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쇠퇴지역과 비쇠퇴지역의 인구 순유출 영향요인 비교분석

        하채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Urban decline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entire city or a specific area deteriorates over time, and has recently emerged as a major problem due to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such as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and population decline. Among the phenomena occurring in declining areas, population decline and population outflow should be mainly dealt with to prevent acceleration of decline and to secure regional competitiveness. In particular, in declining areas, the outflow of the working-age population due to lack of economic opportunities and the outflow of the high-income class due to the relative backwardness of the environmental level can lead to a change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accelerating the decline of the city. In this regard, it is time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population outflow that can accelerate decline in declining areas to identify factors that can secure regional competitiveness. In declining areas, aging hou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poor, insufficient jobs and low production levels, and productivity decline are common, and it has been recognized that overall spatial attractiveness is low in terms of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aspects. In addition, in areas where the population has recently declined, there is not enough support for child care, which is considered a major factor for the working-age population with high economic contribution and the decline in service due to the absolute lack of medical demand. In these declining areas, economic, physical, social, and public service factors differ from those of non-declining areas, which is expected to promote the outflow of the population. In this regard,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identifying regional factors influencing population outflows, 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outflows from declining areas, targeting local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population declining areas, where the degree of decline is relatively severe. On the other hand, studies verifying their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s of decline for the whole country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which regional factors affect the net outflow of the population by dividing the declining areas where population decline, business decline, and physical deterioration appear in terms of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aspects, and the non-decreasing areas where the characteristics do not appear. In addition,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cause net outflow of population in urban and non-urban areas were empirically compared and analyzed even within declining area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conomic factors were analyzed to reduce the net outflow of population in both declining and non-decreasing areas, and the influence of welfare factors for a better quality of life was confirmed as a certain level of employment was met in non-decreasing areas. In addition, among some public service-related factors, factors such as medical environment directly connected to residents' health problems and childcare facilities that can lead to labor displacement of the working-age population were derived as factors that reduce net outflow. As a result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outflow factors in declining urban and non-urban areas, the effects of quality-related factors along with economic factors were more significant in declining urban areas than in non-urban areas. In addition, in non-urban areas, the higher the number of businesses and the lower the proportion of the youth population, the lower the net outflow of the population,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economic factors. These results are interpreted as urban amenity factor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reduce the net outflow of the population as the demand for programs to solve urban problems such as housing and the environment increases in urban areas. However, it is interpreted that this is because factors that can create added value through resources preserved in the region are used as amenity factors in non-urban areas.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outflow of population, it will be necessary to expand medical infrastructure and quality childcare facilities along with fostering industries and expanding jobs in declining areas. In addition, differentiated regeneration policies are expected to be needed according to regional types in declining areas. In declining urban areas, it will be necessary to expand welfare facilities, which are urban amenities, along with the continuous expansion of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in declining non-urban areas, the outflow of the youth population has a great impact, so it is ex/pected that youth support projects in terms of employment will be needed first to minimize the outflow of the youth pop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regional policy suitable for whether the region is in decline and the type of region is needed. 도시의 쇠퇴는 도시 전체 혹은 특정 지역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화되 는 현상으로서 최근 저출산 고령화와 같은 인구구조 변화와 인구감소에 따라 주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쇠퇴지역에서 나타나는 현상 중 인구감소와 인구 유출은 쇠퇴의 가속화 방지 및 지역 경쟁력 확보를 위해 주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특히 쇠퇴지역에서는 경제적 기회 부족으로 인한 생산가능인구의 유출과 환경 수준의 상대적 낙후로 인한 고소득층의 유출이 인구 구조 변화를 가져와, 도시의 쇠퇴를 가속화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쇠퇴지역에서의 쇠퇴를 가속화 할 수 있는 인구 순유출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지역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쇠퇴지역에서는 공통으로 노후화된 주택, 빈곤층의 집중, 부족한 일자리와 낮은 생산수준, 생산성 하락 등의 양상이 나타나며 전반적으로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공간적 매력도가 낮은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와 함께 최근 인구가 감소하는 지역에서 최근 의료 수요의 절대적 부족으로 인한 서비스의 저하와 경제적 기여도가 높은 생산 가능 인구에게 주요하게 고려되는 자녀의 보육에 관한 충분한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이러한 쇠퇴지역에서는 경제적, 물리적, 사회적, 공공서비스 요인이 비쇠퇴지역과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인구의 유출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쇠퇴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심한 지방 중소도시와 인구감소지역을 대상으로 인구 유출의 지역적 영향요인을 파악하거나, 쇠퇴지역에서 유출하는 인구의 개인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반면 전국을 대상으로 쇠퇴 유형에 따라 이들의 차이를 검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인구 감소, 사업체 감소, 물리적 악화가 나타나는 쇠퇴지역과 해당 특성들이 나타나지 않는 비쇠퇴지역을 구분하여 어떠한 지역적 요인이 인구의 순유출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에 더해 쇠퇴지역 내에서도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의 인구 순유출을 유발하는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쇠퇴지역과 비쇠퇴지역 모두에서 경제적 요인은 인구의 순유출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비쇠퇴지역에서는 일정 수준의 고용이 충족됨에 따라 더 나은 삶의 질을 위한 복지 요인의 영향력이 확인 되었다. 또한 쇠퇴지역에서도 일부 공공서비스 관련 요인 중 주민의 건강 문제와 직결되는 의료 환경과 생산가능인구의 노동 이탈을 초래할 수 있는 보육 시설과 같은 요인은 순유출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쇠퇴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의 유출 요인의 비교분석 결과, 쇠퇴하는 도시지역에서는 경제적 요인과 함께 삶의 질 관련 요인들의 영향이 비도시 지역에서보다 더 유의하였다. 또한 비도시지역에서는 사업체 수가 많을 수록, 청년인구 비중이 낮을수록 인구 순유출에 부의 영향력을 미쳐 공통적으로는 경제적 요인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시지역에서 주거 및 환경 등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도시의 어메니티 요소들이 인구의 순유출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쇠퇴지역에서는 인구 유출 최소화를 위해 산업 육성, 일자리 확충과 함께 의료 인프라 및 질 높은 보육 시설의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쇠퇴지역에서도 지역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쇠퇴한 도시지역에서는 지속적인 고용기회의 확대와 함께 도시의 어메니티 요인인 복지시설에 대한 확대가 필요할 것이며 쇠퇴한 비도시지역에서는 청년 인구의 유출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들의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우선순위로 고용 측면에서 청년지원사업의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역의 쇠퇴 여부 및 지역 유형에 적합한 지역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