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집합건물 관리의 제도적 한계와 개선에 관한 연구 : 주거용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한재범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the regulations by the government relaxed, the supply of residential is rapidly growing in Korea. For the last five years (2017∼2021), around 40% of all residential officetels have been supplied. A total of 941,737 officetels were supplied nationwide by June 2021, out of which about 70% were residential offices. The rising supply of the residential officetels raises urban management issues regarding their residential function. Under the Building Act of Korea, officetels are classified as business facilities. Accordingly, when building residential officetels, minimum housing standards, including the right to light under the Building Act, are not applied, and it is not obligatory to establish community facilities under the Housing Act. Furthermore, residential officetels are governed by the 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hereinafter “the Condominium Buildings Act”), which is weaker than the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ct, causing problems in building management. These problems are caused by the increasing supply of residential officetels in commercial areas, which leads to distortions in urban infrastructure while the laws do not reflect the reality. Against this backdrop, we compared the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ct and the Condominium Buildings Act and analyzed the related cases. As a result, we identified the problems of the Condominium Buildings Act as the lack of protection of occupiers’ rights, inadequate regulations of the managing body’s meeting, and a lack of regulations and institutional controls. The current act on the condominium buildings, centered on ownership, does not sufficiently protect the rights of occupiers in matters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The voting rights of occupiers in relation to building management are supplementary and do not recognize the right to set, change, or abolish management regulations, to call a meeting, the right to be a minor party to the revocation of a resolution, or to elect management committee members. For this reason, a series of the occupiers' rights related to the management are presented to improve their rights. Important decisions of the management are made at the managing body’s meetings, including the election of the manager, the representative of the managing body. Therefore, the managing body’s meeting is the foundation of its self-governance and a critical decision-making system. However, there are only 9 articles that regulate the managing body’s meeting, leaving a lot of room for dispute when it comes to interpreting the rules and handling unspecified matters when holding an actual meeting. Disputes related to a managing body's meeting often center on the notice of the meeting (status of a manager whose term has expired, list of conveners, etc.), the procedure of the meeting (temporary chair, candidate registration process, election committee), and the validity of the power attorney (copy, pre-delegation, requirement of ID, designation of the delegated person, etc.). We summarized the positions of relevant precedents and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including revising the rules for notification of the convocation and a temporary chair, mandatory candidate registration procedures, and forcing the formation of the Election Committee. Compared to the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ct, the Condominium Buildings Act specifies fewer administrative interventions and a stronger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resulting in a lack of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Internally, the Condominium Buildings Act has problems because the rules are not mandatory, the quorum for amendments is high, and the establishment of a management committee is discretionary. In terms of external control, there are also problems with the discipline of management companies, lack of the binding nature of the decisions of the collective building dispute resolution committee, reviews of local authorities as a mere formality, and the obligation to set aside reserves for long-term repairs. As a way to improve internal control, we proposed to mandate the establishment of rules and regulations, relax the quorum for voting, and force the establishment of a management committee. For external control, it was proposed to establish regulations for management companies, make the decisions of the collective building dispute settlement committee binding, strengthen the right of review, mandate the establishment of long-term repair reserves, and impose penalties. Finally,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among experts on collective buildings to assess the suitability of the proposed improvements. As a result, we identified the mandatory establishment of rules and the establishment of a candidate registration procedure as the top priority. As a residential officetel is essentially a type of condominium, residents of a residential officetel should be entitled to the same protections as residents of a condominium under the Constitution and laws. The Condominium Buildings Act and related policies should be improved to ensure that residents of residential officetels are also protected under the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ct. 오피스텔의 건축 규제가 완화됨에 따라 주거용 오피스텔의 보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주거용 오피스텔은 최근 5년간(2017∼2021) 전체 주거용 오피스텔의 약 40%가 보급되었다. 전국의 오피스텔은 2021년 6월까지 총 941,737호가 공급되었고 공급된 전체 오피스텔 중 주거용 오피스텔의 비율은 약 70%이다. 주거용 오피스텔의 공급 증가는 주거기능과 관련하여 도시관리상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오피스텔은 「건축법」상 업무시설로 분류된다. 이에 따라 주거용 오피스텔을 건축할 때에는 「건축법」상 일조권 확보를 포함한 최저주거기준이 적용되지 않고, 「주택법」상 주민공동시설을 설치할 의무가 없다. 또한 「집합건물법」의 적용을 받는바, 「공동주택관리법」에 비하여 그 내용이 부실하여 건물관리에도 문제가 발생한다. 위와 같은 문제는 상업지역 내에 주거용 오피스텔의 공급이 늘면서 도시 기반 공급시설의 왜곡이 발생하고 관련법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용 오피스텔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하여 「공동주택관리법」과 「집합건물법」을 비교하고, 관련 판례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집합건물법」의 문제점을 점유자의 권리 보호 미흡, 관리단집회 규정의 미비, 제도적 통제의 미비로 파악하였다. 현행 「집합건물법」은 소유권을 중심으로 규정되어 있어 집합건물의 관리와 관련한 사항에 관하여는 점유자의 권리 보호가 미흡한 실정이다. 건물 관리와 관련하여 점유자의 의결권은 보충적이며 관리규정 설정·변경·폐지 권한, 집회소집청구권, 결의취소의 소 당사자적격, 관리위원 피선거권이 인정되지 않는다. 이에 점유자의 관리에 관한 일련의 권리를 점유자의 권리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관리단의 대표인 관리인 선출을 비롯하여 중요 의사결정은 관리단집회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관리단집회는 관리단의 자치 운영을 위한 기본이자 매우 중요한 의사결정 시스템이다. 그런데 관리단집회 규정은 9개 조문에 불과하여 실제 집회를 개최할 때에 집회 규정의 해석이나, 규정이 없는 사항의 처리에 대하여 다툼이 끊이지 않는다. 관리단집회와 관련한 분쟁은 주로 집회소집통지(임기만료된 관리인의 지위, 소집동의자 명단 등), 관리단집회 절차(임시의장, 후보등록절차, 선거관리위원회), 위임장의 효력(사본, 사전 위임, 신분증 요구, 수임인 특정 등)에 집중하여 발생한다. 이에 관련 판례의 입장을 정리하고 집회소집통지 규정 정비, 임시의장 규정 정비, 필수적 후보등록절차, 선거관리위원회 구성 강제를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집합건물법」은 「공동주택관리법」에 비하여 행정의 개입이 적고 사적자치의 원리가 강하게 작용하여 대내외적인 통제가 미비한 실정이다. 현행 「집합건물법」은 규약 제정이 강제되지 않고 제·개정시 의결정족수가 높고, 관리위원회 설치가 임의적이어서 내부적 통제에 문제가 있다. 또한 위탁관리회사 규율, 집합건물분쟁조정위원회 결정의 구속력, 소관청의 형식적인 심사권, 장기수선충당금 적립 의무와 관련하여 외부적 통제에도 문제가 있다. 내부적 통제 문제에 대하여는 규약 제정 의무화 및 의결 정족수 완화, 관리위원회 설치 강제를 내부적 통제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외부적 통제 문제에 대하여는 관리회사 규정 신설, 집합건물분쟁조정위원회 결정의 구속력 부여, 형식적 심사권 강화 장기수선충당금 의무적립 및 과태료 부과를 외부적 통제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시한 개선방안에 대하여 집합건물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개선방안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규약제정 의무화 및 후보자등록절차 마련이 최우선적으로 요구되어야 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주거용 오피스텔은 그 실질이 공동주택의 일종이므로 주거용 오피스텔의 거주자는 헌법과 법률에 따라 공동주택 거주자에 준하여 보호를 받아야 한다. 이에 주거용 오피스텔의 거주자 역시 「공동주택관리법」에 준하여 보호받을 수 있도록 「집합건물법」 및 관련 정책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 도시철도 열차관제 스마트 시스템 적용에 대한 연구

        한재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rain traffic control(TTC) have two functions that always monitor the train operation and control the trains whenever are needed. Also, a TTC controls exceptional situations like incident or accident and emergency situations like fire or terror. The TTC task is implemented by a anlogo based operating pannel system and the direct monitoring based on experinece and knowledge of a controller. The TTC tasks have always a potential risk of human error. Therefore, this thesis has studied the application of smart systems in order to provide some useful information for train operation, passengers and emergency situation Whenever any exceptional situation is happened. This thesis has reviewed the application of intelligent camer, auto surveillance system, sensor network, and train communication system. The performance of these devices was discussed by exports who have worked long time in the TTC through questionaire method and higher efficiency rather than anlong system was evaulated. 도시철도의 열차관제는 본선 열차의 운행상태를 상시 모니터링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기능을 말한다. 또한 운행열차의 장애, 사고와 같은 이례상황과 화재, 테러와 같은 비상상황을 신속하게 통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관제업무는 아날로그 기반의 운행제어 시스템을 시각적 감시와 관제사에 역량에 의하여 본선 열차가 통제되고 있다. 따라서 부정확한 본선 열차 및 여객정보와 이례사항에서 정보의 근접 지연으로 인한 승객서비스 저하와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열차, 승객 등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위급 상황시 통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시스템의 적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관제기능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지능형카메라와 CCTV, 영상감지시스템, 센서네트워크, 전동차통신시스템의 적용을 검토하였다. 또한 열차 관제전문가의 설문을 기반으로 이러한 스마트 시스템의 필요성과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러한 스마트 기술의 적용은 도시철도의 운행 효율성의 제고는 물론 안전관리에 매우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 부분 개방 용기 내 가스 폭발 시 장애물 위치에 따른 화염전파거동 분석

        한재범 서울산업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장애물이 있는 용기 안 에서 가스가 폭발할 때 용기 내 장애물의 형태와 위치 변화에 따른 폭발 화염 전파 거동을 확률밀도함수 (PDFs)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위치 및 조건에 따라 비교 분석 및 정량화 하였다. 기존에 이용된 화염 거동 분석 방식은 대부분 상부 부분 개방 용기를 모델을 이용하여 장애물 위치 및 형태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고 폭발 챔버 내의 화염전파거동을 정성적으로 분석하였으나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한 정량적인 분석을 시행함으로서 얻은 결과는 가스 시설 등 가스 폭발의 위험이 있는 시설의 안전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되리라 기대한다. 실험에 사용된 모델의 크기는 가로 700 mm X 700 mm, 높이 1000 mm의 용기에 상부 전체 면적 대비 30 %인 700 mm X 210 mm 크기의 직사각형 상부 폭발 벤트를 설치하였으며 폭발 용기 내부에 설치하는 장애물의 종류는 삼각기둥, 사각기둥 및 원통형으로 하였고 장애물의 설치 위치는 폭발 모델의 점화원으로부터 상부로 200 mm, 500 mm, 800 mm 높이로 변화를 주어 설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폭발 순간의 장애물의 위치 및 형태에 따른 화염전파 거동을 기록하기 위하여 폭발 모델의 상부에 압력 센서를 부착하여 압력 변화를 측정 하였고 500 f/s의 고속 카메라를 이용하여 화염의 전파 형상을 촬영하였으며 촬영된 사진의 화염을 이미지화 후 화염 전면의 거동을 Fortran을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 후 확률밀도함수 (PDFs) 를 이용하여 분석 정량화 한 것이다. 폭발 화염 전파 속도 분석 결과 화염의 전파 속도는 장애물의 형태 및 점화원 으로부터 장애물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먼저 장애물의 형태에 따라 화염 전파 속도를 구분하면 삼각기둥형의 장애물이 폭발 화염의 장애물 이후의 화염 전파 속도가 가장 빠른 속도를 보여주었으며 이에 반하여 원통형의 장애물이 가장 느린 화염 전파 속도를 나타냈다. 장애물 설치 위치에 따른 전체적인 화염 전파 속도는 점화원에 가깝게 설치된 200 mm 위치에서 가장 빠르게 확산 전파 되었고 점화원에 가깝게 설치 될수록 화염 전파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적인 화염 전파 속도와는 달리 폭발 화염의 장애물 통과 순간 화염 가속화는 점화원으로부터 장애물의 위치가 멀리 설치되어 있을수록 급격하게 나타났다.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flame development by varying locations of multiple obstacles in a top-venting explosion chamber. The chamber dimension was 1000 mm in height with a 700 mm, 700 mm cross-section and a rectangular vent area of 700 mm 210 mm. Three different multiple obstacles with blockage ratio of 30 % were used by changing from 200 mm, 500 mm to 800 mm in heights within the chamber. Temporally resolved flame front images were recorded by a high speed camera (500 f/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opagating flame and the obstac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riangular bar caused the fastest flame developments at given times whereas the lowest was obtained with the cylindrical bar. It was also found that local flame displacement speeds of different obstacles were sensitive to the locations of obstacles. The local speed becomes larger in going from 200 mm, to 500 mm and to 800 mm in heights. The obstacles in height of 800 mm yielded the highest flame velocity whereas the lowest was in height of 200 mm.

      • 경찰관리자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경향 분석과 정책적 제언

        한재범 영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4년 한국에서는 임진왜란 당시 명량해전을 소재로 한 ‘명량’이라는 영화가 흥행을 하였다. 이를 계기로 12척의 배로 130척이 넘는 적군을 격파한 이순신 장군의 리더십이 다시 주목을 받았다. 반면 조직에서 관리자의 리더십 부족으로 구성원의 사기와 조직성과를 저하시킨 사례도 많다. 이와 같이 리더십은 조직의 성과를 극대화하기도 하고 이를 저하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많은 학자들은 조직 관리에 있어서 리더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하여 왔다. 리더십의 속성에 관한 접근방법(Attribute pattern approach), 행태에 대한 접근방법(Behavioral and style theories), 상황론적 접근방법(Situational and contingency theories), 통합적 접근방법(Integrated psychological theory) 등의 범주에서 연구되었다. 그리고 조직의 생산성이나 구성원의 다양한 리더십 유형에 대하여 논의되어 왔다. 이러한 조직 관리자의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공․사를 불문하고 꾸준히 연구되는 주제이다. 경찰분야에 있어서도 관리자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경찰 리더십의 유형에 관한 연구가 많고 경찰 리더십이 조직의 성과 또는 효과성, 조직문화 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시도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그동안 수행된 경찰 리더십에 관한 선행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경찰 조직 관리에 필요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범위, 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제2장에서는 경찰 리더십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였다. 셋째, 제3장에서는 경찰 리더십에 관한 주요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넷째, 제4장에서는 경찰 리더십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연구결과의 요약과 결론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측면에서의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첫째, 경찰조직에 차별화된 보다 발전적인 리더십 연구를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과 방법의 연구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이에 향후 연구의 방향으로 경찰 조직 내 존재하는 동태적 조직에 대한 연구, 사례 및 실험연구, 조직의 양적 효과성과의 영향관계, 이론적 모형의 보다 심층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경찰조직에 맞는 연구모형의 개발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연구기반의 확보를 제언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른 조직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논의 이외에도 경찰조직에 보다 차별화되고 창의적인 해석과 적용이 필요하다는 점과 경찰청 등 관련기관의 연구기반 확충에 대한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셋째, 전통적인 계서제적 조직 형태를 갖춘 경찰 조직이 처해 있는 대내외적 환경이 다원화되고 있으므로 권위적인 리더십을 최소화하고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변혁적 리더십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넷째, 위와 같은 경찰조직이 처한 유동적인 환경 하에서는 일률적인 리더십보다는 상황적합성을 제고하여 다양한 형태의 리더십이 적절히 활용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상황적합적이고 조직발전을 위한 리더십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으로서 다면적 환류, 네트워킹 훈련, 개인 지도, 현장훈련 등 다양한 프로그램의 도입 또는 확대를 논의하였다.

      •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학교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한재범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지 학교 마음챙김(school mindfulness)은 개방적 구조로서의 학교조직이 사회의 다양한 요구와 변화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관점을 갖기를 요구한다. 최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같이 고 부담 시험이 늘어나면서, 표면에 드러나는 성취율에만 몰두하여, 그 안에 존재하는 실패의 가능성이나 축적되어 가는 오류들을 간과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현재의 상황에 대해 무비판적·자동적·기계적 사고와 이를 바탕으로 한 행동은 결국 조직 차원의 실패로 귀결될 가능성이 크다. 마음챙김은 이러한 위험성을 타개할 종합적이고 반성적인 개념이다. 마음챙김 학교는 작은 실수나 실패에 집중하고, 단순화하려는 시도에 저항하며 실제 교수ㆍ학습 과정에 민감함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예상치 못한 사건이 발생했을 때, 빠른 회복력과 전문성에 근거한 의사결정을 하여 신속하게 제자리로 돌아온다. 즉, 학교 마음챙김은 현재의 빠르고 복잡한 외부환경에 기민하게 대처하고, 항상 깨어있는 조직으로 기능하는 학교 조직을 위한 종합적 개념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조직 몰입, 학교 마음챙김의 서로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은 구조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의 조직 몰입 및 학교 마음챙김에 기여하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했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교사의 조직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학교 마음챙김은 교사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학교 마음챙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학교 마음챙김이 매개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연구 변인들에 대한 경험적 조사ㆍ분석에 앞서 기존 연구에서 이들을 어떻게 규정하고 그 관계를 설정하였는지 살펴보고자 국내외 선행 문헌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조직 몰입의 긍정적 관계에서 학교 마음챙김의 과정적 역할을 가정하여 매개모형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공립 초등학교 16개 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 가운데 총 33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322명의 교사들이 본 조사에 응했으며, 이 중 주요 정보가 누락된 자료를 제외한 311명의 자료가 분석 대상이 되었다. 수합된 자료를 통해 상관관계 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문제에 대한 경험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교사의 조직 몰입과 긍정적 상관을 보인다. 구체적으로 조직몰입을 측정하는 정의적 몰입, 규범적 몰입, 근속적 몰입은 변혁적 리더십을 측정하는 인격존중, 솔선수범, 지적자극과 정적 상관을 나타낸다. 다만, 조직몰입의 관측변인 중 근속적 몰입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을 나타낸다. 둘째, 학교 마음챙김은 교사의 조직몰입과 긍정적 상관을 보인다. 즉, 마음챙김을 측정하는 교장의 마음챙김, 교사의 마음챙김은 조직 몰입의 관측변인들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낸다. 다만, 근속적 몰입과는 다소 낮은 상관을 나타낸다. 셋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학교 마음챙김과 긍정적 상관을 보인다.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의 관측변인들과 학교 마음챙김의 관측변인들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다. 다만, 교사의 학교마음챙김과 인격존중 간의 상관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 마음챙김은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조직몰입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구조모형의 경로계수를 통해 세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변혁적 리더십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교 마음챙김으로 나타났고, 학교 마음챙김은 조직몰입에 정적 경로를 나타냈다. 이는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학교 마음챙김을 거쳐 교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조직몰입의 긍정적 영향관계에서 학교 마음챙김이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 요인이라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단위학교에서 마음챙김의 요소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즉, 학교조직의 깨어있음의 정도를 의미하는 학교 마음챙김은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와 그에 따른 학교의 책무성 강조에 있어서 기존의 방식으로 사고하고, 무의식적으로 행동하는 데 대한 주의의 메시지로 보인다.

      • Solution Structures of Dipeptides : Comparison of Various MD Simulations with IR and VCD Spectroscopic Measurements

        한재범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15

        단백질의 이차 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진동 분광학적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예측하기 위해 분자 동역학 모의 실험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알라닌 다이펩타이드 계를 CHARMM을 이용하여 QM/MM, 일반 역장, 그리고 분극 가능한 역장 등을 사용한 분자 동역학 모의 실험으로 용액상에서의 구조를 예측하였고, 이론적 방법으로 구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과 진동 원편광 이색성 스펙트럼을 실험으로 측정한 스펙트럼들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분극 가능한 역장이 다이펩타이드의 구조 예측에는 유용하였으나, 이를 이용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이나 진동 원편광 이색성 스펙트럼의 재연에는 무리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중수와 알코올 용매들을 비롯한 양성자성 용매에서 아세틸프롤린의 구조를 AMBER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각 용매들에서의 수소 결합 분포를 조사하여 실험으로 측정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과 진동 원편광 이색성 스펙트럼을 비교한 결과, 용매의 수소 결합 망 형성 능력이나 용매의 극성 차이가 아세틸프롤린의 구조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수소 결합의 자리 특이성이 아세틸프롤린의 구조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가 된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