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간정보 분석기법을 이용한 산양삼 재배 경영지원시스템의 개발

        한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산양삼은 밭 재배 인삼보다 약리작용에 있어 효능이 뛰어나고 경제적 가치가 높아 농민들이 선호하는 재배 작목 중 하나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산양삼의 거래특성상 산양삼 재배가 주로 영세한 개별 임가 중심으로 은밀히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산양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생육 조건이나 재배 방법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취득이 어려워 산양삼 재배 기술과 관련된 체계적 지식 습득에 한계가 있다. 특히 산양삼의 재배지 관리와 관련된 정보와 기술은 매우 부족한 상황으로 대부분의 임가에서는 임가주의 경험에 의존한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고소득 임산소득자원으로서의 산양삼 재배는 일반적인 목재생산 위주의 임목관리보다 집약적인 관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성공적인 산양삼의 재배를 위해서는 산양삼의 생육‧생리적 특성에 기반한 합리적인 관리체계의 확립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양삼 재배의 과학적인 관리체계 확립을 위한 경영지원시스템 개발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첫 번째 연구로서 GIS 공간통계모형을 적용한 재배적지 분석모델을 개발하였다. 산양삼은 주변의 환경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식물로 미세한 환경 조건의 차이에 따라 그 생육이 크게 달라질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산양삼의 생육특성과 입지환경의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여 산양삼의 재배적지를 판별할 수 있는 공간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해발고, 사면향 등의 지형 조건과 산림 내 입사광량 및 토양의 수분 함량, 그리고 토양의 배수 특성을 나타내는 모래의 비율이 산양삼의 생육에 주요한 입지환경 조건으로 도출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작성된 모델을 통해 대상지 내 재배환경이 좋은 적합지와 그렇지 못한 준적합지를 비교적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 가중 회귀모형(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을 이용하여 산양삼의 생육과 입지재배환경과의 공간적 상호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재배적지 판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분석된 모델의 분류정확도가 약 84%로 나타나 재배현장에서 실무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두 번째 단계로서 산양삼 재배임가의 연차별 생산원가를 고려한 수익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산양삼 재배임가를 선정하고, 임가주 면접 인터뷰와 현장 조사를 통해 수집된 경영관련 정보를 토대로 산양삼 생산과 판매에 따른 비용과 수익 흐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년근 산양삼 재배를 통한 수익의 경우 임가당 순이익은 10a(300평)기준 22,303천원으로 계산되었으며, 이를 연수익으로 환산할 경우 약 3,186천원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6년근보다 장기 년수의 산양삼을 생산할 경우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 때의 수익은 연차별 생존율에 따른 수확량과 판매단가의 상승 효과가 함께 반영되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양삼의 재배는 ‘투자 수익성이 있다’고 판단되었으나, 이와 같은 수익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재배 시기나 방법, 재배 장소 등에 따라 달라지는 재배삼의 수확량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재배지 관리가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지막 세 번째 단계로서 산양삼 재배 임가를 대상으로 경영계획 수립을 위한 0-1 정수계획모형을 작성하고, 산양삼 재배를 위한 최적의 경영대안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영 시나리오의 연차별 예산과 보속수확에 대한 제약을 완화함으로써 보다 큰 재배를 통한 수익을 얻을 수 있었고 그 중에서도 연차별 예산의 제약이 재배수익의 변화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신규 파종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 작성된 모형의 적용 결과 1년생의 재배면적이 분기별로 일정면적 이상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보속수확을 위한 연근별 재배면적의 분배는 재배의 안정적인 수익 창출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본 연구에서 작성한 0-1 정수계획모형은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재배지의 공간적인 특성과 위치를 고려한 경영계획의 수립을 통해 대상지 내 개별 경영구역의 재배적합도에 따라 구체적인 재배 및 수확 시기 등을 결정할 수 있는 재배지의 연차별 공간배치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어진 예산 범위 내에서 재배 비용을 고려하여 최대의 수익을 얻기 위한 최적의 재배지 공간배치를 유도할 수 있어 산양삼 재배에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개발된 산양삼 재배의 경영지원시스템은 다양한 공간정보 분석기법을 기반으로 산양삼의 재배적지 탐색이나 재배지 관리와 관련된 의사결정과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부족한 현장정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좋은 대안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들은 재배의 경영적 관점에서 재배지 관리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위한 합리적인 임가경영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극한지역 생산정내 유동성 확보 기술 연구

        한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상용 파이프라인 시뮬레이터인 『PIPESIM』을 사용하여 극한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저류층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이 시스템에 대해 동토층 두께와 오일의 비중이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다양한 유동성증진기법들을 적용하여 그 효율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극한지역의 심도 1000 m에 위치한 저류층에서 오일이 비중이 높고 동토층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튜빙내 오일의 유동성이 저하되었다. 이에 단열케이싱된 유정에 PCP-300 psi로 생산하는 것을 가정하고 유동성 증진기법을 적용한 결과, heater 설치시에는 중질유이고 저온일수록 heating의 효율이 더 크고, 설치심도가 증가될수록 유동성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Gas lifting을 수행하게 되면, 생산량이 다른 기법에 비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적정주입가스량을 초과하게 되면 오히려 생산량이 감소하였으며, 주입가스의 온도를 증가시킨다 하더라도 유동성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비교적 경질유정인 Bashenkol_1X 유정의 PCP 설치시의 생산량을 분석한 결과, 자연상태에 비해 생산량이 3.75배나 증진되었으며 단열케이싱의 추가설치를 통해 생산량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2 °API의 중질오일이 생산되는 Bashenkol_3X의 경우, PCP 없이 자연상태만으로는 생산이 불가능하였고, 단열 케이싱과 PCP를 설치하게 되면 158 BOPD의 오일이 생산되었다. 여기에 히터를 추가로 적용하면 생산량이 267 BOPD로 증가하였으며 gas lifting을 시행하게 되면 생산량은 더욱 크게 증가하였다. 이로 보아 heater의 추가설치만으로도 충분한 양을 생산 가능하며, 현장적용성이나 cost 등을 고려하여 gas lifting의 적용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 Oriza sativa L유래 NPK1과 유사한 Ser/Thr 단백질 kinase의 특성화 : Characterization of a NPK1-related Ser/Thr protein kinase gene from Oryza sativa L

        한희 건국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문초록:OsPK4 is a cDNA clone isolated from rice roots. Determination and analysis of its DNA sequence revealed that OsPK4 cDNA is 1403bp long consisting of 47bp of 5' untranslated region (UTR), 1038bp of the coding region and 316bp of the 3' UTR. Database search indicated that the open reading frame (ORF) of the OsPK4 encodes 37.1kDa protein which is highly similar to tobacco NPK1 (nucleus and phragmoplast-localization protein kinase 1) related protein kinase, a member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kinase kinase (MAPK3) family. OsPK4 gene is located at chromosome 1 and its genomic DNA is composed of a single exon. Interestingly, four more NPK1-related protein kinase homologous genes were found to be clustered on rice chromosome 1. The N-terminal region of OsPK4 forms a highly conserved catalytic domain for Ser/Thr protein kinase, whereas C-terminal region is unique which may have a putative regulatory function.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biochemical properties of the OsPK4 kinase, we purified GST-fused OsPK4 recombinant protein from E.coli. In vitro kinase assay showed that OsPK4 has autophosphorylation and substrate (myelin basic protein) phosphorylation activity, in the preference of Mn2+. Deletion of the C-terminal 62 amino acids of OsPK4 coul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kinase activity, implicating that the region may not be essential for regulation of the kinase activity. In vivo targeting experiment using a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showed that the N-terminal protein kinase domain of OsPK4 was localized to the cytoplasm in onion epidermal cells. Onion epidermal cell is low level autofluorescence thus easily show the green fluorescence protein. However, transient expression of the kinase in epidermal cells found to have harmful effects leading to cell death. North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basal transcript level of OsPK4 was undetectable in various rice tissues and gene expression of OsPK4 was not inducible by a variety of abiotic stress conditions

      • 에피성장한 강유전 나노구조체의 분역구조 및 크기효과에 관한 연구

        한희 포항공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demands on the increase in the density and the decrease in electric power, product cost of ferroelectric electronic devices such as data storage media are driving the miniaturization of ferroelectric thin films. In order to utilize the nanostructured ferroelectrics for the data storage media with ultra-high density, it is highly desired to study on ferroelectric size effects, i.e. how small features can preserve the ferroelectricity and how the domain structure can change with down-scaling because the ferroelectricity is cooperative phenomenon arising from the alignment of local dipole moments through both chemical and physical interactions and the ferroelectric properties are originated from the domain structure. In this context, the size effects and the domain structures in epitaxial Pb(Zr,Ti)O3 (PZT) thin films wer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in this work. The evolution of epitaxial ferroelectric domain structures was characterized as a function of the material size. The epitaxial PbTiO3 (PTO) nanoislands with size ranging from several hundreds to tens of nanometer were synthesized by chemical solution deposition (CSD), which is one of typical bottom-up approaches. The lateral size and thickness of nanoislands scale down, simultaneously with scaling ratio (f = d/h, d: lateral dimension, h: height) of 3 to 6. PTO nanoislands with average size of 490 nm had a similar domain structures with thin films, i.e., large fraction of c-domain and four-fold symmetric a-domains. As the size decreased, the abundance of a-domains decreased and finally single c-domain structures were observed in 50 nm-sized PTO nanoislands. It was found that the tetragonality of nanoislands was lower than that of thin films, which indicates that the nanoislands are subject to lower misfit strain than thin films, in which strong constraints arising from the rigid substrate exist. It is well known that the piezoelectric property systematically decreases with thickness reduction due to the depolarization field although the tetragonality could be preserved. However, according to electrical measurement (e.g., piezoelectric force microscope: PFM), it was feasible to maintain or even enhance the piezoresponse of nanostructured ferroelectrics through the reduction of a-domains and misfit strains in nanoislands. The piezoresponse was converged to zero dramatically at the nanoislands with thickness of below 8 nm due to the increase of sensitivity to misfit dislocations. The CSD method can provide the opportunity for systematic study on the intrinsic size effects in the extremely small size range. Nevertheless, it still needs to fabricate even smaller sized ferroelectrics with narrow size distributions for more practical applications and precise investigations. In order to fabricate ferroelectric nanocapacitors with size of 65 nm, hard mask approach for 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i.e., mask-assisted pulsed laser deposition (PLD) was employed. Ultra-thin anodic alumina (AAO) mask was fabricated as a stencil mask. By taking advantage of excellent thermal stability of alumina, the Pb(Zr,Ti)O3 (PZT) deposition could be performed at crystallization temperature (e.g., 650 °C), resulting in in-situ growth of ferroelectric PZT nanoislands. High resolution synchrotron x-ray diffraction (XRD) with reciprocal space mapping (RSM) confirmed that the 65 nm-sized ferroelectric PZT nanoislands were grown epitaxially on Pt-bottom electrode and contained mostly c-domains, very small fraction of four-fold symmetric a-domains and non-tilted a-domains, which are not presented in the PTO nanoislands fabricated by chemical route. The electr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PFM. For the accurate electrical measurement, arrays of nanocapacitors with Pt/PZT/Pt stacking configuration (Metal/Ferroelectric/Metal: MFM capacitor type) were prepared by depositing Pt on PZT nanoislands through AAO. It was revealed by local hysteresis measurement that the some of a-domains are switched during the DC bias sweeping and the piezoresponse of nanocapacitors is higher than that of continuous films due to the reduced substrate clamping in nanostructures. Moreover, the nanocapacitors were individually switchable by AFM tip without any interference of electric field among the capacitors while the thin films with same sized-Pt nanoelectrodes showed the significant propagations of electric field to neighboring capacitors. The retention was also tested for 72 hours and showed that the nanocapacitors were stable within the time scale investigated. For the fabrication of perfectly ordered low-dimensional epitaxial ferroelectric nanostructures cover a large area, photolithography process was used. Wafer scale arrays of well-ordered Pb(Zr,Ti)O3 nanodisks and nanorings were fabricated on the entire substrate area (10 mmⅹ10 mm) of SrRuO3 bottom electrode on SrTiO3 single crystal substrate using laser interference lithography (LIL) process combined with pulsed laser deposition. The shape and size of the ferroelectric nanostructures were controlled by the amount of PZT deposited through the patterned holes and the temperature of post crystallization steps. X-ray diffraction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confirmed that (001)-oriented PZT nanostructures were grown epitaxially on SrRuO3 (001) bottom electrode layer covering the (001)-oriented single crystal substrate. The domain structures of PZT nano-islands were characterized by reciprocal space mapping using synchrotron X-ray. Ferroelectric properties of each PZT nanostructure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force microscopy (SPM) in the piezoresponse mode. If the laser with shorter wavelength becomes available, for example ultra violet (UV) source, then one can realize even smaller sized ferroelectrics for achieving ferroelectric devices with higher density.

      •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초등역사교육 지도 방법 연구

        한희 전주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역사 수업에서 학생들이 좀 더 유의미하고 능동적인 학습태도를 지니게 할 목적으로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초등역사교육 방법을 연구하였다. 기존의 수동적인 역사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들을 능동적인 학습태도를 지니게 하는 방법으로 과정드라마를 선택하였고 자세한 지도 방법을 구성하여 그 실현 가능성을 밝히는 것이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기존의 역사수업은 역사적 사실을 단순 암기하도록 구성이 되어 있다. 교과서의 내용을 고정불변의 사실로 여기고 그 사실들을 많이 아는 것이 역사를 잘 이해하는 것이 된다. 이런 태도는 학교시스템 속의 주입식 교육과 어우러져 역사를 암기과목으로 만들었다. 이러한 수업 방식은 학생들의 학습 태도를 수동적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역사적 사실을 단순 암기하는 것만으로는 역사를 온전히 이해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의 역사교육 방법으로 과정드라마를 통한 추체험 역사 교육을 제안한다. 학습자는 추체험과 과정드라마가 연결된 지점을 통해 역사를 체험하고, 역사적 행위자의 사고를 비판적으로 재사고하며 자신만의 의미를 구성해나간다. 역사교육의 학습자가 교과서의 역사적 사실을 단순 암기하는 수동적인 태도가 아닌 자신만의 의미를 구성해나가는 훨씬 깊이 있고 유의미하고 능동적인 학습 태도를 지향하게 만들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역사교육의 방향을 ‘과거 지향적’이 아닌 ‘현재와 미래지향적’으로 변화시키고, 어떻게 살아야할 것인가 하는 철학적인 문제까지 포괄하고자 한다. 먼저, Ⅱ장에서는 역사교육에서의 추체험과 과정드라마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역사교육에서의 추체험의 개념과 등장배경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과정드라마의 개념을 알아보고 추체험과 과정드라마의 관련성을 밝혔다. Ⅲ장에서는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초등역사교육 지도방안을 연구하고 학생들에게 지도한 사례를 담았다. 먼저 과정드라마의 기본 구조와 구성 과정을 설명하였다. 그에 따라 5학년에 적용 가능한 ‘장보고’를 소재로 한 과정드라마와 6학년에 적용 가능한 ‘외규장각 의궤’를 소재로 한 과정드라마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실제로 적용해 본 결과 학생들에게 어떤 효과가 있었는가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Ⅳ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내용들을 토대로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초등역사교육의 성과를 다루어, 좀 더 유의미한 학습과 능동적인 학습 태도를 이끄는 초등역사교육의 발전을 모색하였다.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초등역사교육 지도 방법 연구는 추체험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과정드라마를 선택하였고,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초등역사교육 지도 방법 연구는 좀 더 유의미하고 능동적인 역사 학습 태도를 이끌어내고자 시도하였다. 이는 앞으로 역사 수업에서 학습자들이 능동적인 태도로 자신만의 의미를 구성하여 역사를 미래지향적인 과목으로 바라볼 수 있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resent study was focused on finding the way for meaningful and active study attitude about history class, so Method of history education was researched by process drama. Existing history class makes students simply memorize a historical fact. This way makes students think history as a subject needing just memorizing. Also this way makes students have passive study attitude. But this way is not good way for understanding history. Therefore, I suggest Method of history education through Re-enactment Using Process Drama. In chapter II, re-enactment as a history education and process drama were discussed. First, we studied concept of re-enactment as a history education. Next, we studied concept of process drama and we made clear about the relation between re-enactment and process drama. In chapter III, the teaching methods were introduced, with some cases, to instruct history by process drama. First we developed the methods in steps to teach history by process drama, and then the methods were applied to students and confirmed the effects. In chapter IV, the products of process drama were discussed based on previous results here, and also we discussed about the progress of instruction which means the learners could have meaningful and active study attitude. The present study tried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for student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nhance the ability of learners to enjoy the history by various viewpoints of historic charac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