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 부부갈등, 폭력노출 경험과 공격성간의 관계

        허순향 호서대학교 여성문화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 부부갈등, 폭력노출 경험과 공격성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소재 3개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553명(남아: 273 명, 여아: 28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Noller, Seth-Smith, Bouma와 Schweutzer(1992)가 제작한 가족기능 척도(ICPS-FFS), Black과 Pedro-Carroll(1993)이 개발한 부부갈등 척도, 이해경과 김혜원(2001)이 구성한 폭력노출 경험 척도, 그리고 홍경자와 노안영(1983)이 사용한 공격성 척도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프로그램(Win 10.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성별에 따른 공격성의 차이는 t검증을 통해 확인하였고, 변인들 간의 관계는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가족기능, 부부갈등, 폭력노출 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검증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가족기능, 폭력노출 경험 그리고 공격성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부부갈등에 있어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가족기능, 부부갈등, 폭력노출 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폭력노출 경험, 가족기능, 부부갈등 순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폭력노출 경험, 부부갈등, 가족기능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는 폭력노출 경험, 가족기능, 부부갈등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격성에 대한 폭력노출 경험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련 변인을 확인함으로써 청소년의 공격성에 대한 가족 체계적 접근의 중요성을 시사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공격성에 대한 상담적 개입 방향과 공격성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적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perceived family functioning, marital conflicts, and exposure to violence of by elementary-school students. The research subjects participants were 553 children (273 male children and 280 female children), the 5th and 6th grades at elementary schools in 3 cities of Chungcheongnamdo. Participants were research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s about family relations, ego strength, interpersonal anxiety, anger, depression, and alienation. The data were analysed b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mediator effects of ego strength. They were asked to fill out questionnaires of the family-functioning scale (ICPS-FFS), the scale of marital-conflicts, the scale of exposure to violence and the aggression scale.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program (Win 10.0)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in their levels of family functioning, exposure to violence, and aggression. However, There was non-significant difference on marital conflicts. Second, the elementary-school students's aggression was influenced by exposure to violence, marital conflicts, and family functioning. The variables of influencing aggression were shown in order of the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the marital conflict, and the family function in case of male students and in order of the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the family function and the marital conflict in case of femal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it is promising to study on aggression in the family systemic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used as basic data in developing a counseling intervention program aiming at reducing aggression.

      • 공감능력 척도 및 프로그램 개발

        허순향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empathy capability of a counselor and to test an empathy enhancement program designed to increase empathy capability. To achieve the goals of such studies, definitions of empathy and empathetic capability were established de novo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 multidimensional empathetic capability scale that can measure empathetic capability was conceived, carried out validation researches to increas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created a group counseling program which can improve empathetic capability and a corresponding experiment that verifies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Empathetic capability scale development study collected data from total of 473 participants, 231 males and 242 females whose age ranged from 10s to 50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AS9.2 and SPSS21. Since reliability used correlational analysis,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were used to examin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cale. The validity of the scale was examined through factor analysis,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for default, and rotation method was performed via principal axis method and varimax rotation. Final factors consist of items whose loading factors are equal or more than 0.30, respectively. The final factor structure includes cognitive empathy, emotional empathy, and behavioral empathy which respectively produced 2 sub-factors to total of 6 sub-factors. Specifically, cognitive empathy was further divided into perspective acceptance factor and thinking control factor, emotional empathy into emotional expression factor and emotional commitment factors, and behavioral empathy into relationship formation factor and communication factor. Validation study of Empathetic capability scale collected data from 590 individuals composed of 300 males and 290 female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21 and AMOS, and, as a confirmational factor analysis for the extracted data, validation process for extracted factor structure was further studied with covariance structure model. In results, goodness of fit indexes of theory model, measure model, and structure model were confirmed to be strong and high. Difference testing of empathy capability based on the sex showed that male scored higher in cognitive control factor and emotion commitment factor under perspective acceptance capacity while females scored higher in communication factor. For age difference, it was observed that 20s have higher empathy capability than 50s and the older they are, the less capability they have. In a study focused on positive psychology perspective and confirming effects of empathy capability, it was shown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positive psychology capital and happiness depending on the empathy capability. That is, those with higher empathy capability has higher positive psychology capital and are happier than those with lower empathy capability. Additionally, it was investigated whether or not positive psychology capital and happiness have a mediating or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o confirm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of empathy capability. Empathy capability enhancement program development study created a multidimensional empathy capability enhancement group counsel program including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empathy capability based on developmental process of ADDIE model.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made of 6 core components to match each empathy capability. Each session of program lasted 80 minutes, and their topic was made of perspective acceptance, noticing negative thoughts, noticing emotion, noticing emotion of others, verbal-nonverbal communication, and feedback for relationship form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newly developed empathy capability enhancement group counsel program, a short program focused on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was carried as a preliminary study. Afterward, a group of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complete program of 8 trials including behavioral empathy as well as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and a control group was set up to observe therapeutic effects of group counsel upon empathy capability, positive psychology, happiness along with job burnout, anxiety, and depression. In results, positive psychology capital, level of happiness, and group counsel therapeutic effect was higher while loss of job, anxiety, and depression tended to be lower. First, difference of empathy capability not detected in the preliminary study was spotted after empathy capability enhancement program with a noted enhancement in perspective acceptance capacity and communication capacity. Second, among lower factors under positive psychology capital, optimism factor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Third, among lower factors under personal happiness scale, success factor showed an enhancement. Lastly, all lower factors, barring confrontation, showed advancement after empathy capability enhancement group counsel program participation. These study results displayed that the newly constructed empathy capability enhancement program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counseling effect and be generally utilized in counseling settings. 이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공감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공감능력 척도를 개발하고 공감능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공감능력향상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공감과 공감능력의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였고, 공감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다차원 공감능력척도를 개발하고 일반화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타당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공감능력의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공감능력 척도 개발 연구는 10대에서 50대까지 남자 231명과 여자 242명을 포함하여 전체 47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AS9.2와 SPSS21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 검증은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는데, 척도의 내적일관성을 알아보는 Cronbach의 알파계수를 검토하였다. 척도의 타당도 검증은 요인분석을 사용하였는데, 요인분석을 할 때 기준 값은 다중상관계수를 적용하고 분석방법은 주축분해법을 사용하고, 회전방법은 배리맥스 방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최종 요인에 포함된 항목들은 요인부하량이 .40 이상인 것으로 각각 6개씩 구성하였다. 최종 요인구조는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 및 행동적 공감 모두 각각 2개씩 6개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인지적 공감은 관점수용요인과 사고조절요인, 정서적 공감은 감정표현요인과 감정몰입요인, 행동적 공감은 의사소통요인과 관계형성요인으로 명명하였다. 공감능력 척도 타당화 연구에서는 남자 300명과 여자 290명을 포함하여 전체 59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21과 AMO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척도개발 연구에서 추출된 요인들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공분산구조모형을 검토하여 개발된 척도의 구성타당도를 재확인하는 타당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이론모형과 측정모형의 구조모형의 적합도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구성된 척도의 변별타당도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별에 따른 공감능력의 차이에서는 관점수용능력에서는 남자가 사고조절능력과 감정몰입능력, 의사소통능력에서는 여자가 높은 것으로 공감능력의 성차를 확인하였다. 연령대에 따른 공감능력의 차이에서는 20대가 50대보다 공감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나이가 많을수록 공감능력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긍정심리학적 관점을 취하면서 공감능력의 효과검증을 알아본 연구에서는 공감능력의 차이에 따라서 긍정심리자본과 행복에서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공감능력이 높은 사람들이 공감능력이 낮은 사람들보다 긍정심리자본이 더 높고, 더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간의 관계에서 공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알아보았는데, 공감능력의 부분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공감능력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는 ADDIE 모델의 개발절차에 따라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공감능력을 포함한 다차원적 공감능력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공감능력 개념에 부합하게 6개의 핵심 회기를 구성하였는데, 각 회기는 80분씩 진행되었고 각 회기의 주제는 관점수용하기, 부정적 사고 알아채기, 정서 알아차리기, 타인의 감정 알아차리기, 언어적-비언어적 소통, 관계형성을 위한 피드백에 관한 것이다. 새롭게 개발된 공감능력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에 주안점을 둔 단기프로그램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한 다음에,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뿐만 아니라 행동적 공감을 모두 포함한 8회기의 최종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공감능력, 긍정심리자본, 및 행복뿐만 아니라 직무소진, 불안, 및 우울의 변화를 살펴보면서 집단상담 치료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보다 참여한 후에 공감능력, 긍정심리자본 및 행복수준 그리고 집단상담 치료효과는 더 높아지는 반면에, 직무소진, 우울 및 불안이 더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사전검사에서 나오지 않았던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의 공감능력의 차이가 공감능력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난 다음에 나타났다. 특히, 관점수용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서 많은 향상을 확인하였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들 중 낙관주의 요인에서 많은 향상을 보였다. 셋째, 개인행복지수와 하위요인 중 성공 요인에서 향상이 나타났다. 끝으로, 공감능력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에 집단상담 치료효과가 직면을 제외하고 모든 하위요인에서 향상이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는 새롭게 개발된 공감능력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상담효과를 높이는데 구체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담 장면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