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기업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 및 구축 방안 연구

        허건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the study on the discovery of the operating conditions of SM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the creation of safe business places with prevention and reduction of industrial accidents by introducing and establishing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and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workers’ lives and reduction of accidents and losses in terms of management. The government entirely revised and reinforced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on January 15, 2019, finally enacted and promulgated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on January 26, 2021 and implemented it as of January 27, 2022. Though recently the Industry Safety and Health Act was revised and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was enacted and implemented, in this era of advancement, enlargement, diversification and complexity by industry category and enterprise size, there are limitations only with laws. That is,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suitable for the enterprise situation should be autonomously introduced and established.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and advance the safety cul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first, the survey on the purpose of the introduc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shows that the common point from number 1 through 3 answers from certified and uncertified business sites was the importance of “the safe and healthy work environment preventing workers’ illnesses and injuries”, answered by 91.4% of the certified business sites and 77.7% of the uncertified business sites. In other words, it is deem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workers’ work environment by introducing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will enhance the quality of workers’ lives and prevent and reduce accidents in term of management, which will result in the decrease in work loss, reduction of accident compensations, and improvement of workers’ welfare. Second, the survey on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shows that 93.1% of the certified business sites and 85.7% of the uncertified business sites selected the management’s leadership and the management’s interest are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for the successful and effective operation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KOSHAMS, 2019). In other words, it is the management’s clear and firm declaration about the pursuit of the autonomous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n business sites that enables the implementation of the stable and sustainable system with smooth communications through workers’ participations. Third, the survey on the activation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shows that 94.8% of the certified business sites and 84.8% of the non-certified business sites selected commonly that the support (consulting, risk assessment, system building, education, etc.) to get certified was most important. That is, it is determined that the government’s strong support is necessary and in order for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to be successfully operated,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afe and healthy work environment by preventing workers’ illnesses and injuries withdrawn from the introduction plan, to have the management’s leadership and interest and worker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operation withdrawn from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and to obtain the support (consulting, risk assessment, system building, education, etc.) for the certification withdrawn from the activation plan. In order words, as ways to activate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t is suggested to provide the consulting support due to the new enactment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to prevent and reduce accidents by identifying harmful and risk factors in advance and for government to provide strong supports through safety training supports, reduction of industrial accident rate for no-accident business sites, execution of the integrated certification system, etc. In additi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re in lack of manpower or expertise and require simplification of documentation and operation of an incentive system for workers. According to the company situation, it is to identify risk factors, remove, replace and control risk factors, make, evaluate and improve emergency action plans, and introduce and establish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a series of PDCA cycle, which will lead to the creation of safe and happy workplaces, the habit of safe living, the safety culture and safe workplaces without accident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safe business sites can be developed by the systemic management of proactive actions to prevent accidents, the obligatory assurance of securing workers’ safety and health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foundation to settle the advanced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s a core element of sustainable management. 본 연구는 제조업 분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선진화 기법인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 및 구축으로 산업재해 예방감소와 안전한 사업장을 만들어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 및 경영 측면에서의 재해손실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정부는 산업안전보건법을 2019년 1월 15일 전부 개정 강화하였고, 급기야 2021년 1월 26일에는 중대재해처벌법을 제정공포 하였으며, 2022년 1월 27 일부로 시행을 하였다. 최근 산업안전보건법개정 및 중대재해처벌법이 제정되어 시행되지만, 업종별, 기업 규모별 고도화, 대형화, 다양화, 복잡한 시대에 법률로는 한계가 있다. 즉, 기업 실정에 맞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자율적으로 도입 및 구축하여야 한다. 따라서 설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문화를 구축하고 선진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 구축 목적 조사에 의하면 인증 미인증사업장 높은 응답 1~3순위 공통점으로 “근로자의 질병 및 상해를 방지하여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환경”이 인증사업장 91.4%, 미인증 사업장 77.7%로 중요하다고 조사되었다. 즉,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 방안으로 근로자의 작업환경개선을 해야 삶의 질 향상과 경영 측면에서는 재해 예방감소로 작업손실의 감소, 재해보상액 감소, 근로자 복지 개선이 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 효과적 운영 방안조사에서 안전보건경영 시스템(KOSHA-MS, 2019)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조건 및 효과적 운 영을 위해서는 경영자의 리더십과 경영진의 관심이 인증사업장 93.1%, 미인증사업장 85.7%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즉, 경영자의 의지를 확고히 천명하여 사업장에 자율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추진함으로써 근로자를 참여를 통한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시스템 추진이 가능하다. 셋째 안전보건경영시스템 활성화 방안조사에서 인증 미인증사업장 공통점으로 인증을 받기 위한 지원(컨설팅, 위험성 평가, 시스템구축, 교육 등)이 인증사업장 94.8%, 미인증사업장 84.8%로 가장 높은 응답으로 조사되었다. 즉, 정부의 적극적 지원 필요 판단되며,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이 성공적 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도입 방안에서 도출된 근로자의 질병 및 상해를 방지하여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며, 효과적 운영방안에서 도 출된 경영자의 리더십과 경영진의 관심, 근로자의 적극적 참여하여 운영되어야 하고, 활성화 방안에서 도출된 인증을 받기 위한 지원(컨설팅, 위험성 평가, 시스템구축, 교육 등)이 필요하다. 즉, 안전보건경영시스템 활성화 방 안으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신규제정에 따른 컨설팅 지원 및 유해·위험요 인을 사전에 발굴, 재해 예방 및 감소에 목적 판단되며, 안전교육지원, 무재해 사업장 산재 요율의 감액, 통합인증제도 시행 등 정부의 적극적 지원 사료된다. 또한, 중소기업이므로 인력이나 전문성이 부족함으로 문서의 간소화, 근로자 인센티브제도 운영되어야 하며, 기업 실정에 맞추어 위험요인 파악, 위험요인 제거·대체 통제, 비상조치계획 수립, 평가개선 일련의 PDCA 사이클인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도입 및 구축으로 안전한 일터, 행복한 일터, 건강한 일터, 안전생활화, 안전문화 조성하여, 사고 없는 안전한 사업장을 만들며, 선제적 재해 예방을 위한 조치사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근로자의 안전 및 보건 확보 의무를 보장하고 지속 가능한 경영의 핵심요소로서 선진화된 안전보건경영을 정착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여 안전한 사업장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