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酸素 雰圍氣가 TiO2 薄膜 素子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한진옥 東亞大學校 1982 국내석사

        RANK : 248639

        Al-TiO2-Al sandwich type thin films are fabricated by the vacuun evaporation, and they are made as annealed samples (under oxygen atmosphere) and unannealed ones. Measurements are carried out for dielectric constant ε', dielectric loss ε" , and loss factor (tan δ) with the variation of frequency.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produced capacitor shows dielectric constant 60-105 at frequency lKHZ and capacitance 1500-2500pF. 2. When annealed under oxygen atmosphere , the values of dielectric constant and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increases with the period of annealing time. 3. It can be confirmed through experiment that the annealed sample under oxygen atmosphere has larger values of dielectric constant and capacitance. 4. It can be said that the produced sample with this procedure could be used as a thin film capacitor.

      • 자기성장 집단상담이 학습부진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진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자기성장 집단상담이 학습부진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연구로써,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자기성장 집단상담이 학습부진아의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위치한 H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학습부진아 10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기간은 2011년 9월 10일부터 10월 25일까지 매 회기 50분씩, 주 3회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오영희(2003)의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염재필(2007)의 ‘자아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가 아동의 발달 단계와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평가도구는 최보가와 전귀연(1993)의 자아존중감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평균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SPSS/PC+ ver. 17.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95% 신뢰구간에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장 집단상담은 학습부진아의 일반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자기성장 집단상담 활동을 통해서 자기이해의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의 성격을 이해하며, 자신의 장점뿐만 아니라 단점을 알고 보완해 나감으로써 자신을 진정으로 수용하게 되고, 안정된 자아상을 갖게 되어 일반적 자아존중감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자기성장 집단상담은 학습부진아의 사회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자기성장 집단상담 활동을 통해서 타인과의 관계 형성에 두려움이 사라지고 친구들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게 되었고, 여러 가지 어려움을 슬기롭게 극복해 가는 과정을 통해 대인관계에 자신감이 생기게 되어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자기성장 집단상담은 학습부진아의 학업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지 않다. 학업적 자아존중감은 학업적 평가와 학교생활에서 자신이 느끼는 유능함 등의 평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16회기의 짧은 실험 기간 동안에 향상되기는 어려우므로 학업적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넷째, 자기성장 집단상담은 학습부진아의 가정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이 활동을 통해서 가정에 대한 인식이 명확하게 되고 가정생활에서 자신의 가치가 얼마나 인정되고 있는 지를 생각하며 가족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으며, 가족은 소중한 존재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어 가정적 자아존중감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 신규 고혈압 환자의 치료지속성에 따른 고혈압 조절 및 합병증의 발생 정도

        한진옥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고령화, 생활 및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질병구조가 만성질환 위주로 변화해가고 있으며, 특히 고혈압은 주요 만성질환 중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다. 고혈압은 장기적으로 심뇌혈관 질환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적정 혈압의 유지 및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그 관리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고혈압에 대한 인지율과 조절률은 매우 낮은 실정이다. 최근 고혈압 환자의 치료지속성과 관련된 연구는 다수 진행되었으나, 치료지속성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치료지속성과 고혈압의 조절, 합병증에 이르는 연속적인 관계는 파악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건강보험공단의 의료이용자료와 검진자료를 이용하여 치료지속성과 고혈압 조절, 합병증 발생의 연속적인 과정에 대한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09년 새로 고혈압을 진단받은 환자로 이전 1년간 고혈압이나 관련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았던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요양일수를 이용하여 300일 이상 내원한 자를 지속치료군, 300일 미만 내원한 자를 비지속치료군으로 정의하여 고혈압 조절여부와 심뇌혈관질환 발병에 대하여 카이제곱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지속치료군이 조절군에 속할 오즈비는 1.12로 산출되었으며, 70세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지속치료군이 조절군에 속할 확률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연령별로 2009년과 2011년의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을 비교한 결과 치료지속군에서의 혈압감소폭이 유의하게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혈압으로 인한 합병증은 고혈압을 조절한 군에서 합병증 발생의 위험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치료지속성에 따른 합병증에서 역시 지속적인 치료를 받으면 합병증 발생 비율이 낮아짐이 확인되었다.

      • PVPylated poly(alanine) as a new thermogelling polymer

        한진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order to investigate poly(N-vinyl pyrrolidone) as an alternative to poly(ethylene glycol) in preparing a biomedical polymer, we synthesized a series of reverse thermogelling poly(N-vinyl pyrrolidone-b-alanine) (PVP-PA). The amphiphilic polymers consisting of the hydrophilic PVP block and the hydrophobic PA block formed micelles in water and the micelles aggregat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FTIR spectroscopy, circular dichrosim spectroscopy, and 13C-NMR spectroscopy showed that the aggregation behaviour accompanied a change in PA conformation as well as a decrease in the molecular motion of PVP-PA. The sol-to-gel transition temperature decreased as the PA block length increased, PVP block length decreased, and L-alanine/DL-alanine ratio of PA increased. This paper suggests that PVP can be a promising alternative to poly(ethylene glycol) in designing a reverse thermogelling biomaterial. 가역적인 온도성 겔화를 보이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수용액은 최소한의 침투작용으로 생체 내로 주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난 십 년간 중요하게 연구되어 왔다. 저온에서 낮은 점도의 수용액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졸-겔의 전이가 일어난다. In-situ에서 약물을 함유시켜 만들어진 수화겔은 포접된 약물의 서방성 방출 시스템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가역적인 온도성 겔화는 고분자의 친수성과 소수성 사이의 미세한 균형으로 일어난다. 생체적합성 고분자인 폴리에스터, 폴리사카라이드, 폴리포스파진, 폴리(N-(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아마이드-올리고락타이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시아노아크릴레이트, 폴리펩타이드 등은 소수성 블록으로 사용이 되고,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친수성 블록으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는 생의학적인 고분자를 만들기 위해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대체물질로서 폴리(N-비닐피롤리돈)을 연구하고자 가역적인 온도성 겔화를 보이는 폴리(N-비닐피롤리돈-b-알라닌)(PVP-PA)의 시리즈를 합성하였다. 친수성 폴리(N-비닐피롤리돈) 블록과 소수성 폴리(알라닌) 블록으로 이루어진 양쪽성 고분자는 물에서 미셀을 형성하고,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셀은 응집된다. Fourier 변환 적외선 분광(FTIR), 원편광 이색성 분광분석(CD), 13C-NMR 분광은 폴리(N-비닐피롤리돈-b-알라닌)(PVP-PA) 수용액의 졸-겔 전이가 소수성 결합에 의해 일어나고, 응집현상은 폴리(N-비닐피롤리돈-b-알라닌)(PVP-PA)의 분자운동 감소뿐만 아니라 폴리(알라닌)의 배치를 변화시켜 구조적으로 약간의 -sheet의 증가를 동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졸-겔 전이의 구조적 성질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폴리(N-비닐피롤리돈)의 분자량, 폴리(알라닌)의 분자량, L-알라닌/DL-알라닌의 비를 달리 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폴리(알라닌)의 블록 길이가 증가할수록, 폴리(N-비닐피롤리돈)의 블록 길이가 감소할수록, 폴리(알라닌)의 L-알라닌/DL-알라닌의 비가 증가할수록 졸-겔 전이온도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대체하는 물질로서 폴리(N-비닐피롤리돈)은 새로운 생체물질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친수성 고분자로서 유망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 기독초등학교의 문학통합단원 개발사례연구 : '사자와 마녀와 옷장', '너도 하늘말나리야',를 중심으로

        한진옥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교사들이 많이 시도하고 있는 문학통합수업이 실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개발절차를 명료화 하고, 시행 후 그 효과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문학작품중심의 통합수업을 위해 개발한 단원을 문학통합‘단원’이라고 하고, 단원을 실행하는 것을 문학통합 ‘수업’이라고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기독초등학교에서 문학통합단원 개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2.교사와 학생의 반응에서 알 수 있는 문학통합수업의 효과성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문학통합단원이 가장 활발히 시행되고 있는 경기지역의 C기독사립초등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는 다섯 명의 교사로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2년 2월부터 12월 사이에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문학작품 중심의 문학통합단원 개발과정을 한 사례로 보고, 그 개발자들과 수업참여자들이 경험한 단원의 효과성을 드러내고자 하였기에 질적 사례연구로 접근하였다. 연구자도 두 번째 개발 사례에는 직접 참여하여 실천 연구하였다. 또 단원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이 경험한 효과성을 드러내고자 설문으로 전수조사도 병행하였다. 각 사례의 단원개발 내용을 참고하기 위해서는 단원개발 및 수업 후 발행된 자료집을 활용하였다. 개발절차를 명료화하기 위한 자료수집은 개발과정과 수업에 직접 참여, 관찰하여 이루어졌으며, 연구자가 직접 참여하지 못한 단원개발 및 수업 부분을 이해하기 위해 교사들과 반구조화된 면접을 진행하였다. 또한 자료 수집의 다각화를 위해 C기독초등학교의 문학통합단원을 주로 연구하는 교사들의 자발적 교육과정 연구모임에 격주 수요일 두 시간씩, 1년간 심도 있는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분석은 두 단원개발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C기독초등학교 문학통합단원 개발절차를 명료화하였고, 효과성 검증을 위해 다섯 명의 연구 참여 교사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그 구체적 효과성을 명확화 했다. 첫번째 연구문제에서는 Lauritzen 과 Jaeger는 내러티브 교육과정 모형, Egan은 이야기 형식 모형, 두 모형을 C기독초등학교 개발 사례와 비교한 후, 개발자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가들이 문학통합단원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문학통합단원 개발과정 8단계을 제시하였다. 첫째, 문학통합단원을 실행할 학년을 선정한다. 둘째, 해당 학년 학생들의 발달적 필요를 검토하여 시의 적절한 작품을 선정한다. 셋째, 기존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교수학습목표 및 성취기준을 검토한다. 넷째, 반영할 국가수준 교수학습목표와 작품의 핵심 가치에 따라 단원 교수학습목표와 학습활동을 설정한다. 다섯째, 설정된 목표와 활동에 따라 동학년 교사들이 나누어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한 후, 동학년 회의 시간에 수정, 보완의 논의 과정을 거쳐 최종안을 확정한다. 여섯째, 단원의 흐름에 따라 평가를 어떻게 배치할지 계획한다. 일곱째, 문학통합단원을 실행한다. 마지막으로 실행 후에는 자유기술, 설문 방식을 통해 참여자 피드백을 수집하여 단원개발에 대한 평가를 하여 다음 학년도 수업에 반영할 수 있도록 자료집을 만든다. 교사와 학생의 반응에서 알 수 있는 문학통합수업의 효과성은 네 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문학통합단원은 현행 국정 교과서를 기반으로 한 수업보다 기독교적 가치를 함양하기에 매우 효과적이다. 둘째, 수업의 몰입도가 향상된다. 셋째, 수업의 질이 개선 된다. 넷째는 배움 공동체가 형성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결론을 통해 다음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문학통합수업이 기독교적 가치 함양, 수업의 질 개선, 수업의 몰입도 향상, 배움공동체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학교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새로운 문학통합단원을 개발하고자 할 때, C기독초등학교 개발 사례로 보아, 최소한 개발과정 8단계를 거쳐야 일정 수준 이상의 단원이 개발된다는 점이다. Recently many teachers are integrating literature into their lessons. This study defines "Literature Integrated Instructional Unit" as a group of lesson plans developed based on a chosen work of literature. It also identifies "Literature Integrated Lesson" as an individual lesson which integrates literatur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y steps for developing a Literature Integrated Instructional Unit, and the effectiveness of such instruction. 1. What is the process of developing Literature Integrated Instructional Unit at a Christian elementary school? 2. What is the effectiveness of Literature Integrated Lessons in the class? A group of teachers at "C" private Christi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February 2012 to December 2012. The teachers have met for two hours every other Wednesday during the research period. This meeting, the Curriculum Study Group, has actively made efforts to develop Literature Integrated Instructional Units. As a result, two Literature Integrated Instructional Units have been constructed.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has joined the group from the second Literature Integrated Instructional Unit development. While identifying their process of developing a Literature Integrated Instructional Unit as a case, this study utilizes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in order to discover an appropriate process of developing the integrated unit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ion. The researcher has collected data not only by participating in the Curriculum Study Group but also by teaching students using the developed literature integrated lessons. The two Literature Integrated Instructional Units have been compared to identify the steps of Literature Integrated Instructional Unit development.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ion, a survey was completed by all the students in the population. A comprehensive resource book was constructed by the teachers at the end of each unit. These two books were analyzed to collect data. This study suggests 8 steps for Literature Integrated Instructional Unit development. The 8 steps have been identified by comparing Lauritzen and Jaeger's narrative curriculum method, Egan's storytelling method, and literature integrated instructional unit development cases at "C" Christian school. These suggested 8 steps will be a guide for teachers who will develop a literature integrated instructional unit in the future. First, select a grade for teaching a literature integrated instructional unit. Second, select suitable literature for the grade. The needs of students must be considered in the second step. Third, identify nationwide common core curriculum standards for the unit. Forth, reconstruct the goals for the integrated unit after considering the core value of the literature and the curriculum standards. Fifth, make lesson plans according to the literature integrated goals and activities. In this step, teachers in the same grade must collaborate effectively. Each teacher takes a lesson and constructs a lesson plan. After constructing an integrated lesson plan, they must review and revise each lesson in order to finalize effective integrated lesson plans. Sixth, plan for evaluation according to the flow of lessons in the integrated unit. Seventh, teach the literature integrated unit. Eighth, evaluate the literature integrated unit by survey. In this final step, the teacher shall make a comprehensive resource book in which integrated lesson plans and collected data by survey are included.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ponse of teachers and students, finds four areas of effectiveness of literature integrated lessons. First, a developed literature integrated instructional unit is effective for obtaining Christian values. It is more effective than using a government designated text book. Second, students can be more motivated in and focused on the integrated lessons. Third, the quality of learning is improved during the integrated lessons. Lastly, it is helpful to form a learning community.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wo implications. First, teachers should make more effort to construct Literature Integrated Lessons because the integrated lessons are useful for Christian value education, effective learning, and building a learning community. Second, the 8 steps, as shown in the case at "C" Christian school, shall be utilized in order to ensure a quality Literature Integrated Instructional Unit development.

      • 전래놀이활동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유아들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진옥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유아와 일반유아가 통합되어 있는 유치원 환경에서 전래놀이를 통한 장애유아 통합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일반유아들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에 기초하여 교육현장에서 유아교사들에게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1. 전래놀이를 활용한 통합프로그램의 실시 유·무가 장애유아에 대한 일반유아의 전반적인 인식변화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전래놀이를 활용한 통합프로그램의 실시 유·무가 장애유아에 대한 일반유아의 4개 하위영역별 인식변화에 영향을 미치는가? 2-1. 친 사회적 행동 인식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2-2. 공유활동 인식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2-3. 문제상황해결 인식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2-4. 원외활동 인식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통합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서울시 구로구에 소재한 G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만 5세미만 2학급 유아 60명으로, 한 학급의 유아 30명은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의 유아 30명은 통제집단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장애유아는 특수학급과 일반학급 교사들의 협의를 거쳐 4명의 장애유아를 각 반 2명씩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1∼2회씩 6주 동안 10회에 걸쳐 전래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유치원의 일상적인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용으로 실시한 전래놀이 프로그램은 유치원 교육과정 안에서 적용가능하고, 유아들의 발달수준에 적합하며 일반유아와 장애유아들이 모두 참여할 수 있는 활동, 쉽고 보편적이며 유아들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는 활동, 놀이의 규칙과, 협동심 등을 직·간접적으로 배울 수 있게 하는 활동, 장애유아와 일반유아들간에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시켜 줄 수 있는 활동, 장애유아의 참여를 위해 집단의 크기, 놀이의 규칙, 활동 내용 등을 조절하거나 쉽게 수정할 수 있는 활동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Voeltz(1982)와 Berndt & Perry(1986)의 검사도구를 참고하여 이현숙(2000)이 제작한 '장애유아 이해 증진을 위한 태도 조사 설문지'를 기초로,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검사임을 감안해 본 연구자가 설문지 내용을 삽화화하여 남아용·여아용으로 제작하여 검사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의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과 표준 편차,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인식변화에서 전래놀이를 활용한 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일반유아들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일반유아들에 비해 장애유아에 대한 긍정적 인식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 영역별 인식변화에서는 전래놀이를 활용한 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일반유아들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일반유아들에 비해 친 사회적 행동, 공유활동, 문제상황 해결, 원외활동 등 4개 하위 영역 모두에서 긍정적인 인식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유아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전래놀이를 활용한 장애유아 통합프로그램 실시는 장애유아와의 직접적인 접촉과 활동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긍정적인 이해와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하는데 있어 장애유아와 일반유아간에 친구관계의 질을 높이기 위해 장애유아들과의 직·간접적인 접촉, 장애에 대한 정보제공, 구조화된 프로그램 실시 등의 다양한 접근과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traditional playing programs on normal young children's attitudes towards their handicapped peers in a desegregated classroom, and thereupon,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the young children's teachers working for desegregated kindergarten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study points were set up; 1. Would normal young children's overall attitudes towards their handicapped peers in a desegregated classroom be affected by the traditional playing programs? 2. Would normal young children's individual attitudes towards their handicapped peers in a desegregated classroom be affected by the traditional playing programs?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60 young children aged 5 (two classes) attending a desegregated kindergarten attached to "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Kuro-gu, Seoul were sampled. 60 children were randomly and equally classified into test and control groups. The researcher selected 2 handicapped children for each group through consultation with special class teachers and ordinary class teachers. The test group was exposed to a traditional playing program twice a .week; they were tested with it 10 times in 6 weeks. The control group was subject to the ordinary kindergarten programs. The traditional playing program for the test group was adopted because it was thought to be appli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dequate to children's development levels, allow for handicapped children's participation, and easy and interesting, promote the social interaction between normal and handicapped children, optimal and easily controlled or modified in consideration of group size, playing rules and activities. The survey tool was developed and intensified by the researcher by referring to Voeltz's (1982) and Perry's (1986) scales which had been developed by Lee, Hyun Sook (2000) into "A Questionnaire for Surveying Normal Children's Attitudes towards Their Handicapped Peers".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program for pre- and post-tests of two groups,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st group children's attitudes towards their handicapped peers were positively affected by the traditional playing program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unterparts. Second, the test group children's attitudes towards their handicapped peers were positively affected by the traditional playing program in such areas as pro-social behaviors, cooperative activities, problem- solving and out-of-kindergarten activities. All in all, the traditional playing program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normal young children's attitudes towards or perception of their handicapped peers; the test group children began to maintain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handicapped friends after the intervention, while they continued to be concerned about and considerate of their handicapped peers. In order to successfully operate a desegregated classroom with normal and handicapped children mixed, it is deemed necessary to help normal children form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ir handicapped peers by not regarding them as physical obstacles to their play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at a method of intervention has been suggested to change normal children's attitudes towards their handicapped peers.

      • 초등학교 도덕교육을 위한 콜버그 도덕교육론 연구

        한진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초등학교의 도덕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콜버그의 도덕교육론을 살펴본 것이다. 콜버그는 도덕성을 어떠한 행위를 선택해야 하는가를 판단하는 능력이며, 도덕성은 나이가 들수록 보다 높은 단계로 발달해 나간다고 보았다. 그는 도덕성 발달이론을 체계화시켜 발달단계를 3수준 6단계로 나누고, 도덕적 딜레마를 통해 도덕적 추론을 하는 과정에서 도덕성이 발달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발달은 도덕교육이라는 인위적인 노력에 따라 촉진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교실에서의 토론식 수업을 통해 도덕성을 발달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알고, 개인의 도덕적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도덕적 분위기에 관심을 기울인다. 결국 그는 도덕교육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집단의 분위기를 중시하는 '정의로운 공동체적 접근'을 통해 달성해 보고자 했다. 실제로 콜버그는 클러스터학교에서 참여민주주의 형태의 정의로운 학교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자신의 이론을 증명하고자 하였으며, 약간의 긍정적인 성과를 얻었다. 콜버그의 이러한 도덕교육론은 도덕성 발달을 위해서는 도덕수업에서의 도덕교육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학생을 둘러싼 사회전체가 정의로워야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콜버그의 이론을 초등학교에서의 도덕교육과 관련시켜 본다면, 개인의 도덕성 발달을 위해서는 도덕수업에서의 가치갈등수업과 함꼐 저의로운 학교·학급을 통한 도덕적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함을 뜻한다. This article is to study L.Kohlberg's moral education theory for the purpose of it's application to the `morality lesson' in the elementary school. Kohlberg regared the morality, which would develop more and more to a higher stage with age, as the ability to decide which action to choose In his view the moral development proess was divided into three rev ell and six stages, and in each level and stage individual morality was developed by the moral analogy made through alternative moral dilemma. of course, moral education was estimated to facilitated it's maturity in this process. But al moral development only through the class teaching has its limitation, he has much concern in the construction of moral environments which affected the individual moral activity. As s result he made the conclusion that the the goals of moral education souls be accomplishes by `Just Community Approach', which meant ; ①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potential education process by means of the aid of moral environments, ② to make much of the moral environments surrounding the school, and ③ emphasize the school education program of moral lesson under the principles of the democracy of participation. And he tried to prove his theory in the Cluster shook, really succeeding to some degree. L.Kohlberg's moral education theory is summarizes as follows : ① the moral education in the class has its limitation to the full development of individual moral development and therefore ② juat community as moral environments of the school should be highly evaluated. In conclusion, L.Kohkberg's moral education theory can be to the desirable case of the moral lesson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n his theory implies that it is inevitable to introduce the method of value conflict teaching as well as to build the moral environments, 'just community',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the individual moral development to full extent.

      • 만성질환자의 일차의료 치료지속성이 응급실 방문에 미치는 영향

        한진옥 가천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의학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노인 인구와 만성질환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만성질환에 있어 치료지속성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만성질환자의 치료지속성은 만성질환자의 건강결과, 의료이용 측면에 영향을 미치며, 응급실 방문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세계적으로 응급실 과밀화(overcrowding)는 응급의료체계의 주된 문제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으며, 이는 환자의 적절한 처치를 지연시키고, 응급실 재원 시간을 늘리는 등의 문제뿐만 아니라, 의료비 상승을 야기하는 등 의료전달체계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만성질환과 노인인구의 증가로 응급실 이용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상용치료원 보유와 응급실 방문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 검진자료에 대한 표본 코호트 자료를 이용하여 응급실 방문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만성질환자에 있어 의료기관별 진료지속성이 응급실 방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2013년 한국의료패널조사에 응답한 전체 대상자 중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20세 이상의 응답자 총 7,458명을 대상으로 상용치료원의 종류와 응급실 다방문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2008~2013년까지 총 5개년도의 표본코호트 DB를 이용하여 30세에서 65세 미만을 대상으로 응급실 방문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2009년 고혈압 혹은 당뇨병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2010년의 외래 진료지속성이 2013년 응급실 방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전 응급실 방문 경험이 없는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첫 번째 응급실 방문 이후 일차의료기관의 방문횟수가 이후 응급실을 방문하기까지의 기간과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보건소나 의원을 상용치료원으로 가지는 경우에 비하여 병원을 상용치료원으로 가질 경우 응급실을 자주 방문할 가능성이 1.341배, 종합/대학병원을 상용치료원으로 가질 경우 응급실을 자주 방문할 가능성이 1.65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를 활용한 연구 결과, 2009년에 고혈압을 가지고 있을 경우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2013년에 응급실을 방문할 가능성이 1.311배, 당뇨병을 가지고 있을 경우는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1.193배 높았다. 또한 2009년 암성질환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2013년 응급실을 방문할 가능성이 1.50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의원급 의료기관과 병원급 의료기관에서의 진료지속성이 응급실 방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의원급에서의 진료지속성을 가지는 경우에 비하여 병원급 진료지속성을 가지는 경우 응급실을 방문할 가능성이 1.487배 높았고, 진료지속성이 없는 고혈압 환자의 경우 응급실을 방문할 가능성이 1.413배 높았다. 당뇨병의 경우에도 의원급 진료지속성을 가지는 경우에 비하여 병원급 진료지속성을 가지는 경우 1.752배 응급실을 방문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