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BTK 저해활성을 갖는 피페라지닐아미노피리딘 유도체의 설계 및 합성

        하주현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BTK (Bruton’s tyrosin kinase)는 Tec family kinase의 하나로 B세포 수용체 (B-cell receptor, BCR) 신호 전달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B세포 항원 (B-cell antigen), 사이토카인 (cytokine), 성장인자 (growth factor)의 수용체 기능을 담당하며 세포의 분화, 이동, 성장, 신생 혈관 생성과 같은 신호 기전에 중요한 역할 수행으로 약물개발의 핵심 표적이 되어왔다. 현재 다양한 BTK 저해제가 보고되었고 항암제 또는 항염증제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이중 임상에서 항암약물로 사용 중인 Ibrutinib을 변형한 비가역적 저해제를 도출하고자 다음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피페라지닐아미노피리딘을 핵심 골격으로 신규의 BTK 저해제를 설계하고 합성하였다. 본 연구실에서 도출한 힌지 (Hinge)와 강력하게 상호작용하는 결합구조인 아미노피리딘 골격에 피페라진을 링커로 도입하고, Csy481과 공유 결합하여 비가역적 저해제로 작용할 수 있는 Michael acceptor를 도입하였다. BTK의 특이적 활성부위 selectivity pocket에 위치한 Lys430과 Asp539와의 상호작용, DFG motif의 Phe540과 π-π 상호작용이 가능한 물질을 설계 및 합성하였다. 합성한 피페라지닐아미노피리딘 유도체의 효소 저해 활성을 평가하고 구조 활성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도출한 물질 중 4-chlorobenzyl 치환기를 포함한 화합물 7f는 IC50 = 1.5 μM로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Docking study를 진행하여 도출한 물질 (7a, 7f)의 BTK에 대한 결합 모드를 예측하고 치환기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물질과 결합 모드에 대한 식견은 보다 우수한 활성 물질의 발굴 및 응용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TK (Bruton'styrosine kinase) is one of the Tec family kinase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B-cell receptor(BCR) signaling pathway. It plays a role in the receptor function of B-cell antigen , cytokine, growth factor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cell growth and differentiation, movement and neovascularization. It has become a key target for the development of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drugs. Various BTK inhibitors are currently reported and clinical trials are underway. The following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a irreversible inhibitor that modified ibrutinib, which is used as an anticancer drug for mantle cell lymphoma,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etc. In this study, novel BTK inhibitor with piperazinylaminopiridine scaffold was designed and synthesized. Aminopyridine scaffold which is a hinge binder was linked with DFG targeting group through piperazine linker. Michael acceptor, which can be covalently bonded to Csy481, was introduced as an irreversible inhibitor. The synthesized compounds were capable of interacting with Asp539 and Lys430 in the selectivity pocket of BTK and π-π stacking with Phe540 of DFG motif. The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the synthesized piperazinylaminopyridine analogs was evaluated and the structural activity relationship was analyzed. Compound 7f, including 4-chlorobenzyl substitution, was the most active with 1.5 μM of IC50 value. The binding modes of the representative compounds 7a and 7f were predicted by conducting the docking analysis. It partially supports rationale of the SAR results. In summary, the study provides a promising lead for further study in the discovery of potent BTK inhibitors.

      • 미취학 아동의 글자 지각에 적합한 한글꼴 구조 : 글자 윤곽을 중심으로

        하주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Introduction Visually recognizing a letter is a required ability for children’s literaracy learning. Concurrently, it is a complex and difficult task for preschool children who are at a developmental stage of visual perception. In order to help children's letter perception, it is important to find out relationship between a letter's shape and letter perception by focusing on various types of Hangul(Korean) typefaces. Based on the findings, characteristics of a letter's shape for children's letter perception can be analyzed. For a more fundamental approach, this study focuses on various structures of Hangul typefaces, which are one of the main causes of a letter's shape. Moreover, among elements related to the image of a letter, a letter contour fully reflects th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various typefaces. Therefore, This study will investigat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angul typefaces based on a word contour, which affects a child's visual perception. Research Range A square frame typeface, a mediated non-square frame typeface, and a non-square frame typeface are chosen as structures of Hangul typeface. Also, this study is based on print media, which comprises the majority of educational resources for preschool children’s literacy education. Purpose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various features of letter contouring, which brings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preschool children’s letter perception by administering a letter perception test. Based on the features of letter contours, specific conditions for Hangul typeface are suggested in order to help preschool children’s letter perception. Theoratical Background of Hangul Structures and Visual Perception Structure of Hangul is closly related to the inner space of a letter. The differences among the structures of square frame typeface, a mediated non-square frame typeface, and a non square frame typeface mainly appear through the contours of a letter. Since perceiving a letter is a fast and intuitive process, it is related to the early stages of visual perception. Spatial frequency theory, which explains linear stages of visual perpception, refers to a blurred contour of an image or letterform as an early stage. Furthermore, preschool children are in a different level of visual perception than that of adults, and tend to make lots of different errors when perceiving a letter. Hangul Typefaces and Letter Perception Hangul typeface is consisted of four different unified patterns. Inner space of each unified pattern can be analyzed according to the size and proportion of characters(vowels and consonants), the vertical space of a letter, and the space between different characters. Various features of letter contours are baseline contour of different letters' height, horizontal width and size of a letter, grouping of several characters, and contours of each character. These features appear differently based on the structure of a typeface, and the differences of letter contours will have influence on preschool children’s letter perception. In order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tter contouring and letter perception, a letter perception test must be performed. Letter Perception Test Prior to a letter perception test, several pre-tests are performed. The first pre-test is to investigate how much children rely on the letter’s contour when they perceive a letter. The second pre-test is to look for the group of letters, which have similar letter contours. Based on the pre-tests, methods for the letter perception test are designed. The test is performed on preschool children. Characteristics of Typeface on Letter Perception The results of the test clearly show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letter contour and preschool children’s letter perception. The test results are grouped into four different unifed patterns. Each group is analyzed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letter contour, which influences letter perception. The features appear to be baseline contour of different letters' height, size of the letter, and grouping of several characters, and contour of each character. Based on the features, different factors of the inner space of a letter are analyzed. The size and proportion of characters, the vertical space of a letter, and the space between different characters have major influence on letter perception. The level of influence from features of contour and factors of inner space differs depending on unified patterns of a square frame typeface, a mediated nonsquare frame typeface, and a non-square frame typeface. Based on the findings, conditions of Hangul typeface for preschool children’s letter perception are analyzed and recommended. Conclusion and Future Research Proposal Hangul typeface for preschool children must consider the following guidelines. First, and most important, each letter must reflect the contour of characters. Second, baseline contour of different letters' height must appear clearly while reflecting a clear contour of different characters. Third, a letter consisted of different characters must be appear as a single form by visually grouping the characters. Additional research needs to be done by focusing solely on mediated nonsquare frame structure, since non-square frame structure covers a broad spectrum of different shapes of typefac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conditions for Hangul typeface, which helps preschool children’s letter perception, will be elaborated in a more accurate and precise way. 연구 배경 정확한 글자 지각은 글자를 습득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능력(박보라, 최예린, 2014 ; 최나야, 2009)이다. 따라서 시지각이 완성되지 않은 미취학 아동은 글자를 지각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뿐만 아니라 지각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많다. 아동의 글자 지각을 돕기 위해서는 글자 지각과 글자 형태 간의 관계를 파악해야 하며, 이를 통해 쉽게 지각되는 글자의 형태적 특징을 알아보아야 한다. 보다 근본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글자 형태의 원인이 되는 한글꼴 구조(안상수, 1990)에 중심을 두고 글자 지각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한글꼴 구조의 특징이 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글자 이미지를 결정하는 요소 중 윤곽은 한글꼴 구조에 따른 특징을 시각적으로 잘 반영하며 지각에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글자 윤곽에 초점을 맞추고 다양한 한글꼴 구조가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적합하다. 연구 범위 글꼴의 구조로 네모틀과 탈네모틀, 중간 탈네모틀을 설정하였다. 또한 한글 초기 교육은 인쇄 매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구 범위를 인쇄 매체로 제한하였다.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미취학 아동의 글자 지각을 돕는 한글꼴의 긍정적 윤곽 특징과, 지각을 방해하는 부정적 윤곽 특징을 밝히고, 이에 대한 지각 요인을 해석하여 아동 글자 지각을 돕는 한글꼴의 조건을 제안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한글꼴과 글자 지각에 대한 기초 개념 한글꼴 구조는 글자 모임꼴로 세분화되며, 글자 모임꼴에 따라 각기 다른 글자 속공간이 구성된다. 네모틀, 중간 탈네모틀, 탈네모틀 한글꼴의 구조적 차이는 글자 윤곽을 통해 크게 나타난다. 시각 정보 처리 단계에 대한 공간 주파수 이론은 지각 초기 단계에서 글자가 흐릿한 윤곽으로 인식된다고 설명하였다. 글자 지각 관련 연구에서는 글자 윤곽과 글자 속 낱자의 집단화가 글자 지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또한 아동의 시지각 발달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이로 인해 나타나는 다양한 지각 오류를 살펴보았다. 한글꼴의 특징과 글자 지각 네모틀, 중간 탈네모틀, 탈네모틀 한글꼴의 글자 속공간을 글자 모임꼴별로 살펴보았다. 글자 속공간은 낱자 크기, 글자 높이, 낱자 사이 간격, 낱자 비례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속공간과 관련 있는 윤곽 특징은 글자 폭, 글줄 윤곽, 글자 크기, 글자 덩이, 낱자 윤곽으로 구분하였다. 글자 윤곽은 한글꼴과 글자 모임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다양한 윤곽 차이를 일으킨다. 앞장에서 알아본 시지각 발달 이론에 미루어 볼 때, 한글꼴에서 나타나는 윤곽 차이에 따라 미취학 아동의 글자 지각이 우수하거나 열등하게 나타날 것이다. 글자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네모틀, 중간 탈네모틀, 탈네모틀 한글꼴에 고루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세 한글꼴에 대한 지각을 동등하게 알아보는 글자 지각 조사가 필요하다. 한글꼴 구조에 따른 글자 지각 조사 글자 지각 조사에 앞서,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글자의 주요 속성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낱자 형태에 따른 유사 윤곽 글자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반영하여 글자 지각 조사를 설계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네모틀, 중간 탈네모틀, 탈네모틀 한글꼴 윤곽 차이에 따른 미취학 아동의 지각 반응을 알아보았다. 글자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한글꼴의 특징 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한글꼴의 윤곽 차이가 글자 지각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글꼴과 글자 모임꼴로 구분하여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윤곽 특징을 알아보았는데, 글줄 윤곽, 글자 크기, 글자 덩이, 낱자 윤곽이 글자 지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윤곽 특징을 바탕으로 글자 속공간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낱자 크기, 글자 높이, 낱자 사이 간격, 낱자 비례가 글자 지각과 관련 있는 지각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글자 속공간을 기준으로 미취학 아동의 글자 지각에 적합한 한글꼴에 대해 해석하였으며, 이를 지각 요인에 따른 조건과 글자 모임꼴에 따른 조건으로 구분하였다. 결론 도출 및 향후 연구 방향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미취학 아동의 글자 지각에 적합한 한글꼴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춰야 한다. 첫째, 낱자 윤곽이 분명해야 한다. 낱자 윤곽은 글자의 네 가지 윤곽 특징 중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글줄 윤곽이 분명해야 하며, 세부적 글줄 윤곽은 낱자 윤곽이 잘 나타나는 범주 안에서 조절되어야 한다. 셋째, 글자가 덩이로 인식되야 한다. 이 연구는 네모틀과 중간 탈네모틀, 탈네모틀 한글꼴을 대표하는 서체를 한개씩 선정하여, 각 서체 간의 지각 차이를 비교하였다는 데 한계가 있다. 이 중 특히 중간 탈네모틀의 경우, 네모틀과 탈네모틀 사이의 중간 글자 구조를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서체 한 개가 가지는 대표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중간 탈네모틀에 단독적으로 초점을 맞춘 글자 지각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 고려 문종대 大宋通交의 배경과 의미

        하주현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고려 문종대 대송통교의 배경과 그 과정, 그리고 재개 후 나타난 고려의 대내외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문종은 1058년 송과의 통교를 재개하고자 하였다. 거란이 동북아시아의 중심으로 부상하는 상황에서 그러한 시도는 상당히 과감한 것이었다. 그러나 문종의 이러한 정책은 사실 성종-정종대 고려의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정세적 판단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고려의 대거란 사대기조가 대내외적으로 명확한 시기에는 (대송통교를 포함한) 고려-거란 양국 간 긴장이 해소되었다. 고려의 대외정책에 거란이 개입하지 않곤 했던 것에 착안, 문종은 재위 초부터 적극적으로 대거란 사대정책을 취하는 동시에 그를 기반으로 대송통교를 추진한 것이다. 그러나 문종은 한편으로, 자신의 오판으로 인한 거란의 도발 가능성에 대해서는 별다른 대비책을 강구하지 않았고, 장기간의 대거란 전쟁을 직접 겪은 후 정종대 이래의 거란위주 외교정책 기조를 만들어온 재신들이 국방문제를 명분으로 대송통교에 강력 반발하면서, 1058년의 시도는 결국 실패로 돌아가게 된다. 문종이 1058년 대송통교를 재개하려 한 목적은 중국의학의 수입 및 고려의학의 정비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송이 의서의 해외유출을 금지하고 송상의 고려 방문도 급감한 상황에서, 문종은 대송통교를 통해 새로운 활로를 열어보려 한 것이다. 즉위 이래 빈발하던 자연재해 및 요절한 두 형에 대한 기억은 문종으로 하여금 의학 및 의료체제 정비에 지대한 관심을 갖게 한 것으로 보인다. 마침 1058년을 전후해 송에서 의서 교정사업이 추진되고, 바로 이 시기 고려에서 다수의 중국의학서를 출판하는 동시에 송 의인의 고려 체류를 유치한 점 등은, 당시 문종의 대송통교 또한 그러한 노력의 한 일환으로 전개된 것이었을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다. 대송통교가 이뤄진 1071년 이후에도 송 문물을 활용한 의학 정비 조치들이 활발히 단행된 점 역시, 그러한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그러나 당시 의학 이외 문물의 도입 정황은 관찰되지 않아 1058년 대송통교 추진의 목표가 상당히 협소했던 것으로 보이며, ‘그 외’의 문물 도입과 관련한 구체적 계획이 없었던 점은 당시 문종의 한계였다고 할 것이다. 1058년 이후 문종은 다시금 대송통교 추진에 나섰고, 이를 위한 정지작업으로 자신의 의지를 보위할 고위급 인력 육성 및 고강도 국방 강화책을 추진하였다. 국자감 개혁, 친시와 은사 확대, 근신의 지공거 임명, 송인 등용 등을 통해 자신의 정책을 지원해 줄 관료군을 고하를 막론하고 양성함으로써, 1058년 무렵의 재추집단이 퇴조하며 발생한 공백을 자신이 신임하는 인물들로 채워 넣는 데 성공하였다. 아울러 군역 관리 강화, 북계 지역 군수 확보, 병마사 관련직 수시 파견 등 서북면을 중심으로 한층 정비된 북변 방비 강화 조치들을 시행함으로써, 대송통교 반대의 명분을 차단하는 동시에 실질적 국방력 강화 또한 도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071년 대송통교가 재개되면서, 내부적으로 문물 정비와 재정 개선이 진행되었다. 국자감(직제 수용)과 과거제(해액제, 동지공거제), 전문 인재 육성책(무학박사 설치, 국자감에서의 율학 분리), 의학, 율령, 음악, 역법, 의복과 같은 일상 문화에 이르기까지 문물의 수입 및 정비가 다방면에서 이루어졌다. 아울러 송과의 공식 교류 증대를 통해 적지 않은 경제적 이익도 발생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외부적으로는 여진인의 내투∙내조가 급증하는 등 여진인의 동태가 고려에 우호적으로 변화했으며, 거란과의 분쟁지역이던 압록강 동쪽 영토에서 진행된 적극적 개간 및 축성 사업 등은 대송통교 재개로 인한 문종의 자신감이 반영된 것이었다. 송의 물품을 구하려는 일본인들의 고려방문이 급증한 것도 고려의 위상을 강화시켜 주었다. 문종은 송과의 통교가 단절된 지 41년 만에 공식적 외교관계를 재구축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문종의 강력한 의지와 노력이 낳은 결과라 하겠는데, 그의 업적으로 평가되는 고려 문물 및 제도의 집대성, 다원적 외교 관계의 구축이 대송통교의 재개와 밀접하게 관련돼 있었음을 감안한다면, 당시의 대송통교에 대한 연구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king Munjong implemented his policy of reestablishing a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Sung, and what kind of results came from such attempts as well as the eventual success. In 1058, Munjong launched his own policy initiative to reopen a formal relationship with Chinese Sung. At the time, the Khitan Liao dynasty was the most powerful country in Northeast Asia, and Munjong’s attempt to forge an alliance with Liao’s competitor and foe was more than a risky one. Yet Munjong was acting upon his own assessment of the recent history between Goryeo and Liao, as he was aware that during the reigns of Deokjong and Jeongjong, when Goryeo’s official stance of ‘serving Khitan’ was evidently clear in the eyes of Liao, tens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defused, and Liao never raised suspicion over Goryeo’s overtures toward Sung. So, right after his enthronement, Munjong constantly and outspokenly reiterated Goryeo’s intentions of serving Khitan, and when he was certain that Liao would have been satisfied, he moved his Sung agenda to the implementation phase. Yet while doing so, failing to reinforce the northern defense postures alarmed most of the elderly (and powerful) officials many of whom actually experienced former Khitan invasion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refore became rather conservative in foreign policies. A severe opposition was formed, and Munjong had no choice but to fold his first attempt. The intention behind Munjong’s attempt in 1058 seems to have been his determination to import Chinese medical & medicinal manuals, and therefore enhance the clinical environment of the Goryeo society by using them. At the time, the Sung government was banning Chinese medical texts from leaving its own realm, and Sung merchants’ visits to the Korean peninsula were (albeit temporarily) decreasing as well. Munjong must have felt that reestablishing a formal relationship with Sung was the only way to increase or at least maintain medical imports from China. With the time’s high frequency of natural disasters, and a painful memory of losing both his brothers at a fairly early age, Munjong was more than interested in medical treatments and therapies, and when the news of Sung government’s recent projects which involved medical texts publications reached Goryeo, he as well ordered many Chinese medical texts to be published inside Goryeo, and invited many Chinese medical practitioners and urged them to stay in the country. 1058 was the year which was at the center of all these events, so we can see that ‘the necessity of medical import’ must have been the ultimate issue that triggered Munjong’s decision to seek an official relationship with Sung. However, there is no indication that Munjong was trying to import from China ‘other’ kinds of cultural customs or institution as well. We can see that the scope of Munjong’s 1058 initiative was rather narrow. That would have probably been what partially contributed to Munjong’s failure at the time. But Munjong did not stop, and this time, in the 1060s, he was determined to raise and breed governmental officials who would support his diplomatic policies, and significantly reinforce Goryeo’s military defense as well. He reformed the Gukjagam university and also invited many Sung literati, in order to bring a climate-change to the inside of the Goryeo government. He also increased his presence at the competitive “Gwageo” examinations, bestowed the status of ‘successful passers’ to a supernumerary number of applicants, and ordered his close advisors to oversee the examinations, just to bring in more ‘friendly’ official-candidates that could one day become allies of the king. As a result, at the end of the 1060s, he was able to replace most of the powerful officials inside the government, who had opposed Munjong’s initiatives back in 1058, with ‘new people’ he could rely upon and trust. In the meantime, he also issued a series of orders designed to enhance the government’s control over reserved military assets within the population, secured necessary amount of military munitions in the Northern regions, and frequently dispatched military generals to the region. His such efforts not only had the effect of blocking potential voices of objection to Munjong’s plans, but were also extremely instrumental in reinforcing Goryeo’s capabilities of self defense considerably. And when an official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Sung was finally established in 1071, a great amount of domestic institutional developments ensued, while the Goryeo government’s financial condition gradually got better as well. In virtually all areas, ranging from education(in the Gukjagam university, the dynastic competitive examination system, and recruitment of competent figures) to medicine, from penal administration to calendrical studies, and even to the most minute areas of music and attires, Sung customs and institutions were heavily imported and enhanced previous Goryeo conventions, while increased exchanges between the Goryeo and Sung peoples proved mutually beneficial in terms of economic interests. Meanwhile, the news of Goryeo and Sung reforming a diplomatic relationship seemingly affected other powers in the quadrant as well, as the frequency of the northern Jurchen people’s entrance to the Goryeo realm severely increased, and Japanese merchants seeking to acquire foreign items increased their visits to the Korean peninsula. King Munjong himself ordered aggressive reclamation projects and fortress building to commence along the Ab’rok-gang river line, which had been in periodic disputes with the Khitan Liao, displaying a renewed sense of audacity in his dealings with Khitan, surely fueled by his success in forging an alliance with Sung. Munjong was able to reforge an alliance with Sung that has been dead for 41 years. He has been praised by today’s scholars usually for his overall upgrading of the Goryeo institutions, and increasing options to be employed in the dynasty’s future negotiations. Considering the fact that both of these major contributions of Munjong were enabled by nothing but his success in reestablishing a formal relationship with Sung, this particular aspect of his reign should be further examined in the future.

      •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말명료도 향상을 위한 노래부르기 프로그램 개발

        하주현 고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만 3∼4세 인공와우 이식 아동을 대상으로 말명료도 향상을 위한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말명료도 향상을 위한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과 적용 대상, 운영방법을 계획하고 프로그램 타당도를 거쳐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변형된 ADDIE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설계-개발-자문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개발된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의 목표는 리듬 기반 노래부르기를 통한 장단음(음장) 개선과 선율 기반 노래부르기를 통한 조음정확도 향상이며 리듬 기반 노래부르기 6회기, 선율 기반 노래부르기 4회기로 회기당 25분씩, 총 10회기로 구성하였다. 리듬 기반 노래부르기는 일상생활과 관련된 노랫말과 Duerksen & Chong(2013)의 리듬 수행 과제의 프로토콜을 바탕하였다. 청각적 피드백과 함께 신체와 악기로 리듬치기를 하여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선율 기반 노래부르기는 말소리 산출하는데 관여하는 구강 근육의 움직임을 유도하기 위해 교대운동과 일련운동을 통한 훈련으로 구성하였다. 선율 기반 노래부르기의 곡은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가청주파수 내의 음으로 구성하였으며 템포를 조절하여 음절의 조음정확도를 높이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말명료도 향상을 위한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이 인공와우 이식 아동에게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기대하고 나아가 조음장애, 단순언어장애 등 말명료도 향상을 필요로 하는 다른 대상군에게도 유용성을 지닐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inging program to improve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three- to four-year-old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For this, the process of developing a singing program to improve speech intelligibility, targets, and operation methods were devised, and the program contents were designed by testing the validity. The development process included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consultation and was performed using a modified ADDIE model. The goal of the singing program is to improve the length of a musical note through rhythm-based singing and oral motor exercises and coordination ability through melody-oriented singing. It consists of a total of 10 sessions including six sessions of rhythm-based singing and four melody-oriented singing, 25 minutes per session. The rhythm-based singing was based on lyrics describing daily life and the protocol of the rhythm performance task by Duerksen & Chong (2013). It was developed to help learn rhythm easily by beating rhythm with the body and musical instruments along with auditory feedback. The melody-oriented singing provided training through alternating motion and sequential motion to stimulate the movement of muscles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speech. The songs for the melody-oriented singing were composed of notes within the audio frequency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the tempo was adjusted to increase the articulation accuracy. This study expects that the singing program for improving speech intelligibility exerte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s well as other target groups such as those with articulation disorder and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that need to improve speech intelligibility.

      • 항공사 선택속성이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여행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하주현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Since the 1980s, the air transport industry has developed rapidly, starting with a global open policy, and due to the privatization of national airlines and the emergence of giant airlines, the aviation industry has become fiercely competitive withwin limited market demand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help airlines improve sales and profit growth by suggesting various marketing and management strategies, as well as management directions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return visits by customers. The aviation industry was optimistic due to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passengers and cargo transport through the enormous trend of globalization, but faced a big crisis with the outbreak of coronavirus (COVID-19), a global epidemic in 2020. Accordingly, in order to prepare for the coronavirus, airlines are keeping distance among passengers' seats, and checking passenger health and sanit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theory was reviewed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airline selection attributes, and in particular, among the airline selection factors, the study was conducted by adding quarantine and hygiene factors for the prevention of coronavirus. Based on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y developing a questionnaire item. 311 copies of effective specimen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of this study targeting passengers who have used airlines for the last two years. In addition,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PSS 25.0 for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frequency analysis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verify the reliability/validity of variable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research hypothes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airline's selection attributes, four factors were found: hygiene and quarantine, marketing, service, and cost factors. Factor analysis fo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was derived separately as a single factor for each. We performed a result of empirically verifying the effect of airline selection attributes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First, service had a significant effect when evaluating the overall satisfaction of customers with airlin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airline selection attributes, marketing, hygiene and quarantine, and service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behavior intention.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ravel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irline selection attributes and satisfaction, service factors and cost factors were verified to have a relative effect. This means that the higher customer involvement in travel shows the more increase in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service factors. In addition, the positiv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cost factor and satisfaction means that the higher the customer's travel involvement, the greater the increase in satisfaction caused by cost factors.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ravel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irline selection attribute and behavioral int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ravel involvemen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among service and cost factors and behavioral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customer's involvement in travel it is, the greater the increase in behavioral intentions due to service and cost factors it is. Therefore, our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establishing airline's marketing strategy and gaining competitiveness by analyzing airline selection attributes considering th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passengers. 1980년대 이후 항공운송산업은 세계적인 개방정책을 시작으로 급속하게 발전하였으며 국적항공사의 민영화와 거대항공사의 출현 등으로 항공업계는 제한된 시장 수요 속에서 경쟁이 치열하게 되었다. 이에 항공사는 다양한 마케팅 및 경영 전략을 제시하고 더불어 고객의 지속적 재방문 및 이용고객의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경영 방향을 제시하여 매출 및 이익 증대 개선을 돕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항공 산업은 글로벌 무역전쟁 등 악재가 많았지만 세계화의 거대한 흐름 속에서 여행객과 화물 운송 물량의 증가로 호황기였으나 2020년 세계적인 전염병인 코로나바이러스(COVID-19)가 발생하면서 항공사들은 바이러스를 대비하기 위해 승객 좌석간의 거리두기, 승객 건강상태, 위생 및 방역 등을 실시하고 있지만 큰 위기에 직면해있다.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항공사 선택속성의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이론을 고찰하였고 특히 항공사선택요인 중 코로나바이러스 예방을 위한 방역 및 위생에 대한 요인을 추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항목을 개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근2년 국내항공사를 이용하여 국제선 여행경험이 있는 승객들을 대상으로 유효표본 311부를 본 연구의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의 분석을 위하여 통계분석 프로그램 SPSS 25.0을 이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위한 빈도분석, 변수의 신뢰성/타당성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항공사 선택속성의 검증 결과 위생 및 방역, 마케팅, 서비스, 비용요인의 4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대한 요인분석은 각 각 단일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항공사 선택속성들이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한 결과 첫째, 고객이 항공사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평가할 때 서비스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항공사 선택속성 중 마케팅, 위생 및 방역 그리고 서비스요인이 고객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항공사 선택속성과 만족도의 관계에서 여행관여도의 조절효과에 관한 분석 결과, 서비스 요인 및 비용 요인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여행관여도가 높은 고객일수록 서비스요인에 만족도의 증가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비용요인과 만족도 간 긍정적인 영향관계는 고객의 여행관여도가 높은 고객일수록 비용 요인에 의한 만족도의 증가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항공사 선택속성과 행동의도의 관계에서 여행관여도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서비스 요인 및 비용요인과 행동의도의 관계에서 여행관여도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여행관여도가 높은 고객일수록 서비스 및 비용요인에 의한 행동의도가 증가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공사 선택속성에 대해 분석하고, 이용승객의 만족도 및 행동의도를 파악하고 고려하여 항공사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일부 대학 실험실 종사자의 공기중 나노입자의 노출에 관한 연구 :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tubes)를 중심으로

        하주현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나노물질(nanomaterials)의 사용은 다양한 분야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왔다. 그러나 국내 나노물질 노출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일부 대학의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tubes, CNTs) 성장 및 가공 실험실 종사자의 공기중 나노입자의 노출농도를 조사하고 노출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직독식 나노입자 측정기를 사용하여 4개 CNTs 성장 및 CNTs 가공 실험실의 공기중 나노입자 표면적, 입자수 및 질량 농도를 측정하였다. CNTs 성장 공정 중 CVD가 밀폐되어 있지 않은 실험실에서 나노입자 표면적, 입자수 및 PM1 농도(8hr-TWA)가 밀폐되어 있는 실험실의 농도보다 각각 2배, 1.5배 및 3.5배 정도 더 높았다. CNTs 가공 공정 중 여과작업을 할 때 노출된 나노입자의 표면적, 입자수 및 PM1 농도가 각각 116.6 ㎛2/cc, 24320 pt/cc, 9.0 ㎍/m3로 가장 높았으며, 이는 전날 CNTs 혼합용액 가열 작업에서 발생하여 밀폐된 공간에 부유하고 있었던 입자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위치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장소에 측정된 공기중 입자표면적 농도의 시간별 변화는 실험자의 호흡위치에서 측정된 농도 변화와 밀접한 상관성(r=0.87∼0.98)을 보였다. 또한 전체 연구대상 실험실의 공기중 나노입자 표면적 농도와 입자수 농도에서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r=0.40~0.96). 결론적으로, 대학 실험실 종사자의 나노입자 노출에 대한 위험성인식과 실험실의 공학적 관리 부족으로, CNTs를 성장 및 가공하는 대학 실험실에서 실험실 종사자가 실험중 발생되는 나노입자에 노출되고 있었으며, 따라서 이들 실험실에 대한 공기중 나노입자의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대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C.레비의 『그리스도는 에볼리에서 멈추었다』 에 나타난 농민 세계의 발견

        하주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Carlo Levi nasce in una famiglia ebrea borghese a Torino ed entra nel dipartimento di medicina dell'Università di Torino. In quel periodo turbolento, poco dopo la prima guerra mondiale , gli intellettuali partecipavano attivamente alla società per riguadagnare la libertà contro il regime fascista. Levi stabiliva le sue idee di libertà e credenze socio-politiche al college, quindi dopo essersi laureato, si lancia nel movimento antifascista senza seguire il percorso dei professionisti medici. Di conseguenza, è condannato all'esilio nella regione meridionale della Lucania, inizialmente a Grassano, e successivamente ad Aliano. Questo rende Levi seriamente interessato agli affari del sud, alla sua gente, con un’attenzione particolare verso i contadini. Dopo essere stato graziato, lascia l'Italia e va in Francia, dove capisce che la causa della seconda guerra mondiale è il fascismo nella natura umana e analizzando questo tema scrive Paura della libertà(1946). Torna in Italia, nascondendosi dagli eserciti fascisti, e ricordandosi dell'esilio al sud, scrive Cristo si è fermato a Eboli (1945) dal 1943 al 1944. Non si lamenta del duro esilio meridionale e testimonia la difficile situazione del mondo dei contadini senza perdere il suo spirito umano. Penetra nella realtà contadina, ne carpisce la sua preziosa antichità in relazione alla situazione sociale di quel momento storico e analizza in modo approfondito i problemi sociali del sud insistendo persino sulle soluzioni. Come suggerisce il titolo Cristo si è fermato a Eboli, Levi, si sente oscurità non appena si arriva al villaggio di Aliano, il quale, secondo lui, non e’ stato raggiunto dalla grazia di Cristo. Con i suoi occhi da pittore, raffigura un villaggio infernale con in primo piano le tragiche vite dei contadini che vivono in quel luogo con rassegnazione. Levi, oltre ad osservarli, entra nelle loro case per curarli. I contadini vivevano nelle case ad uno stato primitivo in cui uomini e bestie condividevano gli stessi ambienti. Incapaci di sfuggire alla tragica vita della povertà e della malaria, vivevano anche credendo in misteriose superstizioni difficilmente comprensibili dalla ragione umana. Il villaggio era pieno di cose che avevano una doppia natura e spiriti misteriosi cosi i contadini si affidavano alla magia antica piuttosto che alla medicina per curare la malattia. Levi osserva il mistero del mondo contadino, ma non lo ignora, piuttosto lo vede come un luogo in cui scorre un’antica sacralità e lo valuta come un luogo prezioso che la civiltà occidentale ha perso. Accusa anche lo stato di classi dominanti incompetenti che si dedicano solo a mantenere il potere, a differenza dei contadini che detengono antichità e purità. Quindi Levi attribuisce, hai parassiti borghesi che regnano sui diritti feudali, la causa della miseria e alla totale indifferenza in cui vivono i contadini. In conclusione, sintetizza e testimonia gli aspetti del problema meridionale vissuti attraverso la sua esperienza in esilio, e conclude con la sua soluzione al problema, una nuova forma di stato chiamata "stato autonomo". Questo può essere visto come una nuova visione del problema meridionale.

      • 통계기법을 활용한 팔당 수질정책 효과 분석 및 경안천 유역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하주현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팔당호는 1973년 발전 및 용수공급을 목적으로 남한강과 북한강 및 경안천의 합류지점에 댐을 축조함으로써 이루어진 하천형 호소로서, 수도권의 2000만 인구에 용수를 공급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광역 상수원이다. 팔당호 상수원보호를 위해 한강수계를 대상으로 각종 토지이용규제 및 한강특별대책 등을 비롯한 적극적인 수질관리 노력이 이루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목표로 하는 수질기준 1등급 달성은 요원한 상황이며 강우 시 다량의 쓰레기 유입과 지속적인 난분해성 유기물(COD) 증가 등 팔당 상수원 수질개선에는 여전히 많은 난제가 남아있다. 이와 같은 팔당호 수질의 계속적인 악화는 기존의 규모와 배출농도 규제 위주의 수질보호정책이 가진 한계를 극명히 보여주는 것으로 수질보호를 위한 정책 전반에 걸친 비효율성과 관리능력 부재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팔당호 수질개선을 위해서 한강수계 중 가장 수질이 악화된 경안천을 연구대상 지역으로 선택하여 이 지역에 적용되는 기존의 수질관리정책의 문제점 분석과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용인시와 광주시에 걸쳐 자리 잡은 경안천은 수도권 상수원인 팔당호로 직접 유입되므로 팔당호의 수질보전을 위해 경안천유역 일부지역이 상수원보호구역, 특별대책지역, 수변구역 등으로 지정되어 엄격한 수질 기준 적용과 개발제한 등으로 규제를 받고 있다. 그러나 엄격한 규제에도 불구하고 경안천 유역은 수도권과의 인접성으로 인해 오·폐수배출시설, 축산시설 등 오염원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수질은 심하게 악화되고 있다. 또한 경안천으로부터 팔당호에 유입되는 수량은 약 2%에 불과하지만 하천의 유하거리가 짧아 팔당호 오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경안천 유역 내에 산재되어 있는 각 오염원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팔당호의 수질을 개선하고 보전함에 있어 경안천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앞으로도 이 지역의 개발압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더욱 중점적이고 합리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단계로 이루어졌다. 우선 정책의 실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통계적 기법인 계절 맨-켄달 검정법(Seasonal Mann-Kendall Test)을 활용한 새로운 정책 실효성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경안천 지역의 수질관리정책이 실제 수질에 미친 효과를 정량적, 과학적 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방법은 정책의 전과 후에 각각 계절 맨-켄달 검정을 시행하여 농도변화 추이를 비교함으로써 정책이 수질농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환경부 수질측정 항목 중 수질정책에 있어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4가지 항목(BOD, COD, TN, TP)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한강특별대책은 수질악화가 심했던 경안천 하류부에서는 부분적으로 효과를 가져왔으나 BOD를 제외한 항목에서의 효과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간 수질변동(1989-2005) 결과와 비교해 보면 이 기간동안의 수질은 계속해서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한강특별대책이 경안천 수질악화 경향을 개선시킬 수 있을 만큼의 획기적인 효과를 보여주기에는 미흡하였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경안천에 적용되고 있는 정책의 실효성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팔당수질 관리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더 나은 수질환경을 추구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지역에 대한 현황 조사와 기존에 제시된 다양한 연구결과, 외국의 정책과 성공 사례에 대한 검토 및 분석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현행 수질정책 중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총 5가지 분야-토지이용규제, 한강특별대책, 비점오염원 관리, 축산폐수관리, 오염총량관리-를 선택하여 각 정책의 비효율성의 원인, 정책의 불합리성, 한계점 등을 중심으로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토지이용규제정책의 문제점은 비효율적 운영, 행정의 일관성 부재, 불합리하고 과도한 규제, 규모와 배출농도 위주의 규제로 인해 발생되는 오염총량관리 능력의 부재와 비점오염원이나 고농도 오염배출에 대한 통제력의 취약성 등이 지적되었다. 한강특별대책의 경우 정책 수립에 있어 비과학적 접근, 예산투자의 우선순위 부재, 오염원 억제 능력 미약 등이, 비점오염원 관리의 경우는 비점오염원이 가지는 중요성 및 오염기여도에 비해 아직 제대로 된 관리방안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점이, 축산폐수 관리의 경우 영세축산 농가에 대한 대책 미비와 예산의 부적절한 사용, 효과적인 관리방안 부재, 환경용량을 초과한 입지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오염총량관리제의 경우 제도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아직 제도적, 기술적, 개념적 측면에서 많은 한계가 남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질관리정책의 합리화를 위한 방안으로 크게 세가지 범주에서 대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환경용량을 고려한 적정규모의 개발, 축산오염에 대한 관리 및 규제 강화, 비점오염원 관리 개선, 오염총량관리제도의 합리화 방안 등 기존의 수질관리정책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기존의 토지이용규제정책의 효율화를 위해 토지이용규제지역의 재설정, 규제의 차등화, 제도의 유연성 제고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안천 수계의 수질오염 악순환의 근본 문제인 고오염 저소득 사회 지속 현상을 극복하고자 지역 어메니티(Amenity)를 적극적으로 개발, 이를 수질관리와 연계함으로써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수체에 대한 과학적 이해와 정책의 문제뿐만 아니라 지역발전의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경안천 수질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수질관리에 있어 오염의 근본적인 문제인 고오염 저소득 현상과 상류와 하류 지역 주민의 갈등 등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수질악화의 악순환의 고리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이해를 바탕으로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관점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대안을 제시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향후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지역의 지속발전성과 유역의 건강성, 그리고 수질관리정책의 선진화가 도모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Pal-dang reservoir, the largest artificial lake in South Korea, which was constructed at the confluence of 3 branches-North, South branch and Kyongan stream-in Han River for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and water supply, has provided 20million citizens in Seoul and Kyeonggi area with water. But water quality in the reservoir has continuously degraded despite of a variety of strong regulations to protect water source. It reflects that the current water quality managements are not effective enough to improve water quality in this area. Especially Kyongan Stream, the study site, shows the worst water quality level among 3 branches of Han River due to high pressure for development and increase of pollution sources, such as livestock, industry, and expansion urban areas on the watershed. Furthermore, the water pollution in Kyongan Stream gets more serious, giving bad impacts on source water quality in Pal-dang reservoir. This study, therefore, focuses on the evaluation of effectiveness and analysis of problems in the water quality policies in Kyongan Watershed and presentation of alternative initiatives under the assumption that improvement of its water quality is the most essential for source water protection in Pal-dang reservoir. To assess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s on water quality, a novel method was developed using Seasonal Mann-Kendall test, the principle of which is to compare the trends of the variation in monthly concentrations(BOD, COD, TN, TP) both before and after one polic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 land use regulations and '98 Special Policy of Han River were not efficient. This paper pointed out the main causes of failure in the water quality managements, related to 5 issues-land use regulations, '98 Special Policy, non-point source pollution, livestock, and TPWL(Total Water Pollution Load).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obstacles to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Kyongan Stream are ineffective management systems, irrational and excessive regulations, inappropriate uses of budget, weakness in controlling pollution sources, and non-scientific approaches. From the analysis of problems in water quality management, three alternatives were initiated in this study. They include (1) reformation of the current policies, such as permission of development at environmental optimum level, reinforcement of restriction to livestock, effective non-point source management, and amendment of TWPL, (2) reformation of land use regulations, such as reassignment and discrimination of controlled areas and activities, and promotion of flexibility, and (3) attainm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by cultivation of eco-friendly tourist attractions and industry and support to rural communities to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 in the watershed, a vicious circle of poverty and water.

      • 대학 신문에 나타난 대학생 담론 변화

        하주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1. 요약 본 연구는 다양한 미디어의 출현으로 대학생들의 관심에서 멀어져 가고 있는 대학 학보의 의미와 역할을 재조명하고, 대학 학보 기사를 통해 최근 십여 년 간의 대학생 담론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가톨릭대 학보, 이화여대 학보, 고려대 학보 기사이다. 최근 10여 년 간의 기사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대학생들의 담론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각 학보의 사설, 학생 칼럼을 중심으로 담론 분석하였다. 평균 10년 동안의 사설과 칼럼을 학내 이슈와 학외 이슈로 나눈 후 7개의 주제별로 분류하고, 보도량을 비교해 보았다. 보도량을 근거로 많이 다루어진 주제들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다. 대학생들의 담론은 내부적으로 수많은 개별 담론들이 모여 집합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균일하지 않고 다양성을 가진 모습이었다. 2000년대부터 늘어나기 시작한 취업, 경쟁, 비정규직 담론들은 청년세대만의 다양한 담론들을 생산해 내고 있었다. 청년 노동, 청년 주거 담론들은 2010년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양극화, 청년 복지, 기본 소득 담론으로 변화해가고, 세월호 참사와 국정농단 사태를 거치면서 국가나 기관에 대한 불신은 역설적으로 정치에 대한 관심으로 사회적 소통담론, 비판과 참여담론으로 발전해 갔다. 여기에 더해져 개인주의 사회에서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자아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담론이라 할 수 있는 자아 정체성, 혼삶 담론은 타인에 대한 이해의 차원까지 나아간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대학생 담론 변화는 사회 변화와 무관하지 않다. IMF를 막 통과한 2000년대, 신자유주의가 정치 경제를 장악하고 있던 2010년 초 만해도 어떤 세대로 정의되어지고 그것에 동화되어 자의식 없이 수동적으로 살아가던 대학생들의 담론은 정치 사회적 다양한 변화를 맞닥뜨리면서 변화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늘 관심의 주체이면서 사회 현상적으로 명명되어지던 청년세대 담론의 주체로서 대학생들이 우뚝 선다면 학보는 다시 대항 담론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