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샘플링 기법과 전도거동이 면진 원전 구조물의 정지거리에 미치는 영향

        한민수 국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SCE 4 requires that a hard stop be built around the seismic isolation system in nuclear power plants. In order to maintain the function of the isolation system, this hard stop is required to have clearance-to-stop, which should be no less than the 90th-percentile displacements for 150% Design Basis Earthquake (DBE) shaking. Huang et al. calculated clearance-to-stop by using a Latin Hypercube Sampling technique, without considering the rocking behavior of the isolated structu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n estimation of clearance-to-stop due to 1) rocking behavior of the isolated structure and 2) sampling technique for considering the uncertainties of isolation system and input ground motions. This paper explains the simplified analysis model to consider the rocking behavior of the isolated structure, and the input earthquakes recorded at Diablo Canyon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In order to more accurately approximate the distribution tail of the horizontal displacement in the isolated structure, a weighted Latin Hypercube Sampling technique is proposed, and then this technique was applied to consider the uncertainty of the isolation system and input ground motions. Through the use of this technique, it was found that rocking behavior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us clearance-to-stop) of the isolated structure, and the weighted Latin Hypercube Sampling technique more accurately approximates the distribution tail of the horizontal displacement than the existing Latin Hypercube Sampling technique.

      • 장애인아이스하키 활성화방안 연구

        한민수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델파이(Delphi)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국내 장애인아이스하키 종목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관련 분야별 관계자들의 견해를 균형 있게 확인하고 다양한 대안을 탐색하여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장애인아이스하키 종목과 관련된 협회 관계자, 장애인체육 관련 기관 전문가, 10년 이상의 선수 경력 및 지도 경력이 있는 15명의 전문가를 모집단으로 구성하여 각 단계별 설문을 실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는 개방형 설문을 통해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으며, 설문에 대한 응답은 내용분석을 통해 반복되는 단어와 주제를 분류하고 범주화하였으며, 2차 델파이조사에서는 응답한 내용을 토대로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5개의 영역별로 중요요인을 다시 검증하였다. 3차 델파이조사에서는 리커트(likert)식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SPSS 22.0 프로그램과 Microsoft Excel을 사용하여 요인별 평균, 표준편차, Cronbach’s α를 구하고 내용타당도지수, 합의도를 산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의 파라아이스하키 종목 활성화에 대한 제약요인은 실업팀 부족, 생활체육저변 부족, 선수층의 고연령 및 세대교체 미흡, 선수육성체계 및 선수자원 부족, 전문인력 인프라 부족, 부족한 시설 인프라, 행‧재정지원 부족, 홍보 부족, 종목별 중장기 계획 부족, 종목 및 시설 접근성 부족, 지도자 및 전문인력 고용 불안정 등 총 11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국내의 파라아이스하키 종목 활성화를 위한 기회요인으로는 동계패럴림픽 메달 획득, 파라아이스하키 아카데미 운영, 대학 동호인 및 일반 동호인팀 창단, 평창동계패럴림픽 레거시, 전문실업팀, 국제대회 개최 등 총 8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국내의 파라아이스하키 종목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전용훈련시설 구축 및 확대와 기존 시설 접근성 확보, 파라아이스하키 생활체육 활성화 예산 확대, 은퇴선수 지원, 후원사 유치, 레거시 활용, 장애인식 개선 사업 증가 등 총 18개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국내의 파라아이스하키 종목 활성화를 위한 세부 방안 중 우선순위는 제약요인, 기회요인 그리고 활성화 방안의 정책적 요인에서 적합성 검증 상위 5개를 선정하였다. 먼저, 제약요인으로는 생활체육 저변부족, 선수육성체계 및 선수자원 부족, 홍보부족, 실업팀 부족, 지도자 및 전문인력 고용불안정으로 나타났다. 기회요인으로는 동계패럴림픽 메달획득, 파라아이스하키 아카데미 운영, 대학동호인 및 일반 동호인팀 창단, 클럽팀 활성화, 장애인전용 체육시설 확충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정책적 요인으로는 시‧도 파라아이스하키 클럽팀 창단 확대 및 지자체 지원체계 구축, 선수발굴 프로그램 확대, 파라아이스하키 종목 강습회 및 체험 확대, 미디어 홍보확대, 레거시 활용으로 도출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에서 활성화를 위해 제시된 각 요인과 우선순위를 통해 향후 국내 장애인아이스하키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스포츠강국으로서의 면모를 갖출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alance the perspective of stakeholders in various related fields, as well as explore and present various alternatives to revitalize the domestic Para Ice Hockey(PIH) sport using the Delphi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15 exper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and guidance, including association officials related to PIH events for the disabled in Korea, were surveyed at each stage. The first Delphi survey was freely announced through an open survey, and the responses to the survey were classified and categorized through content analysis. In the second Delphi survey, priority was given based on the responses from the first survey, and key factors were verified again for each of the five parts of the survey. In the third Delphi survey,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Likert 5- point scale. The collected results were obtain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Microsoft Excel to obtain the mean, standard deviation, Cronbach’s a by factor, content validity index, and agreement.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11 constraints on activating PIH in Korea, included are; lack of teams for the unemployed, lack of variety of ages and generational replacement of athletes, lack of professional infrastructure, lack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lack of mid-to long-term planning, lack of access to sports facilities, and instability of leaders and professional humans. Secondly, there are eight opportunities to revitalize PIH events in Korea. These include winning medals at the Winter Paralympics, operating a PIH academy, founding university and ordinary club teams, the Pyeongchang Winter Paralympics legacy, a professional team for the unemployed, and finally, hosting international competitions. Thirdly, there are a total of 18 factors to revitalize PIH in Korea, including building and expanding dedicated training facilities, securing access to existing facilities, expanding budgets for PIH, supporting retired players, attracting sponsors, using legacy, and improving disability awareness. Fourth, among the detailed measures to revitalize domestic PIH stocks, the top five limitations, opportunity factors and policy factors of conformity measures were selected through suitability verification. To summarize, the limitations were found to be a lack of the base of available daily sports, a lack of athlete training systems and athlete resources, a lack of public relations, a lack of teams for the unemployed, and instability in hiring leaders and professionals. Opportunities include winning medals at the Winter Paralympics, operating the PIH Academy, establishing a university and ordinary club teams, revitalizing club teams, and expanding sports facilities for the disabled. Finally, the policy factors for the revitalization plan were to expand the establishment of the regional PIH club team, establish a support system for local governments, expand athlete programs, expand PIH classes and experiences, expand media publicity, and bring into effective action, legacy. This study was conducted at each part through experts related to PIH in Korea using Delphi research method as a study to revitalize PIH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through each factor and priority presented for action in this study’s results,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activation of PIH and to realize Korea’s potential to become a sports powerhouse.

      • STS 316L의 재결정법에 의한 2매개변수 파괴인성평가 및 전기화학적 특성

        한민수 목포해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Used in higher value-added heavy industrial businesses such as oil plant, shipbuilding industry and power plants, austenitic stainless steels have problems like pitting and micro crack which occur because of intergranular corrosion at material surface. Those causes severe damage to the whole structures nevertheless high toughness and mechanical strength in material. To minimize these defects, STS 316L which has low content of C and some of Mo, is preferred to application for offshore structures nowadays. Fracture toughness, Jc and critical CTOD, δc by R-curve method, stretched zone width and the fracture behaviors of crack tip are experimentally estimated. The level of the constraint effects, A2 at a crack tip in CT specimen during a practical fracture toughness test are also determined by CTOD measured from author technique including δ5 technique, Experimentally, any deformation measurement close to the crack tip like CTOD yield a displacement that is a function of J and A2, In this paper, A2 is determined using the several CTOD or displacement v(r, θ), Using the CTOD determined from two marks, one at r=1, 1.5, 2, 2.5, 3mm above and at r=1, 1.5, 2, 2.5, 3mm below the crack tipfrom the crack tip opening on CT specimen. The CTOD between 1~3mm above and below at a crack tip, are used for determining A2 displacement δ(r, θ) within the range of the crack tip region, 0.9<r<4.0. With these processes, the fracture failure criteria that measures and evaluated both structures safety and durability can be predicted. Moreover, plastic boundary has been visualized and stress conditions near the crack tip was represented using recrystallization heat treatment. Itis suggested that the constraint effects A2 evaluation has the limit locations of near crack tip opening displacement. Fracture toughness, constraint effects A2 and plastic boundary configuration by recrystallization for STS 316L 10% side grooved CT spcimen have been studied in the plane strain conditions under mode I loading,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fracture toughness Jc by R-curve method was 414KJ/m2, (2) A prominent location to measure effective constraint effects A2 at Jc is r=2mm, θ=90o from crack tip and constraint effects lA2l is 5.33. (3) The plastic boundary of true strain εt = 0.05mm/mm by recrystallization heat treatment has been visually investigated, and with the comparison of estimation for constraint effects A2, the ranges of proper displacement measurement point at near crack tip were between 0mm and 1mm in x axis, between 1mm to 3mm in y axis. Also, in case of offshore structures, they are exposed to both the severe corrosion environment with fracture of passive film by chloride ion and the stress of dynamic external forces and fatigue by wave and tide, Consequently, stress corrosion cracking can be occurred during the long service time. Electrochemical and slow strain rate tests have been used to evalate the durability on stress corrosion cracking and hydrogen embrittlement of STS 316L. The results of electrochemical experiments and strain rate test for STS 316L in seawater are as follows : (1) The polarization trend for STS 316L shows the effects of concentration polarization due to dissolved oxygen reduction reaction and activation polarization due to hydrogen gas generation. The turning point of two reactions in the polarization curve presented -0.92V(vs, Ag/AgCl). (2) The dissolved oxygen reduction reaction is corresponding to corrosion protection potential. The results of cathodic polarization experiments, the low current density is observed at the range of -0.56V ~ -0.92V(vs, Ag/AgCl) in seawater.

      • 터널링 소자를 이용한 낮은 대기전력 전하 저장형 플래시 메모리

        한민수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휴대용 장치 시장에서는 꾸준히 뛰어난 그래픽과 다양한 기능을 작은 휴대용 장치에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뛰어난 그래픽과 다양한 기능을 휴대용 장치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고 그에 따라 배터리의 크기가 커져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작은 크기의 휴대용 장치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낮은 전력 소모가 필수적이다. 그래서 낮은 전력 소모를 제공하면서 작은 크기를 유지하기 위해서 연구하고 있는 장치 중 하나가 바로 메모리 소자이다. 지금까지 비휘발성 메모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Metal Oxide Silicon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 기술을 적용해 왔다. 하지만 높은 대기 전력 소모와 채널이 짧아짐에 따른 단 채널 효과 때문에 MOSFET은 작은 크기의 소자를 제작함에 있어 한계가 있었고, 전하를 저장하여 메모리로 사용되는 커패시터의 구조 부분만을 발전시켜왔다. 대기 전력을 줄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의 진보된 기술을 적용하였다. 첫 번째는 Silicon-Oxide-Nitride-Oxide-silicon (SONOS) Memory 기술이다. gate 아래의 ONO 구조에서 nitride 부분에 전하를 저장하는 메모리로 낮은 전력과 작은 크기를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제작하는 현재 각광받고 있는 기술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저 전력 소자인 p-i-n 다이오드 구조를 갖고 있는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TFET)를 기존의 MOSFET을 대신하여 활용하는 기술이다. 두 가지 기술을 접목시켜 기존의 메모리로 사용되는 구조 부분을 바꾸는 것이 아닌 지금까지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저 전력 TFET으로 바꾸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TFET을 이용한 SONOS 비휘발성 메모리는 꺼진 상태에서 매우 낮은 누설 전류 특성을 보이는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기존의 MOSFET을 이용한 SONOS 비휘발성 메모리보다 빠른 프로그램 속도를 보인다. 또한, 채널 길이를 작게 만듦에 따른 단 채널 효과에 있어서도 매우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ilvaco altas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TFET을 이용한 SONOS Memory에 대해 Fowler Nordheim (FN) 프로그램 효율과 꺼진 상태에서의 누설전류, 프로그램 상태에서의 메모리 소자에 대한 영향을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MOSFET을 이용한 SONOS 비휘발성 메모리와 TFET을 이용한 SONOS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해 FN 프로그램 효율과 꺼진 상태에서의 누설전류 특성 등의 메모리 특성을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과 FN 터널링 모델을 통하여 비교하며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Recently, the mobile device market continually demands both excellent graphic and various functions on mobile device. To meet the specification of small mobile devices, low power consumption is necessary. The memory is one of the focused devices to reduce standby power and size. Standby power reduction can be realized by adoption of advanced technology and two of the device technologies were considered in this paper. The first technology is Silicon Oxide Nitride Oxide Silicon (SONOS) memories which is one of the candidate for low-power and small size nonvolatile memory. The second one is the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TFET) which has p-i-n structure. Though adoptions of advanced Metal Oxide Silicon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 technology to nonvolatile memory were common method, there was no research about memory with TFET. Small off state leakage current of SONOS memory with the TFET is the main advantage. The program speed of SONOS memory with the TFET is also higher than that of SONOS memory with MOSFET. Channel length scaling down effect on program operation is negligible in SONOS memory with TFET. In this paper, the memory characteristics of SONOS memory is investigated in terms of Fowler-Nordheim (FN) program efficiency, off state leakage current and disturbance characteristics. Also, memory characteristics of SONOS memories with MOSFET have been compared with TFET in terms of FN program efficiency, off state leakage current. FN program efficiencies of both types of memories are similar with each other and they are investigated with energy band diagram as well as with FN tunneling equation.

      • 이종원자들을 포함한 분자들의 전자구조와 반응에 관한 이론적 연구

        한민수 仁川大學校 一般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Diazirine과 그 유도체의 일종인 3,3'-dimethyldiazirine의 low-lying electronic states에 대해 높은 수준의 양자 화학적 계산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위 분자들의 바닥상태와 첫 번째 들뜬 단일항 상태 및 첫 번째 들뜬 삼중항 상태에의 평형 기하 구조를 Hartree-Fock 방법, complete active space SCF(CASSCF)방법, Moller-Plesset second order perturbation(MP2)방법, single configuration interaction(CIS) 방법을 사용하여 구조 최적화를 통해 얻었다. 그 결과 첫 번째 들뜬 단일항 상태는 n- π^* 전이에 기인하는 ¹B₁의 symmetry임을 알게 되었고 반면에 첫 번째 들뜬 삼중항 상태는 π-π^*전이에 기인하는 ³B₂symmtery임을 알게 되었다. 각각 계산으로 얻어진 평형 기하 구조에 대해 harmonic vibrational frequency 계산을 수행하였고 얻어진 진동수를 적당한 scale factor로 보정하여 그 값을 실험값들과 비교하였는데 잘 맞았다. 바닥상태에서 low-lying states로의 adiabatic과 vertical energy를 CASSCF의 파동함수에 기초를 둔 multireference method의 일종인 multiconfigurational quasi-degenerate second order perturbation(MCQDPT2) 방법과 CASSCF second-order configuration interaction(CASSCF-SOCI)방법을 통해 계산하였다. 또한 vertical transition energy는 비교를 위해 CIS방법과 TD-DFT 방법으로도 계산하였다. 계산된 vertical energy들은, 특히 MCQDPT2방법으로 계산된 결과는 실험적으로 구한 값들과 매우 잘 맞았고, 또한 위의 분자들의 electronic structure에 관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두 번째 전자상태에 대한 존재여부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7-azaindole monomer와 물분자와의 complex에 대하여 proton transfer reaction을 양자화학적 계산 방법인 ab initio방법과 반경험적 방법인 PM3을 이용하여 연구하였고 아울러 이 두 계산 방법간의 계산결과의 차이점과 그 신뢰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대상분자들에 대하여 Hartree-Fock(HF)방법 및 PM3를 사용하여 바닥상태의 normal, transition state, tautomer form을 평형 기하구조를 구했고, 각각의 최소에너지 구조에서 진동수 계산을 수행하였다. 또한 첫번째 들뜬 단일항 상태에서는 single configuration interaction(CIS) 방법과 PM3에 기초한 multielectron configuration interaction(MECI)를 사용하여 각각의 최소에너지 구조를 얻었고 역시 진동수계산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monomer에서 tautomerization의 활성화에너지는 바닥상태의 경우 약 80kcal/mol정도이고 첫번째 들뜬 단일항 상태에서는 약 70kcal/mol정도로 바닥상태나 들뜬 상태의 경우나 큰 차이가 없이 매우 큰 에너지 장벽을 갖지만 물분자와 complex를 형성할 경우, 바닥상태에서는 약 35-40kcal/mol정도이고 들뜬 상태에서는 약 20-25kcal/mol정도로 에너지 장벽이 매우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monomer의 경우 self-consistent reaction field(SCRF)와 conductor-like screening model(COSMO)을 사용하여 수용액상태에서의 계산을 수행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한편 각각의 stationary point 3곳의 atomic charge 변화를 통해 proton transfer reaction과정 동안의 변화 폭과 경향성을 알아보았다. CIS와 MECI 방법을 이용하여 excitation energy와 fluorescence emission 및 adiabatic energy 를 구해 각각의 실험값들과 비교했는데 잘 맞았다. 이러한 계산결과를 토대로 하여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는 ab initio계산을 비교적 수월한 PM3로도 정성적으로 훌륭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The low-lying electronic states of diazirine and 3,3-dimethyldiazirine have been studied by high level ab initio quantum chemical methods. The equilibrium geometries of the ground state and the first excited singlet and triplet states have been optimized using the Hartree-Fock (HF) and complete active space SCF (CASSCF) methods, as well as using the MØller- Plesset second order perturbation(MP2) theory and the single configuration interaction (CIS) theory. It was found that the first excited singlet state is of ¹B₁ symmetry resulting from the n-π* transition, while the first excited triplet state is of ³B₂ symmetry resulting form the π-π* transition. The harmonic vibrational frequencies have been calculated at the optimized geometry of each electronic state, and the scaled frequencies have been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frequencies available. The adiabatic and vertical transition energies from the ground electronic state to the low-lying electronic states have been estimated by means of multireference methods based on the CASSCF wavefunctions, i.e., the multiconfigurational quasi-degenerate second-order perturbation (MCQDPT2) theory and the CASSCF second-order configuration interaction (CASSCF-SOCI) theory. The vertical transition energies have also been calculated by the CIS and the TD-DFT method for comparison. The computed transition energies, particularly by MCQDPT2, agree well with the experimental observations, and the electronic structures of the molecules have been discussed, particularly in light of the controversy over the existence of the so-called second electronic state. The potential energy surface of the ground and the lowest singlet excited states of hydrogen bonded complexes of 7-azaindole with water were theoretical investigated along the proton transfer reaction coordinate. Geometries and electronic energies of the normal and tautomer forms of 7-azaindole complexes in each electronic state were obtained at both the semiempirical and ab initio quantum chemical methods. The transition state configurations of 7-azaindole complexes connecting the normal and tautomer forms were also optimized, and the barriers for the proton transfer process in each electronic state have been estimated.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wo electronic states, and popu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gain further insight into the proton transfer process of the complexes. Also the excitation and fluorescence emission frequencies of 7-azaindole complexes were calcualted, and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available. Both ab initio and semiempirical PM3 method is shown to provide, with little effort, a reasonable description of the proton transfer reaction of the hydrogen bonded complexes, at least qualitatively.

      • 리더의 코칭이 팀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민수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leader’s coaching on the psychological safety and work engagement of team members. To this end,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resented. First, how does coaching of the leader affect the psychological safety of team members? Second, how does coaching of leaders affect team members' work engagement? Third, how does the psychological safety of team members affect work engag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11 team members who have worked for more than one year at a company that has introduced coaching in Korea. After the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process, SPSS v. 25.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direction suggestion, development, performance evaluation, and relationship for each sub-factor of coaching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safe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vitality, dedication, and commitment by sub-variables of work engagemen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of each sub-factor of coaching and performance evalu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sychological safety. Fourth, the relationship of each sub-factor of coaching, performance evaluation, and direction suggestion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vitality. Fifth,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of each sub-factor of coaching and direction present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mmitment. Sixth, it was found that the direction and relationship of each sub-factor of coach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reoccupation. Seventh, psychological safety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vitality, dedication, and immersion.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bov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coaching of the leader is a key factor influencing the psychological safety and work engagement of team members. This result was similar to the research result of Zhou and Pan (2015) that coaching of leaders creates a sense of psychological safety and that team members are immersed in creative work performance. Second, relationship, performance evaluation, and direction suggestion were positive factors for job immersion in coaching of leaders, and they had an effect on vitality, which means high energy level, commitment to evoke passion and challenging spirit, and immersion to fully immerse in the job (Bakker, Albrecht, & Leiter, 2011) have been found. Third, it was found that a sense of psychological safety influences team members to motivate themselves and immerse themselves in their jobs. was found to help develop As a future task, the development of each sub-factor of coach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m members (competence, talent, attitude, etc.).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의 코칭이 팀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리더의 코칭이 팀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리더의 코칭이 팀구성원의 직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팀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이 직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국내에 코칭을 도입한 기업에 1년 이상 근무하는 팀구성원 211명이며,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클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SPSS v. 25.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의 하위요인별 방향제시, 개발, 수행평가, 관계는 심리적 안전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몰입의 하위변인별 활력, 헌신, 몰두와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칭의 하위요인별 관계, 수행평가가 심리적 안전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코칭의 하위요인별 관계, 수행평가, 방향제시가 활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코칭의 하위요인별 관계, 방향제시가 헌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코칭의 하위요인별 방향제시, 관계가 몰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심리적 안전감은 활력, 헌신, 몰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코칭이 팀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 및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리더의 코칭이 심리적 안전감을 형성해서 팀구성원이 창의적 업무수행에 몰입한다는 Zhou와 Pan(2015)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둘째, 리더의 코칭에서 관계, 수행평가, 방향제시가 직무몰입의 긍정적 요인이었으며 높은 에너지 수준을 말하는 활력, 열정과 도전정신을 불러일으키는 헌신, 직무에 충분히 몰입하게 하는 몰두에 영향을 미친다(Bakker, Albrecht, & Leiter, 2011)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심리적 안전감은 팀구성원으로 스스로 동기부여하고 직무에 몰입할 수 있도록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때 리더는 팀구성원에게 해결책을 제시하기 보다는 팀구성원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방향제시를 통해 역량을 개발하도록 돕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과제로는 코칭의 하위요인별 개발은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기에 팀구성원의 개발(역량, 재능, 태도 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 진단방사선 수검자의 연간 의료방사선 피폭선량 실태

        한민수 부산가톨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 종합병원에서 1년간 영상의학과에서 방사선을 이용한 수검자를 대상으로 방사선 검사 내역을 분석하여 수검자의 방사선 안전과 방사선 선량 저감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도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의료영상정보시스템(PACS)를 이용하여 X-Ray와 CT검사 내역을 수집하였으며, 대상자는 남성이 14,432명(45.6%), 여성이 17,212명(54.4%)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연간 누적 유효선량이 ICRP103 참조준위 범위 20mSv이상 100mSv까지의 범위에 속한 대상자는 남성이 1,730명(5.4%)이었고 여성이 2,122명(6.7%)이었다. 100mSv 이상인 자는 남성이 31명(0.098%), 여성이 54명(0.17%)이 이었다. X-Ray 검사부위 중 유효선량이 가장 적은 부위는 상하지로 평균 .118mSv이며, 가장 높은 부위는 요부로 평균 8.59mSv이었다. CT검사 부위에서 유효선량이 가장 높은 부위는 흉부동맥으로 평균 354mSv이었다. 가장 낮은 부위는 골반으로 평균 41.889mSv이며, 연간 누적 선량이 100mSv에 근접 할수록 선량감축 노력은 증가되어야 하는 기준 수치이다. 국제적으로 의료 방사선 피폭선량 제약의 기준은 아직 없으나,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앞으로도 계속해서 증가될 의료 방사선 피폭을 의료의 질을 저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한 정책을 수립하여 과도한 방사선 피폭으로 발생되는 질병을 막고 조기에 질병 회복을 할 수 있도록 보다 더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의료방사선, 방사선 피폭, 연간 유효선량, X-Ray 유효선량, CT 유효선량

      • 복강경 담낭절제술 후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조영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임상적 특징

        한민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Retained common bile duct(CBD) stones are present in about 15% of patients who undergo surgery for gallbladder(GB) stone diseases. It is not necessary for the patients with low risk of retained CBD stones to undergo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ERCP) postoperative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clinical features for the prediction of performing postoperative ERCP after laparoscopic cholecystectomy(LC).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a database of every LC performed between July 2006 and September 2012. We defined 28 patients who underwent ERCP within 6 Months after LC for GB stone disease as ERCP group. Control group consisted of 56 patients who did not undergo ERCP after LC paired by age, sex and operation period. We compared admission route, preoperative biochemical liber function test(LFT), number and size of stones, adhesion and wall thickening of GB, operation time and existence of acute cholecystiti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re was statistically difference of admission route, preoperative elevated AST, ALT, and ALP, size of stones, operation time and existence of acute cholecystitis between the two groups in univariable analysis. But, multivariable analysis identified longer operation time(p=0.004) and existence of acute cholecystitis as independent risk factors of performing postoperative ERCP after LC. (Conclusio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patients who underwent LC for longer operation time with acute cholecystitis are likely to experience ERCP after LC.

      • 타겟 이동에 의해 발생한 흐려짐 감소를 위한 초음파 영상의 공간합성 알고리즘

        한민수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음파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간합성을 수행할 경우, 움직임에 의한 흐려짐 현상이 발생한다. 초음파의 반사신호에서는 작은 신호들의 간섭에 의해 실제 존재하지 않는 잡음 신호가 검출된다. 이를 감쇄시키기 위하여 공간합성이라는 작업이 실행되는데, 공간합성이란 서로 다른 각도의 신호를 통해 얻은 여러개의 프레임을 합성하는 것을 말한다. 서로 다른 각도에서 영상을 획득하게 되면, 각 영상은 시간적 딜레이가 발생하게 된다. 인체 내부의 움직임에 의해 시간적 딜레이는 공간합성 과정에서 흐려짐 현상으로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흐려짐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공간합성 방식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인체의 규칙적인 움직임을 고려하여 현재 이전에 획득한 프레임 중 현재와 가장 유사한 픽셀값을 참조하고, 공간합성 영상을 구현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실제 초음파 영상 시퀀스에 대하여 실험을 한 결과 제안된 방법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평균값 공간합성 알고리즘에 비해 에지 부분의 명확화가 이루어 졌다.

      • 비정합 외란이 존재하는 시스템의 외란관측기 기반 제어기 설계

        한민수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실제적인 제어 시스템에 존재하는 외란은 공칭 제어기의 제어 성능을 떨어뜨린다. 제어 성능을 떨어뜨리는 다양한 외란 중에서 본 논문은 비정합 외란을 고려한다. 비정합 외란은 제어 입력의 채널과는 같지 않은 채널로 들어오는 외란을 의미한다. 비정합 외란이 존재하는 시스템을 제어하는데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은 비정합 외란의 영향을 시스템의 상태에서 완벽히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제어 대상 시스템의 출력에서 비정합 외란의 영향이 나타나지 않게하기 위한 제어기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제어기는 상태 궤환 제어기와 모델 기반 상태 및 외란관측기로 구성된다. 관측기로부터 추정된 상태는 상태 궤환 제어기에 적용되어 주 제어 입력을 이룬다. 추정된 외란은 외란 보상 이득을 곱하여 외란 보상 입력으로 사용된다. 외란 보상 이득은 시스템의 출력에 비정합 외란의 영향이 나타나지 않도록 설계된 이득으로 일반적인 비정합 외란에 대한 보상 이득을 먼저 설계한다. 다음으로 일반적인 비정합 외란 보상 이득을 상수 오프셋을 갖는 삼각함수 비정합 외란의 영향을 받는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삼각함수 비정합 외란 보상이득을 계산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비정합 외란의 영향을 받는 4차 시스템에 대해 모의실험을 수행하였고, 실제 실험을 통한 제어 성능확인을 위해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제어 문제를 다루었다. 기존 제어기와의 비교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의 강인성을 입증하였다. The performance of nominal controller can be deteriorated by uncertainties that exist in practical control systems. This paper considers a mismatched disturbance that brings adverse effects on systems. The critical problem of mismatched disturbance is that it is impossible to remove the effect of the mismatched disturbance from the system. In this case, one of the most reasonable goals is to remove the effects from the output. This paper proposes a controller that can completely eliminate the effect of the mismatched disturbance from the controlled output. The structure of the proposed controller is composed of state feedback controller and model based state and disturbance observer. The estimated state is used for main control input. The estimated disturbance, which has been multiplied by disturbance compensation gain, is utilized as a disturbance compensation term. The generalized mismatched disturbance compensation gain has been first calculated. For the case of sinusoidal mismatched disturbance, a simple form of the compensation gain has been present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verified through the simulation using a 4th order system under the sinusoidal mismatched disturbance.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also applied to a speed control problem of a surface-mounted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The robustness of the proposed controller has been verified through comparative experiments with conventional controll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