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 중 학교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연구

        한유정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동의 심리치료에 대한 예방 및 평가에 있어 학령기 아동이 하루 중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는 아동에게 심리치료와 더불어 평가 및 예방을 할 수 있는 가장 안전한 장소라고 볼 수 있다. 학교미술치료는 아동들의 건강한 심리적 발달과 사회성 향상을 위해 예방적인 차원으로 초등학교 안에서 제공되고 있다. 미술이라는 매체를 통해 학교 환경 안에서 아동이 가지고 있는 최대한의 가능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현재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아동들에게 심리적인 지지의 필요성에 따라 학교 체계 안에서 정규 수업시간을 마친 후 방과 후 프로그램의 형태로 미술치료가 실시되고 있으며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미술치료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은 초등학교 환경에서 미술치료가 안정적으로 자리 잡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초등학교라는 구조적 상황에서 미술치료사의 중요한 역할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미술치료사의 학교미술치료에 대한 체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 중 학교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들이 어떠한 체험을 하는지, 그 체험의 본질과 의미는 무엇인지를 이해하는데 두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미술치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학교미술치료가 아동들에게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며 미술치료사 또는 초등학교 내에서 아동들의 심리서비스에 도움을 주는 학교 관계자에게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제는“초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 중 학교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 중 학교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경험을 보다 본질적이고 깊이 있게 연구하기 위하여 그들이 현상을 어떻게 경험하고, 참여자들의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깊이 있게 연구하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론을 통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서 미술심리치료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한 뒤 7년 이내에 있는 미술치료사로, 초등학교 현장에서 10회기 이상의 경험이 있는 미술치료사 12명을 대상으로, 2016년 6월부터 10월까지 4개월간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자료 분석을 한 결과, 본질적 주제 11개와 하위주제 29개를 도출하였다. 초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 중 학교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연구에서 나타난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라는 공간이 어색하고 낯설게 다가옴>,<갑과 을처럼 느껴지는 초등학교와 나의 관계>,<생각했던 것 보다 열악하고 사랑받지 못하는 아동들을 보며 마음이 쓰임>,<아동들을 변화시키기에는 한정된 치료시간이 너무 짧아 아쉬움>,<초등학교라는 공간 안에서 다양한 아동들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됨>,<초등학교 관계자들의 관심과 협조로 회기 진행이 한결 편안해짐>, <말썽꾸러기인 아동들이 수용되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미술치료가 좋은 경험으로 다가가도록 애씀>,<조금씩 변화하는 아동들을 보며 기쁨을 느낌>,<초등학교라는 공간에서 어릴 적 내 모습을 발견하게 되면서 추억에 젖어 듦>,<초등학교 안에서 미술치료사의 역할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함>,<초등학교라는 울타리 안에서 미술치료사는 한 뼘씩 성장하는 모습을 발견함> 본질적 주제와 실존적 체험 탐구 및 글쓰기 등을 통해 초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 중 학교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의 본질과 의미에 관한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들은 학교 체계 안에서 미술치료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부족함을 느껴 때론 어려움을 느낀다. 둘째, 아동들에게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자세로 미술치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학교 환경 안에서 주어지는 미술치료사의 역할에 대해 고민하고 노력한다. 셋째, 미술치료사는 미술작업을 통해 소외되어온 아동들이 변하는 모습을 보며 미술치료의 장점과 미술작업이 갖는 힘을 인식하게 된다. 학교 안에서 아동들을 만나며 아동들의 학교생활을 보다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정서적 돌봄과 치료적 접근이 필요한 열악하고 소외된 아동이 많게 됨을 느끼게 되었다. 넷째, 학교 환경에서 미술치료를 진행하는 동안 미술치료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넓히기 위해 학교 관계자와 소통하는 법을 배우며 주어진 환경 안에서 미술치료사로서 한 단계 성장하였음을 경험한다. 초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 중 학교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경험에 통해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본 연구가 미술치료학에 기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치료 경험에 대하여 이해를 높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초등학교 내에 학교미술치료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가되면서 학교미술치료의 필요성에 대하여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초등학교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 환경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학교미술치료의 체험적 자료를 바탕으로 미술치료사들의 학교미술치료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 의사소통 관점에서의 실생활 문항 분석 : 2007개정 교육과정 수학Ⅰ교과서를 중심으로

        한유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NCTM (1989/1994) included 'Mathematics as Communication Means' to curriculum standards, an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of our country clarified emphases on communication in the goals of the mathematics subject. While mathematical communication that was one of the global trends of school's mathematical educations has been emphasized, researches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have been carried out variously, and research results showed a fact like education reflecting actuality and real-life questions gave assistance in making smooth communication. This study suggested an analytical framework in which real-life questions were analyzed from communication viewpoints, and intended to examine on which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appeared from real-life questions of mathematics Ⅰ textbooks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For doing so, the study set up research issues the same as follows. 1. This study proposes an analytical framework in which real-life questions are analyzed in communication perspectives. 2. The study looks into how real-life questions from the mathematics Ⅰ textbook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s displaying distributions to each type when analyzing it from communication perspectives. In order to solve research issues, this study made an analytical framework from communication perspectives along with mathematics educational experts first, and passed through revising and supplementing processes such as further adding explanations and example questions etc. so that each type's meaning could be clarified after collecting opinions of 5 incumbent mathematics teachers in high schools, and then completed the framework. The study classified types of the framework according to actuality degrees of questions, the presence of spontaneity that was solved by students themselves, and whether reflective thinking was induced or not. The analytical framework consisted of four items such as the incentive-inducing type, the expert-relying type, the evidence-presenting type, and the pseudo real problem type. The incentive-inducing type have levels of simple introductions because the students' knowledge do not reach to solving questions too much and thus could not be settled, so it focuses on inducing incentives with questions and explanations to the degree of 'maybe so' while reading them. In the expert-relying type, mathematics makes students feel useful in real life, but there are difficulties in solving the questions in person, and thus it belongs to real-life questions that needs teacher's helps or experts' formulas were suggested to the question itself. The evidence-presenting type can be solved by knowledge having been learnt by students and is composed of questions by which students are able to prove legitimacy on all explaining processes in person while experiencing mathematization processes in all solving steps of the questions. The pseudo real problem type has questions that are not likely to occur even though it is formally like real-life, mathematically refined explanations (very simplified situations for composing questions or doing easy calculations) regardless of real-life contexts, or deeper thinking processes and reflections do not occur exempting question explanations by simply borrowing real-life subject matters. In this way, this study analyzed 11 kind real-life questions of mathematics Ⅰ textbooks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hrough the analytical framework from completed communication perspectives.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two forms, and overall characteristics of real-life question distributions in each textbook were examined from communication perspectives first, and then real-life questions in each textbook were fragmented by spheres. In brief, research results were the same as the follow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extbooks, the pseudo real problem type was most in all eleven kind textbooks. Among eleven kind textbooks, textbooks displaying over 50% of pseudo real problem types were seven kinds. When comparing distributions of pseudo real problem type by units, it was displayed most from 'Matrix and Graph' of nine kind textbooks, and 'Sequence' of two kind textbooks. Among the four types from communication perspective frameworks, distributions of the evidence-presenting type in which communication chances were the most and thoughts could be done deeply appeared a little below 26% from all 11 kind textbooks. Only four kind textbooks showed distributions of approximately 4%, and 7 kind textbooks displayed a small amount that was not reached to 25%. Real-life subject matters or question types were not various in evidence-presenting types, and there were textbooks shown at expert-relying types and evidence-presenting types from questions of real-life subject matters too. As a result of analyzing by spheres, distributions of the pseudo real problem type came out high especially in the 'Matrix and Graph' sphere even if comparing with other spheres. A fact could be known that distributions of the four types from communication perspectives within the sequence and graph sphere were displayed similarly in 11 kind textbooks because graph shapes of being biased to pseudo real problem types from real-life questions could be confirmed and graph shapes of 11 kinds were displayed similarly. In the sphere of 'exponential function and logarithmic function', comparatively even distributions of the four types appeared from communication perspectives. Differently from other spheres, the forms were not biased to pseudo real problem type only. When comparing with other spheres on graphs, the shape differences seem to be large by textbooks. There were little expert-relying types in the 'Sequence' sphere overall, and was shown at the remaining incentive-inducing type, evidence-presenting type, and pseudo real problem type evenly, and also the distributions of the evidence-presenting type and the pseudo real problem type were high among the four types within sequence. The graph shapes by textbooks were alike generally. As 'the limit of sequence' had a small quantity in the textbook compared to other spheres, it was distributed less with 13.51% generally because the pseudo real problem type of the B textbook had the highest rate. Finally, the study makes the following proposals on forthcoming researches in addition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s this study analyzed the mathematics Ⅰtextbook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only, researches on future directions of our textbooks are necessary through analyzing other textbooks of a lot of countries or that of different grades. Also, it is required to hear opinions about analyzed results from teachers who are teaching now actually, and to research how real-life questions are being utilized in classes. The study suggested an analytical framework from communication perspectives and analyzed textbooks, and further problems and alternatives of real-life question distributions shown in textbook analyses are encouraged to be grouped afterwards. NCTM(1989/1994)에서는 ‘의사소통으로서의 수학’을 교육과정 규준에 포함시키고, 우리나라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수학과의 목표에서 의사소통에 대한 강조점을 명시하였다. 학교 수학교육의 세계적인 흐름 가운데 하나인 수학적 의사소통이 강조되면서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실을 반영한 교육, 그리고 실생활 문항은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데 도움이 된다고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관점에서 실생활 문항을 분석하는 분석틀을 제시하고 우리나라 2007개정 교육과정 수학Ⅰ교과서의 실생활 문항은 어떠한 분포와 특징을 보이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의사소통 관점에서 실생활 문항을 분석하는 분석틀을 제시한다. 2. 2007개정 교육과정 수학Ⅰ교과서의 실생활 문항은 의사소통 관점에서 분석하였을 때 각 유형에 대하여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지 알아본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수학교육 전문가와 함께 의사소통 관점의 분석틀을 만들었고 현직 고등학교 수학교사 5명의 의견을 모아 분석틀의 각 유형의 의미가 분명해지도록 설명과 문항예시를 더 추가하는 등 수정ㆍ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분석틀을 완성하였다. 문항의 현실성 정도와 학생 스스로 해결하는 자발성의 보장 여부 그리고 반성적 사고를 유발하는지에 따라 분석틀의 유형을 구분하였다. 분석틀은 동기유발유형, 전문가의존유형, 증거제시용유형, 의사실생활유형(pseudo real problem)의 네 가지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기유발유형은 학생의 지식이 그 문항의 해결에는 심히 미치지 못하여 해결할 수 없거나 단순히 소개 정도의 수준이기 때문에, 읽어보면서 ‘그렇다더라’ 하는 정도의 문항이나 설명으로 동기유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전문가의존유형은 수학이 실생활에 유용함을 느끼게 해주지만 그 문항을 학생 스스로 해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교사의 도움이 필요하거나 문항 자체에 전문가들이 제공하는 식이 제시되어 있는 실생활 문항이다. 증거제시용유형은 학생이 배운 지식만으로 해결 가능하고 문항의 해결 전 단계를 학생 스스로 수학화의 과정을 경험하면서 풀이 전 과정에 대한 정당성을 스스로 입증해 보일 수 있는 형태의 문항이다. 의사실생활유형은 형식적으로 실생활 상황 같지만 실제 발생될 것 같지 않은 문항이거나 실생활 문맥이더라도 수학적으로 정련된 설명(문제를 구성하기 위하여 또는 쉬운 계산을 위해 매우 단순화한 상황)또는 단순히 실생활 소재만 빌려와 문항 풀이 이외 더 깊은 사고 과정이나 반성이 일어나지 않는 문항이다. 이렇게 완성된 의사소통 관점에서의 분석틀을 통해 2007개정 교육과정 수학Ⅰ교과서 11종의 실생활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두 가지 형태로 하였는데 의사소통 관점에서 각 교과서의 실생활 문항 분포의 전반적인 특징을 먼저 알아본 후, 각 교과서의 실생활 문항을 영역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과서 분석한 결과 11종의 교과서 모두 의사실생활 유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1종의 교과서 중에서 의사실생활유형이 50%이상 나타나는 교과서는 7종이었다. 의사실생활유형 의 분포를 단원 별로 비교하였을 때 9종의 교과서는 ‘행렬과 그래프’ 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두 종만 ‘수열’ 단원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관점에서의 분석틀에서 4가지 유형 중 가장 의사소통의 기회가 많고 수학적으로 사고를 깊이 할 수 있는 유형인 증거제시용유형의 분포는 11종 모든 교과서에서 26%미만으로 적게 나타났다. 4종의 교과서만 25%대의 분포를 보이고 7종의 교과서에서는 25%도 안되는 적은 양의 분포를 보였다. 그리고 증거제시용유형 으로 제시된 문항에서도 실생활 소재나 문항 유형이 다양하지 않았고 같은 실생활 소재의 문항에서도 전문가의존 유형으로 나타낸 교과서와 증거제시용유형으로 나타낸 교과서가 있었다. 영역별로 분석해본 결과 ‘행렬과 그래프’ 영역에서는 다른 영역들과 비교해서도 특히 의사실생활유형의 분포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11종의 교과서에서 모두 실생활문항이 의사실생활유형으로 편중되어 있는 그래프 모양을 확인할 수 있고 대체로 11종 모두의 그래프 모양은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행렬과 그래프 영역 내에서 의사소통 관점에서의 4가지 유형의 분포 형태가 11종의 교과서에서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영역에서는 의사소통 관점에서의 4가지 유형의 분포에서 비교적 고르게 나타나고 있다. 다른 영역과는 달리 의사실생활유형에만 편중되어 있는 형태가 아니다. 그래프 상에서 다른 영역과 비교했을 때 교과서별로 모양의 차이가 큰 것으로 보인다. ’수열’ 영역은 전체적으로 전문가의존유형이 거의 없고 나머지 동기유발유형, 증거제시유형, 의사실생활유형에서 골고루 나타나며 수열 내에서 4가지 유형 중에서 증거제시용유형과 의사실생활유형의 분포가 높다. 교과서별 그래프의 모양이 전체적으로 유사하다. ‘수열의 극한’ 영역은 다른 영역과 비교해 교과서에서의 분량이 적기 때문에 최고 높은 비율이 B교과서의 의사실생활유형으로 13.51%로 다른 영역에 비해 전반적으로 적게 분포하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7개정 교육과정 수학Ⅰ교과서만 분석하였으므로 다른 학년의 교과서 또는 여러 나라의 다른 교과서의 분석을 통해서 우리나라 교과서가 나아갈 방향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분석 결과에 대해 실제로 수업하는 교사들의 의견을 알아볼 필요가 있으며 현직 교사들이 실제 수업에서 실생활 문항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관점의 분석틀을 제시하고 교과서를 분석 하였는데 교과서 분석에서 나타나는 실생활문항 분포의 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해 보길 제언한다.

      • 여대생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한유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여대생의 아동기 학대 경험에 따라 현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아동기의 학대 경험이 장기적인 영향으로서 성인기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계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동기 학대의 유형에 따라 또한 아동기 학대와 다른 가족 내 스트레스적 경험(부부폭력 목격, 부모의 음주문제, 거부적 양육태도)의 동반여부에 따라 성인기의 현재 스트레스 방식이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 한 3개의 대학교 여학생이었으며, 총 372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아동기 학대를 측정하기 위해서 신체학대는 장덕희(2001)가 수정?보완한 CTS와 CTS2의 신체적 폭력 문항을, 성학대는 권해수(2002)가 번역한 Early Sexual Experiences/abuse에서 성학대 피해수준 문항을 본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아동기 가족 내 스트레스적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서 부부폭력 목격은 신체학대와 같은 척도를 사용하였고, 부모의 알코올 문제는 손영균(1994)이 번안한 척도인 문제성음주자의 자녀변별검사 CAST를 사용하였다. 또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는 송지영(1992)이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PBI에서 돌봄 차원의 문항만을 이용하였다. 현재의 스트레스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선행연구(Harold 등 2004)를 바탕으로 스트레스 경험의 내용을 대인관계, 부정적인 사건, 외상적 사건, 기타의 영역으로 나누어 기술하게 하였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김정희 및 이장호(1987)가 수정?보완한 Folkman과 Lazarus(1985)의 The Ways of Coping Checklist를 활용하였으며 이는 적극적 대처인 문제집중적 대처, 사회적지지 추구와 소극적 대처인 정서완화적 대처, 소망적 사고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대경험에 따른 현재의 스트레스를 살펴보면 학대를 경험한 여대생과 그렇지 않은 여대생의 현재 스트레스 경험의 분포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둘째, 여대생의 아동기 학대경험에 따른 현재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를 살펴보면 학대를 경험한 여대생이 경험하지 않은 여대생 보다 현재의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방식에 있어서 소극적 대처인 정서완화적 대처와 소망적 사고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대 유형별로 살펴보면 아동기에 신체학대를 경험한 여대생이 그렇지 않은 여대생 보다 소극적 대처인 정서완화적 대처와 소망적 사고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학대를 경험한 여대생이 경험하지 않은 여대생 보다 현재의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방식에 있어서 소망적 사고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대생의 아동기 학대 경험에 따른 가족 내 스트레스적 경험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동기에 학대를 경험한 여대생이 그렇지 않은 여대생 보다 아동기에 부모의 부부폭력 목격, 부모의 알콜문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와 같은 가족 내 스트레스 경험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대생의 아동기 학대 경험과 가족 내 스트레스적 경험 동반에 따른 현재의 스트레스 경험은 위의 아동기 학대 경험에 따른 현재 스트레스 경험과 마찬가지로 두 집단간의 스트레스 경험의 분포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여대생의 아동기 학대 경험과 가족 내 스트레스적 경험 동반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를 보면 다음과 같다. 아동기에 학대를 경험하고 1개 이상의 가족 내 스트레스적 경험을 한 여대생이 학대를 경험하지 않은 여대생 보다 현재의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방식에 있어서 소극적 대처인 정서완화적 대처와 소망적 사고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아동기 학대 경험은 성인기의 적극적 대처와는 관계가 없지만 소극적 대처와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what differences the childhood abuse experienc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would make in their current stress coping styles and to see if there were any relationships between their childhood abuse experiences and their adulthood stress coping styles from the perspective of long-term impacts. For those purposes, it was examined how differently their current adulthood stress coping styles were affected by their childhood abuse patterns and other family stress experiences(witnessing domestic violence, alcoholic parents, and parental rejection), if any, accompanying the childhood abuse experiences. The subjects were drawn from three colleges located in Seoul or Gyeonggi Province. Total 37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inventories and checklists us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ir physical abuse during childhood was measured using the physical violence items of CTS and CTS2, which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y Jang Deok-hee(2001). For the measurement of their sexual abuse, those items concerning sexual abuse and damage were adopted from the Early Sexual Experiences/Abuse, which was translated by Kwon Hae-su(2002) and revised by the investigator. In measuring their experiences of family stress during childhood, the same inventory as the physical abuse was used for witnessing domestic violence. The alcoholic parents were investigated with the Children of Alcoholics Screening Test(CAST) translated by Son Yeong-gyun(1994). And for the parental rejection, those items in the care dimension were selected from the PBI that was standardized for Koreans by Song Ji-yeong(1992). Their current stress experiences were grouped into the interpersonal conflicts, negative life events, traumatic events, and other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Harold et al. 2004). Finally, their stress coping styles were measured using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developed by Folkman and Lazarus(1985)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Kim Jeong-hee and Lee Jang-ho(1987). The checklist consisted of positive coping, which included the problem-focused coping and social supported seeking, and negative coping, which included the emotional-alleviative coping and wishing thinking.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ose female college student that experienced childhood abuse and those who didnt were investigated for their current stress. As a result, their current stress experiences were in the similar distribution pattern. Second, it was examined if there were any relationships between their childhood abuse experiences and their current stress coping styles. Those who experienced abuse when they were younger turned out to do more emotion-alleviative coping and wishful thinking, which were negative coping styles, than those who didnt. The abuse types were included in the examination; those who had physical abuse during childhood showed more of the emotion-alleviative coping and wishful thinking, which were negative coping styles, than those who didnt. And those who had sexual abuse resorted to wishful thinking more in coping their stress than those who didnt. Third, the factor of family stress was also considered in understanding the female college students childhood abuse experiences. Those who experienced abuse during childhood tended to be more surrounded by family stress, which included witnessing domestic violence, alcoholic parents, and parental rejection, than those who didnt. Fourth, those who experienced childhood abuse accompanied by family stress were examined for their current stress experiences. Like the result of the current stress experiences according to childhood abuse, the similar distribution of stress experiences was found between those who had and those who didnt. Fifth, it was investigated how their stress coping styles would be influenced by their childhood abuse experiences accompanied by family stress experiences. Those who experienced one or more of family stress types in addition to childhood abuse used more of the emotion-alleviative coping and wishful thinking, which were negative coping styles, than those who didnt. In short, the female college students childhood abuse experiences were not related to their positive coping during adulthood and were related to their negative coping.

      • 공교육과 수학 학원 교육의 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서울 시내 초등학교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유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에 대한 불신감이 높아진 결과 오늘날의 사교육은 거대한 힘을 갖게 되었다. 특히 사교육을 하는 여러 과목 중 수학은 상급학교로 진학할 때 가장 큰 점수 차이를 보이고, 계열적인 특성으로 인해 기초가 튼튼하지 않으면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없는 과목이라는 인식으로 수학 교과의 사교육 비율은 매우 높다. 수학 교과의 사교육을 하는 형태는 주로 학원을 통해 이루어진다. 학원 교육은 차별화된 수준별 수업으로 학습 효과를 높이고, 교육의 변화에 발빠르게 대처한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학교 수업의 정상화를 해치고, 사교육비의 주범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사회의 지적을 받고 있다. 수학 교과의 사교육이 계속해서 늘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사교육이 왜 일어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고 본다. 따라서 사교육 중 수학 학원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공교육과 수학 학원 교육의 실태와 인식을 학생, 학부모로 나누어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교육과 관련된 여러 문헌들을 참고하여 수학 수업의 공교육과 수학 학원 교육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그 만족도와 수학 학원 교육의 이유와 기대 및 효과와 같은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 내용을 개발하여 서울시내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410명, 5, 6학년 학부모 410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학원 내의 교육은 개념 원리 이해보다는 문제풀이 위주로 교육이 이루어짐에 따라 학교 수업과는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게다가 학생들은 학교에서의 개념 원리를 이해하기도 전에 학원에서 선수학습을 하는 경우가 많아 문제가 되고 있다. 둘째, 학교에서는 한 명의 교사가 같은 시간에 40명의 다른 수준의 학생들을 교실 앞에서 설명을 하는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학원에서는 모르는 것을 개별적으로 설명해주거나, 소그룹으로 학습을 진행해 개별학습이 더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학원에서는 교육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를 잘 파악하고 있었다. 학생의 수준에 맞춰진 학습이나, 잦은 평가를 통한 학생들의 성적 향상 정도를 매번 체크할 수 있도록 하여 교육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를 충족시켜주고 있었다. 넷째, 학교 교육에 대한 학생보다도 학부모들의 낮은 만족도의 결과는 학부모들은 우리 나라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현실에 부정적인 인식을 설명해주고 있었다. 다섯째, 성적 향상과 스스로 공부하지 않을 것이라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현재 학원을 다니고 있다고 답해 우리 나라의 학업 성적에 대한 높은 교육열을 실감할 수 있었다. 특히 수학 학원 선택의 권유자가 학부모가 많다는 것은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여섯째, 수학 학원 교육의 이유는 학교 수업의 보충학습과 혼자서 공부하는 것이 어려워서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에서의 부모의 도움이 있는 경우에는 학원을 다니지 않고 있다고 나타나 가정에서의 부모의 지도가 사교육의 절감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곱째, 학생과 학부모 모두는 수학 학원 교육의 기대와 효과가 높다고 여기고 있어 이로 인해 앞으로도 학원 교육이 계속해서 성행할 것으로 짐작된다. 특히 학부모들의 기대 및 효과가 학생들보다도 더 높다는 것을 큰 문제로 지적할 수 있겠다. As school education is distrusted today, private education has come to gain great power. Among several subjects undertaken by private education, particularly mathematics is heavily dependent on private education because there is the biggest difference in entrance examination score between students and people think that solid foundation is important in studying mathematics because of its interrelation with other subjects. Private education of mathematics is mainly conducted at educational institutes. Although institute education is efficient for students' learning thanks to its individualized teaching by level and can respond promptly to the change of educational environment, it is criticized for hindering school education and incurring high private education expenses. As of now when mathematics is increasingly covered by private education, it is considered meaningful to examine why private education takes place. Thus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parents on these educations particularly focused on institute mathematics teaching in private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urveyed the current state of operation of public education and institute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several literatures related to private education,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410 fifth- and sixth-grade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410 parents who had fifth- or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ing a self-developed questionnaire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perception on the educations including satisfaction, reasons, expectations and effect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drew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institute mathematics education is different from school education in that it emphasizes problem solving rather than understanding concepts and principles. Problems happen because students often studies in advance at institutes before they learn concepts and principles at schools. Second, while a teacher at school gives the same lecture to all of 40 students who are different in level, an instructor at institute provides individualized teaching in a small group and gives personal explanation to each student for contents hard to understand. Third, institutes grasp well what students and parents, the consumers of education services, want and meet their demands by providing teaching customized to individual students' level and checking their improvement through frequent assessments. Fourth, par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education is even lower than students'. This shows parents' negative perception on the educational realities of this country. Fifth, respondents in the survey replied that they use institutes for the improvement of academic records and due to lack of confidence in studying alone. This shows people's heated passion for school records in Korea. In particular, it was pointed out as a problem that many of people who recommend mathematics teaching institutes are parents. Sixth, the most frequent reasons for institute mathematics education were supplementation for school classes and difficulties in studying alone. It was found that students helped by their parents do not go to institute. This shows the importance of parents' instruction in reducing private education. Seventh, both students and parents had a high expectation for the effect of institute mathematics education, so it is expected that institute education will continue to prosper in the future. A particularly big problem is that parents' expectation for the effect of institute education is stronger than students'.

      • B16F10 마우스 흑색종 세포에서 Tussilagone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한유정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ussilagone은 암에서의 항암, 항염증 등에 관해 밝혀져 있다. 하지만 피부 미백분야에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아 B16F10 마우스 흑색종 세포주를 사용하여 Tussilagone의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를 밝히기 위해 세포 생존율, 멜라닌 분비 및 함량분석, Tyrosinase 억제, Tyrosinase 활성, mRNA(messenger ribonucleic acid)발현,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였다. α-MSH 처리된 B16F10 세포에서Tussilagone은 멜라닌 분비와 멜라닌 생성 함량을 억제하였으며, 세포 외 Tyrosinse억제를 증가, 세포 내 Tyrosinase 활성을 감소시켜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MITF), Tyrosinase-related protein 1(TYRP1), Tyrosinase-related protein2(TYRP2), Tyrosinase(TYR)의 mRNA발현 수준에서 확인한 결과, Quantitative real-timePCR(q-PCR)에서 TRP1을 제외한MITF/TYRP2/TYR의 발현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mRNA수준에서 MITF를 Tussilagone최고 농도에서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여 멜라닌 합성 관련 단백질 수준에서 확인한 결과, Tussilagone의 높은 농도인 20, 25μM에서 p-CREB의 발현을 감소되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데이터들은 Tussilagone이 B16F10마우스 흑색종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여 미백 효과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나타냈다. 따라서 Tussilagone은 피부 미백에 효과적인 성분임을 나타내며, 기능성 물질을 개발하기 위한Tussilagone의 작용기전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inhibitory effect of Tussilagone on melanin synthesis. In order to elucidate the effects of Tussilagone on the B16F10 mouse melanoma cell line, cell viability, melanin production, Tyrosinase inhibition, Tyrosinase activity assay, and messenger ribonucleic acid (mRNA) expressions were measured. In α-MSH-treated B16F10 cells, Tussilagone suppressed melanin secretion and melanogenesis, increased extracellular Tyrosinase inhibition, and decreased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thereby reducing melanogenesis. In addition, determination of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Y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 2 (TYRP2), and Tyrosinase (TYR) by quantitative real-time PCR (q-PCR) revealed a decrease in the expression levels of MITF/TYRP2/TYR but not TRP1. It was confirmed that expression of MITF at the mRNA level was decreased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ussilagone. Proteins related to melanin production were quantified at the protein level, confirming that the expression of p-CREB was reduced at high concentrations of 20 and 25 μM of Tussilagone, thereby suppressing melanin production. These data indicate that Tussilagone increased the whitening effect by inhibiting melanin synthesis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s. Thus, Tussilagone appears to be an effective ingredient for skin whitening, and further research on the mechanism of action of Tussilagone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s should be investigated.

      • 전기 단층촬영법을 이용한 방광의 크기 추정 : 전류 주입패턴에 따른 복원 성능 비교분석

        한유정 제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Dysuria which causes discomfort in daily life, needs to be continuously monitored for current bladder condition in order to diagnose, treat, or nurse patients after surgery. However, current clinical methods for monitoring bladder conditions are expensive, have difficulty in performing continuous monitoring, or are likely to cause complications. EIT is an imaging modality that can monitor the internal state of the human body non-intrusively. In EIT, a small magnitude of electrical current is passed through the electrodes attached on the human body and measures the voltage between electrodes to visualize resistivitiy distribution inside the domain. EIT has many advantages compared to the other tomography techniques; It is not harmful to the human body. It has fast measurement speed so that temporal resolution is excellent and system design cost is low. Therefore, the current bladder condition can be monitored non-invasively and continuously using EIT system. The bladder is intertwined with the surrounding tissues, and is actually affected by the rectum, which is close to the bladd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the performance of image reconstruction according to EIT modeling in order to reconstruct the bladder by generating the surrounding tissue. In the EIT method, the electrode number, width, position, and arrangement of electrodes should be considered during modeling. Signal strength of the measured voltage data changes according to the injected current pattern through the electrodes, and affects image reconstruction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effect of current injection pattern and location of electrode array on reconstruction performance when EIT is applied to monitor three different sizes of bladder.

      • 포스트모더니즘과 베른하르트의 글쓰기 : 『옛 거장들 Alte Meister. Komodie』을 중심으로

        한유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자신을 "이야기 파괴자"라고 부르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작가 토마스 베른하르트(Thomas Bernhard, 1931~1989)의 소설『옛 거장들 Alte Meister. Komodie』에 나타난 베른하르트의 글쓰기와 포스트모더니즘 소설 미학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야기 파괴자"라는 말이 시사해주는 바와 같이 베른하르트는 이야기의 서술이나 전달보다는 언어 자체에 관심이 많은 작가였다. 이는 그의 독특한 문체적 특성에서 잘 드러난다. 베른하르트의 소설은 전통적인 소설의 구조를 거부하고 다양하고 독특한 구조를 만들어 낸다. 따라서 전통적인 소설 이론은 해체되고 열린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기존 작가들의 글쓰기 방식에 도전하는 베른하르트는 해체적 글쓰기를 시도한다. 베른하르트의 소설『옛 거장들』역시 동일한 문장을 계속해서 반복하는 등 이야기의 전달이 주가 되기보다는 다양한 서술 방식 자체가 전체를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베른하르트의 이러한 작품세계와 독특한 서술 방식들이 반복, 총체성의 해체, 다양성과 심미성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모더니즘 소설의 전략들을 어떻게 구사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본 논문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적 배경으로 삼고 있는 데리다의 해체이론은 서양철학의 형이상학적 전통에 대한 비판과 이성 비판이라는 사유를 담고 있다. 예를 들면 포스트모더니즘은 데리다의 해체이론으로부터 지배문화에 대한 하류문화의 인식과 인정을 이끌어낸다. 베른하르트의 작품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는 죽음과 질병, 광기와 고립이라는 주제는 하류문화를 대표한다고 볼 수 있다. 베른하르트는 허구적인 사실과 사실적인 허구 사이를 교묘하게 유희함으로써, 또는 의미상으로 전혀 다른 내용의 문장들을 끼어 들게 함으로써 균형 있는 구조와 잘 짜여진 인과관계를 중요시하는 전통적인 소설의 구조를 파괴한다. 포스트모더니즘 소설에서 '해체'는 의미의 해체뿐만 아니라 형식적인 면에서의 '텍스트의 해체'라는 글쓰기 방식 자체를 통하여 더욱 가시적으로 드러난다. 베른하르트의 해체적 글쓰기의 전략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는 것은 과장과 반복과 같은 인위적인 표현들이다. 베른하르트의 과장된 표현은 진지한 모든 것을 "희화 Karikatur"하는 부분에서 극대화되며, 반복은 의미나 내용을 강조하기보다는 반복에서 오는 언어의 리듬감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반복은 의미의 불확실성을 가져온다. 즉 포스트모더니즘 소설의 특징으로 강조되고 있는 의미와 무의미 사이의 모순성 혹은 양가성(Ambivalenz)은 베른하르트의 텍스트에서 해체적 서술 방식과 더불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베른하르트는 여러 가지 수사적 전략들을 사용하여 의도적으로 이야기를 파괴한다. 즉 베른하르트는 포스트모더니즘 소설의 특성을 다른 무엇보다 다양한 서술 방식을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베른하르트의 이러한 해체적 글쓰기는 언어회의와 이성비판으로 이어진다. 이와 같이 베른하르트는 전통적인 소설의 플롯과 구성원리를 거부하며 소설의 열린 구조를 지향하고 해체를 추구하는 포스트모더니즘 작가라고 볼 수 있다. 결국 포스트모던 소설은 완성된 소설의 의미를 중요시하지 않는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러한 해체적 성향은 새로운 글쓰기와 글읽기뿐만 아니라 예술가와 독자의 관계에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다. 따라서 베른하르트의 소설『옛 거장들』은 포스트모더니즘적인 베른하르트의 글쓰기의 특징이 가장 적절하게 표현되어 있는 대표적인 포스트모더니즘 소설로 볼 수 있다. Die vorliegende Arbeit untersucht das postmoderne Schreiben in Th. Bernhards Roman 『Alte Meister』. Seine Asthetik des postmodernen Schreibens hangt damit zusammmen, dass er sich den "Geschichtenzerstorer" nennt. Wie sich der Begriff "Geschichtenzerstorer" bereits andeutet, konzentriert sich Bernhards Schreiben weniger auf die Ubermittlung der episch-inhaltlichen Handlung als vielmehr auf die Sprache an sich. Dadurch zeigt sich der charakteristische Stil des Autors. In seinem Roman wird die traditionelle Romanstruktur abgelehnt, statt dessen wird eine vielschichtige spezielle Struktur aufgebaut. Entsprechend wird die traditionelle Struktur der Totalitat aufgelost und eine freie Struktur der Wiederholung angenommen. In der Tat besteht Bernhards Roman『Alte Meister』durchgangig aus sich wiederholenden gleichen Satzen. Somit steht nicht die Ubermittlung der epischen Handlung im Vordergrund, sondern die Entwicklung der Gesamtheit aus verschiedenen Erzahlweis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werden die charakteristische Darstellungsweise durch Wiederholungen, die Totalitat der Auflosung, die Vieldeutigkeit der Schreiben-Technik sorgfaltig analysiert. Die Arbeit geht von den theoretischen Hintergrunden der Postmoderne aus, insbesondere von J. Derridas "Dekonstruktion", dessen antimetaphysische Denkweise sowohl zur Zerstorung eines Zentrums als auch zur Anerkennung der Subkulturen fuhrt. Mit diesem philosophischen Gedanken hangt Bernhards literarisches Werk eng zusammen, in dem die Gesamtheit von Tod und Krankheit, Wahnsinn und Isolation von Subkulturen thematisch dargestellt ist. Das Spiel zwischen Realitat und Fiktion sowie die Verwendung der sinnfremden Satze zerstort die ausgeglichene und harmonische Struktur und die wichtige Bedeutung des Sinnzusammenhangs der traditionellen Romanstruktur. Nicht nur die Auflosung des geschlossenen Romans, sondern auch die Auflosung des linearen Textes wird deutlich sichtbar. Der Zweck des auflosenden Schreibstils ist durch Ubertreibungen und Wiederholungen einer gewissen Kunstlichkeit auszupragen. Die Technik der Ubertreibung dient der Karikatur ernster Sachverhalte, und die Technik der Wiederholung verstarkt den Sprachrhythmus. In dieser Art und Weise verwendet Bernhard verschiedene rhetorische Methoden, um den Sinn der Handlung zu zerstoren. Die Besonderheit der Postmoderne wie Widerspruch und Ambivalenz zwischen Sinn und Sinnlosigkeit spiegelt sich in seiner auflosenden Beschreibung wider. Auch durch die Anwendung verschiedener rhetorischer Methoden zerstort Bernhard die inhaltliche Handlung. Dieser auflosende Schreibstil Bernhards verbindet Sprachskepsis mit Rationalitatskritik. Somit verweigert Bernhard das Konstruktions-Prinzip und Aufbau des traditionellen Romans. In der Tat ist fur das postmoderne Schreiben die Sinn-Frage nicht von besonderer Bedeutung. Das postmoderne Schreiben Bernhards neigt mittels neuartigen Schreibstils und Lesestils zum Umkippen der Relation zwischen Kunstler und Leser. Als Resultat der Analyse stellt man fest, dass Bernhards Schreiben im Roman『Alter Meister』einem typischen postmodernen Roman entspric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