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의 만성통증과 건강행위와의 관계

        하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ronic pain and health behaviors among the elderly, an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subjects consisted of 200 elderly who visited in Public health center and pain clinic in C-gu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8 to November 3 in 2004 using questionnaire. The tools used for this research were VAS and SF-MPQ for pain and Instrument of Health Behaviors for Korean elder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and data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cheffe test.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s : 1. The mean for VAS, SF-MPQ, Discomfort of the pain and Istrument of Health Behavior were 5.48, 17.58, 2.30 and 3.02 respectively. 2.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the statistical differences in SF-MPQ scores of the elderly by mode of family (F=6.712, p=.000). 3.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th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health behaviors scores of the elderly by age(F=4.346, p=.014), sex(F=-2.444, p=.015), past occupation(F=4.967, p=.001), mode of family(F=4.132, p=.007), and monthly pocket money(F=3.572, p=.008).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th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health behaviors score of the elderly by onset of pain(F=8.782, p=.000), pattern of pain(F=-4.369, p=.000), and aggravation factors of pain(F=7.104, p=.000). 4.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pain and the health behavior (r=-.186~-.497, p〈.01). In conclusion, nurses should understand the pain of the elderly and respect their health behaviors as well as be aware of the pain and health behaviors influence. Also,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be performed to promote health behaviors of the elderly with chronic pain. 인간의 수명 연장으로 노인은 많은 고통과 건강문제를 가진 채 장수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노인이 만성 통증을 경험하며, 노인의 만성통증은 관리와 중재가 미흡하고 신체, 심리, 사회적인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노인이 경험하는 만성통증의 특성을 규명하고, 노인들이 증상완화 및 건강 보호, 유지, 증진을 위해 일상적으로 행하고 있는 건강행위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이해는 만성 통증 노인의 간호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며, 따라서 이 연구는 만성통증을 경험하는 노인이 보다 효율적인 건강행위 이행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상북도 C군에 소재한 보건지소와 통증클리닉을 방문하고 만성통증을 경험하는 60세 이상의 남녀노인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4년 10월부터 11월까지 실시되었으며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도구는 통증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각적 상사척도를 사용하였고, 감각·정서적 통증정도는 축소형 McGill 통증척도(Melzack, 1987)를 사용하였다. 통증 불편감은 Gracely 등(1978a)이 개발한 불편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건강행위는 최영희와 김순이(1997)가 개발한 한국 노인의 건강행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검정,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만성통증 노인의 통증은 평균 5.46, 감각·정서적 통증정도는 평균 17.58, 통증 불편감은 평균2.30이고, 노인의 건강행위는 평균 3.02 였다. 감각·정서적 통증정도는 가구형태(F=6.712, 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건강행위는 성별(F=-2.444, p=.015), 연령(F=4.346, p=.014), 과거직업(F=4.967, p=.001), 가구형태(F=4.132, p=.007), 월 평균 용돈(F=3.572, p=.00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통증 시작시기(F=8.782, p=.000), 통증의 지속성(F=-4.369, p=.000)과 통증의 유발 요인(F=7.104, p=.00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노인의 건강행위는 통증정도(r=-.186, p=.008), 감각·정서적 통증정도(r=-.497, p=.000)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에 통증을 경험하는 노인에게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계획·수행할 때 통증 경험을 이해하고, 수행중인 건강행위를 존중하며, 통증이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민감하게 인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중간정도 이상의 통증을 경험하면서도 중정도 이상의 건강행위를 이행하고 있었고, 이는 노인에게 있어 건강행위 증진의 잠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건강행위는 통증 시작시기, 통증의 지속성과 통증의 유발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통증정도가 높을수록 건강행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성통증을 경험하는 노인이 건강행위를 잘 이행할 수 있도록 각자에 부합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학습만화 읽기 활동이 학업성취도와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하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습만화 읽기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사회과 학업성취도와 교과 내용의 글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영상매체와 인터넷 발달함으로써 변화된 매체 환경으로 인해 읽기는 이제 단순히 문자언어를 읽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시각과 영상을 통한 다양한 매체 속에 담겨 있는 언어를 읽는 것에까지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또한 인쇄 매체 역시 책 뿐 아니라 만화와 신문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인간의 삶에 필요한 지식, 정보, 문화를 전달하는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중 학습만화는 최근 들어 질적․양적으로 증가하여 이제 초등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읽기 자료 중에 하나가 되었다. 이처럼 학습만화가 주목받게 된 데에는 구어체 언어와 재미있는 그림으로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어렵고 딱딱한 내용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 교육적 기능에 주안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학생들이 도서관에서 또는 학교에서 독서를 할 때 학습만화를 많이 읽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독서교육대상으로서 학습만화의 활용 지침이나 학습만화 읽기의 교육적 효과, 학습만화 읽기가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은 찾아보기가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흥미를 갖고 많이 읽는 학습만화를 대상으로 학습만화 읽는 것이 관련 교과의 학업성취도와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이론의 토대가 되는 학습만화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학습만화의 개념과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적 특성을 바탕으로 학습만화가 시각자료로서, 이해 촉진 자료로서 그리고 교수-학습 자료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학습만화는 몰입과 이완의 상태를 제공하고 지식의 습득과 기억에 유용하다는 점을 들어 읽기 텍스트로서의 학습만화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학습만화 읽기 활동 후 학업성취도와 읽기 능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 대상과 연구 기간, 연구 설계, 검사 도구, 학습만화 읽기 활동 프로그램 계획 등을 다루었다. 연구 대상은 울산광역시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으로 실험집단 39명, 비교집단 38명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전 학업성취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2개 반으로서 실험집단에는 10차시에 걸쳐 학습만화 읽기 활동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은 학습만화 읽기 활동을 실시하지 않았다. 학습만화 읽기 활동은 교과와 관련된 학습만화를 선정하여 실험집단에게 읽게 하고 읽은 후엔 간단히 학습지를 풀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학습만화 읽기 활동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관련 교과의 학업성취도와 읽기 능력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통계 처리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에는 학습만화 읽기 활동에 대한 반응을 설문지로 알아보았다. Ⅳ장에서는 자료의 분석 결과와 논의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학습만화 읽기 활동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사전 학업성취도 검사를 기준으로 나눈 수준별집단의 사후 검사 결과로는 중위 집단과 하위집단은 학습만화 읽기 활동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위 집단에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학습만화 읽기 활동은 읽기 능력에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그러나 읽기 능력의 하위 요인별로 보았을 때 ‘내용 확인’과 ‘추론’에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학습만화 읽기 활동에 대한 반응을 실험집단에게 설문한 결과 학습만화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그리고 학습만화가 학업성취도와 수업 내용 이해, 그리고 일반 독서에도 도움이 된다고 하여 학습만화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학습만화가 흑백으로 제시된 점과 학습지 풀이로 인해 재미가 떨어진다는 부정적인 의견도 보여 이 점에 대해서는 학습만화를 제시할 때 참고할 필요가 있겠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습만화 읽기 활동이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와 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다고 할 수 있다.

      • 국어의 구개음화 연구

        하지영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examine argument about some inexplicable problems by surveying palatalization rule in both synchronic and diachronic way and comparing it to the contemporary situation that has gone through the context. In order to comprehend a phonemic phenomena correctly, neither synchronic perspective nor diachronic way is still short to solve. So it is most important for us to find out what is the most suitable approach for each phonemic phenomena. Accordingly in this paper, I tried to expand what palatalization is all about systematically by means of synchronic and diachronic way both. My argument consists of all five sections; in the first chapter is about purpose and method of study on the basis of previous examinations. In the second chapter, definition and cause of palatalization was dealt. In the third chapter, I classified kinds of palatalization and examined both progressive palatalization and retrogressive one respectively. In the fourth chapter, I searched how the past palatalization passed down and changed to modern Korean language, on which I further argued about non-palatalization and retro-palatalization. Finally, in the fifth chapter, I summed up in brief what I mentioned in main chapters, and I left a clue for further studies in this area with multi-angled perspectives.

      • 모바일 동영상 광고의 맥락일치성과 광고침입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하지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Popularization of smartphones is changing lifestyle, culture, ways of thinking, as well as the way we access media. Because it has become an essential part of our daily lives, it is also bringing changes to the advertising sector. The four traditional types of advertising are steadily becoming less influential while the prevalence of new media, especially mobile advertising, is on a fast rise, not only within the country, but all around the world. Mobile advertising has become a mainstay in the marketing world and naturally, spending in this sector is expected to rise considerably. Because the mobile sector holds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hat is solely focused on this area. Thus far, studies in mobile advertising have primarily focused on the nature of advertising itself, but now there is a need to also study the many factors that surround advertising. This study researched what attributes a mobile advertising must have in order to increase advertisement effectiveness while reducing advertising clutter and preventing advertising avoidance. From the many factors presented in the advertising clutter model, it used advertising intrusivenes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other independent variable added to decrease advertising clutter for this study is contextual congruity. Brand recall, advertising attitude, advertising avoidance, and behavioral intention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First, the study showed that advertising intrusive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recall rate while high contextual congruity resulted in significantly lower brand recall rate. The research suggests that high contextual congruity led to lower brand recall rate because the viewer mistook the advertisement as a part of the video content or simply did not pay close attention. Second, advertising intrusiveness and contextual congruity both had significant effect on advertising attitude. Low advertising intrusiveness and high contextual congruity lead to positive advertising attitude. Third, higher advertising intrusiv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vertising avoidance, while contextual congruity did not.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factors were spotted in the following instances: when advertising intrusiveness was low, low contextual congruity caused higher advertising avoidance; when advertising intrusiveness was high, high contextual congruity caused higher advertising avoidance. To elaborate, when advertising intrusiveness was low - in other words, when the advertisements were shown less – the fact that the advertisements were irrelevant to the video content caused more irritable user experience, leading to higher advertising avoidance. On the contrary, high advertising intrusiveness required more cognitive processing to distinguish between advertisement and the video content, which lowered viewer’s concentration and led to higher avoidance. Lastly, both advertising intrusiveness and contextual congruity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In summary, advertising intrusiveness affects advertising attitude and advertising avoidance, while contextual congruity affects brand recall and advertising attitude. With low advertising intrusiveness, advertising avoidance is greater with low contextual congruity and vice versa. Increasing advertising intrusiveness causes advertising avoidance and negative advertising attitude. Increasing contextual congruity would likely result in positive advertising attitude but would lower viewers’ recollection of brand name. Running advertisements high in contextual congruity with low advertising intrusiveness, or doing the opposite, running advertisements low in contextual congruity with high advertising intrusiveness, will draw greater attention from viewers. This study further analyzed the impact of contextual congruity and advertising intrusiveness on advertisement effectiveness by using advertising general attitude, content involvement, and advertisement involvement as covariant. Contextual congruity had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when advertising general attitude was used as the covariant. In addition, using advertising general attitude, content involvement, and ad involvement as covariant caused significant effect on advertising attitude, advertising avoidance and behavioral intention, respectively. Additionally, better advertising general attitude led to better advertising attitude, less advertising avoidance, and more behavioral intention. Correlation analysis factoring in demography showed that younger people had lower income, used more mobile devices, and watched more mobile videos and YouTub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dependent variables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dvertising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dvertising attitude and advertising avoidance. This study provides effective mobile video advertising strategy at a time when demand for such is increasing. It meaningfully investigated how advertising intrusiveness and contextual congruity affects the efficiency of mobile video advertising. In addition, this study, with the advertising clutter theory as its basis, looked into advertisement intrusiveness as a clutter aggravating independent variable and contextual congruity as clutter mitigating in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would be served as a foundation on which more sophisticated research into mobile video advertising intrusiveness a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call for more studies that seek to achieve mitigation of advertising clutter in various media and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e advertising clutter model. 스마트폰의 보급은 매체 이용 방식뿐만 아니라 생활양식과 사고방식,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스마트폰이 현대인의 필수품이 됨에 따라 광고의 판도 역시 변화하고 있다. 광고 매체로서 전통적인 4대 매체의 영향력은 점차 감소하고 뉴미디어를 활용한 프로모션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모바일 광고는 빠르게 성장 중인데,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모바일 광고는 가장 주목받는 광고 시장이라 할 수 있으며, 앞으로도 모바일 광고비는 타 매체 대비 가장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모바일은 기존 매체와는 또 다른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모바일만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동영상 광고의 혼잡도를 줄이고 광고회피를 방지하며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 모바일 동영상 광고가 어떠한 특성을 가져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동안의 모바일 동영상 광고 관련 연구는 광고 자체의 특성에 중점을 두어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광고를 둘러싸고 있는 상황적 측면까지 고려해봐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광고 혼잡 모델을 바탕으로 광고 혼잡 측면에서 모바일 동영상 광고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광고 혼잡 모델에서 제시된 여러 요소 중 광고침입성을 하나의 변인으로 삼아 연구하였다. 그리고 광고 혼잡을 감소시키는 요소로서 맥락일치성을 또 하나의 변인으로 삼아 연구하였다. 이렇게 광고침입성과 맥락일치성을 독립변인으로 설계하고, 브랜드회상, 광고태도, 광고회피, 행동적 의향을 종속변인으로 설계하여 광고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브랜드회상의 경우, 광고침입성은 브랜드회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맥락일치성은 브랜드회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맥락일치성이 높을 때 브랜드회상의 정답률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광고를 영상의 일부로 인식하거나 광고에 크게 주목을 하지 않아 브랜드명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광고태도의 경우, 광고침입성과 맥락일치성은 모두 광고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침입성이 낮을 때와 맥락일치성이 높을 때 광고태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광고회피의 경우, 광고침입성은 광고회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맥락일치성은 광고회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침입성이 높을 때 광고회피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광고침입성과 맥락일치성이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는데, 광고침입성이 낮을 경우 맥락일치성이 낮을 때 광고회피가 높게 나타났고, 광고침입성이 높을 경우 맥락일치성이 높을 때 광고회피가 높게 나타났다. 광고침입성이 낮을 때는 광고가 여러 번 나오지 않기 때문에 영상 콘텐츠와 관련 없는 광고라는 내용적 측면이 거슬림이나 반발을 불러 광고회피를 높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광고가 여러 번 나오는 광고침입성이 높은 상황에서는, 콘텐츠와 광고를 구분하는 데에 인지적 처리가 좀 더 요구되는 맥락일치성이 높은 광고가 여러 번 나오는 것이 오히려 집중도를 떨어뜨리고 회피 행동을 하는 결과로 이어지게 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행동적 의향의 경우, 광고침입성과 맥락일치성은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광고침입성은 광고태도와 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치고, 맥락일치성은 브랜드회상과 광고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광고침입성이 낮을 때는 맥락일치성이 낮을 때 광고회피가 높게 나타나고, 광고침입성이 높을 때는 맥락일치성이 높을 때 광고회피가 높게 나타났다. 광고침입성을 높이는 것은 광고회피를 유발하고 광고태도를 부정적이게 만든다. 맥락일치성을 높이는 것은 광고태도는 긍정적이게 만들지만 시청자들의 주의집중을 떨어뜨려 브랜드를 잘 회상하지 못하게 한다. 광고침입성이 낮을 때는 맥락일치성이 높은 광고를, 광고침입성이 높을 때는 맥락일치성이 낮은 광고를 집행하는 것이 시청자들의 주의집중을 좀 더 이끌어낼 수 있다. 추가분석에서 광고일반태도, 영상관여도, 광고관여도를 각각 공변량으로 넣고 광고침입성과 맥락일치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광고일반태도를 공변량으로 넣었을 경우 맥락일치성이 행동적 의향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광고일반태도, 영상관여도, 광고관여도를 공변량으로 했을 때 각각 광고태도, 광고회피, 행동적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광고일반태도가 좋을수록 광고태도가 좋고, 광고회피가 덜 발생하고, 행동적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포함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보면 나이가 적을수록 월 평균 소득이 적고, 모바일 기기를 오래 사용하고, 모바일 기기를 통해 동영상을 오래 시청하고, 유튜브를 오래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광고태도와 행동적 의향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광고태도와 광고회피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모바일 동영상 광고 집행이 늘어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앞으로의 모바일 광고 전략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모바일 기기를 사용해 온라인 동영상을 시청할 때 광고침입성과 맥락일치성이 광고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광고 혼잡 이론에 바탕을 두고 광고 혼잡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광고침입성을, 광고 혼잡을 완화시키는 요인으로 맥락일치성을 독립변인으로 삼아 연구했다. 본 논문의 결과를 토대로 모바일 동영상 광고의 광고침입성이 좀 더 정교하게 연구되고, 광고 혼잡을 완화시키는 요인 역시 각 매체별로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져 광고 혼잡 모델에 통합되기를 기대한다.

      • 상관의 리더십 유형이 직원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 대구광역시청을 중심으로

        하지영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우리는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을 하지 않으면 무한경쟁사회에서 살아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고 성과를 내지 못하는 조직은 생존하기 어려운 시대이며 이러한 조직의 생존과 성장은 그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인적 자원의 역할이 큰 몫을 차지한다. 구성원들 스스로가 조직의 성과를 위해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어야 하고, 구성원들의 역량을 조직 내에 충분히 끌어내어 활용할 수 있는 리더의 역할 또한 매우 중요하다. 공공조직의 경우 기업의 조직과는 달리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조직이 아니며, 다루는 업무분야 또한 지역 내의 광범위한 제반문제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업무특성에 따라 각각 다양한 리더십을 가진 리더가 요구된다. 또한, 조직에 맞는 리더가 있다 하더라도 그 구성원들이 조직 내에서 맡겨진 업무에 대한 가치를 느끼지 못하거나 일을 처리할 능력이 없고 스스로 의사결정을 할 권한이 주어져 있지 않다면 그 결과는 조직의 목표달성과 연계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임파워먼트가 잘 되어 있는 구성원들이 그 조직에 합당한 리더십을 가진 리더를 만났을 때에는 그 조직은 이루고자 하는 목표 이상의 성과를 낼 수 있는 것이다. 선행연구 논문에서 살펴보면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의 3가지 유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리더십 유형별 특성과 임파워먼트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연구한 경우는 다수 있으나, 3가지 리더십 유형 모두의 특성을 임파워먼트와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도출한 경우는 아직까지 연구한 논문이 없었고,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한 리더십과 임파워먼트에 관한 연구논문은 많았으나, 공공단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청을 중심으로 공공조직에서 요구하는 리더십의 유형과 유형별 특성, 임파워먼트 정도에 대하여 알아보고, 조직구성원들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의 특성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임파워먼트리더십을 도출해 보고자 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둔다. 이 논문의 연구범위는 대구광역시 본청 5급에서 9급 사이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국내외 학자들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적 개념을 정립하였고,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과제 및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조직에서 나타나는 리더십의 유형을 파악하고자 한 연구과제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토대로 나타난 연구결과는 공공조직(대구광역시청)에는 다양한 리더십이 존재하며, 특정 리더십에 대한 선호도가 뚜렷히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대구광역시청에서 처리하는 업무의 다양성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이며, 향후 업무특성에 따른 다양한 리더십의 선택 및 적용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둘째, 공공조직에서 조직구성원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주는 리더십의 특성을 파악하여 임파워먼트리더십을 도출하고자 한 연구과제에 대하여는 연구결과 각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구성요소와 임파워먼트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은 기존의 선행연구논문 사례와 일치하였다. 또한, 리더십 유형 중에서 임파워먼트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리더십의 유형은 서번트 리더십이며, 그 구성요소 중 ‘구성원의 성장’과 ‘청지기의식’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공조직이 일반기업에 비해 변화나 혁신속도가 늦지만, 리더십의 형태와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고려할 때 과거, 리더가 주도하여 조직의 성과만을 앞세우는 거래적, 변혁적 리더십보다는 리더와 구성원간 상호작용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리더 즉, 서번트리더십을 가진 리더를 조직에서 더 요구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조직의 리더는 조직전체의 발전, 리더의 발전과 더불어 조직 구성원 개개인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야 할 것이고, 구성원의 역량과 자기효능감을 배가시킬수 있는 교육과정 개설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에 업무특성이 다른 부서들이 상존함에도 부서별 특성을 처음부터 고려하지 않고 연구과제를 수행한 것은 아쉬움으로 남으며, 향후 연구과제로는 본 연구 결과 조직구성원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주는 리더십의 특성으로 나타난 서번트리더십의 ‘구성원의 성장’과 ‘청지기 의식’에 대해 좀 더 연구를 하여 조직구성원을 성장시킬 수 있는 방안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파악하고 향후 조직개편이나 구성원의 교육훈련계획 수립 등에 반영하는 것도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며, 조직의 업무성격, 직급별로 구분하여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리더십 유형을 선정하고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특정유형의 리더십의 특성과 임파워먼트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 영아의 교사 및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하지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아가 보육시설에 처음 입소한 시점(Time 1)과 4개월이 경과한 시점(Time 2)의 교사 및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 각 상호작용 맥락 간의 관계 그리고 상호작용과 관련된 영아의 개인 특성을 알아보는 데 주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19개월부터 36개월까지의 영아와 어머니 52쌍 그리고 영아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 10명이었다. Time 1과 Time 2에 영아의 교사 및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관찰하였으며, Time 1에 어머니가 영아의 기질에 대한 질문지를 작성하였고, 교사가 영아의 전반적인 발달수준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Wilcoxon 순위검증, Spearman 순위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Time 1에 비해 Time 2에 상호작용 동기(신체·생리적 동기, 정서적 동기, 갈등중재의 동기, 놀이참여의 동기)에 따라 영아가 시도하는 영아-교사 상호작용과 교사가 시도하는 영아-교사 상호작용이 대체로 감소하였으며, 부정적인 영아-또래 상호작용이 감소하였다. 둘째, Time 1과 Time 2에 교사에게 언어적 상호작용을 많이 시도하는 영아는 행동적 상호작용도 많이 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교사는 대체로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을 많이 시도하는 영아에게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과 발달자극을 유도하는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ime 1에 또래와 긍정적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영아는 부정적 상호작용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Time 1과 Time 2의 교사 시도 영아-교사 상호작용은 Time 2의 영아 시도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아 시도 영아-교사 상호작용은 대체로 동일한 시점에만 교사 시도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Time 1과 Time 2에 영아의 성별과 월령, 기질, 발달수준이 영아 시도 영아-교사 상호작용, 교사 시도 영아-교사 상호작용, 영아-또래 상호작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아가 보육시설에서 경험하는 상호작용을 영아가 시도하는 교사와의 상호작용, 교사가 시도하는 영아와의 상호작용 및 또래와의 상호작용으로 구분하고, 특히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이 어떠한 동기에 의해 일어났는지를 세분화하여 보육현장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을 단기종단연구설계를 통해 심층적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영아의 교사 및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발달에 적합한 방식으로 지원할 수 있는 지침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infants' interactions with the teachers and other infants had changed during the time they attended the child care at least for four months compared to the time they just entered it. Also, the relations between each context of the interaction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s in regard of the interactions were studied as well. There are three different contexts of interactions infants can make in the child care, such as infant-teacher interactions which infants initially approach their teachers, infant-teacher interactions which teachers initially approach the infants and infant-peer interactions. In particular, the motives for infant-teacher interactions are separated out as physiological needs, emotional needs, conflict mediation and participation in play. The study aimed at 52 infants from 19 months to 36 months, their mothers and 10 teachers in child care in the area of Seoul and Kyunggi. Data were collected when the time was one month to the day the infants entered the child care(Time 1) and four months to the day they entered(Time 2). Four trained observers watched and recorded the infants interacting with their teachers and peers during free play activities in Time 1 and Time 2. Each infant was observed once every week for 20 minutes, 8 times and 160 minutes in total. Also, in Time 1 mother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about their infants' temperaments, and the teachers measured the infants' overall levels of developmen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Program.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used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ypes of interactions in each context from Time 1 to Time 2. Also, the relations between the contexts and types of interactions were analyzed by Spearman rank correlations. In particula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s well to determine how influential infant approaches to teachers and teacher approaches to infants were to each other when it came to infant-teacher interactions. Last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variables of infa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ime 1 and Time 2 in regard of the interactions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and infants and their peers, Spearman rank correlations were us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it showed that in case of an infant-teacher interaction by infant approaches,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by physiological and emotional motives in Time 2 decreased more than in Time 1. Also, the verbal interactions decreased by motives of conflict mediation. In case of an infant-teacher interaction by teacher approaches, all interactions by physiological motives decreased. Behavioral interactions by emotional motives and the interactions which stimulate development by motives of conflict mediation and participation in play declined as well. In case of infant-peer interactions, negative interactions decreased more for Time 2 than Time 1. Second, it showed both Time 1 and 2 infants who interacted verbally with teachers tended to have many behavioral interactions with them as well. Infants in Time 1 phase who had many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with the teachers tended to interact with them verbally and behaviorally even if they were in Time 2 phase. In addition, the teachers tended to interact verbally and behaviorally more with the infants and to stimulate development of them as long as the infants tried to approach them more. In case of infant-peer interactions, infants who had many positive interactions had many negative interactions as well in Time 1 phase whil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interactions in Time 2 phase. Also, infants who had many positive interactions with their peers in Time 1 phase had many of them as well in Time 2. Third, the infant-teacher interactions by teacher approaches in Time 1 and 2 affected the infant-teacher interactions by infant approaches complexly in Time 2. However, the infant-teacher interactions by infant approaches only affected the infant-teacher interactions by teacher approaches in the same time phase. Fourth, the more the infants active and social, the more often they tried to verbally interact with the teachers in Time 1. Also, the higher the level of communicative, cognitiv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the infants, the more often they tried to interact verbally with the teachers. It showed the similar results in Time 2.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bility of infants, communication or cognitive development, the more often they had verbal interactions with the teachers. Also, as long as they were girls, more active, had higher level of sociability, higher communication abilities and higher 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 in Time 1 and had higher level of sociability and higher 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 in Time 2, infants tended to have more behavioral interactions with the teachers. Teachers tended to verbally interact more with infants who had high level of sociability and communication in Time 1, and had high 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 in Time 2. They also behaviorally interacted more with infants in Time 2 who had less negative emotions, high level of sociability and high 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 In addition, they interacted more with the infants who were active by stimulating development of them. As long as the infants were younger in Time 1 and they were boys, active or had lower level of social development in Time 2, the teachers tended to limit their behavioral interactions to them. As long as the infants were girls or older, they tended to positively interact with their peers in Time 1 while as long as they were older, less active or had high level of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ey tended to positively interact with them in Time 2. This study had tried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s that infants experience in child care, such as infant-teacher interactions by infant approaches, infant-teacher interactions by teacher approaches and infant-peer interactions. In particular, in case of infant-teacher interactions, the motives were segmented. Also, by studying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interactions between infants who initially enter the child care and teachers and peers, their adaptation process could be analogized. In addition, it was proved that promoting environment for infants to lead the interactions in the child care is important by discovering the dynamic proces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infants and the teachers. In conclusion, by studying those variable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s related to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infants and teachers and infants and peers, it could be acknowledged that teachers should support their infant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how long they attend the child care. This study provided proper guideline to develop the interactions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and infants and peers as meaningful.

      • 틈나리(L. elegans 'Connecticut King')의 促成 栽培에 있어 球根의 植栽깊이 및 低溫處理 方法이 生育 및 開花에 미치는 影響

        하지영 慶北大學校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틈나리 (L. elegans 'Connecticut King')의 促成栽培에 있어서 球根의 植栽깊이 및 低溫處理方法이 生育 및 開花에 미치는 影響을 究明하기 위하여 實驗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萌芽所要日數는 體眼이 깊은 狀態에서는 所要日數가 길었고, 低溫處理期間이 길어질수록 所要日數가 短縮되었다. 栽植方法에 따른 差異는 認定되지 않았다. 2. 萌芽速度는 自然低溫處理 및 人工低溫處理에 關係없이 處理期間이 걸어질수록 短期間에 萌芽하였다. 특히 無低溫處理구에서는 먼저 鱗片葉出葉하였다가 枯死한 後 다시 줄기가 萌芽하였다. 줄기의 伸長은 自然低溫處理區 및 人工低溫處理區 모두 處理期間이 길어질수록 萌芽 後 줄기 伸長速度가 빨랐고, 球根의 栽植方法에 따른 差異를 보면 無低溫處理區 및 3℃에 15日處理區는 覆土한 것이, 30日, 45日, 60日 處理區는 露出한 것이 初期 伸長速度가 현저히 빨랐다. 開花期 草長은 自然低溫處理區에서는 90日以上, 3℃處理區에서는 30日以上 處理했을때 길었으며, 同一處理區에서는 露出, 覆土間의 差異는 認定되지 않았다. 3. 開花所要日數는 無處理區에서는 入室 後 260―270日이 所要되었으나, 自然低溫處理하여 1月7日, 2月7日에 入室한 區는 90―110日에 開花하여 低溫處理期間이 길수록 所要日數가 짧아지는 傾向을 보였다. 12月7日까지의 入室區에서는 露出區가 覆土區에 비해 所要日數가 약간 길었다. 3℃處理時 60日間 處理區에서는 120日 以上 所要되었다. 30日以上 處理時 露出區가 覆士區에 비해 所要日數가 短縮되었다. 4. 着花數, 葉數 및 줄기 直徑에 있어 球根의 露出效果는 認定되지 않았다. 低溫處理期間이 길어짐에 따라 着花數 및 줄기 直徑은 增加하였으나, 葉數는 減少하였다. Experiment was attempted to know the effect of light treatment, methods of cold treatment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Liliun elegans 'Connecticut King' bulbs. The results obtain can be summarized as follow: 1. The bulbs in deep dormancy state needed longer period to shoot emergence and the longer duration of cold temperature shortened the required days. There were little difference between planting pattern. 2. The bulbs exposed to light formed scaly leaf and then die. After this, shoots were emergenced in turn. The longer duration of cold temperature showed forced stem elongation after shooting. The bulbs of control plot and cold treatment at 3℃ for 15days showed quicker growth at earlier stage when buried than exposure to light, while the bulbs treated for 30,45 and 60days showed quicker growth pattern than buried one. Plant height at flowering stage longer when conducted natural cold treatment for over 90days, and 3℃ cold treatment for over 30days. There were little difference in the plant height between treatment. 3. The Days requried for flowering was 260-270days at control plot, while required 90-110days at natural cold treatment when moved into the greenhouse on Jan.7th and Feb.7th. The longer duration of cold treatment tends to shorten for flowering. 3℃ cold treatment for 60days required over 120days. The bulbs treated for over 30days shortened the required days when exposure to light than buried. 4. Stem diameter, number of flowers and number of leaves showed little difference. The longer duration of cold treatment increased stem diameter and number of flowers per plant, but number of leaves were redused.

      • 오토인코더를 이용한 도서 추천 시스템

        하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추천 시스템의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 오토인코더를 기반으로 한 도서 추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오토인코더는 비지도 학습을 위한 인공신경망 중 하나로 데이터의 주요 특징을 포착하는 데 뛰어나다. 오토인코더를 추천 시스템에 사용할 경우, 사용자와 아이템 간의 비선형 관계를 효율적으로 학습하여 추천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토인코더 및 오토인코더로부터 파생된 적층 오토인코더와 잡음 제거 오토인코더 모델을 사용하였다. Goodbooks의 도서 평점 데이터를 사용하여 구축한 추천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오토인코더를 사용한 경우 기존의 전통적인 협업 필터링 방법에 비해 추천 성능이 향상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the methodology of recommender systems, and to build the book recommender system based on autoencoder. An autoencoder is one of the deep learning networks for unsupervised learning and captures useful feature representations of the data. Applying autoencoder to recommender systems allows the model to learn nonlinear features between users and items efficiently, thereby increasing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use variants of autoencoders such as stacked autoencoder and denoising autoencoder in model construction. Then,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traditional collaborative filtering and autoencoder-based recommender systems on book rating data in Goodbooks. As a result, autoencoder-based model has significantly improved performance for predicting book ratings.

      • 사회과 학업우수학생들의 학습전략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

        하지영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습전략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인데도 불구하고 실제 학생들이 어떤 학습전략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탐구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가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 학업우수학생들의 실제 어떤 학습전략을 사용하는지를 귀납적으로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Strauss와 Corbin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의 절차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범주화하였다. 먼저 개방코딩을 통해 97개의 개념과 25개의 하위범주, 6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축코딩에서는 앞선 개방코딩의 과정에서 도출된 범주들 간의 관계를 밝히는 작업이 이루어졌고, 이를 통해 각 범주의 학습전략들이 어떤 맥락에서 어떤 과정을 통해 사용되는지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사회과 학습에 있어서 학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학습의 주 원천과 활용’이었고, 이에 부가적으로 ‘다양한 보조자와 보조자료’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학습자 자신이 학습 상황에 대해서 다양한 종류의 ‘모니터링’을 하고 있었으며, 학습의 주 원천과 보조 자료를 활용하게 되면서 ‘스스로 발견한 학습법’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이러한 학습 방법은 자신의 ‘목표달성을 위한 전략적 행위’로 집약된다. 마지막으로 학습자가 학습의 주 원천을 선택하거나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적 행위를 할 때 ‘학습동기’가 영향을 주고 있었다. Although leaning strategy has been considered by educators as an important factor of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s, it has been a neglected area of study by Korean educational researchers. This qualitative study inductively investigated the learning strategies used by secondary students who are academically advanced in the social studies. Data collection and collabor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by following the procedure of grounded theory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Ninety four learning strategies were coded. And then, these learning strategies are categorized into 25 sub-categories and into 6 main categories. The six main categories could be organized into a theoretical model that explains how students utilize these strategies in various learning contexts. According to the model, students consider textbooks and teachers' lecture as the most important sources of the social studies learning and mobilize various kinds of strategies to understand these two learning materials. To make it easier to utilize textbooks and lectures, students get assistances from other people including their parents and friends and also utilize various kinds of additional materials such as activity books and work books. Students can monitor their own performances of learning and studying, and make critical evaluations on teachers' lectures and other factors such as classroom environments. Most students develop their own know-how of learning in note taking, textbook reading, and memorization of important facts and concepts. Further, they acknowledge which strategies are effective or which strategies are not in a specific context. Academically advanced students strategically organizes their efforts to achieve their goals such as getting high score in mid-term exams. Finally, most students have their own ways of motivating themselves to study the social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