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터넷 중독 유발 요인별 영향력 분석 연구

        한옥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f internet addiction; more specifically, personal factors, familial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used two methodologi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parameters of internet addiction that are stated in existing literature,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experts and laymen. For the SEM approach, personal factors, familial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designated as the second order confirmatory factors, and the first order factors were decided based on the completed questionnaires. For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ersonal factors, familial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defin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observed variables were defined based on the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final questionnaires for this study were given to two different groups of people: adults and adolescents. The adult participants were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nationwide, while the adolescent participants were high school students from generalized high schools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in the Seoul and Kyunggi Area. Three hundred and ninety-five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the adult participants, and three hundred and ninety-six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the adolescent participants. For the SEM approach, the questionnaires from the adults were analyzed, and AMOS 20.0 was used for analysis. For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questionnaires from the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and SPSS 15.0 was used for the analysis. AMOS was used to process and analyze the collected data. Statistics analysis was processe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tatistics, the degree of each factors, and the state of internet addiction. The second 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proposed model analysis and model modification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internet addiction on personal factors, familial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SPSS was used to identify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internet addiction, and to identify the relative influence of factors in internet addiction. For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variable calculation, correlational relationship analysis were performed. This process verified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in internet addiction.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of internet addiction in SEM a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 factor and familial factor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internet addiction as the second order factors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05. Second, self efficacy and self control were the first order factors for the personal factor. Third, parental rearing attitudes, family function, and family support were the first order factors for the familial factor. Fourth, the support of friends,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one’s surroundings were the first order factors for the social environmental factor.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inducing internet addiction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questionnaires of all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personal factor, the social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familial factor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respectively. Second, when the questionnaires given to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the social environmental factor, the personal factor, and the familial factor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respectively. Third, when the questionnaires given to the generalized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the personal factor, the social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familial factor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respectively.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factors that lead to internet addict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age and one’s surroundings. This means that depending on each internet user’s situation, a different and specific solution is needed for internet addiction. As this research proves, diverse and comprehensive solutions for internet addiction must be devised to solve the problem of internet addiction. 본 논문은 인터넷 중독을 유발하는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의 영향력 분석을 통하여 인터넷 중독 유발 요인을 규명하였다. 인터넷 중독 유발 요인 영향력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가지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첫 번째 접근법은 구조 방정식을 사용하여 연구 모형을 통한 영향력 분석이며, 두 번째 접근법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요인 간 영향력 중요도 분석이다. 각 접근법에서 사용할 변수 항목 선정을 위하여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항목에 대하여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을 대상으로 검증 과정을 실시하였다. 구조 방정식 접근법에서는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을 2차 확인 요인으로 정의한 후 검증 결과를 반영하여 각각의 2차 확인 요인에 대한 1차 확인 요인을 선정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접근법에서는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을 독립변수로 정의한 후 검증 결과를 반영하여 각 독립변수의 관측변수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터넷 중독 유발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최종 설문지는 성인과 청소년으로 구분하여 작성하였다. 성인을 위한 자료 수집은 전국 단위의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총 395건을 분석에 사용하였고, 청소년을 위한 자료 수집은 수도권에 위치한 일반고등학교와 특성화고등학교 각 2개교씩 총 4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총 396건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성인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의 처리와 결과분석은 구조 방정식 접근법을 적용하였으며, AMOS 20.0을 이용하여 인터넷 중독을 유발하는 2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 접근법을 사용하였으며, SPSS를 이용하여 인터넷 중독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독립변수가 무엇인지와 다른 독립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를 파악하였다. 구조 방정식을 이용한 인터넷 중독 유발에 관여하는 요인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차 확인 요인에 해당하는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 중 개인적 요인과 가족적 요인이 인터넷 중독 유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요인의 1차 확인 요인으로는 자기 통제력과 자기 효능감 2개 항목만이 잠재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적 요인의 1차 확인 요인으로는 부모의 양육태도, 가족 기능과 가족 내 정서지지 3개 항목만이 잠재변수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 환경적 요인의 1차 확인 요인으로는 친구지지, 사회 지지와 소속 집단 적응력 3개 항목만이 잠재변수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한 인터넷 중독 유발에 관여하는 요인별 관여도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한 분석과 일반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분석에서는 개인적 요인이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그 다음 사회 환경적 요인, 가족적 요인의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다. 특성화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분석에서는 사회 환경적 요인이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그 다음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의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인터넷 중독을 유발하는 요인은 연령에 따라, 소속 집단의 구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것은 인터넷 중독에 대한 대응책이 인터넷 사용자의 환경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르게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다양하고 종합적인 인터넷 중독 예방책과 대응책의 제시가 인터넷 중독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