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탈중심적 주체의 영상적 형상화 연구 : 중국 6세대 영화를 중심으로

        한달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90년대 이후 새로운 문화의 흐름을 가져온 중국 6세대 영화는 전통적 주체가 균열되고 새로운 주체가 등장하면서 탈중심적 주체의 양상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기존 세대와는 다른 탈중심적 주체로 형성되어 왔음을 밝히고자, 6세대 영화를 통해 어떠한 주체의 관점으로 영상적 형상화가 이어지는지 영화적 함의를 통해 고찰하였다. 6세대는 1989년 천안문운동을 경험한 세대로 침체되었던 중국영화를 부활시키며 국가의 정책에 부합하는 작품을 제작해온 5세대 영화, 그리고 주선율 영화의 반대 노선에서 출발하고 있다. 그들은 창작의 제약으로 인하여 제도권을 벗어나 독립적인 제작을 하였고, 국가가 금기시하는 소재로 가감 없이 드러내며 영화 속에 저항의 의지를 표현하거나, 중국인들의 삶을 통해 들추어내고 싶지 않은 일그러진 부분까지 사실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정부의 억압이나 제재가 가해진다. 그러나 중국 본토의 상영이 어려운 조건에서도 관객들과 만나려는 의지로 인하여 해외 영화제를 통해 소개되었고, 기존 5세대나 다른 중국영화에서 접할 수 없는 ‘다르다’는 평가와 함께 주목받으며 국제영화제의 수상행렬이 계속된다. 6세대 영화의 ‘다르다’라는 의미는 주체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5세대와 주선율 영화가 지향해왔던 것과 다르기 때문이다. 이는 아버지의 권위에 어떠한 저항이나 도전도 용납하지 않는 전통적 주체로서의 굳건한 모습을 벗어던지고, 아버지의 권위가 상실되어 전통적 주체가 균열되면서 본질적인 중국인들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있어서이다. 이와 같이 6세대는 그동안 측면에 배제되었던 주변부 인물들이 억압받고 불쾌하며 일그러지는 등의 불안한 삶의 이야기를 통해, 중심으로 옮겨와서 감독의 특성에 따라, 그들이 고뇌하는 본래적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탈중심적 주체의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다. 6세대가 영화를 통해 표현하고자 했던 의미는 탈중심적 주체의 관점에서 보는 표현양상에 따라 크게 ‘부권의 변화에 따른 주체’, ‘내면화된 주체’, 그리고 ‘저항적 주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부권의 변화에 따른 주체’는 그동안 소외받았던 주변부의 주체가 영화의 중심에 등장하면서 부권에 밀려있던 여성이 가부장의 위치를 대신하거나, 전통을 지키고자 했던 아버지가 세월의 흐름 속에 사라지고 밀려나면서 아들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갈등 과정 속에 주변부의 삶에 내재된 은폐된 감정들이 우울하고 불안한 감정들로 드러나게 된다. ‘내면화된 주체’는 사회와 가족의 기억을 담지하게 된다. 주체의 형성은 자신이 아닌 타자에 의해 형성되므로, 사회와 가족의 갈등이나 억압이 개인에게 이전되어 온 영향에 의해 개인적 자아가 충돌하면서 내적갈등이 나타나게 된다. 그것은 봉인되었던 역사의 기억이 환기되면서 역사와 현실의 차이를 통해 나타나기도 하며 그것에 대항하여 저항하기도 하지만, 내면의 본래적 자아를 들여다보면서 내면화된 주체를 통해 실존의 의미를 더욱 깊게 들여다보게 해준다. 그리고 ‘저항적 주체’는 금기시된 것을 환기시키면서 그들의 일상이나 억압으로부터 일탈이나 저항하려는 의지가 표출된다. 이는 권력의 구조가 인물과 공간을 감시의 시선으로 포착하여 주체의 저항적 심리를 드러내게 된다. 그러나 이상에 대한 간극이 발생하면서 내면적 자아의 욕망은 실패하고 대체되었던 다른 욕망이 반복되지만, 현실에 저항하고 욕망하는 일탈은 성취하지 못한 욕망에 의해 현실에서 방황하는 주체를 발견하게 된다. 이처럼 새로운 주체로 등장한 탈중심적 주체의 양상은 억압과 감시 속에 영화를 제작하는 6세대의 현실과 닮아있으며, 변화하는 사회 속에 삶의 본질에 대한 탐구를 6세대를 통해 환기시킴은 물론, 우울한 일상과 아름답지 않은 화면으로 가득 채우고 있지만, 진정성이 보이는 진실한 아름다움의 표현으로 인하여 내면에 은폐되었던 본래적 가치를 형상화 하고 있는 의지로 드러난다. Since 1990’s, the sixth generation’s Chinese film, which brought new culture’s movement, was represented an aspect of the decentralization subject as breached traditional subject and appearing new subject. Therefore, this thesis reveals that they formed different decentralization subject from the other generations. Also, it considers through filmic hidden meaning that the screen encapsulating follows what subject’s viewpoint as the sixth generation’s film. The sixth generation made a revival of Chinese film which was in a slump through Tiananmen Square protests in 1989, also starts from the negative side of the mainstream(zhu xuan Lu) film and the fifth generation’s film which works were matched with national policy. They made independent produce escape from a systemic power as creative restrictions, and represented the resistance’s will without addition and reduction of national taboo’s material in film. They presented realistically even Chinese’s lives that people desire not uncovered their distorted lives; therefore the government took sanction and restraint from them. However, it could be introduced by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s their strong will even in difficult condition on China’sscreen. In addition,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ward was following continuous and they had a remarkable attention that they had a high valuation with ‘different’ from the fifth generation and even other Chinese films. The sixth generation film’s ‘different’ meaning as a subject’s viewpoint is caused by different from the fifth generation and the mainstream(zhu xuan Lu) film’s aim. It shifted the strong-minded aspect as traditional subject which would not permit any resistance or challenge of a father’s authority. Accordingly, it could look into Chinese’s inside at root as a father’s authority was lost and the traditional subject was destroyed. Consequently, the sixth generation represented a decentralization subject’s aspect as focusing on original meaning of people’s distress, as director’s characteristic through unstable life’s story; the surrounding people, who were excluded from the other side, felt repression, displeasure and etc. The meaning the sixth generation desire to express through film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as expressive aspect on the viewpoint of the decentralization subject; ‘the subject as paternal authority’s change’, ‘internalized subject’ and ‘resistant subject’. First of all, ‘the subject as paternal authority’s change’ takes the place of a matriarch as estranged surrounding’s subject appears on film’s center, also as time goes a son takes a father’s place who desires keeping tradition. In these difficulties, concealed emotion that inherent in surrounding’s life appears by depressed and apprehensive emotion. Secondly, ‘internalized subject’ carries society and family’s memory. The subject’s formation is made by the others not one’s own. Therefore, internal troubles from a conflict of personal ego by an influence which moved from society and family’s difficulties and oppression to an individual become to appear.It represented through a difference between history and reality as an awakening of the sealed history’s memory, even against and resist on it. However, it makes to look carefully into existence’s meaning through internal subject with watching original ego of the inside. Finally, ‘resistant subject’ was awakening taboos and was expressed volition to deviate or resist from their daily and repression. It was became known resistant psychology of the subject that authority’s structure captures character and space by guard eyes. Although different desire which internal ego’s desire was failed and replaced was repeated, resisted and desired deviation in reality discovered wandering subject on reality by no achieved desire. The decentralization subject’s aspect as appearing a new subject resembled the sixth generation’s reality that produces film in repression and guard, additionally through the sixth generation it refreshed research about life’s essence in a changing society. Truth beauty’s expression, that was shown the truth in depressed daily and not beautiful screen, appeared the will as a figure of concealed fundamental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