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근대기 마산의 도시변화과정 연구 : 개항(1899년)부터 해방(1945년)까지

        허정도 울산대학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근대기(1899년에서 1945년)에 걸친 마산의 도시변화과정을 연구한 것으로서 그 요점은 크게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근대기에 진행된 도시 전체의 변화과정을 지도와 서지 등 각종 자료를 통해 분석하여 그 변화과정을 시기별로 밝혔고 둘째, 마산의 중심부인 원마산 지역에 대해서는 좀 더 세밀하게 살펴보기 위해 지적도를 이용하여 시기별 토지이용도를 복원한 후, 그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셋째, 위의 두 결과를 이용하여 마산 도시변화의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각 시기 별로 나타난 도시변화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개항 이전의 시기 고려시대, 마산 해안에 조창인 석두창(石頭倉)을 설치하였다. 창(倉)의 위치는 현 남성동 부근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다가 충렬왕 원년(1274년)에 이 도시는 여원여합군의 일본원정을 위한 군사 항구 도시로 변했다. 조선의 영조 36년(1760년)에 대동미를 운송할 목적으로 남성동 해안에 조창인 마산창을 설치하였다. 이 이후부터 마산포는 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했다. 1899년 5월 1일로 조선정부는 이 도시를 개항하기로 결정하고 조창 지역으로부터 남쪽으로 2㎞정도 떨어진 신월리와 월영리 일대에 각국공동조계지를 설치하였다. 개항기(1899-1910년, 식민지화 준비기)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취락의 마산포(이하 원마산)는 6개의 마을과 2천여 채의 가옥이 있었으며 장시(場市)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한국인 도시였다. 그러나 개항 이후에 일본인의 이주가 시작되면서 민족구성이 다양해지기 시작했다. 일본인의 이주는 러일전쟁과 을사조약 이후 급증하였다. 이주한 일본인들에 의해 소위 신마산 이라고 하는 새로운 도시가 형성되었는데 신마산의 도시 범역은 애초의 각국공동조계지를 훨씬 넘어섰다. 도시형성과 함께 식민통치에 필요한 관아 중심의 근대식 목조 건물들이 신마산 지역을 위주로 들어서기 시작했다. 또한 일본인들은 원마산의 토지를 집중적으로 획득하면서 이곳에도 진출하였다. 강점 제1시기(1911-1920년, 식민지배 기반 구축기) 1914년, 일제는 마산을 부(府)로 승격시켰다. 이 때 개편된 행정구역으로 오늘날 마산시의 기틀이 확립되었다. 하지만 개항기에 이루어졌던 급속한 투자와 인구성장이 일단락되어 성장일변도였던 신마산은 정체기를 맞이하였다. 건축공사도 신축하기보다는 개항기에 지은 건축물을 증축하는 경우가 많았고, 벽돌조 건물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또한 원마산에 일본인들이 본격적으로 진출하면서 해안이 매립되고 도로가 개설 되었다. 이 과정에서 1760년에 건축된 후 150여 년 동안 존속해 온 조창(漕倉)건물이 철거되었다. 이로 인해 원마산의 도시구조는 크게 달라졌으며 이를 계기로 일본인은 원마산의 상권을 더욱 확실하게 장악할 수 있었다. 강점 제2시기(1921-1930년, 산업수탈기) 일제가 조선회사령을 폐지하자 산업 활동이 활발해졌다. 이에 따라 산업용지 확보와 경제적 잉여 창출을 위해, 마산부의 일본인들은 해안 여러 곳을 매립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결과 일본인의 토지 지배는 이전보다 더 대형화·집중화되었다. 철도 교통의 발전과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원마산 일대의 시역(市域)이 확장되었고 이에 따라 도로망도 많이 확산되었다. 러일전쟁의 산물로서 원마산과 신마산 사이에 철도용지로 수용되어 있던 중앙마산지역이 시구개정 계획에 의해 시가지로 변하기 시작하였는데 이곳에는 산업과 교육 관련 시설이 많이 들어섰다. 콘크리트조 건물이 나타나는 등 구조와 형태 면에서 과거보다 발전된 형식의 건축물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강점 제3시기(1931-1945년, 병참기지화기) 경제적 잉여를 위한 매립공사와 병참기지를 목적으로 한 항만시설공사가 대대적으로 시행되었고, 그 결과 마산의 도시구조는 크게 바뀌었다. 오동교 이남의 전 해안이 직선호안으로 변화하였으며, 중앙마산지역이 새로 형성되면서 시역(市域)이 넓어졌다. 이에 따라 일본인의 지배력도 도시 전체에 확대되었다. 개항 후에 지었던 각종 시설을 개수하거나 혹은 변화된 사회에 필요한 시설을 신설하는 등 각종 시설공사가 집중적으로 시행되어 한때 건설 호경기를 맞기도 했다. 1920년대부터 시작된 중앙마산지역이 도시로서의 모습을 드러낸 시점인 1935년에 신포동지역의 매립도 완공되었다. 이로써 원마산과 신마산은 지형적으로 연결되었을 뿐만 아니라 두 도시가 연담화되어 하나가 되었다. 이 중앙 지역에는 도시 전체를 관장하는 공공업무시설이 집중되었다. 원마산의 시가지도 크게 넓어져서 인근 자연취락에까지 연결되었다. 위의 결과에 근거한 도시내부구조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시가지 확산 원마산과 신마산은 각각 다른 조건을 거치면서 변화?확장하다가 1930년대 중반에 이르러 연담화되었고, 그 결과 마산 시가지는 남북 장축의 대상형(帶狀型)으로 변하였다. 두 도시의 연결은 단지 두 공간이 지형적으로 연결뿐만 아니라 한국인과 일본인의 공간적 경계가 완화되고 식민정책을 관장하는 공공업무지역이 형성되는등 사실상 마산 도시에 있어서 최대의 변화를 초래하였다고 할 수 있다. 도로망 패턴 합방 이전까지 원마산에는 자연취락형 도로 밖에 없었으나 신마산의 형성 이후 두 도시에 각각 격자형 도로가 조성되었다. 두 도시를 연결하는 중심가로는 자연조건에 의해 남북축을 따라 길게 형성되었는데, 1930년대 이후 시가지가 확산되면서 총 3개의 남북축 중심가로가 나타남으로써 선상(線狀)형의 도로망을 갖게 되었다. 토지 이용 마산창을 중심으로 남쪽 해안일대에 강력하게 형성되어 있던 원마산의 상권은 매립과 도로개설, 그리고 역세권의 영향을 받으면서 다른 곳으로 확산되었다. 아울러 신마산의 중심가로변에는 노변상권이 형성되었는데 1920년대 이후 중앙마산 조성으로 노변상권은 더욱 길어졌다. 개항기와 강점 제1기까지의 공업관련시설은 시가지 전역에 흩어져 있었다. 그러나 1920년대 이후 시행된 매립으로 인하여 그것이 해안에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남성동지역의 상권은 오늘날까지 단 한 차례도 도시의 상업중심권 기능을 잃어 본 적이 없었다. 이상과 같은 도시변화의 과정 속에는 ① 개항으로 인한 신도시 건설 ② 지속적으로 시행된 해안의 대규모 매립 ③ 중앙마산이라고 하는 특수한 공간의 형성과 변화 ④ 두 개의 철도노선과 세 곳의 철도역에 의한 유통발달 이라고 하는 중요한 도시변화를 낳았으며, 이 네 가지 결과는 도시변화과정 속에서 변화의 내용을 확대 재생산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마산의 도시변화과정 속에는 일제의 식민지 정책이 철저히 반영되었다. 이 과정에서「근대도시로의 변화」와「전통 공간의 보존」이라는 긍정적인 발전방향은 일제에 의해서 철저히 무시되었다. 그 뿐만 아니라 조계지 일대를 기반으로 한 신마산은 그 자연적 입지조건 때문에 시역(市域)이 확장되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폐해를 가져오게 되었다. 즉, 원마산의 북쪽에 가용대지로 활용할 수 있었던 광활한 평지가 존재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전 해안을 매립하고 서쪽의 산사면(山斜面)을 개발하는 등, 산과 바다 사이에 놓인 동서방향의 단축(短軸)이 경사면이라는 지형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던 것이다. 이로 인해 도시의 각 공간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했고, 결국 도시 내 각 지역이 균등하게 발전하지 못하는 이유가 되기도 했다. This study is about the urban transformation of Masan(馬山) in Modern times(from 1899 to 1945). And in the broad sense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3 ways. Firstly,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whole city was analyzed in the light of 4 periods using old maps and other references such as old books and magazines. Secondly, The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Masan Area(Weon-Masan, 原馬山) was more deeply analyzed, the land use maps of 4 periods being reconstructed. And thirdly, The urban characteristics of Masan in Modern times was abstracted using the results of the above two. The main points of urban transformation in each periods are as follows. The Period before Port-Opening In Koryo(高麗) dynasty a government storehouse(Seokdoo-Chang, 石頭倉) was established to collect taxed grain in Masan. the location of the storehouse is supposed to be near present Namseong-Dong(南城洞) in the Original Masan. In the 1st year of King Choongryeol's(忠烈) reign(1274) Masan was transformed into a military port city by Mongols to invade Japan. At the 36th year of king Yeongjo's(英祖) reign in Chosun(朝鮮) dynasty Chochang(漕倉), a government-owned storehouse was built to store taxed grain and transport it to the capital by ship. Afterwards Masan was shaped into a city. On May 1, 1899 Chosun government decided to open Masan port to international powers and international settlement was established in the vicinity of Sinweol-ri(新月里) and Weolyedng-ri(月影里) 2km far southwardly from the Original Masan. The Period of Port-Opening(1899-1910, The period of the preparation for colonialization) The Original Masan(or Masan-po, 馬山浦) was a traditional Korean city comprising 2,000 houses in 6 spontaneously formed villages and there was a regular market. But after the opening of the city Japanese immigrated and built New Masan around the international settlement. The area of New Masan exceeded the border of the international settlement. Modern public buildings of wood used for colonialization were built mainly in New Masan area. At the same time Japanese aggressively immigrated to and bought the land of the Original Masan where commercial activities prospered since Chosun times. The 1st period of colonialization(1911-1920, Making of colonial foundation) Masan was raised to the status of Boo(a special administrative body) in 1914. And the structure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decided in that time still works. But the early growth of investment and population had stopped, leaving New Masan in a halt. Buildings were not newly built, rather remodelled and the brick construction appeared. Japanese advanced to the Original Masan, the center of commerce, and began to reclaim the land along the coast. The new roads were built, the urban structure being changed remarkably. In the mean time Chochang(Government storehouse) was demolished after 150 years of existence since its building in 1760. And the site area was divided into several lots having the road in the middle. Such acts as reclamation, road making and demolishing of the storehouse in the Original Masan area by Japanese colonialists comply with their urban policy to foster their control base in the city and nationwide. According to the policy the urban structure of the Original Masan was changed dramatically and the Japanese seized the commerce of the area more firmly. The 2nd period of colonialization(1921-1930, Depriving industrially) Industrial activities became more active according to the abolition of company ordinance in Chosun(Korea) in this period. Japanese in Masan began to reclaim the land in many places along the coast to get land and to create economic surplus. Japanese control of land became more sizable and concentrated according to the building of new industrial facilities and coastal reclamation. The built-up area of the Original Masan was enlarg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railroad transportation and the increase of population. Accordingly the road networks were enlarged. The vacant Central Masan area reserved for railroad use began to change into built-up area after the revision of the city plan. In this area many industrial and educational buildings were built and more advanced buildings of concrete appeared. The 3rd period of colonialization(1931-1945, Making of military base) The urban structure of Masan changed very much according to the reclamation. Especially the newly-formed Central Masan made the built-up area enlarged and accordingly Japanese control of the city spread citywide. The road networks of the Original Masan were not so expanded as 1920s. But the built-up area was enlarged much. And the various facilities built during the period of port-opening were modernized and other facilities necessary for the changing society were newly built. These works brought a construction boom for a time. In this period the urban development of the central Masan was completed since it was begun in 1920s. The original Masan and the new Masan was connected in 1935 after the completion of reclamation in Sinpo-Dong(新浦洞 )area. In this central area public buildings for city management were concentr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structure based on the above analyses are as follows. The expansion of the built-up area The Original Masan and the New Masan went through different development courses and were connected in the middle of 1930s. Therefore the built-up area of the whole Masan had a linear shape in north-south direction. The connection of 2 cities is not only the linkage of land but also the easing of the tension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blurring the border. And the public business area formed in the middle. This connection of 2 areas brought the greatest change in the city development. The pattern of road networks There were only premodern road networks in the Original Masan before the annexation. After the New Masan was formed grid-iron road networks were introduced in 3 cities. The main road connecting 2 cities took a long shape following the natural north-south axis. 3 major north-south connecting roads formed since 1930s with the enlargement of the built-up area, taking the linear shape. The land use The commercial power strongly formed in the Original Masan along the south coast expanded to other areas according to the road-building and to the influence of railway station. In addition roadside commerce strip formed along the main streets of the New Masan and the strip grew longer after the formation of the Central Masan. Industrial facilities were scattered citywide in the period of port-opening and in the 1st period of colonialization. But they were concentrated along the coastline after the reclamation of 1920s. Namseong-Dong in the Original Masan area never lost the 1st position in its commercial power until now. There were the following 4 motives to make the urban transformation possible and they helped to result in synergy effects. ① The construction of a new city according to the port-opening ② The continually carried-out and large-scaled reclamation of the coast. ③ The forming and transformation of a unique space called the Central Masan. ④ The improvement of the circulation according to 2 railway lines and 3 railroad stations. The Japanese colonial policies were fully reflected in the process of urban transformation in Masan. In this process the positive direction of urban policies such as Modernization and the Preservation of the traditional urban space was totally ignored. Furthermore the making of the New Masan around the international settlement brought many bad effects to the expansion of the built-up area due to its spatial and locational conditions. That is, there existed a vast plain in the north of the Original Masan which could be opened to form a new city. But in practice the New Masan was built in a narrow strip in the south of the existing original Masan. The whole coastline was reclaimed and the slope area of the west was developed to secure land. The topographical limit of slope in the short axis of east-west direction was not overcome and it was difficult to connect each space in the city organically. This was the one reason that each district of the city could not develop even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