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경림 시 연구 :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한은경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 초록) 본고는 신경림의 시가 왜 민중시․ 농민시라 불릴 수 있는가를 작품 구조적 차원의 담론 양상을 통해 살피고자 하였다. 시의 담론적 해석은 시에 대한 1차원적 접근이 아닌, 다양한 접근을 유도하여 시에 대한 해석을 보다 확장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지닌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먼저, Ⅱ장에서는 채트만(Chatman)의 담론 전달 구조를 토대로 시의 화자와 청자의 양상에 따라 구분했다. 이는 야콥슨(Jakobson)이 지적한 언어적 의사전달의 요소에 따라 무엇이 강조되는 소통구조인가로 시를 분류하기 위함이었다. 이를 근거로 소통구조에 따른 그 시적 발화 양상의 차이를 살폈다. 그 결과 4가지의 소통구조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는 ‘문맥중심의 소통구조’의 객관적 현실 묘사, ‘화자중심 소통구조’의 암시적 정서 표출, ‘청자중심 소통구조’의 계몽적 발화, ‘접촉중심 소통구조’의 서간체적 고백이라는 발화 양상을 띠고 있었다. 이와 같은 분류의 시적 적용을 통해 신경림의 민중시는 ‘문맥중심의 소통구조’와 ‘화자중심의 소통구조’를 보이는 작품이 상당수임을 알 수 있었다. ‘문맥중심의 소통구조’를 보이는 경우, 민중 현실을 객관화하여 제시하는 양상으로 드러났으며, ‘화자중심의 소통구조’의 경우, 집단화자나 민중적 전형성을 지니는 객관화된 화자에 의한 민중공동체적 정서를 표출하는 시적 발화 양상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의 소통구조 분석을 근거로 Ⅲ장에서는 신경림의 민중시에 함의된 시의식을 고찰하기 위해 발화 주체의 지향성에 따라 의미구조를 분석하였다. 이는 화자, 청자, 화제지향의 세 가지로 구분 적용하였다. 화자지향의 의미구조는 내면의식을 표출하는 양상으로 시의식이 표출되고 있었다. 이는 존재론적 슬픔을 감상적으로 토로하는 유형과, 명상과 우의를 통한 자아 성찰적 태도의 시의식을 보이는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청자를 지향하는 의미구조는 민중의식을 표출하는 양상으로 시의식이 드러나 있었다. 이는 화자가 청자를 향해 역사적 민중의식을 촉구하는 유형과, 화자의 발화가 청자를 향해 현실적 민중의식의 고취하는 시의식을 지니는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마지막으로 화제를 지향하는 의미구조는 다른 의미구조에 비해 민중 현실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이 드러나 있었다. 먼저 현실을 서사적으로 재현하여, 그러한 현실에 대한 자조적인 비판이라는 시의식을 보이는 작품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판의식을 넘어 현실을 객관적으로 반영하여 보여주고, 그에 대한 민중의 자생적 극복의지라는 시의식을 보이는 작품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화제지향의 의미구조를 보이는 작품은 민중 현실을 잘 짜여진 담론 구조를 토대로 제시하여, 서사적 리얼리즘을 성취하고 있었다. 또한 화자의 정서를 직접 표출하지 않고 상황을 서술하여 제시함으로써, 독자 스스로가 민중의 현실을 공감하도록 유도하였다. 이를 통해 화제지향의 신경림의 민중시가, 보다 민중시로서의 본질에 접근했다 볼 수 있다. Ⅳ장에서는 앞서 살핀 담론 분석의 내용을 토대로 신경림 시의 담론 분석의 의의를 정리해 보았다. 이는 신경림의 시가 지니는 민중 담론으로서의 시성이 무엇인지를 살피고자 한 데서 비롯한 것이다. 그 결과 의미구조를 통해서 확인한 바와 같이, 신경림의 민중시는 민중 현실을 구체화하여 보여주는 서사적 담론 구조를 취하는 작품에서 민중시로서의 의미가 가장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민중의 현실을 철저히 인식하고 이를 객관화하고, 민중공동체적 정서를 지닌 객관화된 화자를 통해 서사적 구조 속에서도 서정성을 획득하고 있었다. 또한 그 시적 방법론에 있어서도 이러한 시의식의 연장으로, 민요적 율격과 무가 형식을 차용하여 민중시로서의 의미를 한 차원 강화하고 있었다. 즉 본고에서 확인한 1960~80년대의 신경림의 민중시는 담론 차원의 분석에 따른 시의식에서 뿐만 아니라, 그 표현방식까지도 철저히 민중을 전제한 것으로 드러났다.

      • 바르톡의 미크로코스모스를 활용한 효과적인 수업지도연구 :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구성주의적 수업설계

        한은경 충남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modern music by studying Bart?k and Mikrokosmos and to teach it to highschool students. For learn-centered teaching, constructivist instructional design which emerged as an alternative theory is used in the teaching plan. In addition, the composers of Mikrokosmos and the features of Bart?k are also presented, and the features are classified into two kinds ; 'Rhythm' such as bulgarian rhythm and ostinato rhythm, 'Melody' such as mode, pentatonic scale, whole- tone scale, and chromatic scale. The results of teaching by Mikrokosmos was as follows: First, it could be the opportunity for students to understand clearly the Bart?k-modern composer and learn modern music. Second, reinvented music passed down by the past was perceived through Bart?k's works using ancient mode. Third, as constructivist instructional design was used, the teacher could design learn-centered teaching and the students could cooperate with others and solve the problem by themselves. Finally, the Bart?k's composite method using that of minority races shows his aim to be globalized. I hope that music education has both Mikrokosmos and Bart?k's works become more known to students and they can understand and enjoy them in their future lives.

      • Franz Schubert의Mass in G Major(D.167)에 관한 연구

        한은경 수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history of Western Music has developed in close proximity to the history of church music. From the Classical Age through to the age of Romanticism. The mass has move beyond the realm of traditional workship service and began to composed exclusively for real performances. The composer, Franz Peter Schubert(1797 ~ 1828) dealt with in this study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omposers in the initial romantic music that followed the classical music, and established a resolute position of art songs, a new musical form in the 19th century, and is called as a pioneer of the romantic music since all of his works consist of beautiful melodies and deep lyricism. Moreover, he wrote many wonderful chores, and among the chorus for the ritual, there are six masses. Schubert composed an aggregate of six pieces of mass music during his life time. The first four were composed for performance in a small-church setting and the other two were designed in the hopes of being performed on a grander scale, that is, in large churche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Schubert's <Mass in G Major D.167> that is the second one of his masses, and before analyzing it,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study examined the origin and organization of the mass,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piece as analyzing the harmony in it. The mass is a memorial rite for the Christ's death and resurrection and is the most central act in the rite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the mass in music refers to the song used in the ritual of the mass. On account of the importance of the mass, the typical ritual music of the Catholic Church, it has been composed by the number of composers from the ancient Gregorian chant era to this present time. In addition, as the songs of all genres do, the mass, too, does differ in characteristics because it reflects the social background and current and composition techniques that each period ha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promoting our understanding of Schubert's musical range by examining his transformation of compositional techniques, the paticularities of his mass music and musical structure as well as his musical expression. The study thereby seeks to assist those who are planning to perform Schubert's chorus music by pointing to the correct techniques of performance.

      • Overcoming Multidrug Resistance by Co-Deliverying of Melittin and Doxorubicin Using Polymersomes

        한은경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Multidrug resistance (MDR) is one of the major barriers in chemotherapy. It is often related to the overexpression of efflux receptors such as P-glycoprotein (P-gp). Overexpressed efflux receptors inhibit chemotherapeutic efficacy by pumping out intracellularly delivered anticancer drugs. In P-gp-mediated MDR-related pathways, PI3K/Akt and NF-kB pathways are commonly activated signaling pathways, but these pathways are downregulated by melittin, a main component of bee venom. In this study, a polymersome based on a poly (lactic acid) (PLA)-hyaluronic acid (HA) (20k-10k) di-block copolymer and encapsulating melittin and doxorubicin was developed to overcome anticancer resistance and enhance chemotherapeutic efficacy. Through the simultaneous delivery of doxorubicin and melittin, PI3K/Akt and NF-κB pathways could be effectively inhibited, thereby downregulating P-gp and successfully enhancing chemotherapeutic efficacy. In conclusion, a polymersome carrying an anticancer drug and melittin could overcome MDR by regulating P-gp overexpression pathways.

      • 교훈시조 작품을 통한 인성교육 연구

        한은경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한강의 기적’이라고 불리는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경제 성장으로 얻게 된 물질의 풍요로움과 함께 많은 사회 문제들이 발생하게 되었고, 이 중 청소년의 비행 문제 또한 오늘날 중요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가정교육이나 사회교육과 더불어 학교교육을 통해 그 문제를 해결해 보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학교 교육에서 청소년의 비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방법이 있겠으나 그 가운데 인성교육이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그렇다면 인성교육이란 무엇인가? 인성의 개념에 대해 서양의 학자들은 행동 방식이나 인격 형성 과정으로 파악하는 경향이 강한데, 우리나라 교육학자들의 견해도 서양의 학자들의 견해와 별반 다르지 않다. 결국 인성이란 행동 방식이나 인격 형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본질적인 특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인성교육이란 학습자가 행동이나 인격이 건전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의 18종 『문학(상․하)』에 수록된 시조 작품 중 교훈성이 짙은 주세붕의 「오륜가」, 정철의 「훈민가」, 이황의 「도산십이곡」을 선정하여, 이를 활용한 인성교육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세 작품은 교훈시조라는 같은 범주에 들어있지만, 담고 있는 주제는 ‘인륜’, ‘사회윤리’, ‘자연 질서와 학문윤리’로 각각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세 작품의 주제는 서로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주세붕의 「오륜가」, 정철의 「훈민가」, 이황의 「도산십이곡」 순으로 점차 확장되어 유기체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세 작품을 단계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시조를 통한 인성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데 더욱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시조에는 간결한 형식 속에 깊은 가르침을 담고 있는 작품들이 많기 때문에 인성교육에 활용하기 적합하다. 따라서 시조작품을 통한 인성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고, 바람직한 공동체 의식을 갖추도록 하여 이것을 바탕으로 건전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수업이다. Our country has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which is called as 'the miracle of the Han River'. However, with the richness of materials, which has been caused by such economic growth, a number of social problems have occurred. Among such problems, the juvenile delinquency is regarded as one of the important social problems today.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think of the way to solve such problems through the school education together with the home education and the social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e juvenile delinquency of the problems in terms of the school education, multilateral methods can be suggested. Among such methods, the personality education takes an important position. Then, what is the personality education? The western scholars strongly tend to identify the concept of personality in terms of the behavioral pattern or the personality formation process. It seems that the pedagogists in Korea also tend to think of the concept in a similar way compared to the western counterparts. In the end, it can be said that the personality is a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a person shown in his or her behavioral pattern or personality formation process. Then, it can be said the personality education can be taught to make the learner have a sound behavior or personality. As a result, in this article, such works as [Oryunga] by Se-bung Ju, [Hunminga] by Cheol Jeong, and [Dosansibigok] by Hwang Lee, which tend to have meaningful lessons, have been selected from the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s listed in [Literature (Volume I & II)] which is subject to the 18th-class of the 7th curriculum. Through the utilization of such works, the personality education has been observed. Even if such works ar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he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s with lessons, they deal with different topics, including 'humanity', 'social ethics' and 'natural order and academic ethics'. However, such topics are not separated from one another. It can be said that the topics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one another through the expansion process from [Oryunga] by Se-bung Ju to [Huminga] by Cheol Jeong and [Dosansibigok] by Hwang Lee. As a result, studying such works by stages will increase the effect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the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s. Regarding the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s, there are many works which contain important lessons within a simple pattern. It is appropriate to utilize the poem for the personality education. As a result, through the works related to the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 the personality education will provide learners with opportunities for self-examination. Also, by providing a proper sense of community, it will be possible to foster a sound personality through the effective class.

      • 음악적 지각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은경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음악적 대상과 그것을 향수하는 청자(廳者)와의 관계 속에서 부각되는 미적 체험의 영역에 대하여 현상학의 방법을 통하여 접근하고자 한다. 현상학의 견지(見地)에서 다른 예술들과 구별되는 음악의 고유한 특성들을 도출해내고, 음악이 청자의 지각 체험에 의해 하나의 미적 대상으로 구성되는 과정 속에서 그 체험의 보편성을 발견하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에드문트 후설에 의해 정초된 현상학은 '의식의 지향성'을 통해 대상과 주관의 상호 불가분(不可分)함을 강조하며, 판단중지, 환원, 구성 등의 방법을 거쳐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의심할 수 없는 원본적인 체험의 영역을 재발견하였다. 따라서 음악적 지각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인 접근 방식에 의하여, 청자의 지각이 없이는 결코 미적으로 대상화될 수 없는 음악적 대상과 지각적 주체로서의 청자 사이의 관계 양상과, 그 속에서 시간의 예술인 음악이 청자에게 어떤 과정을 거쳐 체험될 수 있는지의 문제가 조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음악적 지각 체험의 특징과, 그것에 대한 분석과 기술(記述)을 위한 현상학적 방법들을 소개함으로써 음악이 청자의 의식에 나타나는 하나의 현상이라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음악은 지각을 통하여 원본적으로 청자에게 주어지며 지향적 대상으로서 청자의 의식 속에 나타난다. 이렇게 하여 음악적 대상과 청자 사이에 형성된 청각적-지각적 장은 청자 자신이 직면한 음악적 사건들의 배열 속에서 하나의 음악적 흐름을 파악하고 통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많은 음악의 국면들을 하나의 결합력 있는 전체로 구성하는 의식의 장소가 된다. 이러한 음악적 지각 체험은 능동성과 수동성의 중간층에 위치한 '수동적 종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음악은 그것이 물리적인 상태에서 결정되어 청자에게 단순히 수동적으로 주어지는 것도 아니고 또한 물리적 상태의 음향과는 전혀 상관없이 청자의 능동적 노력에 의해서 자의적으로 그 지각이 형성되는 것도 아니다. 수동적 종합은 인간의 지각 체험의 독자적이고도 창조적인 활동이며, 그것을 통하여 청자의 의식 안에 음악적 현상이 구축되고 음악에 대한 경험적 내용이 소유된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이상과 같이 현상으로서의 음악에 대한 지각 체험을 가능하게 하는데 토대가 되는 것이 바로 내적 시간의 의식임을, 주로 후설의 『내적 시간 의식의 현상학』을 근거로 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음악은 다른 예술들처럼 시각에 호소하지 않는다. 음악은 그 시작과 끝을 갖는 시간의 예술이며 지각의 대상으로서의 음악은 청자에게 시간 안에서 진행적으로 제시된다. 음악적 흐름 안에서의 '현재'는 청자의 직접 경험에서 주어지는 것으로서, 일정한 시간적 폭을 가진 것으로서 경험된다. 음악을 듣는다는 것은 곧 시간을 지각하는 것과 같게 되는 것이다. 바로 여기에서 음악의 시간성은 후설의 현상학적 시간론과 만나게 되며, 내적 시간 의식의 분석을 통하여 시간 안에서의 음악적 지각 체험에 대한 접근이 가능해진다. 현상학의 분석 대상이 되는 '시간'은 '의식의 흐름'으로서의 시간이다. 그 '의식의 흐름'은 과거지향과 근원적 인상과 미래지향을 근간으로 하여 시간을 구성하며, 시간의 흐름 속에 존재하는 시간적 대상에 대한 체험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의식의 흐름'의 이중적 지향성으로 인하여 우리는 유일한 하나의 의식의 흐름 속에서 음의 내재적, 시간적 통일성을 구성하고 이와 동시에 의식의 흐름 그 자체의 통일성을 구성한다. 과거지향과 근원적 인상, 미래지향을 포함하는 이러한 내적 시간 의식은 음악적 자기 동일성과 통일성을 구성하게 해주는 근원적 장소가 된다. 또한 시간 의식의 통일성, 그것의 지속성, 그 항구적인 구조는 '지금'을 둘러싸고 있는 과거지향과 미래지향적 지평을 생명으로 하며, 그러한 '지금'의 구조야말로 시간 의식의 역동성을 지지하는 근본적 토대가 된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음악적 지각 체험이 상호주관적 체험이고 타인들의 체험과 소통이 가능함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경험적 주체인 청자의 의식 속에서 내적 시간 의식을 통해 이루어진 음악에 대한 지각 체험은 개별적 자아로서의 주관적 체험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그것은 타자에로의 도달과 소통을 통하여 보다 높은 단계의 상호주관적 체험을 이룬다. 음악적 체험이 값진 이유는, 그것이 단순한 주체적 체험이 아니고 상호주관적 체험이기 때문이다. 음악은 상호주관성을 통해 우리로 하여금 나눔의 세계로 나오도록 하므로 음악을 듣는다는 것은 타자의 마음을 듣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음악에 대한 현상학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획득하고자 하는 것은, 그리고 그 연구의 의의를 두는 것은, 청자와 음악적 대상 사이에서, 음악적 대상을 하나의 미적 대상으로서 체험되도록 하는 시간적으로 연장된 작용의 구조와 그것에 대한 청자의 경험의 구조를 드러내는 것이라고 하겠다. This study intends to approach to the field of the aesthetic experience of music placed in the relation between a musical object and a listener who enjoys it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Its purpose is to bring out the distinctive properties of music from the viewpoint of phenomenology and to discover the universality of the musical 'experience in the process in which a musical object is constituted as an aesthetic object through a listener's perceptual experience of music. Phenomenology emphasizes the inseparability between an object and a subject through 'the intentionality of consciousness' and rediscovers the original field of experience undeniable and unsuspicious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such as epoch&, reduction, and constitution, etc.. 'Therefore by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a musical experience, the relational aspect between a listener as a subject of the perception and a musical object which cannot be objectified aesthetically without listener's perception will be illuminated. And the problem that how a music as a temporal art can be experienced by a listener will be as well. The contents of this thesis consist of three parts. In the first part, the insistence that music is a phenomenon which appears in the listener's consciousness is provided by introducing the properties of the musical perception and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to analyze and to describe it. Music is given to a listener and presented as an intentional object in a listener's consciousness by his perception. The auditory -perceptual field made between a musical object and a listener makes it possible for him to understand and to integrate a musical flow in the arrangement of musical events toward which he himself faces. And this field becomes the place of consciousness which constitutes many aspects of the music into a unified whole. The musical experience is done by 'passive synthesis' working in the middle ground of activity and passiveness. A music is not given to a listener just passively as a physical form and the perception of a music is not made through the active hearing by a listener's own will regardless of the tones' physical states. Passive synthesis is the man's unique and creative activity for the perceptual experience through which the musical phenomenon is established and the contents of the musical experience are owned in his consciousness. In the second part, it is presented that the base which enables a listener to experience of a music as a phenomenon is the 'inner time-consciousness ' on the ground of Edmund Husserl's On the Phenomenology of the Consciousness of Internal Time. Music does not resort to the sense of sight. It is the temporal art which has its start and its end and it is presented in time progressively to the listener. 'Now' in the musical flow is given directly from the listener's experience and is experienced as one to have some temporal lengths. So listening to music is perceiving time. Here, the temporality of music encounters the phenomenological temporalism of Husserl.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ner time-consciousness, the approach to the musical perception in time is possible. 'Time' that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aims at is 'time' as the 'flow of consciousness'. This 'flow of consciousness ' constitutes time on the basis of 'primal impression', 'retention' and 'protention', and makes it possible for the listener to experience the object in time. And by virtue of the 'double intentionality' of the flow of consciousness, the listener constitutes the immanent, temporal unity of the tones in only one flow of consciousness and at the same time he constitutes the unity of the flow of consciousness itself. This inner time-consciousness containing primal impression, retention and protention becomes the original place in which the identity and the unity of music is constituted. And the horizon of retention and protention surrounding 'now' is indispensable for the unity, the continuity and the permanent system of the time-consciousness. Such a system of 'now' is the very fundamental base to support the dynamics of time-consciousness. In the third part, it is explained that the musical perceptual experience is an intersubjective experience and can be communicated with others ' . The musical experience formed through the listener's inner time-consciousness is more than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the individual. It moves to the higher intersubjective experiences through the reach to and the communications with others. The reason why the musical experience is valuable is in its intersubjectivity. Music makes us to step into the world of sharing by its intersubjectivity, therefore listening to the music is no less than listening to others' mind. The significance of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usical experience is laid on the presentation for not only the system of the temporally extended operation which enables a musical object to be experienced as an aesthetic object but also that of the listener's experience.

      • 멀티미디어 동화듣기 활동이 창의성 및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한은경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멀티미디어 동화듣기 활동이 유아의 창으력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멀티미디어 동화듣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멀티미디어 동화듣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ㄺ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연구의 결과는 멀티미디어 동화듣기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표현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 성인여성에서 지방산섭취와 혈중지질, 혈장과 적혈구막 지방산조성 및 혈압과의 관계분석

        한은경 淑明女子大學校 1994 국내박사

        RANK : 247631

        식이 지방산은 그 종류에 따라 혈장지질과 고혈압에 달리 영향을 주므로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인자를 알기 위해서는 총지방 섭취량 뿐만 아니라 섭취한 지방산의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 56명을 대상으로 기록법과 24시간 회상법으로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토대로 지방산 섭취조사에 이용가능한 식이섭취빈도조사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식이섭취빈도조사지를 이용하여 봄, 가을에 걸쳐 여대생들의 지방산섭취상태를 파악하고 혈장지질, 혈장 및 적혈구지방산을 분석하여 계절에 따른 지방산섭취와 혈장지질 혈장 및 적혈구지방산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가을에 조사한 여대생 52명을 포함한 성인 여성 124명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른 지방산섭취, 혈장지질, 혈장 및 적혈구지방산에 차이와 이들 요인이 혈압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개발된 식이섭취 빈도조사지는 기록법과 회상법에 의해 조사된 결과와 비교해 볼 때 개인의 영양소섭취량 특히 포화지방산과 단일불포화지방산 및 EPA와 DHA의 섭취량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로 섭취한 지방산은 혈장 및 적혈구지방산에 반영되었으며 특히 n-3계 지방산이 반영되었다. 여대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영양소 섭취량은 계절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지방섭취량은 가을에 l일 37.6g으로 봄에 섭취한 40.42g보다 적었으며 섭취한 지방산의 에너지 구성비율도 봄에는 23.0%이었고 가을에는 21.27%로 봄보다 가을에 감소한 반면 탄수화물의 에너지 구성비율은 봄과 가을에 각각 62.4%. 65.0%으로 봄보다 가을에 증가하였다. EPA와 DHA의 섭취량은 봄에는 1일 0.28g을 섭취하였고 가을에는 1일 0.41g을 섭취하여 봄보다 가을에 증가한 반면 포화지방산의 에너지 구성비율은 봄보다 가을에 감소하였다. 혈장 및 적혈구지방산도 봄보다 가을에 EPA와 DHA비율은 증가되었으나 포화지방산과 단일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낮아져 지방산섭취와 같은 변화가 관찰되었다. 혈장 총 cholesterol는 봄에는 평균 168.4mg/dl이었고 가을에는 143.2mg/dl이었으며 LDL-C의 농도는 봄과 가을에 각각 102.74mg/dl과 63.9mg/dl으로 봄보다 가을에 감소하였다. 그러나 HLD-C는 봄과 가을에 각각 54.5mg/dl과 63.3mg/dl이었고 TG는 55.7mg/dl과 80.lmg/dl로 봄보다 가을에 증가되었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지방의 에너지 구성비율은 감소하여 55-65세 연령군은 16.0%를 차지하여 가장 낮았고 19-24세 연령군은 21.4%를 차지하여 가장 높았다(p<0.05). 반면 탄수화물의 섭취비율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다. 연령이 많을수록 포화지방산과 단일불포화지방산은 적게 섭취하였으며 특히 55-65세 연령군에서 섭취량이 다른 연령군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P<0.05). 또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P/S비율은 증가된 반면에, n-6/n-3비율은 19-24세 연령군이 10.94로 가장높았고 55-65세 연령군은 5.8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그러나 EPA와 DHA의 섭취량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며 1일 평균 0.4g정도를 섭취하였다. 혈압, BMI, 총 cholesterol, LDL-C 및 TG 연령이 많을수록 증가되었으며 BMI가 증가함에 따라 혈압, 총 cholesterol LDL-C 및 TG는 증가 되었으며 HDL-C는 감소되어 연령이 많고 비만할수록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이 높아짐을 알수 있었다. 연령과 BMI에 대하여 조정한 혈압을 사분위수로 나누었을때 수축기 혈압은 식이지방산의 섭취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이완기혈압은 포화지방산과 단일불포화지방산의 섭취량과 포화 지방산의 에너지 구성비율이 높을수록 높았다. 또한 수축기혈압이 증가됨에 따라 혈장내 arachidonic acid비율은 높았고 EPA비율은 낮았으며 이완기 혈압이 증가됨에 따라 역시 혈장내 arachidonic acid비율은 높았고 α-linolenic acid비율은 낮았다. 적혈구지방산과의 관계에서 수축기혈압이 가장 낮은 사분위수에 해당하는 군이 EPA비율이 높았으며 이완기 혈압이 낮을수록 α-linolenic acid비율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우리나라 성인 여성의 지방산섭취와 혈장 지질, 혈장 및 적혈구지방산은 계절별 차이가 뚜렷하여 계절에 따른 조사가 필요하다. 연령이 높고 비만할수록 혈장지질 및 혈압이 높았다. 이완기혈압은 포화지방산과 단일불포화지방산의 섭취와 관계가 있어 포화지방산과 단일불포화지방산의 섭취량이 많을수록 이완기혈압이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혈중지질 및 혈압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EPA와 DHA섭취량은 매우 저조한 편이므로 n-3계 지방산의 섭취를 증가시키고 포화지방산과 단일불포화지방산의 섭취는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fatty acid intakes, blood lipids, and blood pressure in adult Korean women. Semi -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uitable for estimation of habitual dietary fatty acid intakes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56 female college students by seven-day weighed food records and six 24hour recalls collected over one month period. The validity of the newly develop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as tested by comparing cholesterol and fatty acid intakes obtained from the dietary records and recall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sma and erythrocyte membran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useful for measuring individual nutrients intakes especially for saturated fatty acid, monounsaturated fatty acid, eicosapentaenoic acid(EPA) and docosahexaenoic acid(DHA). Dietary n-3 fatty acids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n-3 fatty acid in plasma and RBC. Seasonal variation of blood lipids and fatty acid intakes levels estimated by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ere anlyzed from repeated survey in 52 female college students. Dietary fat intakes and the percentage of total energy from fat were lower in fall than in spring (37.6g/d vs 4O.42g/d; 21.3% vs 23.0% respectively) however, the percentage of total energy from carbohydrate was higher in fall than in spring(65,O% vs 62.4%). Dietary intakes of EPA and DHA were higher in fall than in spring(O.41g/d vs O.28g/d) but the percentage of total energy from saturated fatty acid was lower in fall than in spring. Proportions of EP A and DHA in plasma and RBC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fall than in spring. The mean concentrations of plasma total cholesterol were 168mg/dl and 143.2mg/dl, those of LDL-C were 102.7mg/dl and 63.9mg/dl in spring and fall. HDL-C levels were 54.5mg/dl and 63.3mg/dl and triglyceride levels were 55.7mg/dl and 80.1mg/dl which were increased in fall compared with in spring. Comparison among women in different age groups were carried out in 124 adult women between the age of 19 and 65. Dietary intake of total fat and the percentage of total energy from fat decreased, but the percentage of total energy from carbohydrate increased with age(p<0.05). Dietary intakes of saturated fatty acid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 decreased with age(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etary intakes of EPA and DHA according to age. The ratio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aturated fatty acid increased, but the n-6/n-3 ratio decreased according to age. Blood pressure, plasma cholesterol, LDL-C and triglyceride levels showed a gradual increase with age(p<0.001). Body mass index(BMI)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lood pressure, plasma cholesterol, LDL-C and triglyceride levels(p<0.001). Whe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quartiles of age and BMI-adjusted systolic blood pressure, there were no difference in fatty acid intakes and percentage of total energy from fatty acid, but whe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quartiles of age and BMI-adjusted diastolic blood pressure, dietary saturated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 intakes and percentage of total energy from saturated fatty aci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est quartile of age and BMI-adjusted diastolic blood pressure compared with the lowest quartiles. According to this study, there was seasonal effect on fatty acid intakes, plasma lipids, plasma and RBC fatty acid composition. These finding indicate that seasonal variation must be considered in studies about fatty acid intakes, plasma lipids, plasma and RBC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 Mean dietary intakes of EPA and DHA were very low compared to the Japanese. Considering n-3 fatty acids effects on plasma lipids and blood pressure, it is recommended that Korean adult women must increase intakes of n-3 fatty acids and decrease intakes of saturated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