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부의 호칭이 의사소통과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한명화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부부의 호칭이 의사소통과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과 사회복지학전공 한명화 지도교수 김문성 호칭은 상대를 부르는 상황에서 서로의 관계와 감정을 그대로 드러내는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부부 관계에서 간과해 왔던 배우자에 대한 호칭이 부부의 의사소통과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부부의 호칭이 의사소통과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적 특성에 따라 선택되어지는 호칭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의 개인적 특성이 호칭의 선택과 의사소통 그리고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것이다. 둘째, 부부가 선택하여 사용하는 긍정적 호칭이 의사소통과 친밀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일원에 거주하고 있는 20대에서 60대까지의 기혼자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중 260명의 유효 설문을 채택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은 이경희(1998)가 개발한 방법을 참고하여 사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에는 빈도 분석, t검증과 f분석, 요인 분석, 회기 분석과 경로 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 학력, 생활수준, 결혼 기간, 가족 구성, 자녀수, 부부의 나이 차이, 현재 생활 만족도로 구성하여 살펴보았다. 조사 대상자들의 생활 만족도는 매우 만족이 4명(1.5%), 만족이 35명(13.5%), 불만족이 168명(64.6%), 매우 불만족은 53명(20.4%)로 ‘불만족’ 또는 ‘매우 불만족’의 경우가 약 85% 정도로 대체로 생활에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부부의 호칭을 알아보기 위해 긍정적 호칭의 사용 정도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호칭의 종류 별 분포, 그리고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부부의 호칭 종류에 대한 빈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부가 긍정적 호칭을 사용하고 있는가에 대한 답변에 부정적(11.9%), 보통(31.2%), 긍정적(56.2%)로 나타나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답변이 88.2%(평균은 5점 만점에 3.64)를 차지했다. 부부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호칭은 ‘○○엄마, ○○아빠’로 34.2%를 나타냈으며,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호칭으로는 ‘여보, 당신’이 70%로 가장 많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3. 의사소통을 분석하기 위해 요인 분석을 이용하여 의사소통에 대한 하위변수들이 하나의 변수로 묶이는지 확인 하였다. 분석 결과 고유값이 2.349로 하나의 요인으로 묶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설명력이 58.72%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신뢰도 검증 값(Cronbach’s α)은 0.639로 신뢰할 수준으로 나타났다. 인구학적 특성으로는 성별, 연령, 종교, 학력, 생활 수준, 결혼 기간, 생활 만족도의 변수를 사용하였고, 그 결과 연령별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지만 생활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4. 부부간 친밀감을 알아보기 위해 배우자와의 생활이 따분하게 느끼는 감정의 변수로 알아본 결과 대체로 친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사회학적 특성으로는 연령은 30대 이하(평균=3.64)가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 만족도가 높은 집단의 친밀감이(평균=3.34)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생활의 만족이 높을수록 부부의 친밀감의 정도가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5. 친밀감 영향 분석에서는 첫째, 긍정적 부부 호칭이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은 회기 분석 결과 유의 수준 0.05에서 긍정적 부부 호칭이 의사소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9.244, p<0.01). 둘째, 의사소통이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을 회기 분석 결과 의사소통이 친밀감에 유의 수준 0.05에서 유의한 긍정적 영향(베타=0.643)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13.488, p<0.01). 이 분석 결과는 부부간의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부부의 친밀감의 정도가 높아짐을 보여준다. 셋째, 호칭 및 의사소통과 친밀감과의 다중회기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부부의 긍정적 호칭이 부부의 친밀감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0.556이고, 의사소통을 걸쳐 친밀감에 미치는 간접 효과는 0.321(0.499*0.643)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총 효과는 0.877(직접효과 + 간접효과)이다. 이 연구에 의하면 부부의 긍정적 호칭은 부부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의 호칭이 의사소통과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Influence of the Appellation on the Communication and Intimacy of Married Couple Gach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ocial Welfare Studies, HAN, Myunghwa Academic Adviser, KIM, Moonseong The appellation shows interrelationship itself and makes their relations better or worse. Therefore, the appellation used by a married couple, which has been ignored in marital relations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ir communication and intimac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o verify the impact of appellation on their communication and intimacy of a married couple, and the difference of appellations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developed. The first question is if personal characteristics of a married couple can have an effect on the choice of appellation, their communication and their intimacy. The second one is if the affirmative appellation which a married couple choose has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communication and intimacy. For solving these research questions, a survey carried out with referring to the method which was developed by Lee Kyeonghee(1998) covers 300 married people from aged 20’s to 60’s living in Seoul and Kyeonggi-do area. Among them, 260 valid surveys are analyzed with methods of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below.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are composed of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 the standard of living, marriage duration, family members, number of children, age difference of a couple,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e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of research subjects is as follows. Four people(1.5%) are very satisfied with their life, and 35 people(13.5%) satisfied. 168 people(64.6%) aren’t satisfied, and 53 people(20.4%) are very dissatisfied with their life. Considering about 85 percent of the research subjects are dissatisfied and very dissatisfied with their life, most people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life. 2. As for appellation of a married couple, the level of using the affirmative appellation, the dispersion of kinds of currently used appellations, and the kinds of desirable appellation of a married couple are examined.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As for the level of using the affirmative appellation, 11.9 percent of the research subjects give a negative answer, 31.2 percent a litmusless answer, and 56.2 percent a positive answer. Therefore, 88.2 percent of the research subjects answer affirmatively(An average is 3.64 out of 5). Most used appellations are ‘OO Umma,’ and ‘OOAbba’ which 34.2 percent of the research subjects are using. As for the most desirable appellations of a married couple, 70 percent of the research subjects choose ‘Yeobo,’ and ‘Dangsin.’ 3. To analyse the level of communication, first of all, it is examined that subordinate variables in communication can be combined to a variable by the factor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they can be a variable according as the eigen value is 2.349, and the explanation power is 58.72 percent. The degree of reliability(Cronbach’s α) is 0.639, which means the level of that can be acceptable. The gender, age, religion, academic background, the standard of living,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re used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variabl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age groups, but valid difference is showed i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4. To research the couple’s intimacy, the emotion variable of feeling marital life tedious is used, 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research subjects mostly maintain a close relationship. Considering a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the intimacy level of an age group under 30s is high (an average is 3.64) and a group which shows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 also shows a high level intimacy(an average is 3.34). The more satisfied the research subjects are, the higher intimacy of a couple they show. 5.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of intimacy, first, affirmative appellations of a married couple give a valid effect on communication at the 0.05 significance level(t=9.244, p<0.01). Second,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which is about impact of communication on intimacy shows communication give an valid positive impact (β=0.643) on intimacy at the 0.05 significance level(t=13.488, p<0.01).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 more communication there is between a couple, the higher intimacy of a couple there is.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intimacy, the degree of direct effect of the affirmative appellations on their intimacy is 0.556, and the degree of indirect effect on intimacy through communication is 0.321(0.499*0.643). Therefore, total effect (direct effect + indirect effect) is 0.877. This research shows that affirmative appellations of a married couple positively influence on marital relations, and the level of impact of appellations of a married couple give on their communication and their intimacy is very significant.

      • 제 7차 개정교육과정 고1 영어교과서 다문화 분석

        한명화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전환되고 있는 시점에 개정교과과정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의 다문화 내용 찾아 이를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1학년 제 7차 영어교과서 5종과 제7차 개정교육과정 영어요과서 5종을 분석하였다. 영어 교과서 안에 있는 다문화에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기위해 교과서에 등장하는 국가, 인종, 연령, 주요 역할을 맡고 있는 분포 등을 조사하였고 그와 관련된 구체적인 교과서 내용들을 분석․연구 하였다. 결과를 보면, 전체적으로 제7차와 제7차 개정교육과정의 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강조를 하는 교육목표가 크게 바뀌지 않아 교과서의 다문화 관련된 내용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구체적인 분석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여전히 서양 문화 관련된 내용이 월등하게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었고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국가들도 영국과 미국에 국한되어 다양한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영미문화 외의 나라들을 살펴보면, 다양한 나라들이 등장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 또한 몇몇 나라들로 국한되어 있고 우리나라의 다문화 가정들의 배경국가인 베트남이나, 필리핀 그리고 몽골 등의 나라들은 전혀 등장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개정 후 교과서는 영미 문화를 중심으로 한 단원의 수가 줄어들고 다양한 문화를 소개하는 단원의 수가 늘어난 점도 있다. 두 번째로, 본문의 주인공이나 주요 내용들은 거의 코카시안 중심으로 분포 결과가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한국 사람들이 속하는 아시아인과 아프리칸의 순서였다. 미국 국가와 관련된 많은 내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코카시안 다음으로 많은 인종의 비율을 차지하는 아프리칸 인물에 대한 내용이 적었다. 세 번째로, 등장인물의 연령대를 보면 학생과 성인 중심으로 그 분포가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영어 교과서의 사용자가 주로 학생들이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는데, 연령대별로 향유하고 있는 문화의 차이를 볼 때 교과서 등장인물들의 연령대가 더 다양하게 나타난다면 더욱 풍부한 대화와 문화를 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영어교과서에 나타난 전반적인 다문화 교육 가치관을 살펴본 결과는 문화에 대한 강조는 어느 정도 감소하고 온 세계의 다양한 사람들을 하나의 인류로 바라보고 공통적으로 신경을 써야 하는 부분인 세계 사회에 대한 책임감과 인간 존중, 그리고 지구에 대한 존중 부분이 강조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제 7차 교육과정부터 개정 교육과정까지 문화에 대한 부분이 이제 관심과 발전 단계에서 성숙과 활용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몇몇 제한된 분석만으로 교과서에 나타나는 다문화 내용들을 모두 분석하고 제대로 평가하기에는 많은 어려움과 부족한 점이 있지만 새로운 교과서와 발간과 한국 사회의 변화 과정을 생각할 때 이러한 분석과 개선사항의 조언은 분명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An Analysis of Multi-Culturalism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Han Myung Hwa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Korea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with regard to their use of multicultural perspectives. In specific, the multicultural contents that the 7th national curriculum English textbooks and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English textbooks have been analyzed. For this analysis, 10 English textbooks have been us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Overall, there are no big difference of the multicultural factors between the 7th curriculum and the revised due to the same educational goals. However, detailed content of the books show some differences. Firstly, the contents of English textbooks including pictures and figures are mainly focusing on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Korea. The cultural contents of other countries are rare even though most textbooks try to include some examples from non-English speaking countries. Secondly, in terms of nationality․ race․culture, most of the contents in the textbooks are about America and Western cultures. For example, when mentioning heroic or intellectual acts, the books are focusing on western cultures and people. On the other hand, when mentioning Korean cultural contents, the textbooks authors seem to accept our culture without any criticism and just seem to exaggerate a little in order to boost our pride. Cultural aspects of "the third countries"were dealt in the textbooks, but it is just mentioning about countries roughly, and not sufficient to understand their culture easily. Thirdly, with regard to the age issue, it is shown that the contents were mostly students․adults-centered and these backgrounds appear to dominate throughout the textbooks and it is because the textbooks are made for students. However, communicate and relate with various ages will be helpful to learners. Finally, the countries belonging in the extended circle of the textbooks are not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like Vietnam, The Philippine and so on. In conclusion, multiculturalism displayed in the Korean English textbooks were not distributed equally in terms of current multicultural ways of thinking. In addition, the content and figures in the 7th textbooks and the revised textbooks are not that different. Careful and balanced viewpoints need to be presented in the textbooks in order for students to form objective viewpoints. For the development of new textbooks, careful considerations of these poin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 Claude A. Debussy의 피아노 음악에 관한 연구 : <Estampes>를 중심으로

        한명화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Claude Debussy is one of the famous composers in France in the period of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Debussy's musical aesthetic was closely linked with the impressionistic school of Franch painting. Musical impressionism was pioneered and developed by Debussy whose concern lay primarily in evoking moods. Debussy's impressionism was intended mainly to express fleeting sentiments as perceived in temporal moments and specific atmospheres. He considered 'timbre' and 'colour' to be intrinsic element of music. His predisposition toward using those elements led him to pursue new mediums of expression. He created many novel methods which anticipated the new music of the 20th century. He developed a new sound which expand sonic materials as medieval modes, the pentatonic scale, techniques of oriental music and the folk music language of minority races. The <Estampes ,1903> is a work influenced by his impressionistic flavour, and the first one of his works which reveals his exoticism. In the first piece, <Pagodes> he experimented with Gamelan techniques and sonic effects which he witnessed at the international exposition in 1889 in Paris. In particular he used the tonal system of the pentatonic scale which was used in Gamelan music and composed with devices of thematic decoration and transformation which are the identifying marks of Gamelan music. The second piece, <La soiree dans Grenade> was made by using of the language of Spanish folk song. Debussy introduced the Habanera rhythm, the transformed phrygian mode, the style of the flamenco scale, and used the sonic effects of guitar and castanets in this piece. The melismatic and gently flowing melody of the Cante jondo, a spanish folk song, also greatly enhances the spanish mood. The third piece, <Jardins sous la pluie>, a typically impressionistic work, expresses various changes of mood by employing various scales such as the whole-tone scale, the chromatic scale and the medieval moods. The use of rhythms also suggests specific movements of objects and the trills and tremolos evoke diverse image and timbres. 19세기 말에 이르러 당시의 팽배해 있던 독일 바그너주의 음악에 반동으로, 프랑스를 중심으로 인상주의 음악이라는 새로운 사조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 인상주의라는 명칭은 화가 클로드 모네 (Claude Monet, 1840~1926)의 작품 <인상 : 해돋이 (Impression, Sunrise)>에 의해 탄생되어진 것으로, 인상주의 화가들은 사물의 정확한 묘사나 재현보다는 빛에 의해 민감하게 변화되는 사물의 순간적인 인상이나 분위기를 포착하여 그림에 담고자 하였다. 이러한 인상주의 화가들의 뒤를 이어 샤를레 보들레르 (Charler Baudlaire, 1821~1967)로 시작된 상징주의 문학에서도 말보다는 암시를 통해 겉으로 보이는 표면뿐만이 아닌 그 내면의 본질이나 감정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인상주의 미술과 상징주의 문학의 영향으로 음악에서도 인상주의 음악사조가 나타나게 되는데 대표적인 작곡가로 클로드 드뷔시 (Claude Debussy, 1862~1918)를 들 수 있다. 그는 프랑스 인상주의 악파의 창시자로써 주관적 감각에 의한 표현과 빛에 비춰지는 대상의 특정한 이미지나 분위기 표현을 주요 목적으로 삼았으며 음악적 표현을 위해 음색(timbre)을 하나의 본질적 요소로 보았고, 색채의 표현을 위한 새로운 음향의 탐구에 힘썼다. 특히 그는 서양음악의 기능화성과 장 ,단조의 조성체계를 모호하게 하였으며 20세기 무조성(atonality)로 방향을 제시하는 기법과 중세의 선법과 동양의 음계 및 악기와 음악 기법, 소수 민족의 민속음악 등과 같은 이국적 요소에 관심을 갖고 음향 재료와 음악 어법의 확대를 꾀하였다. 1903년 작곡된 작품 <판화, Estampes>는 드뷔시의 인상주의 색채가 강한 곡으로 이국주의 경향의 작품 중 효시를 이룬 작품이었다. 그는 1889년 파리 만국 박람회에서 접한 동양과 러시아, 스페인 음악을 접한 드뷔시는 특별히 가멜란의 음악과 스페인 민속 어법을 이 곡에 사용하여 보다 더 이국적인 요소를 통해 인상주의적 표현을 효과적으로 나타내었다. 특히 그는 이국적 요소를 관현악 어법에 있어서도 활용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후에 뒤따르는 라벨, 스트라빈스키, 바르톡, 그리고 메시앙 등의 20세기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주게 된다.

      • 독일과 한국의 다문화사회 비교 연구

        한명화 群山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Die multikulturelle Gesellschaft ist eine wichtige Frage in Korea. Die wachsende Zahl der Einwanderer fordert, dass man die kulturelle Vielfalt noch mehr berücksichtigen sollte. Der Kernpunkt der multikulturellen Gesellschaft ist die Anerkennung der kulturellen Diversität: Menschen, die im Vergleich zu den Menschen in der Mehrheitsgesellschaft anderen Lebenswert und andere Lebensart haben, sollten miteinander respektieren und und integriert werden. Um die rechte multikulturelle Gesellschaft zu gründen, ist das Umdenken in der Mehrheitsgesellschaft dringend erforderlich. Aber das ist möglich, lediglich wenn die allgemeine Stimmung durch Bildungen verändert wird. Deswegen ist es in Südkorea noch nur eine Hoffnung, die später erfüllt werden sollte. Daher liegt der Schwerpunkt auf eine entsprechende Politik der Regierung und eine Systemschaffung zur effektiven Maßnahmenvermittlung, damit Korea sich auf die multikulturelle Gesellschaft vorbereiten kann. Es ist ein Zeitalter, dass in Korea eine Million Menschen aus dem Ausland leben. Wegen der zunehmenden Forderung auf die Anerkennung der kulturellen Vielfältigkeit wurden zwar viele Maßnahmen im Bezug auf Multikulturalismus ergriffen, aber konnte kein wirklicher Erfolg erzielt werden, weil sie den koreanischen Zustand nicht berücksichtigten und lediglich auf die Beispiele im Ausland Rücksicht nahmen. Als Folge kommen verschiedene Probleme bei der Integration vor, weil die dem Zustand der Einwanderer in Südkorea entsprechenden Maßnahmen fehlen. Zurzeit zieht sich der dramatische Anstieg der Menschen, die durch die Heirat in Korea zugewandert sind, die große Aufmerksamkeit. Weil die Förderung dieser Zuwanderer und die Sicherung der Zukunft ihrer Familie im Mittelpunkt bei der aktuellen koreanischen Politik für die multikulturelle Gesellschaft stehen, werden Zuwanderer mit verschiedener Kultur nicht genau berücksichtigt. Außerdem umfasst die Politik alle Betroffenen nicht, sondern begrenzt weiter die Förderungsbedürftige, bedeutet es, dass die koreanische Politik die Assimilation verfolgt, damit die Minderheiten an die Mehrheit verschmelzen. Eine solche Maßnahme kann verstärkte Regulierungen auf die Menschen aus dem Ausland verursachen. Dann kann es passieren, dass Korea unter den gleichen gesellschaftlichen Problemen, die die Industrieländer wie Deutschland bei der Multikulturalisierung erfahren haben, auch leidet. Die Multikulturalität ist ein großer Trend, den Korea nicht verweigern kann. Deshalb ist es vonnöten, wertvolle Maßnahmen zu ergreifen, damit sich die Koreaner der multikulturellen Gesellschaft durch Bildungen noch bewusster werden und eine wirkliche Integration ermöglicht wird. Außerdem muss ein System geschaffen werden, um die Maßnahmen effektiv zu vermitteln.

      • 직장인의 일·가정 갈등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대만 비교 연구

        한명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스트레스 개념인 일 가정 갈등이 직장인의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한국과 대만의 사회문화적, 구조적 요인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2012년 한국의 <삶과 사회에 관한 조사>와 2014년 대만의 <삶과 사회에 대한 인식 조사>를 활용하여 양방향의 갈등과 주관적 건강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였으며, 남녀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과 일 가정 갈등 간의 관계에서 교육수준과 무급노동의 조절효과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양 갈래의 갈등(WIF, FIW)이 건강에 미치는 부적 효과는 한국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일·가정 방해 갈등(WIF)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일·가정 방해 갈 (WIF)의 부적 효과는 무급노동의 조절효과로 인해 한국 남성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만은 양 갈래 갈등과 주관적 건강 간의 부적 상관성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주관적 건강에 대한 모든 변수의 설명력이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 가정 갈등과 주관적 건강 간의 상관관계에 있어 한국과 대만의 차이를 비교한 연구로써, 한국 근로자의 일 가정 갈등이 주관적 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의 사회문화적 조건이 일 가정 갈등과 결과 변수의 간접적 영향 요인임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정책 설계 시 역할 간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남녀 근로자의 인식 제고와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정책의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한 함의를 지닌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onflict(WFC) on the self-reported health of workers based on socio-cultural backgrounds of South Korea and Taiwa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way conflict(Work-to-Family and Family-to-Work conflict) and subjective health was verified by using the 2012 Korea Survey on Life and Society, and Taiwan’s 2014 Survey on the Perception of Life and Society. The adjusting effect of education levels and unpaid lab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rated health of male and female workers and work-family conflict was measured. In the analysis, we found that the adverse health effects of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branch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Korea and that the Work-to-Family conflict was more detrimental. Also, the negative effect of the Work-to-Family conflict on subjective health is larger for Korean men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unpaid labor and the conflict variable. On the other hand, Taiwan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 in both directions and self-reported health,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ll variables on subjective health were found to be relatively less descriptive than Korea. This study compares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aiwa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self-reported health among paid workers, confirming that the conflict between Korean worker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ubjective health status. 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es that the country’s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are the indirect influence factors of the work-family conflict and the resulting variables, and shows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intervene in policy design while considering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enhancing awareness of male and female workers to alleviate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 남북한 국사교과서의 비교분석 : 선사~남북국시대를 중심으로

        한명화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000년 6월 남북 정상회담이 열린 이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남북한간의 교류를 보면서, 통일에 대한 기대와 함께 통일이후에 이루어질 국사교육에 대비하기 위한 과정으로써 남북한 국사교과서를 비교․분석하였다. 비교의 대상이 된 교과서는 6차교육과정에 기초하여 편찬된 남한의 고등학교 『국사(상)』와 같은 시기에 편찬된 북한의 『조선력사(3)』로 선정하였다. 비교․분석의 시기는 선사부터 남북국 시대로 한정하여 남북한의 분열된 민족의식과 동질성을 회복해야 하는 과제와 맥락을 같이해 접근해 보았다. 연구의 내용은 남북한 국사 교과서에 나오는 내용을 모두 다룰 수는 없어 시대구분법에 따라 편성된 내용 중에서도 양쪽이 공통적으로 다루면서 관점이 다르게 서술된 부분에 보다 유의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남북한의 서로 다른 시대구분법에 의한 내용을 선정하는 기준은 남한의 것을 따랐고, 여기에 북한의 교과서 내용을 대비시켜 보았다. 연구의 진행과정은, 첫째, 남북한이 이념과 체제의 차이 때문에 현재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상당한 이질성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에 기초하여 남북한 역사교육의 운영실태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교과의 편제를 살펴보았다. 남한의 국사교과는 통합교과 구성의 움직임에 따라 사회과에 통합되어 독립적이지 못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북한은 각기 교과가 세분화되어 독립적인 교과목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국사를 다시 세분화하여 정치사상과목에 속하는 ‘혁명력사’와 일반과목인 ‘력사’로 분리해서 역사 교과를 이용해 김일성 일가를 중심으로 한 주체사상을 주지시키고자 하는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다음은 각각의 교육목표와 역사관 등 교과서 서술의 기본관점을 다루었다. 『국사(상)』은 체제와 이념을 수호하고 정치권력을 정당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민족주의 사관에 입각하여 서술하고 있다. 『조선력사(3)』에서는 주체사상과 유물사관에 입각하여 노동당이 지향하는 ‘혁명완수’라는 목적에 순응하도록 역사가 서술되고 있었다. 둘째, 남북한 국사 교과서의 학습 안내자 역할을 하는 구성체제와 학습보조자료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문 구성의 기본적인 시대구분을 『국사(상)』에서는 고조선-삼국-통일신라-고려-조선-대한민국으로,『조선력사(3)』에서는 고조선-고구려-발해-고려-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이어지는 국가를 민족의 정통성을 가지고 계승된 것으로 보고 있다.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끌어 효과적인 학습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학습보조자료를 『국사(상)』에서는 비교적 사실성과 역사성을 동시에 느낄수 있도록 사진, 역사지도, 표, 삽화 등으로 다양하게 싣고 있으나 『조선력사(3)』에서는 김일성의 교시, 김정일의 말씀과 손으로 그린듯한 소수의 삽화와 지도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김일성의 교시와 김정일의 말씀은 굵은 고딕체로 선명하게하여 강조하고 있다. 셋째, 남북한 교과서의 내용을 본격적으로 비교․분석한 것으로 단원별 내용구성과 서술상의 특징, 등장인물의 비교, 그리고 주제별 서술내용을 살펴보았다. 『국사(상)』의 단원별 내용구성의 특징은 연대사적인 구조 속에 분류사 중심의 주제를 조합하고 있다. 그러나 『조선력사(3)』에서는 김일성의 ‘교시’와 김정일의 ‘말씀’에 중점을 두어 서술하여 주체사상이 강조되고 있다. 등장인물의 비교에서는 남북한 국사 교과서에 나오면서 연구범위에 해당하는 양쪽의 인물들을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 중에서도 공통적으로 등장하여 상이하게 서술된 인물들만을 선정하여 어떻게 서술하여 인식하고 있는지를 통해 국사 교육의 방향을 가늠해 보았다. 주제별 서술내용에서는 역사해석을 달리하는 사건이나 개념적인 것을 주제로 삼아 이와 관련된 내용만을 추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북한의 국사교과서는 모두 1종의 편찬으로 내용 선정에서 사상적이고 체제 지향적인 편향성을 가지고 있었다. 『국사(상)』은 교과서로서의 형식은 짜임새있게 구성되었으나 내용면에서는 양이 많고 어려워 학습시에는 교사나 참고서의 도움이 필요할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조선력사(3)』은 형식은 미비하였으나 평이하고 현장감있는 서술로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했다.

      • 차이코프스키변주곡 OP. 19, NO. 6에 대한 분석 : 차이코프스키의 피아노음악을 중심으로

        한명화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8 국내석사

        RANK : 247631

        Note so much space is allocated for the Tchaikovsky's "Piano music" in most of the books velated with his music. Now I summerize here with some conclusions reached naturally in the course of analysing variation Op. 19, No. 6 chosen for the purpose of studing his piano music which has been treated less important than Tchaikovsky's symphony and his ballet music. Firstly, We can estimate his capability as a composer through the variation which belongs to the work of his comparativelly earlier days. Tchaikovsky had chosen the style of variation, one of classical styles, and been showing Russian lyricism in his own music world from those earlier days. This shows that his music world had been building up the direction of his own music already at that time and also that the his various musical contents had been mostly based on each of his variations. Secondly, most of Tchaikovsky's piano musics are classified as saloon music. This variation also can be classified so considering the points that Russian folk themes, though being short and simple, were used to be same with other works, that there were rhythm feeling of slab mood in every variation, that his indivisuality was strongly expressed, that those variations were tried not to be bound with any special formats and that scales not so large Thirdly, Tchaikovsky composed piano concerto No. 1 after this variation written. Since then there had been a tendency following west European music in his music. Viewing this variations from various stand point, he seems to have accepted music form of variation and have obeyed what had been required by that form. It's thought to be rlated with his music following west European tendencies since then. It can not be a corret way in understanding Tchaikovsky's music to study only some of his famous works. Real phases of his music can be appreciated only through discovering, playing and analysing continuously his works which have not been touched so often up to now. I trust, in this sense, this treatise played some roles in that and hope other Tchaikovsky's musices not widely known to be any one's continuing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