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설화에 나타난 동굴의 상징성

        한기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traditional tales contain the people''s worldwide perspectives and desires. In this thesis, the cave is one of the spatial elements, embodying the people''s awareness through the symbolic reflection because it is not the space for their daily life. Therefore, this thesis divides the cave into several parts structurally and studies on the people''s symbolic worldwide perspectives, The cave can be divided into two of a ground cave of horizontal position and a underground cave of vertical position including wells. The ground cave is found out in myth while the underground cave is mentioned in the tales and folk-tales. In Dangun mythology(단군신화), Chaeseokbonpuri(제석본풀이), the ground cave is found and in Jihadaijeoktoichi(지하대적퇴치) and the Underground world(땅 밑의 세상) ground cave. The symbolism of the ground and underground caves can be classified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 protagonist''s own volition or not and there are the process into the cave and the rite of passage or not. First, examined in the aspect of the protagonist''s own volition, the ground caves in Dangun mythology and Chaeseokbonpuri are space that the protagonists are compelled to go into by force. They are taken as a divine being by the people when they come out of the cave after going through hardships. However, the caves in Jihadaijeoktoichi and the Underground world are space that the protagonists go into voluntarily, not by another person''s will. So the protagonists are not considered as divine being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te of passage can be examined depending on whether there are the hardships and fighting in the cave or not. The caves in Dangun mythology, Chaeseokbonpuri are the space for hardships and the one in Jihadaijeoktoichi is the space for fighting. Only when they overcome the difficulties, the protagonists can get through the rite of passage. On the other hand, the cave in Underground world is not space for the rite of passage because it does not have the process of hardships and fighting. Furthermore, the tale of the underground cave shows the readers'' view of the world. The readers enjoying the tales of the underground cave did not view the underground world as the space of darkness into death. They believed that like the upperworld, the underground world also has sunlight, wells, willows, and tile-roofed houses. If the protagonist goes into the underground cave to repulse the antagonist, there will be not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ground and underground world while there is a time difference between two worlds when the protagonist goes down to the underground cave to appease his curiosity. The readers quite understood that the underground cave and well are connected by the Sea King''s Palace, and from here they could come and go easily to the sea or another country. The ground and underground caves above mentioned are believed not to be discontinued as just the tales of the past but to be continued as the modern cave motif, adding the symbolic meaning to the literary works. Key words : cave-motif, ground cave, underground cave, a well, one''s own will, another person''s will, Rite of passage, hardships, fighting, curiosity, continuation of the literature 설화는 민중의 세계관과 희구가 담겨 있다. 본고에서 논하는 동굴은 설화의 공간적 요소 중 하나로, 일상의 공간이 아닌 까닭에 그러한 민중의 의식이 상징적 투영을 통해 형상화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동굴을 구조에 따라 몇 가지로 나누고, 그에 나타난 민중의 상징적 세계관을 알아보고자 한다. 동굴은 인간이 사는 지상을 기점으로 수평적 위치에 있는 지상 동굴과 수직적 위치에 있는 지하 동굴로 나눌 수 있다. 물론 지하 동굴에는 우물도 포함된다. 신화에서는 지상 동굴의 모습이 나타나는 반면에 전설과 민담에서는 지하 동굴의 모습이 나타난다. 즉 〈단군신화〉와 〈제석본풀이〉에는 지상 동굴이, 〈지하대적퇴치〉와 〈땅 밑의 세상〉에는 지하 동굴이 나타난다. 지상 동굴과 지하 동굴의 상징성은 두 가지 측면 즉 주인공의 자발성 유무, 동굴에 들어가는 과정과 통과제의 유무(有無)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동굴에 들어가는 자발성 측면을 살펴보면, 〈단군신화〉와 〈제석본풀이〉의 지상 동굴은 주인공이 스스로 원해서 들어가는 공간이 아니라 자신보다 강한 존재에 의해 타의적으로 들어가는 공간이다. 주인공은 그곳에서 어렵고 힘든 시간을 보내다 지상 동굴 밖으로 나왔을 때 이전의 모습과는 다른 신적인 존재로 인정받게 된다. 하지만 〈지하대적퇴치〉와 〈땅 밑의 세상〉의 지하 동굴은 주인공이 타의에 의해 지하 동굴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 의사로 들어가는 공간이다. 그러므로 지하 동굴의 주인공은 신적인 존재가 되지 못한다. 둘째 동굴 속에서의 고난이나 투쟁 과정의 유무로 통과제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단군신화〉, 〈제석본풀이〉의 동굴은 고난의 공간이며, 〈지하대적퇴치〉의 동굴은 투쟁 공간이다. 이를 극복해야만 주인공은 통과제의 과정을 마칠 수 있다. 하지만 〈땅 밑의 세상〉에서는 고난이나 투쟁의 과정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통과제의 공간으로 파악할 수 없다. 더 나아가 지하 동굴에 대한 설화 향유층의 세계관도 살펴볼 수 있다. 지하 동굴 이야기를 즐긴 사람들은 지하 세계가 죽음과 연결된 공간으로 암흑의 세계라는 인식을 하지 않았다. 그들은 지하 세계 또한 지상 세계와 똑같이 햇빛, 우물, 버드나무, 기와집 등이 존재한다고 믿었다. 하지만 주인공이 지하 대적을 물리치기 위해 지하 동굴에 들어간 경우는 지상과 지하 사이의 시간차가 드러나지 않는 반면에 주인공이 호기심으로 지하 동굴에 들어간 경우 지상과 지하의 시간 차이가 난다 또한 지하 동굴과 우물은 바다(용궁)로 이어져 있어 이곳을 통하면 쉽게 바다나 다른 나라로 이동할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상과 같은 지상 동굴과 지하 동굴은 과거의 이야기로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현대에도 ‘동굴 모티프’로 이어져 문학의 상징적 의미를 더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 Antioxidant Effect of Thioredoxin from Halobacterium salinarum

        한기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Halobacterium salinarum, an extremely halophilic archaeon, grows in the environment containing more than 25% NaCl. The enzymes and proteins from this archaea organism have thus been adapted to be active and stable in the hyper-salt and hyper-oxidation stress conditions. Among these enzymes thioredoxin, a family of redox proteins, is a small, heat stable, redox-active ubiquitous protein that participates in various intracellular redox reactions.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is protein has around the redox active disulfide bond, it seems to be highly conserved. Therefore, they are important factors in regulation of oxidative stress by the interaction with target proteins. To analyz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novel Archaeon Thioredoxin (ArcTRX),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by in vivo H2O2 tolerance bioassay into complementary mutant E. coli system and in vitro MCO (Metal-Catalyzed oxidation) assay with pUC18 DNA. In addition, the antioxidant effect of ArcTRX on skin damage by ROS, in the enhancement of oxidative system with human keratinocyte cell line HaCaT. In this result, ArcTRX did not show the toxicity to E. coli system and represent complementary in 0.5 mM of H2O2. Supercoiled DNA is prone to nicking when exposed to oxidative radicals such as those generated by the MCO system. One hundred ㎍/㎖ of ArcTRX showed the protection effect on DNA nicking. ArcTRX correlates with skin damage, such as ROS. Ten ㎍/㎖ ArcTRX enhanced ROS reduction at 1 mM H2O2 treatment. In this presentation we demonstrate that ArcTRX is able to reduce ROS production, which may b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malignant skin tumors. This study may provide potential to the application of ArcTRX in industrial utilization materials.

      • 수학 7-가 '일차방정식의 활용'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유형 분석 및 교정

        한기연 순천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analyzed problems in 'Practical use of linear equation' chapter classified into each type, through problem solving abilities test papers, investigated the attainment of 1st graded students in middle school for each type and error types of students for each type in the prcess of solving problems, finally performed person-to-person interview with selected 3 students and investigated how errors corrected that students had.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tion is obtained. First, 1st graded students in middle school suffers from solving problems about proportaion in 7-! 'Practical use of linear equation' chapter. Second, students ten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instrumentally not relationally. Third, Most students suffers from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sentence in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in 'Practical use of linear equation' and expressing it as mathematical symbols. Fourth, when students understand the meaning of sentence but not establish the equation, the effective way to teach is to make students establish word formula and then the equation later. Fifth, Appropriate questions and examples that can lead students' cognitive thoughts can make students correct errors by themselves.

      • 유아교사 교육의 음악 교과과정 실태조사 : 서울시 소재 대학을 중심으로

        한기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다수의 유아교육기관에서 음악은 다양한 구성을 통해 수업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음악활동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질이 중요한 부분이며 교사의 바람직한 음악적 자질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부터 음악교육이 충실히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 교사를 배출하고 있는 유아교사교육기관의 음악교과과정에 대한 연구로서 음악교과과정의 내용 및 실태를 파악하고 나아가 유아교사의 바람직한 음악적 자질 개선을 위한 음악교과과정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에 서울시 소재 4년제 대학교 5개교와 2년제 대학 6개교, 유아교육과와 유아교육 관련학과 4개교로 총 15개교를 대상으로 음악 교과과정의 비중 및 내용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4년제 대학교 및 2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에서 개설된 음악교과는 총 18과목이었지만 그 내용은 아동활동관계교과, 유아음악교육관계교과, 실기관계교과, 국악교과로 분류되어진다. 아동활동관계교과 8개, 유아음악교육관계교과 4개, 실기관계교과 5개, 국악교과 1개로 나타나 아동활동관계교과가 가장 많은 수의 교과로 나타났다. 둘째, 4년제 대학교와 2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의 전공 총 학점에 대한 음악 교과의 비중에 있어서는 4년제 대학교가 9.6%, 2년제 대학이 13.1%로 2년제 대학의 비중이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전공 총학점이 다르게 제시되므로 통계적 검증을 실시한 결과 음악 교과 학점에 있어서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셋째, 학점상의 비율로 분석하였을 때 실기과목이 41학점(4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실기관계교과를 살펴보면 1개교를 제외한 모든 대학에서 피아노 위주의 반주법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5개교에서는 실기관련교과가 음악교과 총 학점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높은 비중을 나타내기도 하였으며, 각 학교간에 학점차이도 크게 보이고 있었다. 넷째, 국악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대학은 1개교에 미쳤으며 2학점을 차지하고 있었다. 다섯째, 유아교육 관련학과는 아동학과, 아동가족학과로 서울시 소재인 대학은 총 4개교가 있었다. 음악교과는 3개교에 각 한 과목씩 개설되어 있었으며, 나머지 1개교에는 전혀 개설되지 않아 유아교육과에 비해 절대적으로 그 수가 적음을 알 수 있다. 음악 관련교과로는 아동음악과 율동, 아동예술이 있으며 아동예술 교과에서는 음악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예술활동을 포함하므로 음악의 비중이 매우 적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유아교사 교육기관의 음악교과과정은 실기관계교과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었다. 따라서 다른 음악관계교과의 보충 및 내실화가 필요하다. 또한 세계화 속의 우리나라의 정체성을 기르기 위해 유아에게 국악교육을 시킨다는 취지에서 실시된 국악교과는 모든 학교로의 확장이 바람직하다. Many education facilities for children put the highest priority on giving music classes because music is a part of each child's life, helps improve the joy of expression and eventually contributes to raising the child into an all-rounded person. To provide high quality music education for children,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have an ample knowledge of mu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usic curriculum, which can enhance the musical ability of kindergarten teachers. This was done by studying the current status of music programs given to future kindergarten teachers.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current music program of fifteen facilities, including five universities and six colleges which operate departm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located in Seoul, and four other universities that have programs related to childhood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se universities and colleges use 18 different titles for childhood music programs. Programs on children's activities, on children's music education, on the practice of music and on Korean classical music accounted for 8, 4, 5 and 1 different titles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schools put most importance on programs for children's activities. Second, in giving credits to students majoring in childhood education, two colleges gave higher priorities to the music curriculum. Actually,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erms of credits given to the music programs. Third, the practice of music took up to 46% of the music program. Almost all the schools, except one, provides instrumental education only on the piano. Five facilities gave the highest percentage of credits to the practice of music. There were big differences on credit awarding for this program. Forth, only one school was providing education on Korean classical music, with two credits. Fifth, in the departments related to the childhood education compared with programs on childhood activities and childhood art, they put less importance on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s on childhood music education mostly consist of childhood music, while programs on childhood art include not only music but also general art activ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an see the necessity of various and concrete curriculae on the practice of music, for example, by providing education on various instruments as well as the piano. Moreover, education on Korean classical music should be expanded throughout all schools.

      •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평생교육프로그램 운영 요구 분석 : 음성군을 중심으로

        한기연 한국교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결혼이주여성들과 평생교육기관 운영자들의 요구분석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탐색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네 가지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의 생활양식은 어떠한가? 둘째, 결혼이주여성들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결혼이주여성들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넷째, 평생교육기관 운영자들의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이 연구에서는 음성군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132명과 결혼이주여성 평생교육기관 운영자 2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구분석에 대한 질문지는 선행연구들에서 사용된 설문내용을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제작하였다. 예비조사를 거쳐 최종질문지를 제작하였다. 2017년 6월 7일부터 7월 30일까지 음성군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주민자치센터, 각 평생교육기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 중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는 설문조사를, 평생교육기관 운영자들을 대상으로는 면담을 실시하고 연구자가 대신 기입하였다. 회수된 설문지에 대해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전체적인 반응의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전개한 다음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은 자녀 양육과정에서의 어려움으로는 돌볼 사람이 없음이 62.1%, 사교육비 및 양육비용이 22.7%로 나타났으며, 자녀교육에서의 애로사항으로 이중문화로 인한 정체성의 혼란이 77.3%, 사교육비가 11.4%로 나타났다. 취약계층인 결혼이주여성의 경제적 자립 지원과 지역사회 내 일자리 연계를 통해 다문화 가족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취업후 직장에 지원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는 있으나, 결혼이주여성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되었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참여하게 된 계기는 남편이나 주변사람 소개 46.9%, 문자메시지 28.8%, 가정통신문 10.6% 등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들이 참여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유형에서는 한국어교육 (93.2%), 출산 및 자녀양육 프로그램(14.4%)으로 나타났으며, 참여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은 한국 생활의 기본으로 정착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으므로 결혼이주여성들이 초기 정착 지원을 위한 한국어교육이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현재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 사항으로는 교육시간 부족(53.0%), 홍보를 통한 참여자 모집(15.9%), 훌륭한 강사 초빙(12.9%)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해 가장 필요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유형에서 한국어교육(6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교육 프로그램(11.3%), 자녀와의 의사소통교육 프로그램(6.1%)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적절한 운영방법에 대해서는 기관에 직접 방문하여 받는 교육(71.2%), 가정방문교육(20.5%), 사이버교육(8.3%)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들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의 참여 욕구가 높으며 자격증 취득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높기 때문에, 다양한 요구를 반영한 수요자 중심의 결혼이주여성 대상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적극 개발되고 활용되어야 한다. 넷째,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해 중점적으로 운영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유형은 한국어교육(73.9%)이 가장 많았으며, 배우자 및 가족교육(26.1%), 직업교육(21.7%), 자녀교육(21.1%)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평생교육기관이 수행해야 할 역할은 프로그램의 지속적 운영(69.6%), 기관의 충분한 예산과 시설 확충(21.7%)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초기에는 정착지원을 위한 교육인 한국어, 컴퓨터, 운전면허교육에 집중되어 왔지만 이제부터는 프로그램 담장자 및 강사들의 역량강화 등 질적인 변화를 시도해야 하며, 결혼이주여성 대상 평생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행·재정적 지원이 보다 강화되어야 한다.

      •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발명 영재 프로그램 개발

        한기연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 영재교육은 양적인 발전을 넘어서서 질적 발전을 꾀하고 있다. 영재교육의 영역 역시 수학과 과학 등에 머물러있지 않고 발명, 정보, 인문 등으로 확장되고 있다. 발명 역시 과학영재와의 차별성을 두고 본연의 정체성을 확보해가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각종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발명은 창의력과 실용성 등등 다양한 분야의 연결과 조합이 중요한 분야로 교육 프로그램 역시 다양한 전략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발명영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초 연구를 진행한 뒤 시사점을 추출하여 일반화하는 데 있다. 비주얼 씽킹은 시각적인 생각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형, 기호, 색상들을 활용하여 생각과 정보를 그림과 텍스트로 기록하는 시각적 사고방법이다. 이를 활용한 발명교육과 발명영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경우 ‘관찰?표현능력’, ‘과학적 탐구능력’, ‘창의성’에 중점을 두어야 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발명영재 프로그램과 수업 지도안을 개발할 수 있었다. 관찰?표력능력 향상에 적합한 발명 영재 프로그램에는 ‘불편한 점 4컷 만화 그려보기’와 ‘TRIZ 예시 그리기’, 과학적 탐구 능력 향상에 적합한 발명영재 프로그램에는 ‘키프리스 검색방법 그림으로 그리기’, ‘기성원매 아이디어 검증표 그리기’, 창의력 향상으로 ‘부분에서 전체로 그리는 발명 퀴즈’, ‘작품계획서를 비주얼 씽킹으로’ 등을 개발하였다. 후속 연구로는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발명영재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과 확대, 발명영재의 특성에 적합한 발상 전략 및 사고 전략에 대한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 Exogenous thioredoxin reduces lipid accumulation under inflammatory-induced conditions

        한기연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4 국내박사

        RANK : 248623

        Redox-regulating molecule, recombinant human thioredoxin (rhTRX) which show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against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inflammation and regulate protein expression levels. LPS-induced reactive oxygen intermediates (ROI) and NO production were inhibited by exogenous rhTRX. In this study identified up/down-regulated intracellular proteins under the LPS-treated condition in exogenous rhTRX-treated A375 cells compared with non-LPS-treated cells via 2-DE proteomic analysis. Also, cytokines were quantitatively measured in in vivo mouse inflammation models using cytometry bead array. Exogenous rhTRX inhibited LPS-stimulated production of ROI and NO levels. TIP47 and ATP synthase may influence the inflammation-related lipid accumulation by affecting lipid metabolism. The modulation of skin redox environments during inflammation is most likely to prevent alterations in lipid metabolism through up-regulation of TIP47 and ATP synthase and down-regula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exogenous rhTRX has anti-inflammatory properties and intracellular regulatory activity in vivo and in vitro. Monitoring of LPS-stimulated pro-inflammatory conditions treated with rhTRX in A375 cells could be useful for diagnosis and follow-up of inflammation reduction related with candidate proteins. These results have a therapeutic role in skin inflammation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