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한혜란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vere and multiple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run a successful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of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seeing out. Gyeongsangbuk-do in this study served as special classes are installed i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who was myeongssikreul were 100, and 200 randomly selected schools in the local school for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sent out 20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fter false, but that might be answered, except for three copies was the object of analysis of 200 pa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are as follows: First,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ared the recognition of special education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re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about the positive. Second,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 teaching, depending on experience and training experienc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male teachers than the female teachers have sex, age 30s, under 10-20 years depending on teaching experience, severe and multiple teachers for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wed a positive reaction. Third,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perception of gender and did not differ depending on the experience teaching. But age is 30, less than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short career, perception of teacher training experience was positive. Four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recognition of the teacher group, sex, age, number of years of experience and the interaction of the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But teaching career, teaching experience, analysis of two-way ANOVA, depending on the results of each group of teachers and teaching career, teaching experience, interaction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was there an interaction.

      • 音樂敎科에서의 ICT活用 授業에 關한 硏究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Focusing on the 7th Grade)

        한혜란 대구가톨릭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Currently, the world is seeking informationalize education necessary for knowledge-base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Korea has also built efficient and substantial supporting system in each school as an effort to nurture a person with enough knowledge. Therefore, this dissertation mainly focused on ICT, which is gaining attention to be used in information society. This research concentrated on the definition of ICT and the necessity of making good use of ICT education. Not only that, we compared ICT teaching method and through a series of research, we sought ways to come up with appropriate results. Based on those research, among education means by using ICT, we presented learning process by utilizing internet and Power Point music software program. First, music classes through search on the Internet, students can obtain information by searching necessary information on the internet. In addition, students can break away from unilaterally receiving information and they can strengthen self-confidence and responsibility by finding information by themselves. Second, music class by using Power Point can give students opportunities to appreciate music, gain access to music files and see pictures of musical instruments. In that case, students will definitely have chances to appreciate and comprehend their music classes. Third, music classes through music software can present actual scores. students can sing songs by playing computer music files and recorder at the same time. This class can encourage students to take part in music activities by utilizing new teaching method. As mentioned above, ICT education will provide quality music education to students and create an environment where stu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I sincerely hope that this research can serve as a guideline to provide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to both teachers and students.

      •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혜란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upon Teacher-Infant Interaction Hye-ran Ha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Cho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social support the teacher efficacy, re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and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depending on child care teachers’ general backgrounds and to understand a correlation among variables.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problems that were selected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a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in teacher efficacy and in teacher-infant interaction according to child care teachers’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a correlation among child care teachers’ social support, teacher 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Research question 3. What are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up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child care teachers where are located in Seoul Metropolis and capital area. Two-hundred sixteen were used. copies excluding questionnaires of having a missing value or a duplication response. To measure the social support of child care teachers, the social support scale was used that Park Ji-won(1985) developed and that Im Jin-hyeong(2000) modified. To examine the teacher efficacy, the scale tool developed by Shin Jeong-ae(2018) was used. To measure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self-reported rating scale that Lee Jeong-suk(2003) modified and supplemented on the basi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Rating Scale(Bredekamp & Apple, 1986; Howes & Smith, 1995, was used).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by using 24.0 SPSS statistical program. To look into child care teachers’ general backgrou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figure out reliability in a test tool, the inter-item consistency(Cronbach’s α) was reckoned. To confirm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variables according to child care teachers’ general backgroun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Whe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Scheffe’s post- hoc test was implemented. And to check a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the Pearson product-moment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ompu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 upon dependent variable,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at appeared through this study: First, a difference was shown in the social support within the workplace depending on child care teachers’ age, marital status, teaching career, certificate in possession, and work institution type. A difference was indicated in the social support outside the workplace depending on a certificate in possession. And a difference appeared i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child care teachers’ age, teaching career, academic background, certificate in possession, and age of infants and toddlers in charge. Also, a difference was manifested in verbal interaction depending on child car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However, a difference was not appeared in emotional interaction, verbal interaction, behavial interaction and overall interaction according to child care teachers’ age, marital status, teaching career, certificate in possession, work institution type, and age of infants and toddlers in charge. Second, child care teachers’ social support, teacher 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appeare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in all. Third, child care teachers’ social support teacher efficacy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this 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larified that the social support and the teacher efficacy have an impact on interaction between child care teachers and young children and that the social support as an environmental factor on child care teachers and the teacher efficacy as an individual factor are important. 국문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받은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 그리고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의 수준을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라 분석하고,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의 수준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와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하여 결측치가 있거나 중복응답이 있는 설문을 제외한 216부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박지원(1985)이 개발하고 임진형(2000)이 수정·보완한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였고, 교사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신정애(2018)가 개발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정척도(Bredekamp & Apple, 1986; Howes & Smith, 1995)를 기초로 이정숙(2003)이 수정·보완한 자기 보고식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해 문항의 내적 신뢰도(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변인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경우 Scheffé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연령, 결혼 유무, 교직 경력, 소지 자격증, 근무 기관 유형에 따라 직장 내 사회적 지지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소지 자격증에 따라 직장 외의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인 물질적 지지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보육교사의 연령, 교직 경력, 학력, 소지 자격증, 담당 영유아의 연령에 따라 교사효능감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학력에 따라 언어적 상호작용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보육교사의 연령, 결혼 유무, 교직 경력, 소지 자격증, 근무기관 유형, 담당 영유아 연령 등에 따라서는 전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하위 요인인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 전체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이 보육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며, 보육교사에 대한 환경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개인적 요인인 교사효능감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현대 일본의 혐한론 연구 : 신시어 리를 중심으로

        한혜란 건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본에서의 혐한(嫌韓)은 한국에 대한 인식 중 하나로써 일본인의 감정으로 자리해 왔다. 또한 일본의 혐한(嫌韓)은 정치, 문화, 역사 등 다양한 측면에서 한국에 대한 우월감, 혐오, 멸시, 조롱, 억측 등의 특징을 가진다. 그러한 혐한 논리를 가지고 생겨난 서적이 ‘嫌韓本(けんかんぼん)’이며, 한국에서는 대응어로써 ‘혐한서적’ 이라 칭한다. 그러나 일본 사회에서 일본인의 감정인 혐한의 논리를 가진 ‘한국인’이 집필한 혐한서적이 등장하였다. 그 중 본 연구에서 다룰 것이 신시어 리(シンシア·リー, Sincere Lee)의 ‘한국인에 의한~(韓国人による-)’ 시리즈다. 2014년 5월 처음 세상에 나온 『한국인에 의한 치한론(韓国人による恥韓論)』은 그 해 일본 출판유통사 토한(トーハン)의 ‘논픽션, 신서’ 부문 판매량 7위에 오르며 혐한 서적으로써 입지를 굳혔다. 이러한 점은 ‘한국인’ 신시어 리의 주장이 일본 사회에서 한국인 스스로 ‘한국의 부정적인 면을 폭로한다.’는 점 자체로 설득력을 갖추었다는 반증이다. 신시어 리의 주장이 한국에 대한 비관적 내용을 함의하는 점은 부정할 수 없으며, 그러한 ‘한국인’ 신시어 리의 주장은 한국에 대한 부정적 혹은 허구의 내용을 전면사실로 고정시키는 효과를 불러온다. 또한 기존 혐한론의 대상은 글자 그대로의 의미로써 ‘한국’에 한정했던 것에 비해, 신시어리의 경우 혐한의 대상을 북한까지 확장했다. 이러한 점에서 그의 북한 혐한론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 가에 대해 새로이 연구할 수 있다.

      • 인터넷 환경에서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한 진료 예약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혜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과 인터넷 사용의 폭발적 증가는 정보의 대량화 및 정보 사용의 대중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가장 적합한 서비스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해 에이전트 기술의 적용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단일 에이전트가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대한 모든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의 로드를 극복하기 위하여 단순한 작업을 수행하는 에이전트들을 통합하여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인 멀티 에이전트 패러다임이 여러 응용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환경에서 사용되는 일정 관리 시스템과 에이전트 기술을 적용하여 멀티 에이전트 기반 진료 예약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진료 예약 시스템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와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 에이전트, 기능 에이전트를 구성하는 작은 단위 에이전트들과 필요한 단위 에이전트를 호출하여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브로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에이전트들을 통합하기 위해서 블랙보드 시스템의 기본 구조와 메시지 패싱을 사용하였으며 효율적인 분산 환경 지원을 위해 자바 컴퓨팅 기술을 도입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진료 예약 시스템은 사용자의 일정 관리 및 진료 예약을 위한 작업들을 에이전트가 대행하므로 보다 효율적이고 자동적이며 지능적인 예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순수 자바 코드로 구현되어 네트워크 컴퓨팅이 가능하며, 유지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 환경에서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맞는 정확하고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Recently, the development of new network technology and the internet has introduced information flooding and popularization of information. This has prompted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agent which can support the quality of services to the user. Specially, multi-agent paradigm can be useful in many application areas. In multi-agent system, some single agents that perform simple tasks are integrated in order to solve more complex problems. In this research, we designed and implemented multi-agent based Reservation System for Medical Treatment(ARMETI) with the agent-based scheduling system. The system comprises four types of agents; User Interface Agents, Function Agent, Unit Agent and Broker. User interface agents interact with the user. Function agents that are built of some simple Unit Agents perform specialized tasks. The special agent called broker controls the interaction with the agents and requirements of user. To integrate multiple agents together, we use a simple form of blackboard architecture and message passing. In order to support the distributed environment on the internet, we use the Java computing technology. This system can assist general users in performing reservation services for medical treatments. Applying the agent technology into this domain makes be automatic, more intelligent. Also, Built in pure java code, the system is suitable for network environments.

      • 한국의 민간 기부금 결정 요인에 대한 분석 : 기부의 지속성과 동료효과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혜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public sector is unable to sufficiently meet the demands for rapidly increasing social welfare services, private charitable contribution has become important. Therefore, a surge of studies have analyzed the behavior of individual's charitable giving and trie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o promote private gi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how to people make decisions to donate based on peer effects and a state dependency which researchers hardly have dealt with in Korea. The data used for this empirical analysis is based on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2006-2009) which was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KIHASA). To evaluate the impact of individual’s decision on whether and how much to contribute, Probit and Tobit models were estimated. Thre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cross-sectional analysis, this study shows that a negative impact of the giving price on both the participation to giving and the amount of giving is significant. Economic factors and experiential factors are positively significant. Moreover,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age, which belong to demographic factors, are also significant variables. Second, in order to identify the persistence of giving behavior, I analyzed the state dependency in charitable contributions by using lagged dependent variables. Specifically, the dynamic Probit model based on Heckman(1981)’s method is used so as to control for the unobserved heterogeneity. Results show that the coefficient is greater than zero, which implies that the past experience of giving ca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rrent decision making. Finally, the estimation of the 'peer effects' of the people in the same reference group display strong positive effects. Reference groups are defined according to residential areas and the age of the head of the household. To control the endogeneity of explanatory variables, the participation ratio of private giving in the reference groups and the average amount of giving, the method of instrumental variables was used. Results reveal that an instrument that is generated by the education level can control the endogeneity problem well and draw positive coefficients. These results suggest three meaningful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the boost of private giving. The government has to develop strategies in order to promote people’s participation to charitable contributions b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such as the demographic, economic, and experiential factors. Also, an initial experience of donat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will become a cornerstone for persistent participation to giving. Furthermore if some member in the reference group is selected as target of the intensive fund raising campaign, their donation will have a great ripple effect on their peers in the reference group. Limitations remain in the process of estimating the giving price and setting reference groups in this research. Furthermore, a more specific channel of the state dependency and the peer effect needs to be clearly investigated through the follow-up research. However, this study has a practical meaning in a sense that it identifies the fact that there is a state dependency and a peer effect in private giving and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through empirical analysis using Korean data. 최근 복지에 대한 사회적인 수요는 높아진 반면 공공영역의 복지 공급은 한계를 노출함에 따라 민간 기부자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의 개인 기부 실태를 살펴보면 기부에 대한 참여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에 있지만 선진국에 비해 아직은 그 수준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실증분석을 통해 기부 행태의 영향요인을 밝히고 기부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기존 연구는 개인의 특성이 기부 행위에 미치는 영향이나, 기부의 조세 혜택에 대한 분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 기부와 관련해 국내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시점간 기부행위의 영향력을 상태의존성의 개념으로, 개인간 기부행위의 영향력을 동료효과의 개념으로 설명하고 경제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했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주관하고 있는 한국 복지패널의 2006년 1차 웨이브부터 2009년 4차 웨이브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기부참여 여부에 대하여 프로빗 분석을, 기부금액에 대하여 자료 분포의 편향성을 고려해 토빗 분석을 시행했다. 첫째로 개인의 기부 행태에 기부가격, 인구통계적 요인, 경제적 요인, 경험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2008년도와 4개년도 평균을 이용해 횡단면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기부 참여와 기부금액 모두에 있어 기부가격은 음의 상관관계를, 경제적 요인과 경험적 요인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인구통계적 변수 중 교육수준, 연령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둘째로 기부 참여의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미 관찰된 개인의 이질성을 통제한 상태의존성의 유무를 동태적 헤크만 프로빗 모형으로 분석했다. 시차변수를 종속변수로 이용하여 도출한 계수가 0보다 크게 나타나 과거의 기부 참여 여부가 개인의 기부참여 의사결정에 양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동료효과가 존재하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거주지역과 가구주의 연령을 기준으로 구분한 준거집단 내에서 타인의 기부행위가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타인의 평균 기부참여율과 평균 기부액을 설명변수로 사용할 경우, 내생성이 존재하므로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을 기준으로 한 도구변수를 이용해 이를 통제했다. 분석결과 교육수준을 이용한 도구변수가 내생성을 잘 통제하며, 이 경우 기부 참여와 기부금액 모두 설명변수의 계수가 0보다 크게 나타나 강한 양의 방향의 동료효과가 관찰되었다. 분석 결과는 민간부문의 개인 기부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인구통계적, 경제적, 경험적 요인을 고려한 기부 촉진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꾸준한 기부 참여의 초석이 되는 초기의 기부 경험 유도가 기부참여 지속성 측면에서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동료효과의 존재는 준거집단 내 일부 구성원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기부촉진 활동을 펼쳤을 때 그 파급 효과가 긍정적으로 그룹 안에서 확산될 수 있다는 정책적인 시사점을 지닌다. 본 연구는 데이터의 한계로 인해 분석 과정에서 기부가격의 추정, 준거집단 설정 등을 완전히 통제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으며. 상태지속성과 동료효과의 구체적인 영향 경로에 대해서는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보완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국내 자료의 실증 분석을 통해 기부의 상태의존성과 동료효과의 존재를 확인하고 관련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