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댄스스포츠 선수의 국제부경기참여와 수상에 따른 심리적요소와 불안의 관계

        함서정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에서는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국제부 참여 유무와 수상 여부에 따른 심리적 요소와 불안의 차이를 분석하여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심리적 요소 훈련과 불안 극복에 따른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2008년 9월 6일 춘천 월드레저컵 댄스스포츠 대회에 참가한 선수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심리적 요소 질문지는 Hall, Mack, Pavio & Hausenblas(1998)가 개발한 스포츠 심리적 요소 질문지를 문윤제(2004)가 번안한 스포츠 심리적 요소 질문지로 23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경쟁 상태불안 질문지는 1990 Martens(1990)에 의해 고안된 CSAI-2로 이강헌 등(1993)에 의해 표준화 시킨 질문지를 이용하였다. 기술적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Ver 1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SD를 산출하였다. 적용된 통계 분석기법은 t-test,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자료처리를 통하여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국제부 참여 유무와 수상 여부에 따른 심리적 요소와 불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경기수준에 따른(국제부 유무) 심리적 요소 요인 결과 일반적 동기각성, 일반적인지 심리적 요소, 일반적 동기숙련에서 그리고 불안요인에서는 신체적 불안에서 국제부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이 참여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능에 따른(수상 여부)심리적 요소 요인 결과 일반적 동기각성, 구체적인지 심리적 요소, 일반적인지 심리적 요소, 일반적 동기숙련에서 그리고 불안요인에서는 자신감에서 수상한 집단이 수상하지 않은 집단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왔으며 불안요인에서는 인지불안과 신체적 불안은 수상하지 않은 집단이 수상한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국제부 참여-비 수상, 국제부 비 참여-수상, 국제부 비 참여-비 수상한 집단의 상관관계를 보면 인지적 불안은 일반적 동기각성과 일반적 인지 심리적 요소와 정적관계를 나타내고, 신체적 불안은 일반적 동기각성에만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자신감에서는 구체적동기 심리적 요소, 일반적 동기각성, 구체적인지 심리적 요소, 일반적 동기숙련에서 유의한 정적관계를 나타냈고, 일반적인지 심리적 요소에서 유의한 부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제부 참여-수상한 집단의 상관관계를 보면 인지적 불안에서는 구체적동기 심리적 요소, 일반적 동기각성, 일반적인지 심리적 요소에서 유의한 정적관계를 보이며, 신체적 불안에서는 일반적 동기각성에서 정적 상관을 나타낸다. 그리고 자신감에서도 일반적 동기각성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심리적 요소와 불안의 중다회귀 분석결과 인지적 불안에서는 일반적 동기각성, 일반적인지 심리적 요소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불안과 자신감에서는 일반적 동기각성이 각각 하나씩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elements and anxiety by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games and prize-winning by dance sports players and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competitiveness by allowing them to train psychological elements and overcome anxiet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0 players participating in the Chuncheon World Leisure Cup Dance Sports Meets held on September 6, 2008. For descriptive data analysis, M±SD was estimated by using an SPSS Ver 14.0 statistical program.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in this study included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is data processing, draw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ccording to the level of games (international or not), the group not participating in the international gam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eneral motive arousal, general recognition, and general motive skill in terms of the factor of psychological elements and physical anxiety in terms of the anxiety factor than that participating in the international games. Second, according to functions (prize-winning), the group winning a priz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eneral motive arousal, concrete cognition, general cognition, and general motive skill in terms of the factor of psychological elements than the group not winning a prize while the group not winning a prize showed higher cognitive and physical anxiety in terms of the anxiety factor than that winning a prize. Third, as for correlation among the group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games and not winning a prize, that not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games and winning a prize, and that not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games and not winning a prize, cognitive anxiety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general motive arousal and general cognition while physical anxiety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general motive arousal alone. Self-confidence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crete motive, general motive arousal, concrete cognition, and general motive skill but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general cognition. Fourth, as for correlation in the group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games and winning a prize, there i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concrete motive, general motive arousal, and general cognition in terms of cognitive anxiety and in general motive arousal in terms of physical anxiety. There is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general motive arousal in terms of self-confidence.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psychological elements and anxiety,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anxiety and psychological elements of general motive arousal and general cognition an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nxiety and self-confidence and general motive arous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