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