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관한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한정이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Taking advantage of the advancement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dolescents started to increase their Internet uses exponentially, changed heir life patterns, and emerged as a generation to lead informatization and public opinions through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systems. In the middle of the online culture, the rapidly changing video generation is excessively committed to the Internet and ignores what a real life is about. As a result, they're faced with various pathological problems in study, work, marriag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ir online culture caused them to lose their identities, engage in negative thoughts and acts that were not sound for socie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hoose simple and easy ways rather than complex ones that would require hard work. All those made the distance between books and adolescents even bigger. This study set out to apply bibliotherapy to adolescents, who were too accustomed to the online Internet culture to lose their stable sentiment and unique identities, help them solve their personal issues, recover their healthy self-images, and resolve the problems with the parents and families, and search for alternatives to cure their Internet addiction, which surfaced as a new issue in the society. Bibliotherapy not only generates feedback effects with characters from books, but also is effective in increasing interactions with others and improving self-understanding, expression, and recognition. By combining bibliotherapy with group counseling sessions, the therapist can create a chance for adolescents to experience catharsis through identification with the characters and gain new insights into who they are. The study was organized as follows; first,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define three categorie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excessive Internet use among adolescents as the closest and most comprehensive concepts. They were self-control, self-esteem, and impulsiveness. Before starting the study, the investigator conducted the Korean Internet Addiction Self-Diagnosis Test(K-Scale) to 254 seventh to ninth graders at S church in K and S gu and 160 fifth and sixth graders at S church in K and D gu in Seoul. The test results were used to define a high risk and potential risk group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form the experiment group(four boys and three girls), which would participate in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bibliotherapy, and the control group(four boys and three girls), to which only books would be read. The elementary students were selected in the same way as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experiment group consisted of five boys and two girls to participate in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bibliotherapy, and the control group six boys and one girl to whom only books would be read.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bibliotherapy was applied over eight sessions twice a week from the fourth week in May to the fourth week in June, 2009. Each session lasted 90 minutes, and total 180 minutes were invested in small group activities a day. Post-tests included the K-scale, self-control, self-esteem, impulsiveness, and the overall evaluation form, which were the same as the pre-test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bibliotherapy didn't show significant changes in self-control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o which only books were read. No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age groups, either. But both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display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pre- and post-test scores. Second, the experiment group had significant changes in self-esteem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oups. And only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Third, the experiment group didn'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in impulsivenes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ith no differences in age groups either. Both the groups displayed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pre- and post-test scores. And finally, the experiment group didn't show significant changes in Internet addic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ith no differences in age groups. However, both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had significant change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 초등학생의 동물권 교육을 위한 과정드라마 프로그램 개발

        한정이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동물권 교육을 위한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동물 학대와 이에 따른 생명 경시 문제를 인지하는 것에서 시작되었으며, 이에 연구자는 동물을 좋아하는 초등학생 시절부터 동물권에 대한 이해를 하여 생명존중까지 나아가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을 위한 동물권 교육의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동물권 이해를 위한 과정드라마는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가? 셋째, 과정드라마는 초등학생의 동물에 대한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중랑구에 소재한 서울 S 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 학생이다. 남 11명, 여 11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6회기에 걸쳐 개발한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각 회기는 3차시로 구성되어 있다. 초등학생의 동물권 교육의 내용은 2015 개정 범교과 학습 주제 ‘동물 보호 및 복지’의 주요 학습 내용과 서울시 교육청의 ‘생명존중 동물사랑’ 교육 위계 및 ‘실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범주화하였다. 동물권 교육에서 핵심적인 태도 형성과 관련하여 각 회기별 관련 태도를 선정하였다. 또한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측정도구로서 ‘동물에 대한 태도’ 검사지를 정량적 자료로 활용하였고 정성적 자료로서 프로그램 활동지와 참여자의 소감문, 그리고 수업 녹취록 및 교사의 인터뷰 자료를 활용하였다. 실험 기간은 2018년 10월부터 12월까지 6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사전과 사후에 동물에 대한 태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인 SPSS를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독립표본 t검정’으로 확인하였다. 총 4가지 태도를 문항별로 나누어 평균과 표준편차를 비교 분석하였다. 정량적 평가 도구의 검사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의 활동지, 참여자의 소감문, 인터뷰 자료, 녹취록 등을 분석하여 정성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참여자의 소감문에서 동물권 이해에 대한 생각을 다수 발견할 수 있었으며 6회기 후 집단 인터뷰를 통하여 동물권에 대해 변화된 생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을 위한 동물권 교육 내용을 정립하여 과정드라마에 적용하였다. 지식, 기능, 태도로 동물권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태도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과정드라마에 적용하였다. 과정드라마 속에서 학생은 동물권 주제를 경험할 수 있는 가상의 상황 속에 몰입하여 허구의 역할을 수행한다. 연극 속에서 ‘몰입하기’를 통해 자신의 생명존중의식에 대해 자발적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거리두기’를 통해 동물권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주체적으로 정립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예술로서의 연극을 느낄 수 있다는 데에 적용 가치가 있다. 둘째, 동물권 교육을 위한 과정드라마 수업 단계를 구성하고 지도 방안을 개발하였다. 2015 개정교육과정 범교과 학습 주제 중 동물 보호 및 복지와 서울시교육청의 동물 복지 교육 자료를 통하여 유기동물, 야생동물, 멸종 위기 동물, 실험동물, 동물원, 동물 농장이라는 6가지 주제를 선정하였다. 또한 과정드라마의 단계에 맞추어 동물에게 관심 갖기, 동물 복지 드라마 상황 구체화하기, 동물에 대한 태도 형성하기, 동물과 친해지기, 동물과 함께하기라는 단계를 구성하였다. 앞의 단계에 맞추어 교육연극 전문가와 생태전문가 그리고 수석교사의 지속적인 피드백을 거쳐 수업 지도안을 설계하여 적용하였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동물권에 대한 이해에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은 유용하다. 학생들의 인터뷰와 소감문을 분석해 보았을 때, 동물도 인간과 같이 고통을 느끼는 존재라는 기본적인 동물권에 대한 인식이 생겼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량적 검사에서 동물에 대한 4가지 태도에서 사전 평균보다 사후 평균이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초등학생의 동물권 교육을 위하여 과정드라마는 적용 가치가 있으며 본 연구자가 개발한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은 정량적, 정성적 검사를 통해 동물권 교육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2015 교육과정의 방향에 맞추어 연극 수업과 생명 존중 수업을 교실이라는 제한적인 공간 안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자연감성과 예술감성을 기를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 영국 르네상스 극에 나타난 개인주의

        한정이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1855

        The aim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individualism represented in English Renaissance drama. New Historicists and Cultural Materialists argue that men/women in English Renaissance drama don't have any meaningful sense of interiority or personal autonomy, which are important points in exploring individualism. Contrary to their arguments, the characters in Renaissance dramas researched in this dissertation obviously indicate the existence of inner life and autonomy. It is noteworthy that two great historical events─the Reformation and Renaissance humanism─made great contributions to forming the Renaissance self. This dissertation analyses how Renaissance individualism appears in the contemporary drama, focusing on how the above historical events of that era affect the formation of the Renaissance self. The first chapter on Hamlet addresses Hamlet's interiority and his autonomy in relation to the Reformation and Renaissance humanism. The Reformation emphasized the interior life of a Renaissance person, and Protestantism developed the concept of individuality by approving of each individual's desires and emotions. These aspects of individualism are witnessed in Hamlet's insistence on his interiority and his particular emotion. It is also seen that Renaissance humanism's appreciation of human reason and free will greatly affect Hamlet's self. Hamlet, trying to be freed from the ghost's order for revenge and a variety of pressures imposed on him by the Danish court, makes decisions based on his reason and strives to live his own life. The second chapter on Doctor Faustus explores Faustus' inner world, which reveals the conflict between the aspiration of humanism and the creed of Calvinism. Faustus represents humanist's aspiration for human capability and its unlimited potential. On the other hand, he reveals a considerable sense of guilt about his desires and expresses great anxiety for the possibility of being saved in terms of Calvinism. However, Faustus demonstrates his autonomy, for he revolts against Christian dogma to indulge in his pleasures, and follows his own judgments whenever he makes important decisions in his life. The third chapter on The Duchess of Malfi explores class conflicts and the Duchess of Malfi's love in relation to historical background of that time. Renaissance humanism, along with the contemporary development of the economy, promoted a social atmosphere of valuing personal abilities above inherited social status, inevitably causing class conflicts. The Dutchess selects her own spouse, who is in a lower class but has high virtue, despite her brothers' objections to her second marriage. The Dutchess's desire to achieve her love by overcoming social conventions is one example of Renaissance individualism. Renaissance individuals, whose sense of individualism was promoted at that time, are considered to be autonomous agents. Likewise, in the Renaissance dramas, the protagonists present strong desires to live their own lives based on their interiority. Throughout the discussion of the above plays, this dissertation proved that Renaissance individualism was a creed as well as a way of life for Renaissance people.

      • 그림이 있는 이야기책을 활용한 총체적 언어 학습이 경도 장애아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정이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 이야기책을 활용한 총체적 언어 학습 전략이 경도 장애아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대상 아동은 시설 파견 특수학급의 2~3학년 아동으로, 기초학습기능검사 I, II에서 1년 이상 지체 된 다운증후군, 뇌성마비 아동 각 1명이었다. 실험설계는 5단계의 총체적 언어학습을 적용하여 낱말의 재인, 기초적 독해 능력의 향상 정도를 측정하려고 아동간 중다기초선 연구 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 기간은 1일 2회, 주10회로 5주간 실시하였으며, 1회 소요 시간은 40분이었다. 연구 결과, 첫째, 그림이 있는 이야기책을 활용한 총체적 언어학습이 경도 장애아의 낱말 재인에 효과가 있었다. 낱말 읽기, 낱말의 뜻 알기, 짧은 글을 완성하기에서 뚜렷한 향상을 보였으며, 유지 기간에도 그 효과가 지속되었다. 다만 두 아동은 장애가 다르고, 기초선, 중재, 유지 기간에도 개인차는 컸으나 각자 목표점을 상회하였으며, 각자 자신의 정답 적중율 중에서 Down증후군 아동은 보기 글 가운데서 알맞은 말을 찾아서 짤은 글을 완성하는 문항, 뇌성마비 아동은 낱말의 뜻 알기 문항의 적중율이 높았다. 둘째, 그림이 있는 이야기책을 활용한 총체적 언어학습이 경도 장애아의 독해력에서도 효과를 거두었다. 두 아동의 정답 적중률의 개인차는 역시 컸지만 각자 목표점을 상회하였으며, 각자 자신의 정답 적중율 중에서 Down증후군 아동은 객관식, 언어성이 높은 뇌성마비 아동은 주관식 문항에서 높은 적중율을 보였다. 아동의 수준에 맞는 그림이 있는 이야기책을 활용하여 총체적 언어학습 전략을 적용한 본 연구가 경도 장애 아동의 읽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읽기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국어과 전 영역에 자신감을 갖게 되어 교육적으로 많은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whole-language learning strategy using story book with pictures on read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were 2nd and 3rd grade students from a special class at a residential facility. Both of them were one year behind in Basic Learning Ability Test I and II. One of them has Down Syndrome and the other one has Cerebral Palsy. This study used multiple baseline design by applying 5 categories of whole-language learning strategy to examine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ies including recognition of vocabulary, basic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twice a day 10 times per week for 5 weeks and each session was 40 minutes long.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v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ading vocabular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words, and completing short sentences by using whole-language learning strategy. This improvement was not temporary since their progress was kept during maintenance.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two subjects since two subjects had different disabilities and they had different ratios of finding right answers (especially in the intervention and follow-up time period). However, the students were able to reach their expected goals. In this case, the child with Down syndrome was successful in selecting correct words to fill the blanks in the sentences and the child with Cerebral Palsy was successful in the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ords. Second, this study prov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by using whole-language learning strategy. Even though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choosing correct answers, the subjects were able to reach their expected goals. In this case, the subject with Down syndrome excelled in multiple choice style of questions, and the subject with Cerebral Palsy excelled in essay style of questions. In the conclusion, the study applying whole-language learning strategy using storybook with appropriate pictures proved that this strategy not only improved the learning skills of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also increased their interest and confidence in reading.

      • 러시아어 동사 접두사 по-의 의미 연구 : 인지 언어학적 고찰을 중심으로

        한정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러시아어에서 동사 접두사는 복합적인 기능을 하는 형태소이다. 접두사는 동사의 어근 앞에 위치하여 문법적 상을 완료상으로 변화시킬 뿐 아니라 어휘 의미를 변화시키는 복합적 기능을 한다. 따라서 접두사가 동사에 결합함으로서 불완료상 기저동사의 완료상쌍이 형성되거나 행위방법의 어휘의미그룹이 형성된다. 이때 생기는 학문의 방법론적 문제는 상쌍과 행위방법에 대한 엄밀한 구별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여러 학자들이 상쌍과 행위방법의 구별 기준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하였으나 아직까지 일치된 의견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의 대표적인 동사 접두사 по-의 의미 및 기능을 분석하는 것이 상쌍과 행위방법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의의를 지닌다고 생각하였다. 다양하게 나타나는 동사 접두사 по-의 다의적 의미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인지 언어학자들의 선행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공간, 시간, 수량, 강도의 네 가지 영역에서 일어난 은유와 환유의 의미 확장 현상으로 그 의미적 관계를 설명하고자 노력했다. 이를 위해 그 동안 문법적 의미로 여겨졌던 상 의미를 하나의 어휘적 의미로서 다른 의미들과 동일한 층위에 놓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일관된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공간 영역에서는 ‘~로부터 출발하다’, ‘~를 따라 이동하다’, ‘~에 도착하다’는 출발, 경로, 도착 의미를 모두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시간 영역에서는 ‘~를 시작하다’, ‘~를 잠시동안 하다’, ‘~를 다 마치다’는 시작, 제한, 완료의 의미를 표현하였다. 이것은 <시간은 공간이다>라는 은유에 의해서 공간적 영역으로부터 파생된 의미라고 분석할 수 있다. 셋째, 강도 영역에서는 ‘~을 약하게 하다’는 약화 의미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행위 수행에 사용된 시간은 행위의 강도이다>라는 은유에 의해서 제한 의미로부터 파생된 의미이다. 넷째, 수량 영역에서는 ‘많은 수의 주어나 대상이 ~를 하다’ 는 의미로 <단일 사건은 집합 사건의 근원영역이다>라는 환유에 의해 분배 의미로 확장되었다. 다섯째, 수량 및 강도의 복합 영역에서는 ‘~를 이따금 약하게 하다’는 간헐적 약화 의미를 형성하였다. 또한 러시아어 동사 접두사 по-의 의미 발달에 대한 인지언어학자들의 통시적 및 공시적 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원형 의미를 각각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거 완료상의 의미가 크게 강세를 떨쳤으나 점차 문법적인 상 의미보다는 어휘적인 접두사 고유의 의미가 발전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접두사 по-가 문법적인 완료상화 형태 형성소에서 접두사 고유의 의미의 성격이 강화되는 어휘적 형태소로 발전하는 과정 중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보았다. 러시아어 전통 문법 학자들이 러시아어 상 체계를 설명하는 데 있어 상쌍과 행위방법을 엄밀히 구별한 것과 달리 인지 언어학자들 중 일부는 상쌍과 행위방법을 동일선 상에 놓고 상 체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러시아어 화자들이 상쌍을 러시아어 상 체계에서 특권적인 위치를 인식하는 것에 대한 인지 심리학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는 동일한 동사로부터 접두화를 통해 상쌍뿐 아니라 다수의 행위방법이 형성되는 러시아어 특유의 언어적 현실을 통합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기존의 제한된 설명 체계에서 벗어나 보다 넓은 틀을 제공하는 대안적 성격을 지닌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유아숲체험 활동과 미세먼지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한정이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parents and teachers perceive the forest activities in the early childhood and fine dust by conducting the research. It basically suggests what we should prepare for the outdoor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in the environment surrounded with fine dust. The research is designed to find out the level of how much parents and teachers understand the forest activities in the early childhood and fine dust. We also indicate how the activities are correlated with fine dust. The research respondents are 194 teachers and 264 parents of children aged three to five. They are going to the kindergarten in Hwasung, Suwon, Osan and Yongin. The questionnaire is consisted of the information of several research papers related to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re are three results from the questionnaire. Both parents and teachers agree on the necessity of forest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due to the creativity and emotional stability. In addition, parents and teachers generally check up fine dust levels through Air Quality App. indicating that they seem to keep their mind on fine dust. Both of them are aware of the fine dust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to deal with. Finally, the forest activities based on the experience are preferred, but they are usually replaced to field trip and parent participation classes. Both parents and teachers agree that the day without fine dust is the most suitable for the forest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In conclusion, it is not only necessary to improve the indoor air quality for the indoor activities but also to close the windows against the worst day with the high level of fine dust. We hope that there will be a further research about the forest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using urban forests that reduce fine dust levels. 본 연구는 유아숲체험 활동과 미세먼지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1. 유아숲체험 활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미세먼지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아숲체험 활동과 미세먼지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화성시, 수원시, 오산시, 용인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5세 유아의 부모 264명과 담임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인 설문지는 크게 세 가지 하위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유아숲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문항은 숲 체험 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숲유치원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자연친화적 실외활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실태파악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를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문항을 재구성 하였으며,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문항은 황사, 미세먼지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설문지를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수정·보완하였다. ‘유아숲체험 활동과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에 관련된 문항은 ‘유아숲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 ’과‘미세먼지에 대한 인식’문항 중 관계있는 문항을 선별하여 구성하였다. 예비조사는 2017년 7월 24일부터 8월 4일까지 12일간 실시하였고, 본조사의 설문지 배부기간은 2017년 8월 10일부터 8월 18일까지 9일간이었다. 회수는 2017년 8월 19일부터 8월 31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는 SPSS 22.0 Program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 부모와 교사의 일반적 특성 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셋째, 부모와 교사의 유아숲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 t-test와 교차분석 후 χ²검정을 실시하였다. 넷째, 부모와 교사의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 t-test와 교차분석 후 χ²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숲체험 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부모와 교사 모두 높은 수준의 긍정적 인식을 하고 있었고, 이유는 창의성과 정서적 안정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만 3세에 숲체험 활동을 시작하기를 원했고, 지자체가 관리하는 유아숲체험장에서 주 1회 이상 주제에 맞추어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 체험형 숲체험을 가장 선호하였다. 숲체험 활동 시 담임교사와 유아숲지도사가 함께 교육하기를 원했고, 교사가 가져야 하는 자질에 대해 부모는 유아교육에 대한 전반적 이해, 교사는 숲에 대한 지식과 자연과 인간의 공존관계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부모와 교사 모두 숲체험 활동 시 교사는 유아의 안전에 중점을 두고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기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합한 보조 인력은 유아숲지도사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중요한 환경적 측면으로 부모는 안전성을, 교사는 안전성과 다양성을 꼽았다. 또한 부모와 교사 모두 유아숲체험 활동에 적합한 숲 활동 공간이 확보되어야 유아들의 숲체험 활동이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둘째, 부모와 교사는 미세먼지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나 관심도에 비해 일반적인 인지 수준은 그다지 높지 않았고, 대체로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미세먼지에 대한 대처는 교사그룹이 조금 더 잘 했고,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야외활동을 하지 않는 것이 대처방안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미세먼지가 천식 등 기관지염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미세먼지 예보·경보제에 대해 부모와 교사 모두 잘 인지하고 있었고, 예보·경보제가 발령되었을 경우 대처방안에 대해서는 부모가 교사보다 더 잘 알고 실천하고 있었다. 셋째, 선호하는 숲체험 유형이 체험형인 것과는 달리 실제 기관에서는 ‘현장학습, 부모참여수업 등으로 운영되는 일회성 숲체험’과 ‘주 1회 이상 주제에 맞추어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 체험형 숲체험’을 많이 실시하고 있었다. 부모와 교사 모두 유아숲체험 활동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교사가 학부모에 비해 더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유아숲체험 활동을 잘 알고 있는 집단에서 미세먼지가 유아숲체험 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교사가 부모에 비해 미세먼지가 유아숲체험 활동에 좀 더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숲체험 활동에 동의할 수 있는 미세먼지 예보 등급은‘보통’이상이었고, 유아숲체험 활동에 적합한 날씨에 대해 부모와 교사 모두 ‘미세먼지가 없는 날’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처럼 유아숲체험 활동을 실행하는데 있어 미세먼지는 매우 중요한 고려사항이었다. 따라서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도시숲을 활용한 유아숲체험 활동에 대한 후속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 순환적 공감모형 기반 보육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한정이 수원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순환적 공감모형에 기반한 보육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국공립 어린이집 9곳과 민간어린이집 3곳의 보육교사 72명이고, 실험기간은 2023년 8월 16일∼2023년 10월 17일까지이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공감, 인성, 교사효능감, 회복탄력성, 행복감의 효과검증을 위해 SPSS Statistic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 인성 요소 추출 및 교육 매체 선정, 프로그램의 구성, 교육 방법 선정 및 타당도 검증 절차를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목적 및 목표, 교육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로 구성되었으며, 구체적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순환적 공감모형 기반 보육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교사 자신과 타인을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공감능력과 바람직한 인성을 갖춘 보육교사로의 성장’이다. 프로그램에서 선정된 인성 요소는 보편적 인성과 교사로서의 인성으로 구분하였다. 교육매체로는 그림책을 활용하였고, 교수-학습은 Zoom을 활용한 비대면 실시간 교육으로 진행하였다. 교사교육의 회기는 순환적 공감모형을 기반으로 마주하기, 마음 열기, 마음 표현하기, 마음 알기, 마음 나누기 단계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교사의 인성, 공감, 교사효능감, 회복탄력성, 행복감 척도 검사와 단계별 타당도 검증, 반성적 저널, 활동 결과물 등을 확인하였다. 순환적 공감모형 기반 보육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순환적 공감모형 기반 보육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공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공감 전체와 하위요인 전체에서 사전점수보다 사후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순환적 공감모형 기반 보육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인성 전체와 하위요인 중 책임감·성실성, 타인존중·배려, 심리적 건강, 민감성·수용성, 공감·정의감, 교직관(소명의식)에서 사전점수보다 사후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순환적 공감모형 기반 보육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사효능감 전체와 하위요인 전체에서 사전점수보다 사후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넷째, 순환적 공감모형 기반 보육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회복탄력성 전체와 하위요인 전체에서 사전점수보다 사후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다섯째, 순환적 공감모형 기반 보육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 전체에서 사전점수보다 사후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인성, 교사효능감, 회복탄력성, 행복감 향상에 효과적임이 검증되었고, 보육교사의 인성교육 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현장 적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yclical Model of Empathy for childcare teachers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it. The subjects were 72 childcare teachers employed at twelve childcare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including nine public and three private institutions. The experiment had been implemented from August 16, 2023 to October 17, 2023. For the efficacy analysis, the SPSS Statistics 25.0 Program was used. The aim of this program was to develop childcare teachers' empathy skills using picture books for a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others, thereby cultivat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essential for their professional growth. Characters were defined as general and educator-specific attributes.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Cyclical Model of Empathy. The results of this study by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re as follows: Firstly, upon evaluating the Cyclical Model of Empathy-Based Childcare Teacher Character Education Program, a significant statistical increase was observed in overall empathy between pre-experiment and post-experiment scores. Secondly, in terms of character development, including aspects such as responsibility, sincerity, respect for others, psychological health, sensitivity, acceptance, empathy, sense of justice, and professional ethics, the program exhibi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statistically. Thirdly, the program demonstrated a substantial positive effect on overall teacher efficacy and its sub factors. Fourthly, resilienc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overall and its sub factors. Lastly, the program effectively elevated overall well-being and its sub facto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ogram formulated in this research has been validated to effectively enhance childcare teachers' empathy, teaching efficacy, resilience, and well-be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utility as a foundational reference for childcare teacher character education methods and in establishing its feasibility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field.

      •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분수 조작 및 스킴 분석

        한정이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분수 조작 능력과 분수 스킴 형성의 전반적인 실태를 분석하고 분수 조작과 스킴 사이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분수 교수‧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분수 조작 능력은 어떠한가? 나.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분수 스킴 형성은 어떠한가? 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분수 조작과 스킴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가’와 ‘나’를 해결하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필검사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Norton과 Wilkins(2010, 2012, 2013), Wilkins와 Norton(2011)이 제시한 평가 문항을 토대로 분수 조작과 스킴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지를 설계하였으며, 전문가 검토와 두 번의 예비검사를 통해 이를 수정·보완하였다. 연구 대상을 추출하기 위해 지역규모에 따라 특별시 3개, 광역시 5개, 중‧소도시 9개, 읍‧면지역 3개 학교를 표집하였고, 각 학교의 6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검사지 506부를 배포하였다. 그 중 461부를 회수하였으며(회수율 91.1%), 한 쪽 이상 풀지 않은 경우와 불성실하게 답한 경우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432부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3명의 평가자가 독립적으로 평가하여 결과를 분석하였고, 학생들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연구 문제 ‘다’를 해결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분수 조작과 스킴 실태 분석을 토대로 상관관계연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분수 조작과 스킴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학생들이 분할 조작은 능숙하게 할 수 있었지만, 반복 조작을 상대적으로 어려워하였으며, 반복 조작보다 분할 조작을 먼저 구성하는 학생들이 반대의 경우보다 더 많았다. 또한, splitting을 분할과 반복 조작보다 나중에 구성하는 학생들이 반대의 경우보다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상위의 분수 스킴으로 갈수록 학생들의 스킴 형성 비율이 낮아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분수 스킴의 위계에 따라 하위 스킴을 상위 스킴보다 먼저 형성한 것으로 보이는 학생들이 반대의 경우보다 더 많았다. 분수 스킴 형성율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분할 단위 분수 스킴(PUFS)과 분할 분수 스킴(PFS)의 차이가 31%p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분할 단위 분수 스킴(PUFS)은 형성된 것으로 보이지만 분할 분수 스킴(PFS)이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학생들이 153명(35.4%)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수 조작과 분수 스킴 사이에 높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복 조작과 분할 단위 분수 스킴(PUFS)의 교차표에서, 반복과 분할 단위 분수 스킴(PUFS)이 유기적으로 함께 발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plitting과 분할 분수 스킴(PFS)의 경우에는 분할 분수 스킴(PFS)보다 splitting을 먼저 구성하는 것으로 보이는 학생들이 반대의 경우보다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분수를 지도할 때 학생들이 분할 뿐만 아니라 반복 조작도 능숙하게 다룰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중점적으로 고려한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단위분수를 중심으로 분수 학습이 전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들이 단위분수와 전체, 단위분수와 비단위분수의 관계를 고려할 수 있도록 지도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학생들의 분수 스킴 형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분할과 반복 조작을 통한 분수 지도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분할과 반복 조작을 중심으로 한 분수 지도는 학생들이 분수 스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더 나아가, 학생들의 대수적 사고 형성에도 핵심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분수 조작 능력과 분수 스킴 형성의 실태를 파악하고, 분수 조작과 스킴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분수 스킴 형성을 위한 분수 교수‧학습 방안을 고려하는데 작은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