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 선어말어미 ‘-었-’ 교육을 위한 교재 내용 연구

        한성은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인문계열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Korean textbooks for effective education of the Korean pre-final ending ‘-었-’. Furthermore, it will explore the patterns of errors in the usage of ‘-었-’ made by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identify issues associated with their use of ‘-었-’. Examining how learners tend to use ‘-었-’ and the errors they make provides essential information for organizing educational cont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었-’ is primarily taught at the beginner level as the ending representing the past tense. However, despite being introduced at the elementary stage, errors and unnatural usage of ‘-었-’ persist among advanced learners. The reason Korean language learners consistently produce errors related to ‘-었-’ is because there are various uses of ‘-었-’ that are not simply seen as representing the past tense. ‘-었-’ performs a compound function involving not only the meaning function of tense but also the aspects of aspect and modality. However, learners tend to predominantly understand and use it within the category of tense, leading to difficulties in its usage. This suggests that many Korean language learners might not have been adequately provided with content related to the various functions of ‘-었-’ in the Korean textbooks commonly used by them. The analysis revealed several shortcomings in the content of the textbooks. Generally, Korean language textbooks provide explicit instruction on the function of ‘-었-’ only when introduced as an expression indicating the past tense during the early stages of learning. After this initial introduction, there is no further coverage of the topic. In other words, learners are required to self-learn the various functions of ‘-었-’ beyond its past tense meaning. Additionally, there is a lack of consistency in the description of the combination of connective endings and ‘-었-’ across different textbooks. In the case of adnominal endings, there was insufficient explanation regarding the distinctions among similar items such as ‘-(으)ㄴ, -던, -었던’. After the textbook analysis, various error sentences generated by learners were categorized by error type, exploring the patterns, causes, and suggested remedies for each type. Errors were primarily classified into ‘omission’, ‘addition’, ‘misformation’, and ‘substitution’. Specifically, omission errors were prevalent before the sentence-ending particles, omission and addition errors were common before connective endings, and substitution errors were frequent before sentence-final endings. The omission of ‘-었-’ before the sentence-ending particles appears to be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learners lacking tense morphemes, and the various semantic functions of ‘-었-’. Moreover, most omission/addition errors before the connective ending can be attributed to issues related to the connective ending combined with ‘-었-’. This is because interpreting tense in conjunction sentences requires considering not only the utterance itself but also its relationship with the subsequent clause, the temporality of the connective ending, and the constraints of the preceding ending. The errors that occurred before the transformative endings were mainly instances where similar items, ‘-(으)ㄴ, -던, -었던’ were interchangeably used. They are frequently replaced and used because of their many similarities. However, even when they are not interchangeable, learners may not be familiar with the differences in meaning between them, leading to errors in choosing an inconsistent expression. The discussions presented earlier have been summarized to propose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for the pre-final ending ‘-었-’. During the early stages of learning, emphasize the past tense usage of ‘-었-’. In the early stages of learning, teach vocabulary that can indicate temporal positions along with individual tense items. Continuously expose learners to examples in the textbook where state verbs are combined with ‘-었-’. After the beginner stage, explicitly address the meaning of 'perfective aspect' inherent in ‘-었-’. Present ‘-었-’ serving the modality function as vocabulary phrases and chunks. When teaching connective endings, explicitly present the constraints of pre-ending particles. The endings that result in different meanings due to the combination with ‘-었-’ are presented by comparing the meaning differences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었-’. Enable strategic use of time adverbs according to the learning stage.

      •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성은 평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실질적인 취업으로 연결되는 과정에서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취업성공요인을 분석해내기 위한 연구이다. 특히 이는 결혼이주여성 중에서도 한국에 거주한지 3년 이상이 되어 한국어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한국생황에 대한 초기 적응이 지나고, 사회참여에 관심을 갖게 된 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15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서울, 인천 등의 타 지역 결혼이주여성은 제외하였다. 경기도 결혼이주여성 리스트를 사용하여 단순무작위추출을 하였다. 그 외에 경기도 권에 있는 다문화가족센터 및 외국인근로자복지센터를 찾아, 개별면접조사를 하였고, 구조화된 설문지 150부를 배포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전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료처리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요인 특성별로 나타나는 취업집단과 미취업집단 간의 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카이제곱검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요인의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인 취업여부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먼저 투입된 독립변수들 간익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로지스틱 희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발견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취업자와 미취업자간의 차이비교를 위해 카이제곱검증을 한 결과 학력이 높을수록 취업비율이 높아진 것과, 연령이 낮을수록 취업비율이 높아지고, 총소득에서는 취업자와 미취업자 모두 151~200만원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취업자는 251~300만원이 많았으나 미취업자는 101~150만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는 2009~2010년 결혼한 응답자가 가장 적었으나 미취업자는 2000년 이전 결혼한 응답자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의 차이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을 실시한 결과, 한국어 실력에 따라 취업여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한 사람들은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모두 한국어 실력이 높은 사람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교육 및 훈련프로그램 참여시간, 컴퓨터 활용능역, 자조모임참여횟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음으로 결혼이주여성에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도니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1>의 검증에서 '결혼이주여성의 개인적요인(경험적요인, 인적자본적요인)은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을 분석하기 위하여 결혼이주여성의 특성을 취업교육프로그램 횟수 및 시간, 본국에서의 취업경험, 한국에서의 취업경험, 연령, 학력, 컴퓨터 활용능력, 한국어실력, 자격증소유개수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로 요인별 부분모형에서는 한국에서의 취업경험, 한국어실력, 연령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모든 독립변수를 포함하여 설정한 최종모형에서는 한국어실력, 한국에서의 취업경험, 그리고 자격증소유의 순으로, 이들이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반면에 <가설2> ,<가설3>의 가족적요인과 지역사회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교육 및 훈련의 전문성 및 효율성을 강화하여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취업지원서비스의 홍보강화 및 서비스전달체계의 효율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이들이 취업하기 위해 필요한 이력서 작성과 면접 방법 등에 대한 안내 및 교육, 취업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고용주와 이주여성간의 문제 등 세밀한 사후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지역곳곳에 소외되는 이주여성들 없이, 모두에게 서비스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도록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인턴쉽 및 취업경험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다. 각 기업마다 일정한 비율로 이주여성을 채용하는 기준을 두고, 이를 실천하는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이들이 다양한 글로벌 영역에 필요한 인적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인턴쉽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 사회적 상황 중심의 노래활동을 통한 자폐아동의 언어표현 증진에 관한 사례연구

        한성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폐아동들은 언어 및 의사소통에 결함을 공통적으로 보이는데 문장을 이해하는 수용언어 면에서보다 일반적 상황에 적절하게 표현해야 하는 언어적 표현을 구사하는 데에 더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용할 수 있는 언어의 능력은 있으나 적절하게 표현하는 언어능력의 부족으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대상자들을 중심으로 노래 활동을 통한 언어표현 능력의 향상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자는 중학생 자폐아동을 대상으로 일반학교 통합학급에 다니고 있는 아동들을 선정하였고, 선별 검사로 카프만 지능검사(K-ABC)와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CARS)를 이용하여 남자 세 명의 대상자를 선별하였다. 연구는 2단계로 나누어 이루어졌는데 첫 번째 단계는 1~12회기로, 사회적 상황을 이용한 노래활동을 배우는 기간으로 24곡의 곡을 가지고 활동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13~15회기로 1단계에서 배웠던 24곡을 복습하였다. 총 15회기로 구성된 연구는 일주일에 두 번 씩 30분간 이루어졌다. 회기를 진행하기 일주일 전 후에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검사도구(PRES)와 연구자가 개발한 표현언어 검사지를 사전ㆍ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언어표현 능력의 향상을 살펴보았고, 사후 검사 뒤 일주일 후에 표현언어 검사지릍 통해 유지검사를 실시해봄으로써 언어표현 능력의 향상이 유지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래를 사용한 음악치료 활동이 자폐아동의 요구하기, 사회적 관습 이용하기, 거절·거부하기, 정보 제공하기 기술을 중심으로 언어표현 발생률을 증가시킴으로 세 아동의 언어 향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노래 활동이 카프만 지능검사(K-ABC)에서 나타난 지능지수와,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와 표현언어(PRES)에서 나타난 언어 능력,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CARS)에서 나타난 자폐의 정도에 따라 대상자간 습득도에 많은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러나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 검사 도구를 이용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비교를 통하여 대상자들이 가지고 있었던 지능지수나 언어 능력, 자폐정도에 별 상관을 보이지 않았음을 볼 수 있었다. 세 명의 아동 중 대상자 1은 사전검사 시 나타난 지능능력과 언어발달 능력의 검사 결과, 그리고 가장 낮은 자폐수치의 결과로 인해 예후가 가장 좋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사후 검사 결과 대상자 1은 표현언어가 28개월에서 35개월로 7개월의 향상을 보인반면, 대상자 2는 26개월에서 34개월로 8개월의 향상을 보였고, 대상자 3은 표현언어가 24개월에서 33개월로 9개월의 향상을 보였다. 셋째,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 검사 도구를 이용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비교를 통하여 노래를 이용한 음악치료 활동은 세 아동의 언어표현 능력뿐만 아니라, 수용언어 능력도 향상시켰음을 볼 수 있다. 대상자 1은 48개월에서 52개월로 4개월의 발달을 보였고, 대상자 2는 38개월에서 42개월로 4개월의 발달을 보였고, 대상자 3은 34개월에서 39개월로 5개월의 발달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노래 활동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대상자들에게 언어표현능력 향상의 치료적 효과를 보여준 것으로 노래가 자폐아동들에게 언어표현능력의 향상을 위해 유용한 치료적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 활용한 음악적 자료들은 연구자가 아동들의 능력에 따라서, 자폐 아동들이 일상적으로 많이 노출되는 사회적 상황에 맞춰 작사·작곡한 것이 큰 효과를 보았다. 앞으로도 언어표현 능력의 향상을 위해 대상자의 기능과 능력에 적합한 많은 곡들이 개발되길 기대한다. Autistic children have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They tend to have more difficulties in general expression than in understanding sentences. This thesis tested the effect of music activities on children who have difficulties in language expression. As a research method, a group of autistic middle school students was selected who were attending normal schools. Three male students were selected for the test of K-ABC and CARS. Music treatments on the selected students were applied fifteen times, twice a week, for thirty minutes every time. The total treatment process could be divided into two stages. The stage one included the first twelve treatments and the stage two included following three treatments. In the stage one, the selected autistic students learned twenty four musics under real-world-like social circumstances. In the stage two, the students repeatedly learned the twenty four musics. A week before beginning the music treatment, the students were tested by PRES and a test developed by the author of this thesis. And a week after all treatments were completed, the students were tested again with the same test method to check if the students' expressive language ability got improv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music treatment helped improve the autistic student's ability of expressing themselves such as 'requesting', 'rejecting', 'applying social customs' and 'providing information'. Second, the author of this thesis first had a hypothesis that the tested students might show different levels of achievements according to their intellectual ability or expressive language ability in K-ABC test, PRES and CARS. But it was not true. The student's level of achievement by music activities was proved not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ir intellectual or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in the tests. The tested student 1 showed four month improvement(from 48month to 52month) in PRES, while student 2 and 3 showed 4 month(from 38 months to 42 months) and 5 month(from 34 months to 39 months) improvement respectively. Third, it was found that, through pre- and post-test of PRES, the music treatments could improve the receptive language ability as well as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y. It saw great effect that musical data that utilize in specially this research investigator according to children's ability, autistic children write lyrics setting in social circumstance that is revealed much routinely and composes. To front, expect that suitable a lot of musics are developed in function and ability of subject person for elevation of expressive language ability.

      •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성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남 소재 S초등학교 6학년 학생 중 Eyberg 아동행동검사를 통해 문제행동 심도점수가 127점, 문제행동 수가 11점 이상인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 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단계는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 단계로 설정하였고, 기초선 단계에서는 대상 학생별로 총 5회기, 중재는 총 12회기, 일반화 단계에서는 총 3회기, 유지단계에서는 일반화가 종료된 3주 후에 총 3회기씩 실험을 실시하여 대상 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을 각각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문제행동을 관찰하고 수업참여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 기간 등 전 실험회기에 걸쳐 수업시간 시작 후 10분까지 비디오로 녹화한 후 관찰시간을 15초 간격(10초 관찰 5초 기록)으로 나누어 기록하고, 이를 활용하여 학생행동관찰기록표작성을 통해 행동 발생 여부를 측정하였다. 기초선 단계에서는 수업시작 후 10분 동안 학생의 수업장면을 녹화한 후 관찰하여 하여 문제행동 및 수업참여행동을 측정하였다. 이 기간 동안 대상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이 안정세를 보일 때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는 수업시작 전 쉬는 시간과 점심시간에 2분 동안 자신이 성공적으로 발표하는 모습을 담은 비디오를 시청하게 지도하였다. 비디오 자기모델링 자료는 연구 대상 학생이 바람직한 자세로 수업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을 2분으로 편집하여 사용하였다. 일반화 단계에서는 중재가 종결된 후 대상학생이 중재를 통해 습득된 행동이 안정적으로 일반화 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기초선 단계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영어교실에서 연속 3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유지단계에서는 일반화가 종결되고 3주 후에 대상 학생이 중재를 통해 습득된 행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기초선 단계와 동일한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는 정서·행동장애위험학생의 문제행동을 감소시켰다. 둘째,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는 정서·행동장애위험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을 증가시켰다. 핵심어: 비디오 자기모델링,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 문제행동, 수업참여행동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deo self-modeling on the problem behavior and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of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Participants were three 6th graders from S elementary school in Seongnam city. They got a score of over 127 in the Eyberg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over 11 scores in problematic behaviors. As an experimental design, we used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consisted of 5 sessions of baseline, 12 sessions of intervention, 3 sessions of generalization, and 3 sessions of maintenance after completion of the intervention. We observed participants’ behaviors for 10 minutes at the beginning of the class and recorded the behaviors using 15 seconds time interval recording method(observation for 10 seconds observation and 5 seconds-recording). During the baseline, we recorded the lesson for 10 minutes after starting class and measured participants’ problematic behaviors and classroom participation behaviors without any intervention. When the data were stable,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During the intervention stage, participants watched video clips showing their successful performance with desirable attitude during break time and lunch time. The contents of video self-modeling were edited suitable to 2 minutes video play time. During the generalization stage, the same conditions as the baseline phrase were implemented for consecutive 3 sessions in the English classroom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acquired behavior through the intervention had generalized in other class or not. After 3 weeks of terminating the generalization phrase, the maintenance stage was implemented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 acquired behavior through the intervention were maintained or not. The results for this study presented that the video self-modeling invention decreased the problematic behaviors and increased th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of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Key words: video self-modeling,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problem behavior,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 Count Basie의 빅밴드 작품에 관한 분석연구 : 'One O'clock Jump', 'Shiny Stockings' 빅밴드 편곡을 분석으로

        한성은 경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스윙의 대부라 불리는 카운트 베이시의 악단의 혼 섹션에서 드러난 편곡에 관한 연구를 다루고 있다. 스윙 시대라 불렸던 1930년대에 큰 인기를 얻기 시작하여 빅밴드가 쇠퇴하던 1950년대에도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하면서 다른 작곡가들에게 지대한 영향력을 끼친 베이시 악단의 초기, 후기 대표곡인 ‘One O'clock Jump’와 ‘Shiny Stockings’를 분석 곡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베이시 악단의 빅밴드의 편곡으로 연구범위를 제한하여 구체적으로 빅밴드에서 드러난 편곡적인 특징을 살펴보았는데, 첫 번째로 다른 빅밴드 악단들과 차별되는 베이시 악단만의 고유적인 특징인 리프의 사용과, 간결하고 두터운 재즈 사운드가 특징인 베이시 악단의 빅밴드의 보이싱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스윙의 대부라는 칭송을 받은 베이시 악단만의 스윙감이 드러난 리듬의 사용방법과 마지막으로 멜로디 전개기법 분석을 통해 섹션별 유기적인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초기와 후기의 곡 분석을 통하여 베이시 악단이 고수해 온 리프의 고유적인 특징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초기에 나타난 복합리프는 인터락킹 구조로 폴리 리듬과 폴리 코드를 만들어내었고, 후기에 나타난 복합 리프는 메인 리프를 강조하고 보조하는 리프로 활용되면서 곡의 구성력을 강화시키는데 사용되었다. 빅밴드 보이싱의 어레인지 또한 초기에는 간결한 코드톤 중심의 보이싱에 어프로치 노트의 활용에 중점을 두어 재즈 사운드를 나타내었다면 후기에는 모든 파트에서 나타나면서 두터운 재즈 앙상블을 만들어내었다. 또한 베이시 악단의 특유의 스윙 리듬감은 초기 후기 모두에 당김음의 적절한 사용과 간결한 리듬사용을 통해 유지해 나갔음을 화인할 수 있었다. 특히 편곡자를 고용한 후기의 곡에는 솔로 연주의 비중이 줄어들면서 곡의 전체적인 구성력이 더 탄탄해졌고 앙상블의 사운드는 더 두터워졌으며 섹션간의 유기적인 연관성은 더 드러나면서 곡의 완성도가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카운트 베이시 악단의 곡에 나타난 빅밴드의 분석 연구를 통해 다양한 편곡적인 기법과 재즈 사운드를 나타내는 보이싱과 간결한 리듬 사용 등을 통해 많은 음악인들이 더 효과적인 편곡으로 재즈 음악을 발전시키길 희망해본다. This paper conducts research on the arrangement in Horn section of Count Basie's band, called godfather of swing. For analysis, thesis selects two songs called 'One O'clock Jump' and 'Shiny Stockings' which are masterpieces of Basie's band at early and late period. This band influenced huge on other composers when they have their second prime time in 1950s whereas other big-band fame, started from 1930s called generation of swing, declined. The scope of research is restricted to the arrangement in Horn section of Basie's band so that it can introduce the specific arranging feature shown in Horn section.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use of band's own riff and band's own voicing that has simple and thick Jazz sound. Second, it studies on how to use the rhythm that contains the band's own swing. Last, with the analysis of melody developmental techniques, it investigates the organic relations in each se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wo songs from early and late period, this paper explores the features of Basie band's own riff. The compound riff with interlocking structure at early period creates the poly rhythm and poly chord. The late period compound riff is used to emphasize and assist the main riff so that it strengthen the organization of the song. In voicing arrangement, band uses simple chord tone with approach note at early period, but at late period, they show tension in all part to create thick Jazz ensemble. Band also keeps their own swing rhythm at both period by using appropriate syncopation and simple rhythm. When they hired the arranger at late period, the songs strengthened in overall organization by lessening improvisation; the sound of ensemble thick more; the song became more perfect by showing organic relation among sections. Findings from this paper would be beneficial to many musicians to develop Jazz through more effective arrangement by various techniques, the use of voicing and simple rhythm.

      • 3레벨 NPC타입 태양광 PCS에서의 누설전류 저감기법

        한성은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Reduction method of leakage current in 3-level photovoltaic PCS(Power Conditioning System) is proposed and verified by simulation and experiment. Leakage current generation is analyzed through an equivalent model of the common mode voltage considering a significant parasitic capacitance existing between the photovoltaic array and ground, and combined two methods to reduce the leakage current, which are a new PWM method and leakage current bypass path with a damping network, are proposed. In the first, the leakage current is reduced significantly by a PWM method using two carriers with 180 degree- phase difference without losing the voltage utilization rate. In the second, the leakage current is further reduced by adding a bypass path from LCL filter to the mid-point of DC link with a damping network. The combined two methods is verified by simulations and experiments. The proposed method using the PWM method is verified to reduce the leakage current by 73%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VPWM, and the bypass circuit with the damping network further reduces the leakage current by 93 %, respectively.

      • 프로스포츠 구단의 IMC활동이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구단이미지와 관계의 질의 매개효과

        한성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구단의 IMC활동, 구단이미지, 관계의 질 및 관람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프로구단의 IMC활동이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구단이미지와 관계의 질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Kt wiz 홈구장인 수원 Kt wiz파크를 방문하여 비확률 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인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배포하였다. 총 272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자료에 대한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프로구단의 IMC활동은 구단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구단의 IMC활동은 관계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단이미지는 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계의 질은 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구단의 IMC활동이 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프로구단의 IMC활동이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구단이미지와 관계의 질이 부분적으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제7차 교육과정 초·중·고등학교 실과(기술·가정) 교과서의 소비자 교육 내용과 학교급별 연계성 분석

        한성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7차 교육과정 초·중·고등학교 실과(기술·가정) 교과서 내 소비자 교육 내용 및 학교급별 연계성을 분석하기 위해 초등학교 5·6학년 실과 각 1종, 중학교 2학년 기술·가정 10종, 고등학교 1학년 기술·가정 12종, 고등학교 가정과학 3종 교과서를 대상으로 ‘소비자 의식’, ‘금전 관리’, ‘구매’, ‘개인 및 공공 자원의 사용’, ‘소비자의 권리와 책임’의 5개 상위 영역 아래 20개 하위 영역(소비자 개념, 욕구와 희소성, 소비가치와 생활양식, 사회성원으로서의 소비의식, 화폐와 구매력, 소득의 소비, 저축과 신용, 구매의사 결정과정, 구매시 주의점, 경제 원리, 상품과 상점, 광고, 개인자원의 사용, 공공시설의 이용, 소비자 권리와 책임의 소개, 안전 관련 권리와 책임, 정보 및 선택 관련 권리와 책임, 환경 관련 권리와 책임, 소비자 보호법과 기구, 소비자 문제와 해결 과정)의 소비자 교육 요소를 준거로 소비자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초등학교 5·6학년 실과 각 1종 및 동일 저자가 포함된 중학교 2학년 기술·가정, 고등학교 1학년 기술·가정, 고등학교 가정과학 각 1종 교과서를 대상으로 소비자 교육 내용의 연계성을 ‘중복’, ‘격차’, ‘발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초·중·고등학교 실과(기술·가정) 교과의 소비자 교육 내용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5·6학년 실과 교과서에서는 욕구와 희소성, 소득의 소비, 개인 자원의 사용, 환경 관련 권리와 책임 등의 4개 하위 영역을, 중학교 2학년 기술·가정 교과서에서는 화폐와 구매력, 경제 원리 등을 제외한 18개 하위 영역을, 고등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서에서는 욕구와 희소성, 소비가치와 생활양식, 사회성원으로서의 소비의식, 소득의 소비, 저축과 신용, 상품과 상점, 광고, 환경 관련 권리와 책임, 소비자 문제와 해결 과정 등의 9개 하위 영역을,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과서에서는 구매의사 결정과정과 구매시 주의점, 안전 관련 권리와 책임, 정보 및 선택 관련 권리와 책임 등을 제외한 16개 하위 영역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교과서별로 상이한 분량과 내용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교육 내용의 학교급별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20개 하위 내용 영역 중 8개 영역이 한 학년에서만 다루어지고 있고, 2개 이상의 학년 또는 학교급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영역은 12개로 나타났다. 이 12개 영역 중 연계성을 분석할 수 있는 19개 경우를 상위 내용 영역별로 살펴보면‘소비자 의식’영역에서는 1회의 발전과 5회의 중복이, ‘금전 관리’영역에서는 3회의 격차가, ‘구매’영역에서는 중복과 격차가 각 1회 나타났으며, ‘개인 및 공공 자원의 사용’영역에서는 2회의 중복과 1회의 발전, ‘소비자의 권리와 책임’ 영역에서는 4회의 중복과 1회의 발전이 나타나, 중복 12회(63.2%), 격차 4회(21.1%), 발전 3회(15.8%)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는 학생들로 하여금 새로운 학습에 대해 흥미를 이끌어 내거나 학습 욕구를 불러일으키기 보다는 수업에 대해 지루함을 느끼게 하거나 시간 낭비로 여겨지게 할 수 있어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교육의 체계화를 위해 초·중·고등학교 실과(기술·가정) 교과의 소비자 교육 내용 요소를 망라하여 다루되 그림, 표, 그래프, 사진, 활동 과제 등 관련 자료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학년별·학교급별 연계성을 고려하여 발전의 형태를 보이도록 교과 내용을 구성하여야 하며, 초·중·고등학교 실과(기술·가정) 교과내의 소비자 교육 내용 분량을 늘리고 실질적인 내용으로 구성하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