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눌의 수증론(修證論) 연구

        한경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dissertation argues that The core idea of ​​East Asian Buddhism,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became the basis for Seon-Gyo Congruence Theory(禪敎一致), as well as for the coincidence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and Koan Meditaion(看話禪) in the thought of the influential Korean Buddhist monk, Chinul(普照知訥1158-1210). Furthermore, it aims to reveal that the Tathagata-garbha thought can contribute to eliminating discrimination due to methodological differences within Zen and conflicts between Buddhist sects. Ultimately, Chinul's meditative theory based on Tathāgata-garbha Thought is to show that if you get rid of defilements, you will have a pure and peaceful mind. In this way, it can help reduce the anguish of modern people who suffer from gender discrimination, poverty, social and economic disparities, and hierarchical inequality. Before examining Chinul's thought, this thesis considered the development of Tathagata's thought.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is inherent in the doctrine of Non-self and Dependent origination(無我緣起論) of early Buddhism. What meditators meet through sincere and continuous practice of Hwanmyeolmun(還滅門) of dependent-origination is Tathāgata-garbha or Jajeong Cheongjeongsim(自性淸淨心). When we figure out tathāgata-garbha thought in connection with Hwanmyeolmun(還滅門) of dependent-origination, which is the gate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abode of Nirvana, it can secure the proper position that inherits the theory of non-self and dependent-origination which is said Buddha himself taught. Essay papers related to tathāgata-garbha thought such as Ratnagotravibhāga(『寶性論』), Buddha Nature Treatise(『佛性論』), and Awakening of Faith(『大乘起信論』) consistently emphasized its truthfulness of the Śūnyatā(空性). They also argued that by combining their thought and the practice of meditation of the Yogacara, the practitioner can be transformed into the Dharmakāya(法身). According to the theory of Tathagata-garbha, it encompasses Three-Natures of Consciousness-only. Ratnagotravibhāga(『寶性論』), Buddha Nature Treatise(『佛性論』) tried to combine the practice of theory of Yogacara school with their thought. Wonhyo emphasized the 性自神解, A Divine thought, of the Original Awakening(本覺), which also influenced the public domains of chongmil(宗密) and chinul(知訥). In Goryeo Society when Chinul lived, there was a conflict between Seon and Gyou about who is superior. Chinul insisted that Seon and Gyo have the same realizaion on the Buddha-nature or tathāgata-garbha, and saw that both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and Ganwhaseon were aware of enlightenment at the equivalent level because they are based on the Buddha-nature thought likewise. To end the conflict between Seon and Gyo that was prevalent in Goryeo Society, he has a strategy on using the Buddha-nature thought in 『新華嚴經論』by Li Tongxuan(李通玄, 635-730, Tang). In Chinul’s practice system, Seon-Gyo Congruenc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unification of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and Ganwhaseon. If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isn’t integrated with Ganwhaseon, Seon-Gyo Congruence doesn’t come true. When Ganwhaseon is coincided with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Seon-Gyo Congruence without excluding Ganwhaseon is completed. Chinul thought what is essential to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and Ganwhaseon is no-thought(無念) or non-conceptualization, which is inherited from Huineng( 慧能, 638-713), the Sixth Patriarch and the Awakening of Faith. The mind with the state of‘no-thoght’is the ultimately clean, true and unchangeable mind in itself(自性淸淨心), or Buddha-nature. Meanwhile, Seongcheol(性徹, 1912-1993) who is the excellent monk in modern Korean Buddhism, sharply criticized Chinul. He insisted that deciples have to get rid of the fine delusions in the ālayavijñāna to accomplish sudden awakening(頓悟) in Seon. But Chinul's sudden awakening is the no-thought practice(無念修) that has been passed down from Huineng(惠能, 638~713). Seongcheol claimed that Chinul made sudden awakening so easy, and lowered the level of enlightenment of Seon. But I do not think Chinul lowered the level of enlightenment, but rather that Seongcheol raised the level of enlightenment too much. Since Seongcheol's sudden awakening is the ultimate stage, it is difficult for ordinary deciples to achieve. Seongcheol tried to exclude Chinul's ideas while supporting the orthodox doctrine of the Imjejong(臨濟宗). But internally, the Korean Buddhism has continued the practice tradition of superiority in Ganhwaseon on the basis of Chinul's ideological foundation. This situation is very contradictory. This paper argues that Korean Buddhism, placed in such a double situation, should be transformed into an integrated structure including various Korean denominations. And if I set one more small goal, it is hoped that Chinul's meditative theory will comfort ordinary people today. 본 연구는 동아시아 불교의 핵심적 사상인 여래장사상이 한국의 지눌에게서 선교일치와 돈오점수-간화선 돈오의 일치의 근간이 되었음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여래장사상이 선 안에서의 방법론의 차이에 따른 차별과 불교 내의 종파 간 갈등을 제거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여래장사상을 바탕으로 한 지눌의 수행론은 번뇌를 제거하면 곧 여래장이며 본래의 깨끗하고 평안한 마음이라는 점을 알림으로써, 남녀, 피아, 빈부, 계층적 차이 등으로 인해 괴로워하는 현대인의 번뇌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선과 교 사이의 종파적 대립이 심했던 고려 말의 상황에서 지눌은 둘 사이의 분열을 멈추게 하고자 선교일치를 지향하였다. 또한 범부에게 가장 알맞은 수행론을 탐구하여 돈오점수와 간화선 수증론을 연구하고 소개하였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지눌이 사마타(止)와 위빠싸나(觀)를 닦는 정혜쌍수의 돈오점수론에서 간화선으로 사상적 전회를 하였거나, 교학을 버리고 선에 들어가는 사교입선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볼 때 지눌의 불교관에 모순이 있다는 견해들이 있었다. 이에 대해 본고는 지눌이 선과 화엄의 기반이 되는 여래장사상을 통해 두 종파가 일치될 수 있다고 보고 선교일치를 수행하였으며, 돈오점수의 돈오와 간화선의 돈오도 같은 여래장의 깨달음이므로 어느 것이 더 높지 않고 서로 일치할 수 있다고 보았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제까지 돈오점수와 간화선을 어떤 관계로 볼 것인가는 지눌을 어떤 사상가로 규정지을지 결정하는 중요한 논쟁점이 되었다. 돈오점수의 돈오는 여래지(如來智)의 작용으로 생각이 무상하게 바뀌며 실체가 없다는 것을 깨닫는 『대승기신론』의 상사각과 통하며, 간화선의 돈오 역시 여래장의 일견(一見)으로서 수행자는 돈오 후에도 지속적인 점수의 과정을 거쳐 진정한 붓다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지눌의 돈오점수론은 고려에서 조선,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불교의 내적인 토대로서 역할을 해 왔다. 지눌 사상을 현대적으로 이해하려는 여러 시도들 중 하나로서, 성철스님은 지눌의 수증론을 간화선의 입장에서 비판하고 한국불교의 법맥은 임제태고법통에 있음을 주장하였다. 성철은 간화선의 돈오가 제8식의 미세망념까지 모두 없애는 것이며, 지눌이 낮은 수준의 돈오로 선의 깨달음의 수준을 낮추었다고 비판하였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육조혜능의 어록과 『대승기신론』을 따라 무념수를 지향했던 지눌이 돈오의 수준을 낮춘 것이라기보다는, 성철이 선종의 돈오의 수준을 지나치게 높인 것으로 보고 있다. 성철은 대외적으로 임제태고법통설을 지지하면서 지눌의 사상을 배제하려 하였지만, 한국불교는 내적으로 지눌의 사상적 기반 위에서 간화선 우위의 선교겸수전통을 이어왔다. 본고는 이러한 이중적 상황에 놓인 한국불교가 지눌의 사상을 보다 종합적으로 이해함으로써, 간화선과 선교일치의 전통을 통합적인 구조로 변화시켜 나가야 한다고 보았다. 원효, 지눌, 의상 등을 포함한 자국의 자생적인 연구와 수행론들을 다양하게 존중하고 포함시킴으로써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새롭게 수립하여야 할 것으로 보았다.

      • 노인의 영적 안녕감 증진과 죽음불안 감소를 위한 기독교상담 방안

        한경옥 성결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노인의 영적 안녕감 증진과 죽음불안 감소를 위한 기독교상담 방안을 분석하고 고찰함으로써 죽음 앞에서 두려워하는 노인에게 영적 안녕감을 확립하고 죽음불안을 완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영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신체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 또한 사회적 요인과 종교적 요인이 있으며 이들은 상호작용을 한다. 또한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심리 사회학적 요인 등이 있으며, 사회활동 요인으로 종교활동과 여가활동이 있다. 연구 에 의하면 노인의 영적 안녕감이 클수록 죽음불안의 정도가 완화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기독교상담자는 노인의 영적 안녕감 증진과 죽음불안 감소를 위해 하나님과의 수직적 관계와 더불어 자신, 이웃, 환경과의 수평적 관계에서 조화로운 상호관계를 이룰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의 영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기독교상담 방안을 본 연구자는 믿음 요인, 소망 요인, 사랑 요인으로 보았다. ‘믿음 요인’은 기독교 신학의 핵심으로써 기독교 신앙의 유무와 신앙의 성숙도가 영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소망 요인’은 하나님이 지금 현재 이곳에 나와 함께 계시다는 것을 알고, 현재뿐만 아니라 죽음 이후에라도 나와 동행하신다는 것을 믿을 때 가능하다. ‘사랑 요인’은 하나님의 본성이고 예수 그리스도의 실체이며, 성령의 열매로써 기독교의 중심이다. 기독교상담자는 영적으로 평안하지 못한 내담자가 기도함으로 평안을 얻게 하며, 하나님의 사랑으로 죄용서의 은혜를 체험하게 함으로써 죽음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노인의 죽음불안 감소를 위한 기독교상담 방안으로써의 중요한 요인도 역시 믿음 요인, 소망 요인, 사랑 요인으로 보았다. 기독교상담자는 ‘믿음 요인’의 성장을 촉진하는 접근을 통해서 내담자의 죽음불안을 감소하는데 기여할 수가 있다. ‘소망 요인’은 하나님께서 죽음 이후의 삶을 보장한다는 미래의 전망이기 때문에 노인의 죽음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사랑 요인’ 역시 노인의 죽음불안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자는 믿음 요인과 소망 요인 및 사랑 요인을 통하여 노인의 영적 안녕감을 증진하고 죽음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 주제어 : 기독교상담, 노인의 영적 안녕감, 노인의 죽음불안, 믿음 요인, 소망 요인, 사랑 요인

      • 중년여성의 평생학습역량 특성에 관한 연구

        한경옥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지식정보사회와 평생학습사회의 시대적 맥락 속에서 중년여성들 또한 중년기 이후의 질적인 삶을 추구하려는 욕구증가로 인해 개인의 다양한 역량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중년여성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며, 개인의 능력개발의 향상을 위한 자기 주도적인 반향으로 평생학습의 필요성을 점점 인식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와 관련하여 중년여성들의 평생학습역량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여 그 현상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지식정보사회 및 평생학습사회에서 주목해야 할 중년여성들의 평생학습역량에 대한 개념 정립을 토대로 다음의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평생학습역량 측정도구를 중년여성에 맞게 검토 및 수정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둘째, 중년여성들의 평생학습역량 수준을 측정하고 이와 관련된 변인을 확인하였다. 셋째, 평생학습역량과 관련된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는 UNESCO 및 OECD 중심의 국제기구에서 발표된 관련 문헌을 살펴보고, 조사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평생학습역량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우편조사 및 방문조사를 통해 표집된 259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version 18.0)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요인분석, 빈도분석, 분산분석, 최적화척도 회귀분석의 통계기법을 적용하여 유의수준 1%와 5%수준에서 관련변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평생학습역량 측정도구를 확인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5개의 하위영역(앎, 행함, 공생, 실존, 생성)이 중년여성들의 평생학습역량으로는 4개의 하위영역(앎, 행함, 공생·실존, 생성)으로 묶여져 전체 50문항 중 38문항만이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되었다. 둘째, 중년여성들의 평생학습역량의 수준을 분석한 결과 공생·실존을 위한 평생학습역량이 53.7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앎을 위한 평생학습역량이 45.78, 생성을 위한 평생학습역량이 24.02, 행함을 위한 평생학습역량이 18.11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중년기의 발달 특성상 타인과의 관계 확장에서 생애구조를 형성하고 준비해나가는 시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중년여성들의 평생학습역량은 특성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으로는 학력, 직업의 변인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평생학습 특성변인으로는 평생학습 참여경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유형 수, 평생학습에 지출한 비용변인이 유의미한 관련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학력이 높고 직업을 가진 중년여성일수록 계속적인 자기계발을 위한 투자로 평생학습의 필요성을 더 느끼며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평생학습역량에 영향을 끼치는 유의미한 배경변인으로는 학력, 직업, 평생학습 참여 경험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특성 변인 중에서 학력과 평생학습 참여 경험이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중년여성이 지속적으로 평생학습에 참여하게 된다면 다양한 분야의 평생학습역량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보다 나은 후속 연구를 위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중년여성들의 평생학습기회 확대 및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방안의 논의 및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중년여성들의 발달과업이 잘 수행되었을 때, 더욱 효과적인 평생학습을 촉진시키며, 평생학습역량의 수준에도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질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영상관법이 신체변형장애에 미친 효과 : 단일사례연구 중심으로

        한경옥 동방대학원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첫째, 신체변형장애의 발병 원인은 청소년기 부적절한 성적 경험, 성적경험으로 인한 고통을 부모님께 수용 받지 못함, 산부인과 의사의 신체 특정한 부위에 대한 혼잣말, 또래들의 신체부위 언급, 부모님의 신체부위 언급, 대학에서의 미팅실패, 그리고 다른 전문기관 방문이며, 신체변형장애 경과는 8년 정도 되었고, 2년 전부터 증상이 심화되었다. 둘째, 영상관법이 신체변형장애에 미친 치유효과는 가상적인 신체결함에 대해 집착하고 있는 허벅지의 ‘울퉁불퉁한’ 영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봄으로써, 연구 참여자는 숨기고 있던 자신의 진짜고민인 신체변형장애를 해결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갖게 되었으며, 그 결과 기억하고 싶지 않은 과거 영상의 ‘자발적 드러남’을 통해 가상적인 신체결함의 집착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셋째, 신체변형장애 증상으로 인해 생겨난 부정적인 마음작동, 다른 사람들로부터 비난받을 것 같은 불안한 정서와 인식하지 못한 몸 느낌 및 관념적인 정서표현, 그리고 신체변형장애 관련 5가지 증상 및 움츠리는 대인관계패턴 등에 영상관법이 긍정적인 효과를 끼쳤으며, 당당함으로 대응하는 변화를 가져왔다. 넷째, 신체변형장애 관련 5가지 증상에 대한 긍정적인 치유효과가 추수기간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신체변형장애에 관한 단일사례 연구는, 심리치료 분야에서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며 체계적인 연구와 치료방법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신체변형장애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는 데에 커다란 의의가 있다. 이 장애로 고통 받는 사람들이 신체변형장애의 근본적인 치료에 관심을 갖기보다는 피부과나 성형외과 등 다른 전문가들을 먼저 찾는 현실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임상현장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the symptoms and the causes of symptoms of a study participant with body dysmorphic disorder, to explore how Image-Based Mindfulness Meditation(IBMM by way of abbreviation) influences this participant and to identify whether the effects of IBMM would be kept during the follow-up. For achieving these aims, the researcher has combined the single case study design that is to say A(baseline), B(treatment), A(follow-up) with qualitative study for body dysmorphic disorder applying IBMM which is a practical method of Yogācāra school. The ABA design of single case study used in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through three steps, firstly the baseline step(A: baseline) for 3 sessions(58 days), secondly the intervention step with IBMM(B:treatment) for 14 sessions(86 days), thirdly the follow-up step(A:follow-up) for 3sessions(86 days). With analysis method, the baseline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five symptoms of the participant such as, the fixation with imaginary defect of her own thighs, the confirming questions about bodily reshaping, the attachment for measurement of body weight, hatred against parents, concerns with marriage, and with time-series analysis, the repetitive measurements has been conducted concerning the mental events worksheet of study participant, the pictures related to body modification, breathing and psychological tests. Also, with qualitative study method through the analysis of quotations collected from 14 sessions, the effects of IBMM to body dysmorphic disorder and the change factors of body dysmorphic disorder were presented. The outcomes of single case study combining the qualitative analysis with time-serie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auses of body dysmorphic disorder are as follows : the inappropriate sexual experience in adolescence, being not accepted about this from parents, the gynecologist's soliloquy about her special part of body, her friends' comments about her part of body, her parents' comments about her part of body, the failure of blind date in university and the visit to other specialized agencies. Eight years have gone by since getting body dysmorphic disorder, two years went by before serious symptoms. Second, looking at the treatment effects of IBMM for body dysmorphic disorder, the study participant has come to have a strong will that she would like to resolve the hidden, her real problems through watching the imagery of 'uneven' thigh as it is, and as a result the spontaneously 'spontaneously exposed imagery' made her deviate from attachment. Third, the negative mental event derived from body dysmorphic symptoms, ‘I would be blamed for’, involuntary body feelings, abstract emotion expressions, and the five symptoms related to body dysmorphic disorder have been changed affirmatively by the IBMM. In other words, shrinking personal relationship has been changed into confident one. Fourth, the positive treatment effects to the five symptoms related to body dysmorphic disorder have been kept during the follow-up. This single case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way that it has studied body dysmorphic disorder of which cause has been still unknown and didn't have an appropriate treatment. Considering people who are suffering from this disorder go to see a dermatologist or a plastic surgeon instead of receiving essential treatments, this study would be able to be a reference that could be helpful in clinical settings.

      • 종자 및 광질 처리가 인삼 종자의 발아 및 유묘활력에 미치는 영향

        한경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개갑된 인삼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을 확립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생리적 휴면을 타파시키기 위한 식물생장조절제, 발아력을 향상시키는 priming 처리, 종피의 기계적 저항을 약화시키기 위한 유기용매, 종피파상 처리 및 광질 처리 방법들을 구명하기 위한 일련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종자소독 농도에 따라 발아율과 발아속도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400배 처리구의 경우 발아율은 높았으나 200배 처리구에 비해 발아속도가 느렸다. 그러나 종자소독 농도에 관계없이 발아온도가 상승할수록 발아율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삼 개갑종자의 발아촉진과 유묘활력 증대를 위해서는 GA₃와 kinetin의 혼용처리가 단용 처리에 비해 효과적이며, 이는 두 생장조절제의 직·간접적인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인삼 종자에 메탄올, 아세톤 및 에탄올 등 유기용매 처리에 따른 발아성을 검정한 결과 무처리구에 비해 발아율이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피가 두꺼운 인삼 종자 종피의 기계적 장벽을 제거하기 위해 화학적 파상제인 KOH, NaOH, H₂SO₄ 용액을 처리한 결과, 처리 농도와 침지시간에 관계없이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낮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종피파상 처리를 위한 물질의 처리시간 및 농도에 따른 발아율을 고려하였을 때 고농도의 물질 처리로 인해 발아력이 상실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4종의 무기염 및 유기염으로 priming 처리한 인삼 개갑종자의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PEG 처리가 32.0%로 가장 높았고, KCl과 KNO₃ 처리구에서 무처리구보다 발아율이 감소하였다. T50은 KNO₃나 Ca(NO₃)₂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느렸으나, 다른 처리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모든 광 처리조건에서 식물생장조절제를 처리하지 않은 구에서는 암조건보다 발아율이 낮게 나타났다. T50은 모든 조건에서 식물생장조절제 처리에 의해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LED blue 처리구의 경우 평균 발아일이 증가하여 무처리구 대비 4.5일-9.7일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생리적 휴면타파를 촉진시킬 수 있는 식물생장조절제 및 물질 처리, 광처리 기술을 이용한다면 재배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경영적 측면에서도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공공도서관에서의 노인 자원봉사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부산 '금빛평생교육봉사단'을 중심으로

        한경옥 부산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With continuous economic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the area of public health and medical care, in Korea, a level of life has been raised. As the life expectancy and the rate of older people increased rapidly, the phenomena of ‘great age of people’ began to appear. Accordingly, the number of the older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of lifelong education increased. Not only each institute for a lifelong education has a difficulty in finding right teachers or lecturer for programs, but also the public library, especially, don't meet the various needs of people, which is due to the lack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So these days the role of volunteers, who offer services in the lifelong education part, is considered more and more important. At this period,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rganized the ‘Kumbit lifelong education volunteering service’, in 16 cities or provinces nationwide from 2002, which consists of the people who retired from his career and have a professional knowledge in lifelong education volunteer services. Through participating in this group, the senior citizens can use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s and have little chance to experience the feelings of loneliness and isolation. In addition, they can manage their life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residents of the region.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based on the activities of ‘Kumbit lifelong education service’ and the case of service volunteer in 11 public libraries which belong to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a few problems can be elicited and the method of improvement can be found, through diagnosing the reality of the old people's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The problems that appeared in the volunteering of senior citizens in Busan are as following. First, motivation must be spread throuth the recognition. Through numerous programs, the image of the senior citizens should be uplifted and the environment that encourages senior citizens' participation in society should be formed. Second, volunteering in public library, through close counseling, should cultivate the righteous mindset for volunteers; also through reeducations and training, these volunteers should be turned to experts. Third, public libraries should develop new areas for retired specialists to have activities that will suit their style and ability. Fourth, a government organization that can manage and organize the senior citizens' volunteer activity. Fifth, government's continuous executive and financial support is vital. Sixth, libraries, as well, should have welfare systems that can protect the volunteers such as insurance, saving account, and numerous awards. As the aging of the society keeps going, the number of retired specialists will continue to increase; also the coming of lifelong education society will cause the need of the education to increase. Therefore, in terms of making the best use of retired specialists who are equipped with professional knowledges and experiences, the volunteering of senior citizens should be activated and the effective method for making the full use of them should be devised.

      • 평생학습활동가의 학습경험과 실천에 관한 해석적 연구

        한경옥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21세기 지식사회의 맥락 속에서 현대인은 평생학습을 보편적으로 경험하고 있다. 그들은 배운 것을 나누고 실천하는 평생학습활동가로 성장하기도 한다. 평생학습활동가는 지성을 갖춘 지역사회의 새로운 리더로서 평생학습 실천의 주체자이다. 평생학습활동가의 학습경험은 개인 수준의 활동을 넘어서 사회적 수준의 지역사회에서 사회적 가치와 공익적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평생교육학의 학술적, 실천적 차원에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평생학습활동가의 학습경험과 실천을 해석적으로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평생학습활동가의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를 설계하고 결과를 이해하는 인식의 틀을 형성하였다. 연구문제는 평생학습활동가의 생애학습 동기와 배경을 탐색하고, 학습경험을 통하여 무엇을 학습하고, 어떤 지식을 경험하였는지, 경험의 콘텐츠가 무엇인지를 확인하였다. 그러한 경험을 통하여 실천 현상은 어떻게 드러나는지 실천의 유형과 가치를 탐구하는 것에 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심층 면담기법을 활용하여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수집은 문헌연구, 개인인터뷰 3회, 녹취 및 전사자료, 포토데이터, 캡쳐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평생학습활동가의 생생한 학습경험과 실천의 현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학습한 과정의 포스터 및 관련 사진 등도 자료수집에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해석적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 중 하나인 원본 상호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면담내용을 전사하고 반복 청취 후 연구참여자별 코드를 생성하였다. 단락별 키워드를 통하여 의미를 도출하고 연구목적에 맞게 주제별로 재분류한 후 주제를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평생학습활동가의 생애학습 동기와 배경의 의미 주제는 160개로 추출되었으며, 이 중에서 19개의 상세주제를 확인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생애학습 동기와 배경을 종합적으로 탐색한 결과는 ‘학습 욕망’과 ‘우연한 학습’으로 나타났다. 그들의 최초 학습의 장을 통하여 활동가로 나아가는 과정은 새로이 평생학습활동가로 진입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플랫폼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학습이력과 관련된 심층 면담 결과 총 20개의 학습콘텐츠 구성도를 도출하였다. 학습콘텐츠 구성도를 기반으로 구체적인 학습경험과 관련된 3차 심층 면담 결과 총 138개의 의미 주제를 도출하였다. 138개의 의미 주제를 재분류한 결과 학습경험의 콘텐츠 상세주제 60개를 확인하였다. 평생학습활동가의 학습경험을 탐색한 결과는 학습이력, 학습콘텐츠 유형, 학습경험의 내재화로 나타났다. 평생학습활동가의 학습이력은 전문강사 관련 과정, 리더역량 관련 과정, 지역사회 관련 과정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학습콘텐츠 유형에는 전문강사 관련 콘텐츠, 리더역량의 학습콘텐츠, 지역사회 관련의 학습콘텐츠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평생학습활동가의 학습경험 내재화의 의미는 ‘학습의 주체성’, ‘지식의 활용’, ‘활동무대의 기대’로 나타났다. 셋째, 실천의 의미 주제는 95개로 추출되었으며, 이 중에서 18개의 상세주제를 확인하였다. 평생학습활동가의 실천을 탐색한 결과 실천의 유형, 실천의 장, 실천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실천의 유형은 강사관련 활동, 동아리 활동, 사회공헌 활동으로 나타났다. 실천의 장은 이미 있는 실천의 장으로 들어간 경우에는 강사유형으로, 실천의 장을 창조해 낸 유형으로는 동아리 활동유형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사회공헌 활동유형은 이 두 가지의 유형이 모두 해당되었다. 따라서 이미 있는 실천의 장은 참여형 실천으로, 실천의 장을 창조한 유형은 창조형 실천으로 명명하였다. 실천의 가치는 ‘학습 시민성’, ‘활동적 시민성’, ‘지식 시민성’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생학습활동가의 학습경험과 실천을 이해할 수 있는 성장경로를 형성하였다. 평생학습활동가는 학습경험과 실천을 통해서 시민에서 학습자로, 학습자에서 활동가로 성장해 나갔다. 평생학습실천으로 개인적인 성장과 사회적인 성장을 거듭하면서 활동가의 시민성을 획득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평생학습활동가의 학습경험의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이 경험한 학습콘텐츠 구성도를 바탕으로 향후 지자체에서 활동가를 위한 프로그램구성이나 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시사한다. 둘째, 학술적 측면에서 경험의 한 유형으로써 학습경험의 개념과 학습경험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는 것에 의의가 크다. 이것은 평생학습활동가 뿐만 아니라 일반 학습자의 학습경험 및 실천을 탐구하고 이해하는 인식의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실천적 측면에서 평생학습활동가라는 새로운 주체를 형성시켰다. 이들은 자발적으로 활동가로 나선 사람들로서 앞으로 공공영역과 민간영역의 가교역할이 될 것이다. 넷째, 평생학습활동가의 성장경로는 앞으로 지역의 평생학습활동가를 위한 양성과정이나 활동 방향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시사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평생학습활동가의 학습경험과 실천에 관련된 학문적 실천적 차원의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평생학습 현장에 존재하는 평생학습활동가의 다양한 학습경험과 실천 현상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둘째, 평생학습활동가의 학습경험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평생학습활동가의 생애학습 동기와 배경 및 학습경험과 실천을 이해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가 후속연구에서 연구되기를 기대한다. In the context of knowledge society in the 21st century, modern people are experiencing lifelong learning universally, and they grow into lifelong learning activists who share and practice what they have learned. Lifelong learning activists are the new leaders of the community with intelligence and are the main agents of lifelong learning practice. The learning-based experience of lifelong learning activists shows social value and public interest performance in the social level community beyond individual level activities. This phenomenon is attracting in the academic and practical aspects of lifelong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rpret the learning-based experience and practice of lifelong learning activis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designed the research by examining related literatures and previous studies of lifelong learning activists and formed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results. The research questions are to explore the lifetime learning motivation and background of lifelong learning activists, to identify what they learned through learning-based experience, what knowledge they experienced, and what contents they experienced. Through such experience, the study set up a research question on how the phenomenon of practice is revealed and how to explore the type and value of practice.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by using literatur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 technique. Data were collected using literature research, three personal interviews, recording and transcriptional data, photo data, and capture data. Posters and related photos of the courses learned to study the vivid learning-based experience and practice of life long learning activists were also used to collect data. Data analysis utilized the method of original reciprocity, one of the methods of data analysis in the analytical study. In this way, the interview was transmitted, repeatedly listened, and then generated research participant-specific code. The topics were categorized after deriving meanings through keywords by paragraph, re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and then categorizing them into catego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160 themes were extracted from the meaning of lifetime learning motivation and background of lifelong learning activists, and 19 detailed theme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research participants exploration of lifetime learning motivations and backgrounds were found to be 'desire to learn' and 'unintentional learning'. The process of moving to the activist through the first learning field of these people was presented as a platform for those who want to enter the lifelong learning activist. Second,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related to learning history, a total of 20 learning contents composition maps were derived. Based on the learning contents composition. 138 semantic topics were derived from the third in-depth interview related to specific learning-based experiences. As a result of reclassifying 138 semantic topics, 60 detailed contents topics of learning experience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exploring lifelong learning–based activists learning-based experiences were found to be intrinsic to learning history, learning contents type, and learning-based experience. The learning history of lifelong learning activists could be categorized into courses related to professional instuctors, courses related to leader competence, and courses related to local communities. The learning contents types could be categorized into contents related to professional instructors, learning contents of leader competence, and learning contents related to local communities, The meaning of the internalization of learning-based experience of lifelong learning activists was ‘the subjectivity of learning’, ‘utilization of knowledge’, and ‘expectation of activity stage’. Third, 95 themes were extracted for the meaning of practice, and 18 detailed theme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practice of lifelong learning activists, the types of practice, the field of practice, and the value of practice were confirmed. The types of practice were instructor-related activities, club activities, an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e practice field was categorized into the type of instructor when it entered the practice field already there, and the type of club activity that created the practice field. The types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were both types, so the field of practice already exists was named as participatory practice, and the type of practice created as a field of practice was named creative practice. The value of practice was 'learning citizenship', 'active citizenship', and 'knowledge citizenship'. Fourth, the growth path to understand the learning-based experience and practice of lifelong learning activists was formed. Lifelong learning activists were understood to acquire the citizenship of activists by repeating personal growth and social growth based on learning–based experience and practice as citizens to learners and learners to activists. Based on these cont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learning-based experience of lifelong learning activists were confirmed. Based on the learning contents composition they experienced, it is suggested that it will help the program composition and operation for the activists in the future. Second, it is significant that the concept of learning-based experience and the components of learning-based experience were derived as a type of experience in academic aspects. This will be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exploring the learning-based experiences and practices of ordinary learners as well as lifelong learning activists. Third, in practical aspect, they formed a new subject called lifelong learning activists, who voluntarily became activists and will become a bridge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the future. Fourth, the growth path of lifelong learning activists is expected to help the training process and activity direction for lifelong learning activists in the futur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follow-up study on academic practical dimensions related to learning –based experience and practice of lifelong learning activists. First,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on various learning–based experiences and practice phenomena of lifelong learning activists present in lifelong learning sites will be conducted. Second, a concrete and in-depth follow-up study is needed for each component of the learning-based experience of lifelong learning activists. Third, it is expected that the checklists that can understand the lifetime learning motivation, background, learning-based experience and practice of lifelong learning activists will be studied in the follow-up research.

      • 시(詩)의 음악콘텐츠 활용사례 고찰 : 노랫말로 활용된 시를 중심으로

        한경옥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21st century is the creative industrial age that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with creativity take the lead in national com- petitiveness. It is the advent of new era which a novel written by an individual can create huge amount of economical value by expanding to various cultural contents such as movies, games, toys and even theme parks. The success of <The Lord of the Rings> and <Harry Potter> is well-known example of showing the economical outcome can be made by the strategies of OSMU(One Source Multi Use). Cultural Contents are combination of humanistic knowledge, engineering technology, artistic sensitivity and imagination not being one-sided part of the humanities, the sociology and the natural science. Cultural element can be made into cultural contents with the original source of cultural contents; creativity and imagination. Also, the main characteristic of cultural contents is that it can make economical value only when it expose to public and communicate with them well. The fundamental tool in communication is the language. Human use a language for learning everything, expressing him/herself,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others. Literature is the expression of human thoughts and feelings by the language. The art is the flower of the culture and the literature is the flower of the art. Futhermore, the poetry is the flower of the literature. Therefore, the flower of flowers, the centerpiece of the culture is the poetry. Originally, the poetry has been sung as a song throughout i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culture. In Korea, it was named as Poetry- song in one word. Thereafter, since the poetry has more emphasis on conversational feature than musicality, the poetry and music have divided into each categories. The poetry has become a exclusive property of experts like poet and critics. On the other hand, the music has its fame under the name of pop music via mass media such as TV, Radio, Record and SNS etc. However, under the capital pressure of broadcasting companies and entertainment management agencies which are focusing on commercial viability and audience viewing rate, recent pop music have less considering about lyricism and authenticity. Instead, meaningless and repetitive sound with flashy dancing for psychedelic atmosphere is tempting teenagers. In this new global era blurring the lines of nations and genres, if it can be blended the poem enjoyed only by the high-class with popular art together and make the genuine pop music, it would achieve not only soothing sensitivity of teenagers but also attracting the older generation. Furthermore, cultural contents have an immense effect on all the human life and consciousness, thoughts and even social paradigm as well as economical area on the premise of cultural diversity. So poets may have to recognize their responsibility to make original sources of cultural contents by novel creativity. 21세기는 창의력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문화콘텐츠산업이 국가의 경쟁력을 주도하는 창조산업시대이다. 개인이 창작한 소설 한 편이 OSMU(One Source Multi Use)의 전략에 따라 영화, 게임, 캐릭터 상품, 테마파크 등으로 확장되어 천문학적인 경제적 가치를 창출시키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반지의 제왕>이나 <해리포터>의 성공을 보면 특별한 설명 없이도 짐작이 가능한 일이다. 문화콘텐츠는 인문학적인 지식과 공학적인 기술과 예술적인 감수성과 상상력을 통합하여 만들어지는 상품이다. 창의력과 상상력을 원천으로 문화적인 요소가 체화되어 만들어진 문화상품은 대중에게 노출되어 대중과의 소통을 전제로 할 때 경제적 가치를 창출한다는 특성이 있다. 소통의 매체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이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인간은 언어를 통해서 모든 것을 배우고 인식한다. 인간의 사상이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문학이고 그 장르 안에 시를 포함한다. 문화의 꽃은 예술이고 예술의 꽃은 문학이고 문학의 꽃은 시라고 할 수 있으므로 시는 문화의 ‘꽃 중의 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가 원래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노래로 불려졌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시가(詩歌)라는 명칭이 있었다. 그러다가 점점 시에서 음악성보다는 회화성에 중점을 두면서 시와 음악이 분리되어 시는 문단의 전문가들(시인, 평론가)만의 리그에 갇히게 되었고, 음악은 대중매체(T.V, 라디오, 음반,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하여 대중 속에 깊숙이 자리를 잡아 대중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현대의 대중가요는 진정성이나 서정성을 버리고 상업성만을 중시하는 거대한 방송매체와 기획사들의 자본력의 지배 하에서 뜻을 알 수 없는 가사에 현란한 댄스로 10대들의 환각적인 시청률에 의존하는 노래들이 판을 치고 있다. 분절되어 있던 모든 경계가 허물어지는 글로벌한 시대에 ‘고급문학’인 시가 ‘대중예술’과 융합하여 진정성 있는 ‘대중가요’로 만들어진다면 청소년들의 감성을 어루만지고 주변부로 밀려난 기성세대를 다시 중심부로 불러들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문화콘텐츠가 문화의 다양성을 전제로 하여 경제적인 영역뿐만이 아니라 인간의 모든 생활과 의식, 사상, 사회적인 패러다임까지도 담당하는 학문으로 인정받고 있는 현대에 시인들은 자신들의 창의력을 통해서 문화콘텐츠의 원천소스를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