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세자금대출이 전세가격에 미치는 영향

        하정화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주택 전월세시장은 저금리 기조의 장기화로 인해 전세 비중 감소와 함께 전세가 상승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세가 상승에 대한 원인으로 전세자금대출의 확대 등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 전세자금대출의 규모는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시중 5대 은행의 전세자금대출 잔액을 살펴보면 2010년에는 2조 3,196억 원이었던 것이 2016년에는 34조 485억 원이 되어 6년 동안 약 1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기간 약 1.5배 증가한 가계대출, 약 1.6배 증가한 주택담보대출과 비교해 볼 때 매우 큰 증가세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전세가격의 상승이 전세자금대출의 확대에 기인한 것인지 살펴보기 위하여 패널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때, 지역별로 상이한 전월세시장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공간적 범위를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그리고 6대 광역시로 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최근 전세가 상승 및 전세자금대출의 급증을 비교적 동시에 살펴볼 수 있는 2012년 6월부터 2016년 12월(총 55개월)까지로 한정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아파트의 경우 전세자금대출 비율의 변화와 전세가격지수가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세자금대출의 증가가 임차인의 유동성 제약 완화 경로를 통해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외식산업에서 녹차의 기여요인에 관한 연구 : 보성 녹돈을 중심으로

        하정화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내 외식시장의 규모는 1997년 30조원 수준에 불과 하였으나 2003년 에는 약 44조원의 수준으로 90년 보다 약 2.6배 성장하였다. 외식시장은 주 5일제 근무로 인한 여가 생활증가와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로 인해 향후 더욱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외식시장의 확대 내면에는 웰빙트랜드가 자리를 잡고 있어 외식시장의 환경변화를 주도적으로 이끌며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를 외식시장의 메뉴와 아이템의 흐름을 변화시키며 반영하고 있다. 웰빙의 흐름 속에서 녹차에 대한 관심 또한 대단한 증가를 보이고 있고 녹차를 활용한 산업 다방면의 발전이 괄목할 만하다. 식품가공 분야를 뛰어넘어 관광산업의 분야까지 녹차는 이제 웰빙트랜드 산업을 대표하는 하나의 아이콘이 되었다. 이 흐름을 타고 외식분야에서도 녹차를 활용하여 다양한 메뉴를 선보이고 녹차를 활용한 아이템들이 시도되고 있다. 녹차의 상품개발과 더불어 녹차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선호도에 관한 소비계층의 분석은 선행연구 되었다. 그러나 외식시장에서 아이템을 개발하고 메뉴를 만들 때 먼저 연구되어져야 하는 녹차를 활용한 외식아이템을 선호하는 고객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 지지 않아 녹차를 활용한 아이템을 개발할 때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의 기초자료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웰빙 흐름 속에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녹차의 외식시장에서의 활용에 앞서 소비자에 대한 연구가 선행 되어야 하고 이러한 소비자의 특성에 맞춰 타켓마켓을 정하고 마케팅 믹스가 필요하며 아이템에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취지하에 현재 녹차를 활용한 외식아이템중 지명도가 있는 보성녹돈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녹차를 활용한 아이템시장에서 소비자들의 특성을 파악해 내고 이러한 특성들이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녹차 소비자의 특성 및 라이프사이클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보성녹돈 고객의 특성들을 밝혀 마케팅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녹차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조사를 했던 선행연구결과를 살펴보는 문헌연구와 보성녹돈 이용객을 대상으로 하는 실증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변수들을 추출하여 설문지를 만들어 배포하고 SPSS 12.0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5가지 가설을 통해 검정하였는데 가설 1은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녹차 선호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보성녹돈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으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량을 통해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설 2는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녹차에 대한 소비자의 이미지는 보성녹돈 소비자의 녹차에 대한 이미지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으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량을 통해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설 3은 보성녹돈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녹차에 대한 이미지에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 one-way ANOVA )을 이용하였고 사후분석에는 LSD, scheffe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검정결과 보성녹돈 이용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월소득과 학력에 따라 녹차에 대한 이미지가 미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4는 보성녹돈 이용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보성녹돈 이미지에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t 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유의 확률을 알아보고 사후분석을 통해 차이를 밝혀냈다. 분석결과 보성녹돈 이용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나이, 거주지역, 월소득, 학력에 따라 보성녹돈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설 5는 보성녹돈 이용 소비자의 녹차에 대한 이미지는 보성녹돈 이미지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으로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을 이용하였으며 pearson 상관계수를 통해 가설을 검정하였다. 검정결과 보성녹돈 소비자의 녹차에 대한 건강관련 이미지와 보성녹돈에 대한 건강관련 이미지는 상당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녹차를 활용한 외식아이템을 이용하는 보성녹돈 고객의 경우 선행연구에서 보여 진 녹차를 선호하는 소비자의 특성과 연관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녹차를 선호하는 소비자와 보성녹돈 이용객은 건강에 대단한 관심이 있으며 건강을 위한 식생활을 하고 음식의 품질을 가격보다 우선시 하며 건강유지를 위해 음식습관을 바꾸고 국내산을 수입산 보다 더 선호한다. 또한 녹차의 이미지는 웰빙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고 녹차가 다이어트, 성인병, 피부미용, 머리를 맑게함, 입안을 개운하게 함 등의 녹차에 대한 효능과 효과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녹차의 효능과 효과에 대한 인식은 외식시장에서도 그대로 반영이 됨을 알 수 있어 녹차를 활용한 외식아이템인 보성녹돈 이용객들은 보성녹돈을 이용할 때 이러한 녹차의 효능과 효과가 보성녹돈에 적용되어 몸에 이로울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으며 녹차의 효능과 효과에 대한 이미지가 그대로 연상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녹차를 활용한 외식아이템 개발 시 이러한 소비자의 특성을 반영하면 성공적인 아이템 기획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녹차시장에서 마케팅 전략은 여성을 타켓으로 하고 녹차의 효능에 대해 적극적으로 홍보하며 문화마케팅을 실시해야 한다고 하였는데 녹차를 활용한 외식아이템도 가격보다는 품질에 관심이 있으며 건강을 위해 기꺼이 식생활을 바꿀 수 있는 고객들이므로 녹차에 대한 효능과 효과를 전면에 내세워 홍보를 하고 브랜드의 신뢰도를 높여 제품의 품질을 보증하는데 주력하여 주위의 추천에 의한 구전 마케팅을 활용해야 하고 매장과 브랜드의 이미지를 깨끗하고 고급스럽게 구성하고 신뢰성 있게 가격을 유지시키며 새로운 메뉴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고객을 위한 문화 마케팅을 실시한다면 성공의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녹차를 활용한 외식아이템을 개발할 때 녹차 선호 소비자의 특성과 라이프 스타일에 맞추어 기획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며 다양한 아이템들이 외식시장에서 성공하여 녹차 산업의 발전까지 도모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scale of food service industry which was no more than 30,000 billion won on 1997 has grown up about 2.6 times as 44,000 billon won in 2003 and it is expected to increase more and more. The interesting in green tea is enormous increased under trend with well-being and the development of food industry with green tea is worthy of close attention. The green tea is able to regard as typical icon of industry in well-being trend what is including tourist business as well as food service industry. Various menus with green tea are come out and new items are tried in food service industry with reflection trend in these days. Analysis about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for green tea by customers was carried out in many previous studies with development goods. But study about customers who give preference to green tea goods is not performed until now even though it is must carried out before development items and create new menus. Therefore basic materials for marketing plan are deficiency when new items with green tea are developed. Reference research about consuming propensity of customers to green tea and positive study wer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made up with essential variables that were sampled from previous research was circulated and som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like a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Co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result of questionnaire statistically using SPSS ver 12.0. Results of studying were tested with 5 hypothesisses and details are as follows. The first hypothesis was that the life style of customers who prefer green tea had interrelation with life style of customers who prefer green pork and it was ascertain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he second hypothesis was that image of green tea defined with results of previous studies was related with that of customers who preferred green pork and it could be certified with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he third hypothesis was that image of green tea was varied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who consumed green pork.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for initial data analysis and LSD and Scheffe were performed for post analysis. Results of these analysis showed that images of green tea had slight difference according to income and scholastic achievement of customers, on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forth hypothesis that image of green pork depend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who consumed green pork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one-way ANOVA to evaluate P-value and differences were cleared with post analysis.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understanding for green pork of Bo-Seong had difference according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residential district, degree of income and scholastic achievement. The fifth hypothesis was that image for green tea of customers who consumed green pork had correlation with image for green fork.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pprove this hypothesis by Pearson Correlation test.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image related to healthy of green pork customers was correlated with image for green tea so much. It was shown that characteristics of green pork customers taken items with green tea for eating out was similar to that of green tea customers evaluated in previous study. Therefore, it would be extremely excellent marketing plan if these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were reflected to new marketing plan about eating-out items developed with green tea.

      • 이상교 동화연구

        하정화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초록 이상교 동화 연구 A Study on the Children's Story of Lee Sang-kyo 문예창작학과 하 정 화 지 도 교 수 이 국 환 본 논문은 아동의 삶에 천착해 온 이상교 창작동화를 대상으로 그 문학적 의미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상교 창작동화의 전체 맥락을 살펴 가장 특징적인 부분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담론적 특징과 서사적 특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먼저 이상교 동화가 어떠한 의식과 규칙을 가졌는지는 담론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동시에 통시적으로 드러나는 위기와 갈등의 전개, 그 해결과 결말의 의미는 서사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단, 작품을 설명하기보다 내용의 내밀한 구성과 적합성을 연구하고, 서사물을 구성하고 있는 특성을 밝혀내어 개별 텍스트가 어떠한 의미로 엮여 있는지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Ⅱ장에서는 이상교 동화의 담론적 특징에 관해 살펴보았다. 이상교 동화는 ‘자기 체험의 재구성’, ‘매개적 인물의 미적 역할’, ‘비동일화 동심의 주체화’의 일정한 질서를 가진다. 작가의 생애가 작품과 밀접한 연관을 지녔음을 전제하면, 유년의 체험 공간과 소외인물, 중핵적 사건은 리얼리티라는 구조 위에 자기 체험 서사로 재구성된다. 등장인물이 위기적 상황에서 갈등하고 의지가 박약할 때, 매개적 인물의 미적 행위는 이들에게 긍정적 자기 인식을 자극하고 삶의 동기부여가 된다. 이러한 이상교 동화 전반은 아동이 주체적 인물로 설정되어 당면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 소통하는 비동일화 동심이 중심이다. Ⅲ장에서는 이상교 동화의 서사적 특징에 관해 살펴보았다. 이 장에서는 서술적 층위에서 ‘위기와 갈등’, ‘해결과 결말’과정을 유형화하였다. 위기와 갈등 과정은 가족의 해체와 변화 관계의 결여와 편견, 외모와 장애의 열등의식의 양상으로 구분된다. 먼저 가족의 해체와 변화는 아동에게 내면적 상실감을 경험하게 하며, 왕따라는 사회적 문제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어 관계의 결여와 편견은 이를 겪는 아동의 삶을 통해 정서적 단절이라는 현대 사회의 단면적인 부분을 조명하고 있다. 아동이 가진 결핍의식은 콤플렉스와 열등감이 강화되고 내적 갈등이 형성됨을 다루었다. 이상교 동화에서 위기 해결과 결말 모티프는 결핍의식의 극복, 외부 자극의 수용, 주체성의 인식이다. 이 과정을 통해 자아정체성을 찾게 하고, 나와 사회의 긍정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인간이 끊임없이 세계와의 소통을 추구하는 존재라는 점을 부각하면서, 이러한 것을 이뤄내기 위해서는 자기 의지의 발현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상교 동화에서 위기 극복은 자아의 회복이 있어야 내외적 소통이 이루어짐을 결론으로 도출할 수 있다. 이상교 동화는 사실적 토대에서 아동의 삶과 문학의 상관관계를 다룬다. 특히 동화 속 인물이 시련의 시기를 지나 성숙의 주체로 성장하는 모습을 여러 각도로 보여준다. 요컨대, 이상교 창작동화는 현실을 기반으로 한 아동의 삶을 문학적 재현을 통해 다양한 시각으로 제기하고 있다.

      • 기업복지만족도와 조직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하정화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기업복지만족도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기업복지만족도는 기업의 복지제도에 대해 종사자들의 질적, 비용, 의사소통, 전반적인 측면에서의 만족하는 정도로 측정하였고, 조직시민행동의 차원을 이타주의, 양심적 행동, 정당한 행동, 예의적 행동, 공익적 행동과 조직 공정성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은 설문조사방법을 통해 기업복지를 경험하고 있는 금융권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300부를 배부하여 231부를 회수한 설문응답 자료를 회귀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업복지만족도는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회사가 제공하는 복지제도에 대하여 종업원들이 느끼는 만족도가 자발적이고 협동적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을 유발하는데 필요한 요소임을 증명하였다. 통제변수에 있어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근속년수, 현 직위, 정규직여부, 근무환경 중 근속년수만이 유의미한 긍정적인 관계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해석은 개인의 특성보다는 회사가 요구하는 특성과 개인의 특성을 적절히 조화하는데 필요한 시간인 근속년수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관계를 줄 수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절차공정성은 기업복지만족도와 조직시민행동 관계에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나타냈지만, 분배공정성은 기업복지만족도와 조직시민 행동관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연구의 주장과 일치하였다. Moorman(1991)과 Niehoff & Moorman(1993)은 절차 공정성만이 조직시민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함을 시사하였고 Folger& Konovsky(1989)의 연구에서도 절차공정성이 분배 공정성보다 만족의 개념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절차공정성 자각이 높을수록 기업복지만족도가 조직시민행동에 주는 영향도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게 된다. 즉, 조직시민행동을 나타내는 종업원들은 기업복지의 분배되는 양보다는 인식할 수 있는 공정한 과정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총 만족도, 질적 만족, 비용 만족, 의사소통만족으로 구성된 기업복지 만족도는 이타주의, 양심적 행동, 정당한 행동, 예의적 행동, 공익적 행동으로 구성된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는 어느 한 특성으로 설명되기 보다는 각 특성에 속하는 변수들의 복합적인 영향력을 통하여 설명된다고 볼 수 있으며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주는 기업복지만족도에 대한 절차 공정성의 조절기능이 실증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조직 공정성에 따른 기업복지 만족도가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국내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조직시민행동이란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기업의 성과의 차원을 보다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으로 이끌어 내었다는 점에서 또 다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sets out to examine two explanations for relationships among Company Welfare Satisfaction(CWS), Organizational Justice(OJ)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The first explanation views OCB as a form of a dependent variable influenced by CWS. The second view is that OJ has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WS and OCB. The research design is based on survey data acquired from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231 employees in banks, securities finance and insurance corporations. Variable definitions are as follows; CWS is organized by four satisfaction factors: Quality, Cost, Communication and General. OJ is composed by two types of justices: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OCB is divided by five dimensions: Altruism, Conscientiousness, Sportsmanship, Courtesy and Civic Virtu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first finding showed that posi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CWS and OCB. OCB was encouraged by the employees' satisfaction from company welfare. Of the control variables, continuance year in office tended to display OCB, more than gender, age, education, marriage, position, regular job, and work environment. It was explained that OCB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years in office which helps employees engage in their business organizations, more than other factors. The second finding was that Procedural Justice showed the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WS and OCB, but Distributive Justice was not found to display the role. The results were virtually identical with the studies of Moorman(1991) and Niehoff & Moorman(1993); They found OCB interacting with only Procedural Justice in OJ. In addition, Folger & Konovsky's research(1989) also insisted OCB related to Procedural Justice, rather than Distributive Justice in the concept of satisfaction. The finding confirmed that increased Procedural Justi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WS and OCB was more likely to positively affect the employees' behaviors in their organizations. It was also interpreted that the employees tended to show more interesting about fairness than allocated quantity from company welfare. In the conclusion, The results were formed by complex interaction among various variables. CWS which consists of satisfaction degrees from quality, cost, communication and general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OCB which comprises five dimensions: Altruism, Conscientiousness, Sportsmanship, Courtesy and Civic Virtue. It was substantiated that Procedural Justice was found to moderate OCB to be linked by CW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re are two cautious Implications. First, the relationship studies between CWS and OCB has received only minimal attention in Korea. Second, the results will contribute to business outcome in broad perspective.

      • 부산 여성기자의 젠더 경험과 여성주의 실천 연구 : 지역 여성주의의 가능성 모색

        하정화 부산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stems from problem identification that Korean feminism fails to consider a unique situation to a local area and actively reflect a variety of local women's voices while the nation's gender studies, to some extent, successfully covers universal needs and problems of women across Korea. Studies on a local area and local people criticizing and opposing social gender discrimination from feminism perspectiv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overall women's studies. Female reporters are professional workers as producers of media contents and opinion leaders. Comparing with male counterparts, the female professionals experience gender issues in a social framework of patriarchy. They confront another level of discrimination just because their working area is not a central but a local part of the nation. This thesis analyzes types and causes of such discrimination and explores various strategies to address this inequality and carry out feminism in the area of Busan, which will be conducive to improving the situations and voicing the right of a woman as a representative subject. Media world is typical of male-oriented organization culture that shows stark gender bias: Local female reporters are unwelcome and excluded when entering the job market; They are considered marginal as one of women, not a professional reporter after getting the job; They are treated differently with discomfort due to pregnancy and child-rearing. These working conditions force them to change their identity. At the beginning, females could hardly be found in the media workforce and they tended to show identity of neutral sex, neither a man nor a woman to adapt themselves to circumstances. However, they felt confused between their identity of a reporter and a woman over time. The levels of their gender experiences and identity changes vary depending on their career. Awareness of female reporters helps implement feminism in three strategies while they pursue changes in the organization they belong to. First, adaptiveness to a male-centric culture: This is prevalent in the group A people with more than 10 years' work experiences who started the career especially when there were a very few female reporters. Second, resistance to conventional thoughts: They actively propose micro discourses where small things in everyday life are important in opposition to macro discourses highly valued by male-directed media. Third, transformation to create a new culture of the organization: This strategy refers to integrating what is not familiar and changing the otherness of local values into a major subject. Furthermore, they put feminism into practice by soul searching activities as an owner of their own life while addressing local issues from feminist angles with self-consciousness as female reporters The author tries to intersect feminism with locality with an aim of seeking potential of local feminism by focusing on marginalized local female subjects to redefine locality with feminism approaches and activate feminism in Busan. Meta discourses in media are laden with patriarchal demarcation between center and periphery, mainstream and margin. In other words, media prioritizes center-based meta discourses while belittling a local area and making it the Other from the center as micro discourses. Female reporters cover such discourses of daily life as mainstream issues with feminist viewpoints. This is the place where female reporters pursuing micro discourses are intersected with locality where a local area can be interpreted and revisited through feminism perspectives. There may be many directions local feminism moves toward. This research mainly deals with the two points out of them: Firstly, this feminism seeks balanced local development by utilizing local values and characteristics to enhance quality of local people's life; Secondly, it empowers local women to make a difference in their life by concerning about and addressing local issues. This capacity building is achieved when female reporters lead new opinions, find and share local female cultures with aspects of feminism. It is fair to say that local feminism nurturing feminism oriented-local values is already underway by the female reporter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 U-Learning 시스템 이용을 통한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 PMP와 PC사용자를 중심으로

        하정화 창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U-Learning 학습효과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U-Learning 도구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PC(Personal Computer)로 나누어 연구해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재학중인 u-learning 학습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PMP u-learning 과 PC u-learning 학습자를 대상으로 관심집단별(성별, 학년) u-learning 효과의 차이와 기기별(PMP, PC) u-learning 효과의 차이 및 시, 공간적 상황과 u-learning 효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향후 u-learning 학습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방안과, 향후 현장 적용에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제시된 연구 문제들을 분석해 본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용도로 PMP 구매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성능과 기능'이였고, U-Learning을 활용한 학습 콘텐츠 선택시 '강좌의 난의도 수준'이 가장 큰영향을 미치고, 주로 '외국어 영역'을 많이 학습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U-Learning위한 학습 기기의 보유 현황은 PMP는 과반수 이상의 학생인 68.0%가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PC는 88.2%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U-Learning위한 학습 기기사용 빈도는 주 1회 이하, 5시간 이하의 사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U-Learning위한 학습 기기의 사용 장소는 대부분이 가정에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PMP U-Learning 학습은 집중력 향상, 성적향상, 공부에 대한 자신감 향상 변인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PC U-Learning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PMP U-Learning 학습은 집중력 향상, 공부하는 습관, 사교육비 절감 인식변인에서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PC의 경우 집중력 향상, 공부에 대한 자신감 향상의 변인에서 사용 시간이 많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PMP U-Learning 학습은 PC U-Learning 학습 보다 시간관리, 학습 태도의 긍정적 변화에 대한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PC U-Learning 학습은 PMP U-Learning 학습 보다 스스로 공부하는 습관 형성, 사교육비절감 인식, 성적향상, 공부에 대한 자신감 향상에 대한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학습 용도로 두 학습기기(PMP, PC)의 U-Learning은 대부분의 영역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습기기간(PMP, PC)의 U-Learning 효용성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학생들이 학습 용도로 U-Learning의 경험 및 활용 그리고 교육환경이 대부분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교 교육에서 학습 용도로 두 학습기기(PMP, PC)의 U-Learning에 대한 긍정적인 이해와 교육의 인식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