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생태시에 나타난 교육적 함의 연구

        하태일 경남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Nowadays, we are confronted with difficulties in solving the problem of human alienation along with the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One of the basic methods to solve the critical ecosystem reality and to reconcile human with the nature is to emphasize the ecological imagination and sensitivity in the aspect of aesthetic approach.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e the implicative meaning of eco-poetry education, and develop the ecological imagination and sensitivity which contribute to finding a solution of ecology crisis. Many scholars have discussed from critical eco-poetry which dealt with a environmental problem in the early 1960s to spiritualistic eco-poetry which scrutinized life diversely. In this process, the previous study showed that eco-poetry emphasized the importance that human estrangement separated from nature should be overcome, and enhanced the ecological perception and life-consciousness through assimilation with nature. So the achievement of eco-poetry education will be effective in developing the educational programs depending on the learner's cognitive development and the growth of morality. Selecting appropriate teaching materials which can encourage the ecological imagin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pursue the conversion of human awareness and attitude. This study analyzed the eco-poetry mentioned in Middle School textbook and classified them into three types in the aspect of subject. First, ecological environment poetry contained poet's criticism against human behaviors of destructing the original form of nature and warning of the ruin of morality as ecological destruction. Second, ecological ideal poetry which advocates the co-existence between the mankind and all living creature. These poems have the consciousness to reflect the balance and assimilation with nature in the circulating ecology structure. At last, life-consciousness enhancing poetry which pursues the identity and overall recovery through the figuration of sympathy between human and nature on the basis of ecological view of the world. Eco-poetry emphasize ecological conception that introspect human-oriented mind, recognize the value of all lives and finally can be reconciled with destructed nature through the figuration of the reality of ecosystem crisis. In above classification into three types, first ecological environment poetry should develop the consciousness of improving reality according to enhancing moral thinking. Second, ecological ideal poetry should emphasize the realization of the ideal one ecological community against human-oriented mind on unitary speculation. In addition, life-consciousness enhancing poetry should stress the independence and the same value of the mankind and all living creature. In the end, the educational implicative meaning of eco-poetry is that to show aspiration and blueprint of the future in drawing human's realistic and concrete experiences into poetic imagination and impression. 생태계의 파괴와 더불어 점차 가속화되어지는 인간소외의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인간도 자연의 일부로서 생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것이 오늘날 인류가 안고 있는 과제이다.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생태 위기를 해결하는 근원적인 방법 중 하나가 감수성이나 상상력과 관련된 미학적 측면의 접근이 될 것이다. 따라서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교육의 목표 중 중요한 한 가지를 생태학적 상상력과 감수성의 육성에 두고,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생태시의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생태시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 초기 산업화시대에 환경 고발적이고 비판적인 생태시의 등장에서부터 1990년대에 들어 본격적으로 생태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 생태학적 상상력이 발현된 시를 통해 인간과 세계 사이의 분리를 극복하는 동시에 인간성의 회복을 포함함으로써 생태시는 인간과 자연의 동일성의 위협과 파괴, 해체 과정을 표현하고 비판하며 나아가 생태의식의 고양과 생명옹호의 사상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생태시 교육은 단순히 작가와 작품과 독자 간의 대화의 수준을 넘어서 의식의 전환, 태도의 변화를 추구하는 경지의 유의미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점에서 학습자의 인지발달과 도덕성 발달 단계에 맞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그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서에 수록되는 생태시 작품이 선정되어야 하며, 이 생태시를 교육할 때 생태학적 상상력이 어떻게 표현되는가를 고려하여 학습자 중심의 문학 교육을 계획하여 가르쳐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생태시를 분석하여 생태학적 세계관과 관련된 주제적 측면에서 첫째, 자연의 원형을 파괴하는 인간의 행위가 인륜의 파괴로 이어지는 것을 경고하려는 시인의 비판의식이 담긴 ‘생태환경을 고발한 시’, 둘째, 인간과 자연 사이의 새로운 균형과 조화를 모색한다는 점에서 생태의식을 반영하는 시로서 생명력의 회복과 생태 환경의 순환적 상생을 도모하는 ‘생태의 이상을 노래한 시’, 셋째, 생태학적·유기체적 세계관에 기초하여 자연과 인간의 교감을 형상화하여 총체적인 회복을 추구하며, 자연과 인간이 하나 되는 동일성을 지향하는 ‘생명옹호의 시’로 유형화하였다. 이러한 유형에 따라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생태시는 ‘생태환경을 고발한 시’로 문명비판 의식을 주제로 한 황동규의 「귀뚜라미」가 있고, ‘생태의 이상을 노래한 시’로 김지하의 「새봄」과 도종환의 「어떤 마을」, 김억의 「연분홍 송이송이」, 김소월의 「엄마야 누나야」, 김용택의 「농부와 시인」, 유재영의 「둑방길」그리고 학생작품인 「동강은 흐른다」에서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삶을 주제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생과 화해의식으로 생명을 옹호한 시’는 나희덕의 「배추의 마음」과 학생작품인 「여름은 아프다」가 있가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데, 생명의 옹호 또는 상생과 돌봄의 의식을 주제로 하고 있다. 생태시는, 환경 위기와 생태학적 상상력의 관계에서 생태계의 기본원리를 순환구조로 받아들이는 인식과 관심은 생명문제, 즉 오늘을 살아가는 삶의 문제이기 때문에 생태시는 위기의 생태 현실을 시적으로 형상화하고 통합적인 세계관을 토대로 하여 시의 현실로서의 자연 생태계를 조화로운 모습으로 그려낸다. 중학교 국어교과서 생태시 분석에서 세 가지로 유형화한 것 중 첫째, 생태환경을 고발한 시를 통하여 인간의 윤리적 사고를 신장시켜 현실을 개선하고자 하는 의식을 함양하고, 둘째 자연과 인간이 하나라는 일원적 세계관을 통하여 인간 중심적 사고를 극복하고 생태공동체의 이상을 실현하며, 마지막으로 생명옹호의 시를 통하여 모든 생명의 가치는 동등하며 상생과 돌봄으로 생명의식을 고양하는 교육적 함의를 찾을 수 있었다. 생태시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인간 체험을 상상적 경험 세계로 끌어들이고 인간의 미래를 내다볼 수 있게 함으로써, 미래에 대한 희망과 청사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교육적 함의가 담겨 있다고 할 것이다.

      • 北學派의 經濟論 : 朴趾源과 朴齊家를 중심으로

        하태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983 국내석사

        RANK : 1855

        After 18th century, Li Yong ( 利用厚生 ) of Bug-Hag theory scholars appeared. They tried to solve problem of the contradiction in the society of the late of Yi-Dynasty period, through the economical prosperity on the commercial and industrial development, though we've much studied so far on the Bug-Hag theory. There was little case of studing the economical theory of Bag Gi-Won and Bag Je-Ga who we thought were the center figures of Bug-Hag theory schol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understand more clearly the thought of these two figures, relating Bag Gi-Wan's economical side with Ba Je-Ga's on the basi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cholars in the past,and through this make the shift to approach more closely the ideological current of Bug-Hag school. They that economical stagnation of Yi-Dynasty was due to, the rejection on the basis of Hwa-I theory( 華夷論 ) of Cheung's culture(淸文化), the backwardness of appliances and technics and the weakness of economical circulation. And their views of Cheung's Dynasty attached more importance to the cultural relation than political relation. While Bag Gin tried to introduce Cheung's culture in the harmony of reality and justification, Bag Je-Ga tried to introduce it in the standpoint of reality rather than justification. They also emphasized that people should take advantage of cars(車) boats(舟)-bricks(벽),and people should improve the agricultural instruments, in order to rise the standard of people's livings,and that in measures for the promotion of the economical circulation, car and boats affected much to that. So insufficient finance, though. we make up for all the industries of Yi-Dynasty should be compensnated for overseas trades, they said, and the watch for the state of unbalanced trades because of the outflow of silver was l the to the modern economical policy. While Bag Gi-Won insisted all the indusries to be developed equally but had no perfect thought in developing the commerce as well as the agriculture, Bag Je-Ga indicated the justifcation of thecommerce, saying the want of public welfare would increase without the commerce, and insisted that superfluous aristocracy class should be engaged in the commerce for a means of livings. Such faced insistence at that time must be daring challenge as well as bold means of revolution. Their economic theory of Hug-flag school, there fore, was transformed the thought of civilization an(i seemed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continuing to formulate a modern thought.

      • 高等敎育機關卒業生의 進路 및 就業動態에 對한 分析的 硏究

        하태일 慶北大學校 1986 국내석사

        RANK : 1855

        I.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analyze the trend of increasing and decreasing number of graduates, the trend of continuing study rate at higher level, the trends of employment rate by junior college (1981-1985), University (1980-1985) and graduate school (1980-1985) respectively. 2. To analyze the demand and supply of manpower projects in higher education and its achievements. 3. To present valuable materials and alternative ways to promote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and to present basic guidelines for enrollments proje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II. Methods of the Study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 ture. The materials analyzed for this study are Korean Educational statistics Yearbook (1980-1985) and several other material related to manpower projects and its achievements in Korea. In order to compare the supplied manpower of Korean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with the demand of manpower projection, the Long-range Manpower projection and strategies in Korea (1979-91) by KAIST and Korean Educational Statistics Yearbooks (1980-1985) were thoroughly reviewed. III.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employed college graduates shows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education levels. In other words, the employment rate of graduates of graduate school is higher than the corresponding that of the University, and the emplayment rate of college graduates is higher than that of junior college. 2. The continuing study rate at higher level and the employment rate in certain fields shows inverse state. Generally, the field of high employment rate shows low continuing study rate at higher level, and the field retaining low employment rate shows high continuing study rate at higher level. 3. The unempolyment might we attributed to : the time lag between the time of educational planning and the time of employment of graduates. : Unpractical character of educational planning itself. : lack of employment opportunities in economy through the process of its growth and development. : lack of rational evaluation on the manpower projects to keep the equilibrium of its demand and supply. 4. The difference between manpower demand and its supply caused by the unbalance between manpower projects and educational planning. IV. Suggestions and Recommendation 1. Manpower Approach must be conducted in terms of synthetic and long-term period. Furthermore, the educational planning must be conducted to keep abreast with economic development planning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of manpower. 2. The opportunity of entering university must be widely opened to those graduates of junior college. And also, more open universities need to be established for those junior college graduates. 3. The enrollments of graduate school in each major field, must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national mangower demand. 4. Since Keere has no abundant raw materials, educational planning and manpower demand and supply projection must be conducted based on manpower oriented policy. Finally, it is required that the public employment stabilization system be introduced through the nation-wide

      • 누적가시도를 이용한 명승 구역설정에 관한 연구

        하태일 韓國傳統文化大學校 文化遺産融合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명승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이다. 우리나라의 명승은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1933」에 따라 법적으로 제도화되었고, 광복이후 제정된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1970년 ‘명주 청학동 소금강’이 처음으로 지정되었다. 2007년 지정기준이 개정되고 사회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명승의 지정은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2016년 현재 109개소의 명승이 지정·관리되고 있다. 경관관리를 주된 목적으로 비교적 넓게 지정되는 명승 구역의 특성 때문에 사유재산권침해, 명승지정취소민원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등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고 있기도 하다. 문화재 지정구역의 설정은 필연적으로 명승의 소유자나 활용 주체들에게 지정구역 내에서의 행위를 제한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역사문화가치, 경관가치를 고려한 체계적인 구역설정방법이 요구되나 이를 위한 기초연구나 제도가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갈등을 저감하고 합리적인 지정을 위해 명승의 경관특성을 반영한 구역설정 기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명승에 대한 의미와 개념을 고찰하였고, 명승의 구역설정에 필요한 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09개 명승의 문화재 지정구역이 지닌 문제점을 분석하고 원인과 증상 등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명승 구역설정은 주로 지적도와 경관자원의 경계가 참조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명승은 경관자원뿐만 아니라 경관자원의 조망구역을 보호해야한다. 자원과 조망을 보호하기 위한 설정방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명승의 구역설정을 위해서는 자원구역과 조망구역의 설정이 병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원구역과 조망구역의 설정방법이 반영된 명승구역 설정체계를 제안하였다. 셋째, 명승의 경관자원을 도면화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제안하였다. 명승의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선 명승자원의 도면화를 통한 관리가 요구된다. 수치지형도, 항공사진, 임상도를 이용하여 경관자원의 도면화에 필요한 요소를 제안하였다. 넷째, 명승의 조망을 보호하기 위한 조망구역 설정방법을 제안하였다. 명승은 자원뿐만 아니라 자원의 조망을 위한 전경영역, 배경영역에 보호가 요구된다. 조망구역 설정방법을 GIS로 구현하고 현장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다섯째, 조망구역 설정방법을 GIS로 쉽게 제작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ArcGIS와 파이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경 선정, 배경 선정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대상의 지형, 조망지점, 경관자원의 주제도를 입력하면, 전경영역과 배경영역이 도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여섯째, 지정된 명승을 대상으로 문화재 지정구역 조정안을 제안하였다. 명승 경관자원도와 누적가시도의 결과를 합산하여 경관등급도를 작성하였다. 경관등급도와 주변의 토지이용을 종합하여 명승의 지정구역을 변경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포도원 소작인의 비유 연구

        하태일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thesis inquire Jusus's figure by comparing figure and allegory in searching evil tenant. And investigated Palestine's status of life and object of figure. 1. A history of interpretation on Jusus's figure pass over complex prosess as well as a history of script's interpretation. But history of insearch can devine 19. theologian, after A. Julicher and before. The method of interpretation before A. Julicher was allegorytic on Jusus Christ. The method of interpretation after A. Julicher to Jeremias was period doing method of historical critic. And scholars study another methods, existential method or literary-constructive method. But In study present, inspite of emphasizing on status of life, interpretation on figure was idealistic and individual because it was religion and existential. 2. It belongs to sphere of sociology because Jusus's figure is not products of ideas but of affair. If we find in figure than become idealistic interpretation, in conclusion, it fall in allegorism. But Jusus talks not allegory but figure. Jusus's figure promulgate in states that charge against enemies who trouble processing to found kingdom of God. Supporter of that movement be believed firmly success movement of kingdom of God by Jusus's figure, and to project oneself entirely by. Importance on Jusus's figure is finding concrete place, asking Sociological context, making clear who was audience. 3. We must to classify between text on historical Jusus-movement and report's interpretation, to understand figure text. The text is not objective report but product of a interpretation's work. By any possibility, we must to classify, inspite of it is very difficult. Figure of evil tenant recorded in Synoptic Gospels and the Gospel of Thomas. I finded re-edition and deletion through transmit-process, especially a part allegorized. And as the editor of Synoptic Gospels puts this figure after the event cleared Temple, he compared control class, Jusus's enemy. Jusus critics influence that obstruct the kingdom of God, as figure of social image. At that time, there are much of hostile intention between landlord and tenant. Jusus ask of us if tenant beat and murder landlord's son and slave, then what donig. Landlord comes, of course something to do. He judge tenant and may be pass to other man the grape garden. But Jusus preached them who were not only taken away from the grape garden but also interfere with them who were to conduct temple.

      • 성격기질에 따른 유머광고 표현유형별 광고효과

        하태 계명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1823

        유머광고도 표현유형에 따라 광고효과의 차이가 가능하다는 것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10여년 전부터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유머광고 표현유형과 광고효과간의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유머광고 표현유형에 대한 명확한 구분이 모호하기 때문에 유머광고 표현유형에 대한 정의와 구분을 규정하려는 노력이 부족하였을 뿐만 아니라 유머광고 표현유형과 관련하여 학자들 사이에 합의된 측정도구가 제시되지 않아 유머광고 표현유형에 적합한 광고제작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최근까지 유머광고 효과에 대한 연구는 주로 유머광고와 비유머광고의 비교 차원을 벗어나지 못하고 유머광고 전체를 동일한 개념으로 일반화시킨 연구들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유머광고 표현유형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여 이의 유형별 측정도구를 제시하고 유머광고 표현유형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과 MBTI 성격기질에 따른 유머광고 표현유형별 광고효과에 대한 관계를 실험연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유머광고 표현유형을 각성형 유머광고, 부조화형 유머광고, 우월성형 유머광고의 세 종류로 범주화하여, 이러한 유형들이 소비자의 인지적(광고회상도), 정서적(광고호감도, 광고선호도, 제품선호도) 행동적 반응(구매의도)에 미치는 광고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세 가지 광고는 유머의 표현유형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유머광고의 표현유형에 따라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반응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각성형 유머광고가 다른 두 유형의 유머광고보다 위의 세 가지 측면의 효과에서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머광고의 부정적인 측면으로 지적되어 온 회상력의 문제점을 유머광고 표현유형의 한 기법인, 각성이론형 유머광고로 보완하여 제작한다면 향후 소비자들에게 광고효과를 보다 더 강화하는 전략적인 측면에서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또한 심리학 유형이론으로부터 만들어진 SP(감각인식형), SJ(감각판단형), NT(직관사고형), NF(직관감정형)로 분류되는 MBTI 성격기질을 조절변수로 사용한 결과, 유머광고의 표현유형과 조절변수 사이에서 광고호감도와 광고선호도의 효과 측면에서 유의한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광고회상도, 제품선호도, 구매의도 등에서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성격기질에 대한 주효과는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무적 주요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유머광고 표현유형에 의한 광고효과의 분명한 차이를 밝힘에 따라, 향후 유머광고 효과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유머광고 표현유형에 따른 광고효과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둘째, 기존 실험실 연구의 대부분은 스토리구성 없는 장면 위주로 실험 설계된 인쇄 유머광고를 사용하거나, 예전에 방영된 TV 광고물을 그대로 실험연구에 적용시켜 각종 외생변수들의 통제가 미흡하여 타당성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머광고 표현유형의 근거가 되는 각성 이론, 부조화 이론, 우월성 이론에 따라 이야기를 구성하고,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실험광고를 제작하여 실증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미래연구에 실제적인 지침을 제공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유머광고 표현유형의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광고제작자들이 이 척도를 이용함으로써 유머광고를 제작하는데 직감이나 영감보다는 이론적인 가이드라인에 의존할 수 있게 되어 유머광고를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작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넷째, 심리특성을 반영하는 성격변수인 개인의 MBTI 성격기질을 파악한다고 할지라도 이를 직접적으로 마케팅 상황에 활용하기 어렵다는 한계로 인하여 성격기질을 이용하는 연구가 제한적이었다. 이 연구는 성격기질이 유머광고 표현유형별 광고효과를 조절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성격기질에 따른 광고호감도나 광고선호도 차이 등을 설명할 수 있게 되어 유머광고에 노출된 소비자 반응을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된다. This study assumes that the effects of humor advertising vary according to expression type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and the expression types of humor advertising be examined, whereas such a study has not been conducted until now, for the reasons: first, since it is hard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the expression types of humor advertising, efforts to define and differentiate between them have been scarce; second, measurement tools for the expression types have not been agreed upon among scholars, which renders the production of an advertisement suitable for an expression type practically impossible. Thus, until recently, studies on the effects of humor advertising have been limited to a comparison between humor and non-humor advertising with all types of humor advertising identified as the same. In current study, the expression types of humor advertising were defined first, and measurement tools for each type were proposed. The advertising effects of humor ad by expression types were analyzed as well as the advertising effects by the expression types according to MBTI temperament. The expression types of humor advertising were divided in reference to arousal-type, incongruity-type and superiority-type humor ad, and advertising effects were measured in terms of consumers' cognitive (ad. recall), affective (ad. favorability, ad preference, product preference) and conative (buying intention) responses. The three ads which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were composed according to the expression types of humor. The cognitive, affective and conative responses of subject groups prove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expression types of humor advertising. The temperament type index MBTI, which was developed from the theory of psychological types, was categorized into 4 types of temperaments: SP(Sensing Perceiving), SJ(Sensing Judging), NT(iNtuition Thinking) and NF(iNtuition Feeling). Using MBTI for moderating variables, significant interac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expression types of humor advertising and moderating variables in terms of the effects of ad favorability and ad preference. There were, however, no significant interactions among ad recall, product preference and buying intention. The main effects for the MBTI were all observed significantly.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and theoretical benefits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provide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future researchers of the effects of humor advertising to understand different advertising effects according to different expression types of humor advertising. Second, unlike previous studies conducted in reference to advertisements in prints that were focused on scenes without stories, current study was executed with storyboards that were composed from arousal, incongruity and superiority theories and experimental ads produced by computer animation. Third, since measuring tools with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the expression types of humor advertising have been proposed, humor-advertising producers will be able to develop a strategy for humor advertising based on a scientific theory rather than mere intuition or inspiration. Fourth, with MBTI proved to be qualified for a moderating variable, ad favorability or preference according to temperament can be better measured, and consumers' behavior can also be predicted more eff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