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습식분쇄공정에 의한 초미세해조칼슘의 제조와 분말화에 관한 연구

        한민우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칼슘의 용해도와 흡수성을 높이기 위하여 초미세로 분쇄할 수 있는 습식분쇄기법의 최적조건을 확립하고, 제조된 액상의 초미세칼슘을 분말화함으로서 가공성이나 기타 식품원료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습식분쇄의 최적조건을 얻고자 부형제 사용의 유무와 종류, 농도, 습식분쇄시 rotor speed, bead size, feeding rate, 용매와의 혼합비, 분쇄회수를 달리하여 분쇄한 결과, 부형제로는 gum arabic을 사용하여 5%의 농도로 첨가할때 가장 좋은 분쇄효과를 나타내었다. Rotor speed는 4000 rpm에서 가장 좋은 효과를 보였고, 원료와 직접 부딪혀 분쇄를 하게 되는 bead는 0.4 mm의 크기를 사용하였을 때 가장 작은 사이즈로 분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쇄가 이루어지는 chamber내에 원료를 공급하는 비율에 따른 결과에서는 40 L/h의 속도로 공급했을 때 가장 작은 입도분포를 보였다. 원료와 용매의 혼합비에 따른 영향에서는 30%의 혼합비로 분쇄혼합액을 제조하여 분쇄하였을때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 분쇄회수에 따른 영향은 횟수에 따라서는 8회 이상으로 분쇄하였을때 0.6 ㎛ 이하의 입도분포가 90% 이상으로 나타나 10회를 분쇄하였을때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연속운전과 비연속운전의 비교에서는 연속운전이 더 효율적이었으며 부형제 종류에 따른 영향은 gum arabic을 첨가하여 분쇄하였을때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최적조건에서 해조칼슘을 습식분쇄한 초미세액상칼슘을 분말화하는 방법으로 분무건조하였다. 또한 부형제 종류에 따른 분말의 품질특성을 알아보고자 gum arabic, cyclodextrin, Na-caseinate를 첨가하여 습식분쇄한 초미세액상칼슘을 분무건조하여 비교하였다. 분무건조한 초미세분말칼슘의 특성으로 수분함량은 2%내외의 안정한 분말을 얻을 수 있었고, 색도는 원료인 해조칼슘보다 L값은 높았으며, b값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자크기는 당류의 부형제 첨가로 초미세 크기로 분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gum arabic을 첨가하여 제조한 초미세액상칼슘을 분무건조한 분말이 식초와 pH에 대한 용해도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칼슘함량은 해조칼슘분말이 28%의 칼슘함량을 나타내었고, 부형제를 달리하여 제조한 초미세액상칼슘을 분무건조한 분말은 27% 내외로 비슷한 칼슘함량을 나타내어, 습식분쇄나 분무건조 공정에서 칼슘의 손실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습에 대한 안정성 실험에서는 해조칼슘분말이 흡습에 안정하였으며, gum arabic을 첨가하여 분무건조한 분말이 흡습이 많이 발생하였다. 전자주사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습식분쇄로 입자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gum arabic을 사용하여 얻은 초미세칼슘분말이 단백질계나 사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더 균일한 입자분포를 보였다. 따라서 적절한 농도와 종류의 부형제 사용과 rotor speed, bead size, feeding rate, 용매와의 혼합비의 최적공정을 수립한 습식분쇄기술로 초미세액상칼슘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분무건조를 통한 분말화로 용해성이 개선되었으며 습식분쇄기술이나 분무건조법을 식품가공기술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보하였다. Calcium is an essential mineral in the body. It is necessary for allowing a bone mineral accretion adequate for skeletal growth and maturation. Ninety-nine percent of all the calcium in the body is found in the bones and teeth. The remaining 1% is in the blood. Calcium also plays important roles in nerve conduction, muscle contraction. Seaweed contains magnesium and calcium at a ratio of approximately 1:10 (magnesium:calcium) and little phosphorous. Differently from general calcium stocks including synthetic calcium carbonate, the seaweed calcium contains a variety of minerals which promote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calcium. Calcium salts can be supplied as tablets, as part of mineral and vitamin supplements or as an ingredient in food. The calcium provided in most dietary supplements is inorganic, and it goes through a process called mineral chelation that bonds it to an acid which allows the body to absorb a mineral form that it ordinarily would not absorb very well. But seaweed calcium is naturally occurring from select seaweeds and therefore it is in an easy to digest and easy to absorb, organic state. Applied to wet grinding technology, seaweed calcium could be microparticulated and the microparticulated calcium used to be manufacture dietary supplements and healthy foods ingredient with good dispersibility in foods, and the good solubility to better absorption by the body.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optimum condition of wet grind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nano-scaled microparticulate seaweed calcium. And spray drying adopted for preparation powdered calcium to improve solubility and processing property for application as food materials. The operational parameters of wet-grinding process were forming agent concentration, rotor speed, bead size, feeding rate, mixing ratio with solvent, grinding time and the effect of forming agent as additives. The particle size of the raw seaweed calcium was 10-20 ?m, but after grinding in most conditions, the calcium particles were reduced under 1 ?m as nano scale. Gum arabic was suitable forming agent and 5% concentration was most effective in grinding efficiency. And the 4000 rpm of rotor speed, bead size of 0.4 mm, feeding rate at 40 L/h and the 30% of mixing ratio had the smallest particle size under the 600 nm was distributed more than 90%, respectively. In batch systems, the after 8 cycles showed higher grinding efficiency, but 20 min of grinding time in continuous processing was more efficient than batch processing. Based on the result, the optimum of the wet grinding process established as operation time of 20 minutes, rotor speed of 4,000 rpm, bead size of 0.4 mm,?feeding rate of?40 mL/min and 30% mixing ration with water. In order to raise the production rate and produce smaller microparticulated calcium, gum arabic treatment produced microparticulated calcium size as 40-660 nm. The liquid microparticulated seaweed calcium was manufactured at the optimum condition of wet grinding process. And the liquid calcium was spray dri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powdered calcium added with different forming agents as cyclodextrin, gum arabic and Na-caseinate. The moisture contents were about 2%, it found that the kinds of forming agent did not concerned the spray drying efficiency. The solubility was the highest at pH 2 solution and the powdered calcium with gum arabic showed higher solubility at pH buffer solution and vinegar than the other treatment. The calcium content of all the powdered microparticulate seaweed calcium were about 28%, it was not affected with forming agents. It meaned that the calcium content was not changed during wet grinding process and spray drying. The spray dried calcium powder by wet grinded with gum arabic was the most easily water uptake, whereas the seaweed calcium was stabilized with water absorption. The result of SEM observation, the particle size of calcium was reduced by nano scaled with wet grinding. And spray dried calcium using wet grinding with saccharide forming agents showed uniform particle distribution. Therefore, these result showed that the wet grinding technology was useful means for preparation of nano scaled liquid calcium and spray drying was also effective technology for improvement the solubility in food industry.

      • 공예문화산업 클러스터 활성화 방안 연구 : 경기 도자 공예문화산업을 중심으로

        한민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우리나라의 공예문화산업은 역사적으로 지역 고유의 재료, 문화, 기술적 자산을 바탕으로 성장했다. 이것은 공예 산업체가 한곳에 모이는 집적화를 이끌었는데, 이는 현대의 산업 클러스터와 유사한 형태이다. 현대의 산업 클러스터란 핵심 산업체와 이와 관련된 하부산업체 및 지원기관 등이 한곳에 모여 있는 것으로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으며, 그 목적은 산업을 효율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공예의 미적 가치뿐 아니라 산업적 가치에 주목하며 다양한 정책을 시행했으며, 이는 공예산업발전의 자양분이 되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공예산업은 외생적 근대화와 급격한 산업화, 그리고 이로 인한 도시화 및 대량소비문화가 확산되는 등의 변화에 탄력적으로 적응하지 못하여, 산업체와 판매의 감소 그리고 원활하지 못한 인력 수급 등의 어려움에 처해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공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정부는 자생적 클러스터를 활성화시키는 한편, 정부주도형 클러스터를 설립했지만, 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약 30여 개나 되는 두 종류의 즉, 자생적 및 정부 주도형 공예문화산업 클러스터가 있지만, 대부분의 클러스터가 효율적으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공예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이러한 클러스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일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논문은 공예문화산업 클러스터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한국 클러스터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의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국내와 해외에서 선택한 세 개의 사례 –한국의 경기도자공예산업, 일본의 사가현 그리고 중국의 경덕진- 을 마이클 포터의 산업 클러스터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사가현과 경덕진 클러스터는 한국과 오랫동안 도자기술과 재료를 공유했으며, 발전과 쇠퇴 양상 역시 비슷했으나, 최근 우리와 달리 활기를 띠며 각각 일본과 중국의 공예문화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문제점과 이의 해결책을 바탕으로 클러스터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이것은 경기도자공예산업 클러스터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같은 문제를 안고 있는 공예문화산업 분야의 다른 클러스터에도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주제어 : 공예문화산업, 산업클러스터이론, 경기 도자공예, 사례연구, 도자 산업

      • 자기만족적 이성으로 기만된 신앙의 회복을 위하여 : 실존적 인간이해을 통해 '진보적' 신앙을 성찰하며

        한민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근대적 사고로 인해 자기모순적 신앙으로 이어지는 한국의 이른바 진보적 신앙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진보적 신앙의 기초가 되는 근대 인식론과 합리성을 임마누엘 칸트를 통해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문제의 대안으로 마르틴 하이데거의 현대적 인간물음과 종교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며, 이를 통해 한국의 대안적 신앙과 교회의 위기를 성찰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진보적’ 신앙의 토대가 되는 근대적 사고의 대표주자인 임마누엘 칸트을 통해, 획일성에 기초한 근대적 인식론을 분석하고, 이성의 한계 내에서 시도되는 도덕신학을 살펴본다. 도덕신학은 합리적 인간의 가능성에 기초한 신학이다. 도덕신학은 고중세의 형이상학적 신학의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합리적 인간을 기초로 최고선에 다다를 수 있는 이론적 토대이다. 그러나 이러한 도덕신학은 합리적인 인간에 대한 절대적인 가치와 그것에 대한 믿음을 필요로 하였기에 현대적 사고에서 볼 때 대상만 바뀌었을 뿐, 고․중세 신학의 문제들인 자기 투사와 자기 확신의 문제들을 그대로 답습하게 된다. Ⅲ장에서는 마르틴 하이데거의 현대적 사고에 기초한 실존적 인간물음을 중심으로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할 것이다. 현존재로서 인간은 자명한 것으로서 제시되지 않으며, 시간성과 공간성에 의해서 상호적으로 구성되는 존재이다. 세계 역시 인간과 상호공속적으로 존재하게 되며, 하나님 역시 이러한 공속적인 얽힘 속에서 함께 존재한다. 이전까지 기독교 신앙이 개념적으로만 받아드려졌다면, 현대적 사고 안에서의 기독교 신앙은 이러한 공속적인 관계에 기초되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진리 역시 이러한 관계 속에서 혼미 안에서 이해되는 진리로, 진리 강박증에서 벗어나게하는 자유로서 삶 안에서 열어 밝혀진다. Ⅳ장에서는 찾은 문제와 해답들을 통해 진보적 신앙들의 자리를 실존적으로 분석하고 성찰한다. 진보적 신앙들은 기존 교회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성과도 있었지만, 새로운 교회와 신앙 운동의 대부분의 결과는 허무로 이어졌다. 대안이라고는 불렸지만, 근대적 사고 안에서 다시 회귀 되었기에 종래의 신학과 교회가 행했던 자기만족적 신앙과 별 차이가 없었다. 근대적 획일성과 동일성에 기초한 기독교 신앙을 그저 허무로 이끌 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대의 자기만족적 사고를 벗어나 상호공속적인 현대적 사고로의 결단이 필요하다. 이는 전체를 통제하고자 싶은 동일성의 욕망에서 벗어나는 것이며, 통제할 수 없는 ‘삶’을 통해 인간과 신앙을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현재 한국기독교의 신앙적 사고를 지배하고 있는 근대성 안에서는 단지 우리의 욕망에 충실한 종교성에만 머물 뿐이다. 자기를 비울 수 있는 신앙은 현대적 사고로서의 전환에서만 그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신앙적 사유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종교적 인간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This research focus on to including critically on Korea's so-called progressive Christianity and faith, which leads to self-contradictory beliefs due to modernized human thought, and to seek solutions to solve the this kind of issues. In fact, the modern epistemology and rationality underlying Korea's progressive beliefs are critically analyzed through Immanuel Kant and followings ways. And as an alternative to the issue, Martin Heidegger's contemporary human questioning and religious characteristics are focused, reflecting on the alternative beliefs of Korea and the crisis of the church. Chapter II points out parochial epistemology and moral theology through Immanuel Kant, a representative of modernizing rational thoughts, the foundation of the "progressive" Christianity and faith. Moral theology is a theology based on rational human possibilities. Moral theology i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n which rational humans can reach the ‘the goodness’ in order to overcome the issues of metaphysical theology. However, this kind of the moral theology required absolute values of rational humans beings and belief even faith in them, so in modern perspective and thoughts only the object has changed, but it still follows the problems and side effect of self-projection and self-confidence, which are happens of medieval theology and followings perspectation. Chapter III effort to find alternatives ways focusing on Martin Heidegger's existential human questions. Dasein is a being mutually constructed by temporality and spatiality. It is not a self-evident existence. The world also co-exists with humans, and God also co-exists in this communal entanglement concepts. The Christian faith should be understood on the basis of this communal relationship in modern thoughts. In addition, the truth will be liberated from obsession with truth through obscurity, and this tendency will be revealed in human ‘life’ as free truth. Chapter IV examines the place of 'progressive' Christianity and faiths through the issues and answers found. The 'progressive' Christianity and faiths tried to deal with the issues of the ‘existing’ church. There have also been results. However, most of the results of the new concept of the church and religious movement led to nihility. The reason why is that it was carried out in modernized perspectation. Modernized thoughts is based on uniformity and identification, so it only leads to self-satisfaction. To deal with these issues, it is necessary to make a decision to move beyond modern rational thoughts and become a mutually publicized modern view points. This is a results from the human desire of sameness to control the whole, and means understanding human and Christian faiths through uncontrollable "life". In conclusion, within modernity, we still remain merely religious, faithful to our desires. An advance to a ‘self-empty’ Christianity and faith can make the foundation only for the transition of contemporary interrelationships and humans thoughts. therefore, I strongly suggest that this research of religious human beings based on philosophy of religion should be more active.

      • 한국 인디음악의 온라인홍보에 관한 연구

        한민우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국내의 인디뮤지션의 숫자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시대의 흐름에 따른 당연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홈 레코딩의 발전, 오디션 및 음악 TV 프로그램의 증가, 그리고 각종 음악 페스티벌의 발전 등 많은 이유가 있다. 그 중 가장 큰 이유는 스마트폰의 활성화라는 ‘모바일 시대’가 도래했다는 것이다. ‘모바일(Mobile)’은 사전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동이 가능한’을 뜻한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처럼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환경이다. 현 시대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은 더 이상 단순한 핸드폰이 아닌 휴대용 컴퓨터이다. 출·퇴근길의 버스나 지하철에는 대부분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보고 있다. 사람들은 스마트폰으로 각종 SNS, 오늘의 뉴스 등 현재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사건들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시대’의 도래로 인하여 인디뮤지션의 홍보마케팅은 이전보다 간편하고 쉬워졌다. 본인의 음악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세상에 알릴 수 있으며, 팬들과의 소통 또한 실시간으로 가능하기 때문이다. 지금의 인디 씬이 있기까지 수많은 선배 뮤지션들의 노력이 있었다. 그들은 본인의 음악을 만들고, 그 음악을 대중들에게 알리기 위해 이리저리 직접 발로 뛰어 다녔다. 그에 비하면 지금의 시대는 너무나도 간편하다. 그러한 이유로 현 시대의 많은 인디뮤지션들은 온라인상의 홍보 마케팅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인디뮤지션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기업에서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이 있다. 먼저 정부 차원에서는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지원해 주고 있다. 그리고 기업차원에서는 ‘CJ문화재단’과 ‘KT&G’ 등 많은 기업에서 프로그램을 제작, 지원해 주고 있다. 이 방법은 인디뮤지션들에게는 대중성 확보를 위한 가장 빠른 지름길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뮤지션 본인의 직접적인 간섭이 불가능하고, 만들어진 프로그램 안에서 기업과 정부의 법칙에 따라 움직여야 하며, 다른 인디뮤지션들과의 치열한 경쟁을 통해서 뽑혀야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아쉬운 점이 있다. 다음으로 뮤지션 본인이 직접 홍보를 하며 팬들과 소통할 수 있는 온라인상의 콘텐츠를 살펴보자. 대표적으로 각종 SNS 콘텐츠가 많이 활용된다. ‘SNS’는 ‘Social Network Service’의 약자로, 온라인상에서 친구들과의 인맥을 만들고, 그 인맥 관계를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서비스이다. ‘페이스북(Facebook)’, ‘인스타그램(Instagram)’, ‘유튜브(Youtube)’등 다양한 종류의 SNS가 있다. 10대부터 30대까지 젊은 층이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인디뮤지션은 온라인 홍보수단으로 SNS를 가장 많이 이용한다. 그 외에도 글로벌 모바일 앨범 플랫폼인 ‘바이닐(Bainil)’, ‘네이버 뮤지션 리그’, ‘네이버 온 스테이지’와 음악 MCN서비스를 앞세운 ‘큐오 뮤직(CUO Music)’등의 프로그램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온라인 발전 이전과 이후 홍보 마케팅의 변화를 알아보고, 온라인상에서의 각종 홍보 수단을 알아볼 것이다. 또한 대중성을 확보한 인디뮤지션들이 온라인상에서 어떠한 수단을 활용하여 대중성을 확보하였는지 알아볼 것이다. 인디뮤지션들의 대중성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은 이미 많이 존재한다. 이 연구의 목표이자 핵심적인 취지는 모바일 시대에 맞춘 온라인 홍보 마케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The number of independent musicians in Korea is increasing day by day. This is natural due to the change of the time.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e increasing: the development of home recording, the increase in audition and music TV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music festivals. Among them, the biggest reason is that the 'mobile age', which is the activation of smartphones, has arrived. 'Mobile' means 'capable of moving' in dictionary. It is a computer environment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that can be used when you are moving. The majority of the people have smartphones in these days, and smartphones are no longer just cell phones, but portable computers. A number of people are using their smartphones on buses and subways. People can check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real-time, such as SNS and today's news, by using the smartphone. After the "mobile age," promotional marketing of indie musicians has become simpler and easier. They can spread their music around the world in real tim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Besides, they can communicate with their fans in real time. There has been a lot of senior musician's efforts for the current indie scene. They made their music and ran around on their own two feet to spread their music. By comparison, it is so simple nowadays. Therefore, a lot of indie musicians are using PR marketing on online. There are some programs which are supported by government and corporations to promote indie musicians. First of all,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and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s created the programs which is supported by the Korean government. Secondly, many companies such as 'CJ Culture Foundation' and 'KT&G' are producing and supporting the programs. These are the fastest ways for indie musicians to get popularity. However, it is not possible for them to effect on it directly, because they are under the influence of the government or the corporation. Moreover, they have to compete fiercly with other indie musicians to get the chance. Let's take a look at online contents where the musicians themselves could promote and interact with their fans. They utilize various SNS contents. 'SNS' is an abbrevi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 It is a online service that is created to make a network of friends and strengthen the relationship. There are various kinds of SNS such as 'Facebook', 'Instagram', and 'Youtube'. Indie musicians use SNS most for their online promotion because young people from teenagers to 30s use SNS a lot. In addition, there are other programs such as 'Bainil' which is global mobile album platform, 'Naver Musician League', 'Naver On Stage', and 'CUO Music' which is music MCN services. In this paper, I would study about the change in PR marketing before and after online development from the 1990s to the 2000s, and various promotional methods online. Then, I would study about how famous indie musicians got their popularity by using online methods. There are already many programs for activating the popularity of indie musicians. The goal an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online PR marketing plan due to the mobile age.

      • Soft morphing textile actuators using shape memory effect

        한민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Soft morphing structures execute biologically inspired motions more effectively through flexible body mechanisms than conventional rigid-bodied structures. Their softness and compliance allow them to mimic muscle-like biological locomotion and possess many degrees of freedom, compared with rigid bodies. To demonstrate the morphing in various modes, including three-dimensional (3D) volumetric transformation, textile actuators are presented based on woven and knitted structures. First, a woven type smart soft composite (SSC) consisting of shape memory alloy (SMA) wires and a glass fiber-reinforced composite was introduced for generating a large deformation using the inherent properties of woven textiles. The embedded SMA wires were divided into independently controlled groups to create asymmetrical bending through unequal power input and/or current feed times. By controlling the power input, symmetric/asymmetric actuation modes were achiev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ven SSCs, different configurations of the composite were tested in terms of the diameters of the SMA wires, numbers of embedded SMA wires, and numbers of glass-fiber fabric lamina. The proposed woven type SSC was implemented as the trailing edge of a spoiler on a small (⅛)-scale car and as variable winglets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To confirm their aerodynamic performance, wind tunnel experiments were conducted under various wind speeds, angles of attack, and actuation modes of the soft morphing wings. Second, to demonstrate the morphing in various modes, including 3D volumetric transformation, a smart morphing knit was developed that was made from a thermally responsive fiber, allowing the creation of 3D morphologies with no auxiliary materials or an elastomeric matrix. A knitting method was us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mart textile structure, and four combinations of loop patterns (plan, garter, rib, and seed patterns) were used to explore a variety of morphing shapes. Open and closed geometries of 14 knitting structures were used to characterize their morphing behaviors. Using the knitting methods, morphing flowers (a lily-like, a daffodil-like, a gamopetalous, and a calla-like flower) were fabricated and their blooming motion was demonstrated by controlling the current to actuate the petals selectively.

      • 위르겐 몰트만과 슬라보예 지젝의 정치신학 비교연구

        한민우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몰트만과 지젝의 정치신학 비교연구를 통해 한국교회와 신학을 성찰 비판함으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려 한다. 몰트만의 ‘새로운 정치신학’은 기존의 신학이 지금의 질서를 합법화하려 했던 정치종교의 질서에서 벗어나, 십자가에 나타난 희망의 기준을 통해 신학과 정치 사이의 새로운 질서를 세우는 것이다. 몰트만은 미국의 정치적 메시아니즘을 그리스도교 종말론의 변절로 분석하고 이러한 변절의 해결책으로서 재그리스도화을 주장한다. 그리고 이제까지 행해진 동일성의 원리를 통한 타자의 인식과 친교의 방법을 비판하고 새로운 원리로서 상이성의 원리를 제시한다. 지젝의 정치신학은 그리스도교가 필연적으로 반이데올로기적 성격을 지녔다는 전제 안에서 출발한다. 지젝의 정치신학의 목표는 기존의 정치질서의 환상들을 가로지르고, 새로운 질서를 세우는 것이다. 지젝은 그리스도교의 이웃은 선별을 넘어서서 보편적인 제 3자를 통해 인식되어야 하며 또한 그리스도교는 하나님의 숨겨진 비밀이나 환상을 제거하고 나온 종교로서 반이데올로기적인 성격을 지니며, 이는 하나님을 믿는 신도들의 행동을 추동시킨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지젝은 그리스도교가 이전과 다른 종교이며 동시에 이전의 질서를 뛰어넘는 새로운 공동체라고 이야기한다. 몰트만과 지젝의 정치신학 비교에서는 몰트만과 지젝의 타자에 대한 접근 방법, 이데올로기 문제에 대한 접근 방법, 정치신학 이론에 대하여 비교한다. 몰트만과 지젝은 공통적인 의견으로 타자를 인식할 때 차이와 간격을 통해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이웃에 대한 관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또한 이데올로기 문제에 대한 접근 방법에서도 몰트만과 지젝은 다른 시차를 보인다. 몰트만은 그리스도교가 이데올로기화되어가고 있는 것과 그것을 해결하는 것에 대해 관심을 보이지만, 지젝은 그리스도교의 반(탈)이데올로기 성격에 주목하며 ‘이것을 어떻게 정치현실에 적용시킬 것인가?’에 대하여 관심을 보이고 있다. 몰트만의 정치신학은 비판적 정치신학으로 교회 내부적 비판을 통해 그것을 정치적 실존까지 확대시키는 것이지만 이에 반해 지젝의 정치신학은 행동의 정치신학으로, 그리스도교의 행동을 전제로 사회와 교회에 대한 비판을 이끌어 내기 때문이다. 결론에서는 몰트만과 지젝의 정치신학 비교 연구를 통해 우리에게 주는 한계와 의의에 대하여 서술한다. 몰트만은 미래를 통해 현실의 문제를 돌파하려 하였을 때 이러한 돌파지점에서 나타나는 고통의 문제에 대해서는 묵인했다는 점에서, 지젝은 그리스도교를 정치적 도구로만 집중했다는 것에서 한계점이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 주는 의의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그리스도교 타자론은 동일성의 원리를 포기하고, 차이와 간격을 통한 타자 인식론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그리스도교는 지배적 이데올로기로서의 작동을 거부한다는 것이다. 셋째 그리스도교는 기존 질서를 옹호하는 정치종교가 될 수 없으며, 정치종교화 된 교회는 더 이상 그리스도교라고 부를 수 없다는 것이다.

      • Fabrication of morphing structure using woven type smart soft composite

        한민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프트 모핑(soft morphing)은 주위의 환경 혹은 특정 기능에 맞추어 유연하게 모양을 변화시킬 수 있는 생물체의 행동 변화를 모방한 유연 구조체의 변형을 의미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복합 재료와 지능 재료(형상기억합금, 압전소자, 이온 폴리머 금속 복합체(IPMC) 등)를 활용하는 지능형 구동기에 대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구동기의 대부분은 복합재의 높은 강성으로 인한 작은 변위, 지지체(scaffold)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한 대면적 제작에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딱딱한 재료가 아닌 유연 물질을 기반으로 하며, 스스로 큰 변형(large deformation)을 일으킨 후, 원래의 상태로 복원(reversible)이 가능하고 대면적(large area)으로의 제작이 용이한 모핑 구동기(morphing actuator)를 제작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와 유리 섬유가 직조된 직조물을 유연한 성질의 폴리머인 Polydimethylsiloxane(PDMS)에 함침시켜 직조 형태의 지능형 연성 복합 구조물(Woven type Smart Soft Composite)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복합 구조물을 한 층씩 적층하여 최종 구동기가 완성이 되며 이러한 적층 기반 공정을 통해 제작 절차를 단순화 시키고자 하였다. 모핑 구동기의 구동 특성 파악을 위해 유리 섬유 직물이 적층된 레이어(layer)의 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두께를 바꾸어 가며 변형량과 구동힘을 측정하였다. 또한 개발된 모핑 구동기는 대면적으로의 제작 및 대변형이 용이한 쉘(shell) 형태로써 응용이 되었으며 변형 모드를 다양하게 만들기 위해 구조체 내에 삽입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전류 채널로 활용하여 비틀림과 굽힘 운동을 발생시켰다. 완성된 쉘 구동기를 응용하여 모형 자동차(1/8 scale)의 후방 스포일러(spoiler)를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스포일러의 성능 검증을 위한 풍동 실험(wind tunnel test)을 수행하였다. 풍동 실험은 스포일러 단일 모델과 모형 자동차에 장착된 스포일러, 각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각각에서 발생하는 다운 포스(down force) 및 항력(drag force)을 측정하여 차량으로 적용 시, 일어날 수 있는 힘의 변화에 대해서도 관찰 하였다. In the field of engineering, the word ‘soft morphing’ is used when referring to continuous shape change by mimicking the ability of natural organisms to adapt environments based on flexible materials. To realize the soft morphing, new kinds of actuator combining composites with smart materials such as Shape Memory Alloy (SMA), piezoelectric materials, Ionic Polymer Metal Composite (IPMC) have been developed. However, these actuators have several restrictions, e.g., the limited deformation, operational voltage and difficulties to fabricate in large scale caused by complicated scaffold structures. In this study, a morphing structure was fabricated using woven type Smart Soft Composite (SSC) which can recover its original shape after undergoing large deformation. The woven type SSC consists of a polydimethylsiloxane (PDMS) matrix and a woven structure combining SMA wires and glass fibers. The fabricated composite structure was layered on top of the other before finally getting the desired actuator in terms of stiffness, actuating motion and shap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s of the actuator, the deformation and actuating force were measured depending on certain fabrication parameters, such as the number of the lamina and diameter of SMA wires. To enhance the deformation capacity and manufacturability in large-area applications, the woven type SSC was made in the form of a shell. By controlling the actuation of the SMA wires which are embedded in the shell actuator, the actuator can generate a bend-twist deformation without requiring any additional parts. As an application of the shell actuator using woven type SSC, a morphing car-spoiler was developed. The performance of the spoiler by itself and mounted on a small-scale vehicle (1/8 scale) were tested through wind tunnel testing an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generated down force and drag force were observed.

      • 폴리트리아졸케톤 및 폴리트리아졸술폰계 강인화제의 에폭시 수지에 대한 적용성 연구

        한민우 경북대학교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in situ type polytriazoleketone (PTK) and polytria zolesulfone (PTS) toughening agents were applied to various epoxy resins, such as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DGEBA),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F (DGEBF) and triglycidyl p-aminophenol (TGAP) with 3,3’-diaminodiphenylsulfone as a curing agent. The fracture toughness, tensile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PTK or PTS toughened epoxy sample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hen PTK was added to DGEBF, its fracture toughness was improved by 27% and its tensile strength was improved by with 8.6%, compared to the untoughened DGEBF. When PTS was added to TGAP, its fracture toughness was improved by 51% without decreasing tensile properties, compared to the untoughened TGAP. However, in the rest of the cases the fracture toughness decreased or increased with decreasing tensile properties. This is attributed to the poor miscibility between the solid-state monomer of PTK(4,4’-bis(propynyloxy)benzophenone (PBP)) or PTS(4,4’-sulfonylbis(propynyloxy)benzene (SPB)) and the epoxy resin, resulting in the polymerization of low molecular weight PTK or PTS during epoxy resin curing process. Therefore, the toughening effect without decreasing tensile properties of PTK or PTS can obtained by the appropriate selection of epoxy resin based on the miscibility between PBP or SPB and the epoxy res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